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행가사와 산수유기(山水遊記) 비교 고찰 -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의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를 대상으로 -

        장정수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81

        This paper compares the structures, content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thoughts and the writer's attitudes in the traveling Gasa <Geumgangbyeolgok> and Sansuyugi <Donghaengsansoogi> written by 19th century poet Eodang Lee, Sangsoo (1820~1882). And I examined how the Han-gul Gasa and Chinese Sansuyugi were created and accepted and the differences of the aesthetics and interests pursued in the various categories of travel literature. <Geumgangbyeolgok> is organized organically according to the route from the departure to the impression of finishing the journey.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narrative literature by stating the experience, the subculture and the emotion of the itinerary in a panoramic way. On the other hand, <Donghaengsansoogi> is consisted of the several independent texts occupied a large part with the discussions. It has the character of an essay, which philosophically unravel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They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author's attitude. In addition to fengshui, which was used as a device for displaying scenic beauty of Mt. Geumgang. No special thought is found, but experience and inspiration of travel are main in <Geumgangbyeolgok>. On the other hand, the confucian view of nature and the scholarly attitude to the tales, ruins, remains are strongly expressed in <Donghaengsansoogi>. In terms of the narrative and expression techniques, both works have a strong point of description and are rich in analogy and imagination. However, <Geumgangbyeolgok> has a tendency to enhance emotions by directing inspiration and subculture to travel, And that <Donghaengsansoogi> has a lot of rational and critical perception on the Sansoo. The differences presented abov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two works were created and enjoyed for different purposes and uses. <Geumgangbyeolgok> is a book for enjoying excursions and recalling the experience of the trip from the viewpoint of the artist himself and also provides the reading materials for indirect experience of excursion for those who cannot decipher Chinese texts. <Donghaengsansoogi> is not a simple tour record, but a result of the artist's philosophical awareness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And is came from the process of writing for self-reflection and spiritual growth. 본고는 19세기 문인인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 1820∼1882)의 기행가사인 「금강별곡」과 한문 유산기(遊山記)인 「동행산수기」의 구성 및 내용, 표현상의 특징, 사상 및 작가의 태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기행문학의 다양한 범주 속에서 한글 기행가사와 한문 유산기(遊山記)가 어떤 맥락에서 창작되고 수용되는지, 작가가 각 장르를 통해 추구하는 미의식과 관심사는 어떤 차이를 지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금강별곡」은 출발부터 여행을 마친 소회까지 노정(路程)에 따라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정에서의 체험과 소회·정서를 파노라마식으로 진술함으로써 이야기 문학의 성격을 띤다. 반면 「동행산수기」는 여러 편의 독립적인 기문(記文)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의론(議論)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산수(山水)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철학적으로 풀어내는 수상록(隨想錄)의 성격을 띤다.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는 내용 및 작가의 태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금강별곡」은 금강산의 산수미를 드러내는 장치로 사용된 풍수사상 외에는 특별한 사상이 발견되지 않고 여행의 체험과 감흥이 주를 이루는 반면, 「동행산수기」에는 유교적 산수관(山水觀)과 설화·유적·유물 등을 대하는 학자적 태도가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서술 방법 및 표현 기법에 있어서는 두 작품 모두 묘사력이 뛰어나며 비유와 상상이 풍부하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금강별곡」은 여행에 대한 감흥이나 소회를 직설적으로 토로함으로써 정서를 고양시키는 경향이 있고 「동행산수기」는 산수에 대한 이성적·비판적 인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차이를 지닌다. 이상에서 제시한 차이들은 두 작품이 각기 다른 목적과 용도로 창작되고 향유되었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금강별곡」은 작가 자신의 입장에서는 유람의 흥취를 노래하고 여행의 경험을 회고(回顧)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한문을 해독하지 못하는 주변인들을 위해서는 금강산 유람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독서물을 제공하기 위해 지었다고 할 수 있다. 「동행산수기」는 단순한 유람 기록이 아니라 작가의 산수자연에 대한 심미적 체험, 산수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결과물로서 자아 성찰·정신적 성장을 위한 글쓰기의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담녕(澹寧) 홍의호(洪義浩)의 금강산(金剛山) 기행시(紀行詩) 연구(硏究)

        방현아 ( Bang Hyun-a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본고는 澹寧 洪義浩(1758~1826)의 金剛山 紀行을 개괄한 것이다. 담녕의 첫 번째 금강산 기행은 63세인 1820년 3월 26일부터 4월 23일까지 28일 동안 있었던 長期의 여정이며, 두 번째는 병을 이유로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 丹邱로 돌아간 뒤 1826년에 한 8일간의 여정이다. 1차 여정에서는 아들 羲福과 尹元明, 權敬勝 등과 함께 28일간 내외금강, 해금강의 1,830里를 유람하고 五七言古詩律絶로 202首의 시를 남겨 「衍山海經」이라 題名하였다. 1820년 4월 3일에 내금강에 들어가 9일간 금강산에 머물러 있었고, 외금강과 해금강의 총석정에서부터 경포, 설악과 영동일대를 다니며 金剛山을 ‘天下嶺東八景’, ‘東方第一山’이라 표현하여 그 奇觀과 勝景을 노래하였다. 小有洞天과 五峰(大有, 小有, 宛委, 琅嬛, 句曲)의 이름을 직접 짓기도 하고 벽에 洞天의 이름을 새기는 등 仙界와 佛界를 아우르는 적극적인 유람이었다. 「衍山海經」은 『澹寧瓿錄』 卷27~28에 걸쳐 수록되어 있는데, 「海岳日錄」이라고도 한다. 羲福은 후에 「衍山海經證註」를 써서 淸에 전하였다. 2차 기행은 8일의 짧은 여정이었지만 100여 편이 넘는 시를 지었고 『澹寧瓿錄』 卷34에 50여 편이 남아있다, 동행한 인물들에 대해 묘사한 시들 중 咸關에서 온 歌妓 玉人과 弼雲臺 아래에서 온 여항인 醞齋 李愼民이 주목된다. 여성의 몸으로 8일간이나 금강산을 유람한 것은 당시에는 흔치 않은 일이었으며, 號가 八三으로 83세에 죽을 것을 예언했다는 李愼民은 문장과 술로 풍류를 즐길 줄 아는 사람이었다. 금강산 아래에 집을 짓고 늘 금강산을 왕래하며 嵇琴을 켜고 피리를 불던 琴順采, 기행 중에 만난 張錫愚, 金鼎元, 權用銓, 許元之, 南升源 등과의 疏通과 情懷는 담녕의 폭넓은 교유와 호방한 기상을 보여준다. 洪義浩는 늘 고향 丹邱의 洞天과 같은 仙界와 武夷淸을 동경하였으며, 遊山의 체험과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으로 표출된 정감, 그리고 勝景을 묘사한 「衍山海經」은 祖父 洪重孝의 『疎窩孝敏公集』 중에 ‘楓岳紀行詩’ 43篇을 따라 짓기 위해서라고 언급하였다. 이 金剛山 紀行詩들은 그의 일생의 많은 필적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This paper intends to outline the Mt.Keumgang tour of Hong Eui-ho(洪義浩). First tour to Mt.Keumgang was a long journey for 28days from Mar. 26, 1820 to Apr. 23, 1820 when he was 63 and the second tour was a journey for 8 days in 1826. For his first journey, he travelled Nae-keumgang and Oe-keumgang over 720km for 28days and wrote 202poems in the format of five or seven syllables regulated verse and put the name of 「Yonsanhaigyong(衍山海經)」. The main accompanied people were his son, Hee-bok, Yun Won-myung, and Kwon Kyung-seung. On Apr. 3, 1820, they arrived Nae-keumgang and stayed 9days at Mt.Keumgang. While travelled from Oe-keumgang, Hae-keumgang and Chongseokjeong including Gyeongpo area, Mt.Seorak and Yeongdong area, he expressed Mt.Keumgang as ‘the best of 8views of Yeongdong’ ‘the best mountain in the East’ for its spectacular scenary and superb view. He made the name of Soyudongcheon and five summits which are Daeyu(大有), Soyu(小有), Wanwi(宛委), Nanghyun(琅嬛), Gugok(句曲) by himself and even engraved the name of Dongcheon(洞天) on the rock wall which shows his active tour crossing the world of Gods and the world of Buddha. Yonsanhaigyong was listed in 『Damnyongbulok』 Vol.27~28 and called as Haeakilrok(海岳日錄). Hee-bok wrote 「Yonsanhaigyong Chungju(衍山海經證註)」 later and introduced it to the Qing Dynaty. The second tour to Mt.Keumgang was a short journey only for 8days but he wrote over 100poetries. Among the accompanied people, especially Gagi Ok-in from Hamgwan and Onjae Lee Shin-min in the middleclass from Philundae are focused. Ok-in was a woman and it wasn’t common for woman to travel Mt.Keumgang for 8days at that time and Lee Shin-min whose another name was Palsam, known as a man who predicted that he would die at the age of 83, and knew how to enjoy the taste of the arts by writing and drinking. Keumsoonchae who built a house at the bottom of Mt.Keumgang and used to travel to and from Mt.Keumgang and lived in the mountain by playing Hyaegeum and the pipe. Hong Eui-ho always admired the world of Gods and Mooicheong(武夷淸) like Dongcheon of his home, Dangu. His poems of Mt.Keumgang tour that described his experience of travelling and his affections to the people that he met while traveling, and 「Yonsanhaigyong(衍山海經)」 of the beautiful scenaries is the one among his great other works created in his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