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근대 고등교육 제도와 여자미술교육 -죠시미술전문학교를 통해 본 일본 근대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

        엄광현(Um, Kwang Hy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20 No.20

        이 글의 목적은 일본의 근대적 고등교육체계의 한 축을 이루는 전문학교와 사립학교라는 교육제도를 통해 구축된 일본 근대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죠시미술전문학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죠시미술전문학교는 시리츠죠시미술학교에 기원을 두고 있었다. 소수의 남자 학생들을 받아들여 미술전문학교가 운영되던 메이지 시대 말기에 여자들에게도 남자들과 동등한 미술 전문교육의 기회와 장을 여자들에게도 제공하고자 출현한 학교이자 일본에서 최초로 근대적 여자미술전문교육기관으로 문을 연 학교가 시리츠죠시미술학교이다. 시리츠죠시미술학교는 후에, 죠시미술전문학교로 승격되어 일본의 고등교육체계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전문학교로 승격되기 전부터 죠시미술전문학교에서는 일본의 근대 고등교육체계에서 요구하는 전문학교의 자격요건과 사회적 기능을 충족하고자 하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였다. 죠시미술전문학교는 시리츠죠시미술학교 시절, 기예미술교육에 중점을 두고 당시, 더욱 증폭되는 일본의 근대화 프로젝트에 부응하는 미술적 기능을 갖춘 전문 기술가를 배출해가며 전문학교로의 승격을 도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자전문학교로 승격한 이후, 죠시미술전문학교는 일본의 근대 고등교육체계가 부여하는 운영상의 특전을 최대로 활용해가며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보다 확장해나간다. 이를 통해 이 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미술교원 양성학교로서의 입지와 위상을 구축해가며 여자들을 위한 미술전문학교로서의 면모를 새롭게 보여주기까지 한다. 그 결과 죠시미술전문학교를 통해 시행된 여자미술교육은 일본을 포함하여 동아시아의 근대적 여자미술교육의 전형을 제시해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일본에서 여자미술교육이 근대 고등교육체계와 전문교육을 통해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제도적으로 구축하고 형성해 가는 과정을 죠시미술전문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당시의 여자미술 담론들과 교원 자격 제도 등을 둘러싼 사회적, 시대적 요인들이 근대 여자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모범을 자극하고 형상화하는 주요한 동력이자 계기로 자리하고 있었음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At the end of the Meiji Era, only a small number of men were admitted to art school in Japan. Meanwhile Women’s Art School in Tokyo opened to provide women with the opportunity and venue for specialized art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n Japan. After that, Women"s Art School was promoted to women"s vocational school and entered the Japanese higher education system. However, even before being promoted to a vocational school, Women"s Art School have constantly tried to satisfy the qualifications and social functions of vocational school required by Japanese modern higher education system. In the early days of the school, Women’s Art School was operated with an emphasis on craft arts, and through this, it schemed the promotion to a vocational school by cultivating professional technicians with artistic skills to respond to the Japanese modernization project that was further amplified at that time. After being promoted to a women"s vocational school, by maximizing the privileges granted by Japanese modern higher education system, and further expanding the social functions of women"s art education, it has established its position and status as an art teacher training school required by society. It even shows a new aspect as the art school for women. As a result, art education for women implemented through Women"s Art School presented a model of modern art education for women in East Asia, including Japan. This paper intends to check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rt education for women as a social system, focusing on Women"s Art School. In addition to discourses on women"s art that was circulating in Japan at the time, various social factors such as the teacher qualification acquisition system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tervened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Japanese modern art education for women.

      • KCI등재

        들뢰즈의 "차이"의 개념으로 본 오지호 연구

        변상형 ( Sang Hyung Byu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그동안 우리의 근대미술이 갖고 있었던 시기적 특수성은 많은 문제의식을 가져왔다. 거세게 들이닥친 근대화의 흐름 속에 우리의 미술계는 서양미술과 접촉하며 전통적 미술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미술계가 본격적인 서양미술의 도입으로 근대적인 화단을 형성한 것은 일본에서 유학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학생들로부터 출발한다. 1세대 유학생이었고 최초의 서양미술가였던 고희동 이후 지속적으로 유학생들은 늘어났으며, 일본 강점기동안 보다 다양한 서양미술의 수용으로 우리의 화단은 점차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서양미술의 도입과 수용은 일본을 통한 왜곡된 일본화 된 서양미술로서 굴절된 이식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우리의 근대미술로 수용된 서양의 인상주의는 서양의 본래적인 인상주의의 문제의식과 달랐으며, 일본의 풍토와 결합된 일본적 인상주의와도 또 다른 모습의 것이었다. 하지만 본 논고는 이러한 우리근대미술의 상황을 서양미술에 대한 왜곡된 과정으로 보기보다 다양한 시대적 흐름과 지역이 가지고 있는 풍토에 따라 창조적으로 변화하며 생성되는 한국적 인상주의의 발전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근대미술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미술은 서구화가 곧 근대화로 가는 첩경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왔다. 하지만 서양미술과 동양미술이라는 이원적인 범주의 구분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시점이며, 작품상으로도 온전하게 서양미술인 것도 동양미술인 것도 판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적 서양미술의 형성기에 대한 논의를 좀 더 다각화하고 우리미술의 정체성을 보다 주체적으로 규정하기 위해 들뢰즈의 ``차이``의 개념을 통해 우리의 근대미술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한국적 인상주의를 향토적 색채로 형상화한 오지호를 연구함으로써 일본식 인상주의와는 다른 차이를 창조적으로 생성한 근대 한국미술의 성과를 논하고자 한다. 일본과 한국은 들뢰즈(Gilles Deleuze)적 관점에서 보자면 모두 서양에 대한 소수자로서 각자의 근대미술계를 시작하고 있다. 서로 다른 풍토와 역사적 흐름 속에서 서양미술의 자양분을 섭취하였고 각기 다른 차원의 조형성을 생성시킨 개별체로서 중심이 아닌 주변의 차이를 형성해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들뢰즈의 ``차이`` 개념으로 한국의 근대서양미술을 보다 의미 있게 들여다보면서 서양과 일본과도 다른 인상주의의의 지점을 발생시킨 오지호 작가를 보다 주체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미술의 근대 형성기를 일본에 의한 강제적 이식이나 절름발이식 이식이라는 폄하된 평가로 부터 벗어나 서구와 일본미술과도 차이를 생성시킨 적극적인 서구미술 수용기로 이해하고자 한다. 일제시대부터 오지호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근대미술형성기는 창조적인 ``차이``를 생성해내고자 지속적으로 변화의 내재성을 품고 끊임없이 중심으로부터 자발적으로 탈주해나갔던 시기였다. 이러한 자발적인 흐름의 중심에 오지호가 있었고 그는 독자적이고 유일한 존재자로서의 차이를 생성한 한국미술계의 주체였다. Up to now, Korea`s modern art has had many unique critical view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when modernism spread widely in Korea. In the flow of modernization, Korea`s art circles contacted Western art, and its traditional art was also affected from this new trend.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circles in Korea started from artists who came back to Korea after studying in Japan and introducing Western art into their works. Since Go Hui-dong (고희동), who was a first-generation artist who studied abroad and the first Western-style painter in Korea,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has increas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more various Western types of art were accepted, and Korea`s art circles showed more variation. However, the Western art accepted into Korea then was distorted, japanized Western art, and it is usually evaluated as a refracted transplantation. The Western impressionism accepted into Korea as modern art was different from its original critical view, and also different from the Japanized impressionism combined with the climate of Japan. However,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impressionism was creatively changed and produced according to the flow of Korean eras and its regional climate, rather than seeing that Korean modern art was developed as a distorted version of Western art. From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to the present, in Korean art circles, there have been overflowing views that westernization is modernization. However, today, it is thought that the dualistic division between Western and Asian art is no longer valid. And it is also difficult to perfectly distinguish Western and Asian art works. So, this study tries to further diversify the discussion on the developing period of Korea-style Western art and to look over Korea`s modern art circles through a concept of Gilles Deleuze, ``difference,`` in order to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art. In particular, it tries to discuss the results of Korean modern art that creatively produced a different art from Japanized impressionism by examining artist Oh Ji-ho(오지호), who formed a Korean-style impressionism with local colors. In terms of Gilles Deleuze, Korea and Japan each started to develop its own modernism as minors of the West. In each different climate and historical flow, they took in the nutritive elements of Western art and formed not a central art but a peripheral art as an individual country that created a different formativeness. So, this paper evaluates Oh Ji-ho(오지호) in detail, who developed a different impressionism from Japanized impressionism, looking over Korea`s modern art with the concept of Gilles Deleuze, ``difference.`` Through this examination, it tries to understand that Korea`s acceptance of Western impressionism is neither a transplantation forced by Japan nor a lame transplantation, and that the developing period of Korean modern art was a period that actively accepted Western art and made a different impressionism art from Japanese art. The developing period of Korea`s modern art,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o the working period of Oh Ji-ho(오지호), produced a creative difference and willingly escaped from Western art holding the intrinsic value of change. In the center of this voluntary flow, there was Oh Ji-ho(이호지), who was a principal figure in Korea`s art history as a unique artist who produced a different impressionism.

      • KCI등재

        한국, 일본, 중국 근대미술교육의 변화양상 연구

        이성도,김혜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3 No.-

        Modern art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was influenced by the theories of Western art education whose advocators were Europeaneducator such as Jean Jacques Rousseau, Johann Heinrich Pestalozzi, Friedrich Wilhelm August Frobel, Franz Cizek and American educators, Arthur Wesley Dow and John Dewey. In the beginning, several Japanese who studied in America and Europe seized the trends and adapted the theories of Western art education. Their transplanted theories in their homeland were again imported and adapted to Korean modern art education to no small extent. The transplantation and fixation of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along with inflow and development of modern art education in Japan and China greatly influenced to organize and buil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of Korean moder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modern art education as follows. Firstly, we try to find out how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influenced art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Secondly, we briefly investigate Japanese and Chinese modern art education which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Korean art education. We try to re-establish our own desirable art education by inquiring in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art education which was done just by importing foreign education theories. 한국, 중국, 일본의 근대미술교육은 당시 서구 교육사상의 흐름인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치젝 등의 미술교육의 이론과 아더 웨슬리 도우, 존 듀이 등의 미국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개되었다. 1900년 전후 유럽과 미국에서 미술을 전공한 일본유학생들이 당시 서구미술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귀국 후 이를 이식하고 정착시켰다. 그 후 일본에 유학한 한국의 유학생은 우리나라 근대미술교육의 형성에 기여를 하였다. 중국 또한 유럽과 일본에 유학한 미술가나 교육자들은 서구 근대미술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이끌었다. 서구근대미술교육의 이식과 정착 그리고 일본과 중국에서 근대 미술교육의 유입과 전개 등은 한국근대미술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습방법등의 체계를 구조화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서구미술교육이 한국, 중국, 일본 등 미술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전개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직·간접으로 영향이 컸던 일본근대미술교육과 중국근대미술교육을 고찰하면서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외국의 교육이론이 도입되면서 근대 한국미술교육의 형성과정의 검토를 통하여 바람직한 우리 미술교육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통미술 교육의 근대적 양상과 그 의미 - 1900년대 초~1945년 해방이전의 전통회화 교육을 중심으로

        박소영(Soyoung Par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본고는 한국 전통미술 교육을 근대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 전통회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그와 함께 조선시대 도화서 이후로 화가 양성을 담당했던 사설 미술교육 강습소 및 단체들에서 이루어진 교육방식 및 성격을 밝히고자 한 논문이다. 한국 미술교육의 근대화 과정은 식민지기라는 굴절된 역사 속에서 이뤄졌다는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전통미술 교육의 근대적 양상을 고찰하기에 앞서 미술의 근대 개념과 한국미술의 근대시기 설정에 관한 논의를 먼저 살펴보았다. 한국미술에서는 근대시기의 설정 자체가 어려운 문제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에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근대의 시기설정 및 한국미술에서 근대의 의미와 근대적 성격에 관한 연구는 이제 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구자는 근대시기의 전통미술 교육에 관한 연구물들이 미미하다는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조선시대 이후, 전통미술의 명맥을 유지시킨 미술교육의 형태와 교육내용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on diverse aspects of modern tradition art,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private institutes or groups which had been attributed to train painters after the age of Dohwaseo(圖畵署).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had been exposed to distorted history, undergoing colonialization.<BR>  It is shameful that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modernism period. That was because there were several difficulties over establishing modernization period for Korean art history. The upper class of Chosun Dynasty persued the literature, so that they consider painting in the context of calligraphy. The status of painting had been raised gradually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to the end of Empire of Korea, which is call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It was after modernization-that paintings separated from calligraphy.<BR>  Since mid-1990s, researches on establishment of modern period and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ism have been brought to life and is now revealing the achivement of endeavors. These findings showed the arguments on the modernism period and modern aspects in traditional art education.<BR>  Accordingly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 into pattern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at sustained traditional art after Chosun Dynasty.

      • KCI등재

        서양의 미술가들과 일본의 공부미술학교 : 일본 메이지 시대 초기, 미술교육 제도의 수립과정에 관하여

        엄광현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1

        일본의 메이지 정부가 서양의 국가들과 대등한 근대국가 만들기를 위해 내건 근대화 프로젝트의 슬로건은 식산흥업과 부국강병을 통한 서양화와 문명개화의 완성이었다. 이를 위해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근대화 프로젝트는 일본 미술계에도 커다란 변화를 불러온다. 그러한 가운데 메이지 정부가 가장 먼저 손을 댄 사업이 ‘미술교육’에 대한 서양화이었으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하여 메이지 정부가 실현하고자 한 것은 서양의 정통한 미술을 습득하여 국가에 유용한 전문인력을 양성하 는 일이었다. 그 결과 1876년, 일본의 첫 근대적 미술교육기관으로 공부미술학교가 문을 열게 되고, 미술교육의 근대적 개혁을 위해 서양으로부터 미술가를 불러와 서양의 미술을 섭취하고자 하는 신속 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일본의 근대미술은 미술교육의 제도적 개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미술의 근대화 프로젝트를 공부미술학교를 통해 살펴보고 그 서양미술의 이식과정에서 서양의 미술가들이 어떠한 역할을 발휘하였으며, 그들로부터 교육받은 일본의 근대미술가들이 일본 근대미술의 발전과정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었는지를 되짚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 근대미술 연구에 또 다른 지표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Japan's Meiji government plans making modern nation to create a modern state on par with Western nations. And the purpose was the completion of westernization as well as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rough a policy for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and encouragement of new industry. To this end, the modern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Meiji government ha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in the Japanese art world. In the meantime, the first project undertaken by the Meiji government was the westernization of art educ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and through this project the Meiji government intended to acquire authentic Western art and to cultivate beneficial human resources for the country. As a result, Kobu Art School opened in 1876 as the first modern art education institution in Japan. In this school, Western artists are invited to educate authentic Western art, thereby realizing the modern reform of Japanese art. In this sense, Japanese modern art can be said to originate from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art promoted by the Meiji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art education promoted by the Meiji government through Kobu Art School and the role of Western artists in this process. It also aims to review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 artists educated from them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modern art. In doing so,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another index to the study of Korean modern art.

      • KCI등재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과 그 고찰

        이성도(Yi, SungD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우리 근대미술교육을 성찰하고, 우리에게 다가왔던 근 현대미술교육의 실체를 살피면서, 당시의 문제의식을 되짚어 보고 나아가 현대 미술교육에 미친 영향과 내일의 미술교육의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미술교육은 약 백여년 전에 일제를 통하여 비주체적이고 강압적인 상황 속에서 정신과 사상을 배제한채 서구 미술교육의 외형적인 형식과 내용을 수용하였다. 당시 미술교육은 전통과 단절된 실용적, 기능주의 성격을 가진다. 그리고 우리 전통문화에 잠재된 심미적 미의식이나 학습자의 심성을 함양하는 인간교육과는 거리가 멀어져 있으며, 개인의 자의식과 비판적 사고가 배제된 수동적인 교육이었다. 또한 당시 미술교육은 비판 정신과 성찰 부재의 일본화 된 서구의 형식적인 미술교육으로 미술가나 중등교사의 양성기관 부재 속에 당연히 연구의 자생력도 없었다. 근대 백 년 동안 서구로 눈을 돌리는 상습적 오리엔탈리즘이 이때에 생성되었다.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는 서구 지향의 대외의존의 문화․예술․교육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주체적인 시각과 비판적인 정신으로 어제와 오늘의 미술과 그 교육의 성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근대를 바로 본다면 오늘 우리 미술교육의 실체를 보다 명료하게 볼 것이며, 이는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가늠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는 현재 미술교육의 뿌리를 확인하면서 향후 우리 미술교육이 어떤 변화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성찰로서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행보가 있길 기대하는 것이다. The present art education in Korea has been formed as a result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art about 100 years ago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 system. Naturally the Western art and Western art education has become the major trend in Korean art and Korean art education. Even now Korean art and Korean art education are busy with importing the postmodern art and art education in the Western worl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might be able to set a clearer vis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art education. The present art education in Korea has been formed as a result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art about 100 years ago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 system. Naturally the Western art and Western art education has become the major trend in Korean art and Korean art education. Our cultural stratum is composed of three layers: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layers. Present Korean art education is an extension of premodern art education, facing the surge of postmodern art education. The premodern Korean art,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which was not transmitted to the modern Korean art, is enclosed in a layer cut off from the Korean liberal arts. Modern Korean art has rooted itself in an external forms and contents without any cultural philosophy and thoughts in a non-subjective and enforced situation. And the postmodern cultural layer is an extension of various modern cultural trends. For this task, much more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Korean art education is necessary.

      • KCI등재

        미술교육 영역으로서 근대미술의 四層構造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후쿠다 다카마사(福田隆眞),김향미(Hyangmi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6

        현대 미술교육의 내용과 특성을 검토하는 데 있어서 근대 이후 미술계의 동향, 국제화에 따른 자국의 미술 정체성과 전통문화, 미의식 등이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져 왔는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대미술의구조를 시간축과 공간축으로 상정하고 이를 네 가지 층위의 구조로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미술교육의 내용과 성격을 규정짓는 본원적인 배경 및 요인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향후의 미술교육을 조망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을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시아 근대미술의 구조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변천을 중심으로미술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공통항으로 도출된 사층 구조가 한국과 일본의 경우에도적용될 수 있는 바, 근대기 국민국가 형성을 위해 미술교육의 목표에 자국 국민문화의 확립을 포함해 왔으며 이는 향후 정체성과 국제화, 전통과 현대라는 측면에서 민족 고유의 독자성과 상호 공조라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그러한의미에서도 자국과 자민족의 근현대 미술을 구조화하여 미술교육의 주제와 제재를 탐색하는 작업은 향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In reviewing contemporary art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to confirm how the trend of the art world of the country since the modern era, the identity of the art, traditional cultur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country are handled according to internation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modern art as a time axis and a space axis, to identify it as a structure of four layers, to clarify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and to look at art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of Asian modern art was first examined and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hanges of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Korea and Japan have also included the establishment of their national culture in the goal of art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a nation-state in the modern era, which suggests that it 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mutual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dentity in terms of identity, internationalization,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e future. In this sense, the work of structuring the theme and materials of art education by structuring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the country and its own people will be meaningful in seeking future direction.

      • KCI등재

        한국 미술교육의 근대화에 미친 루소와 페스탈로치의 전통

        박정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3

        This paper examine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art education using historic and interpretive methods. Public schooling and art education were introdu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the Japanese. In this paper the modernization of Japanese art education was explored. Because Japanese public schooling itself was made in the context of westernized modernization movement called Meiji restoration in the level of society and n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Japanese art curriculum contents and pedagogy were made by translating western art textbooks. Specifically, the curriculum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Rousseau, who led the modernization of European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nlightenment and Pestalozzi, who implemented sense-impression pedagogy to develop clear idea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perceptive capacities. Because the modernization of Korea art education was achieved by the Japanese who translated Western ideas, Korean art curricula were essentially based on Western ones as well. The phenomena of translating and importing Western culture identify the limit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of Japanese and Korean art education. This could not achieved without first the understanding that Rousseau’s enlightenment enhanced reason through student’s senses using visual materials. Additionally, the importance of Pestalizzian pedagogy being used to develop students’ perceptions by extending and cultivating sense-impressions cannot be underscored.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근대화에 미친 서양 미술교육의 영향을 루소와 페스탈로치 교육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적, 해석학적 연구방법이 활용되었다. 우리나라의 학교교육과 미술교육이 일본의 강점기 동안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먼저 일본 미술교육의 근대화의 과정과 그 특징을 검토하였다. 19세기 말 일본의 학교교육 자체가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서양식 근대화를 배경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의 미술 교육과정은 서양 미술 교재의 번역을 통해 이루어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유럽 미술교육의 근대화를 이끈 18세기의 계몽주의 철학자 루소의 교육관을 계승한 19세기의 페스탈로치 교수학습 방법의 이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국 미술교육의 근대화 또한 서양 미술교육을 도입한 일본인들이 주체가 되면서 이루어졌다. 때문에 한국의 미술 교육과정은 일본인이 수입한 서양의 미술 교육과정을 통해 근대화된 것이다. 이러한 번역과 문화 수입은 서양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내재된 배경적 이해 없이 실행되었다. 따라서 감각을 자극함으로써 이성의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루소의 계몽주의 사상과 감각-인상을 확대시키고 계발하여 관념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는 페스탈로치 교육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배경적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 점이 서양의 미술교육을 수입하여 형성된 일본과 한국의 미술교육의 근대화에 내재된 한계와 특징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후보

        컬렉션, 시장, 취향: 이왕가미술관 일본근대미술컬렉션 재고

        권행가 국립중앙박물관 2015 미술자료 Vol.- No.87

        The creation of an art collection is affected by a number of factors such as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aesthetic value, and art market, etc. Many have pointed to the association of the Modern Japanese art collections of the Yi Royal Family Art Museum with power, imperialism, and colonization. This article aims to reflect on the Modern Japanese Art Collections at the Yi Royal Family Museum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ntemporary art market. Japan tried to establish its first modern art museum in Seokjojeon which is located in Duksu-gung Palace, one of the palaces of Joseon Dynasty. The fundamental reason why Japanese did not exhibit the art works of Joseon but the ones of Japanese artists was to enlighten the colonial Joseon of the sophisticated Japanese modern art. The other reason was that they needed a modern art museum to show their rich cultural heritage of Japan to visitors or foreigners, as there wasn’t any yet until 1940s. However, at the outset, the Museum of Art lacked exhibits to fill its empty walls. Thus, most of the exhibits were lent from Japan to be put on display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and some of them were purchased by the Yi Royal Family Office and Prince Yi Eun himself. However, the influx of modern Japanese art collections into Joseon in such a massive scale was unprecedented. More importantly, an amount equivalent to half of what the Yi Royal Family Museum at Changgyeonggung Palace spent annually to purchase artwork, mainly ancient works of Joseon, was spent on purchasing modern Japanese pieces. This attests to the fact that the House of Yi was focused on expanding the modern Japanese art collections. Therefore, it is an oversimplification to claim that the Modern Japanese art exhibition was designed sole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Joseon art scene. The imported pieces did not just help to stage the Exhibition at Seokjojeon, but they also led to the increase in solo exhibitions of Japanese artists and the sales of their works within Joseon. While some Joseon artists acknowledged that Japanese art could not but occupy the center stage in such a dynamic, others responded by striving to build the identity of Joseon art through delving into the issue of creativity and imitation and studying antique Joseon art pieces exhibited next to modern Japanese art. They also placed a focus on increasing the exhibitions of contemporary artists in Joseon and the sales of their works. In short, the Modern Japanese art exhibition was the epicenter of the struggle of the Joseon art world to survive and to search for its identity through recognizing and defying Japan's influence and finding creativity through imitation throughout the 1930s and 1940s.

      • KCI등재

        한국미술사 정립을 위한 근대미술관 설립의 필요성 - 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병식 ( Choi Byung Si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4 No.-

        在韓國美術史上, 將古代, 近代, 現代和當代在歷史背景下審視和硏究, 就是最基本和自然的歷史觀。然而, 韓國的現實存在諸多局限, 因爲沒有可以看到實際作品的以永久性展覽爲中心的專注于美術史的美術博物館。在現在的狀態下, 美術史硏究人員的硏究成果也很重要。然而除了美術史之外, 以實際東西爲中心的美術館必要性是建立國家身分及其擴散效應也是關鍵問題。在此文描述了美術史的局限性, 以及爲了建立韓國國立近代美術館的必要性, 幷通過國外先進事例, 試圖了‘現場學問’來更提出替代方案。 第二章, 從四個方面總結了韓國現代藝術史的眞正問題, 提到了包括國家級的近代美術館的必要性。以確立國家級的整體性和全球進步的關鍵的作用爲中心。第三章, 論者主要關注歐洲, 美國和日本的重大事例, 幷將範圍限制在公共藝術博物館。就在國外而言, 大多數先進國家以各種形式分爲古代, 近代和現代地區, 幷可以理解它他們已經獲得了專業知識。 第四章, 尤其是作爲本文的核心主題, 着重敍述了建立韓國近代美術館的替代方案。作爲一個代表性的例子, 硏究了日本的情況和中國的戰略, 而可以相互比較。最后尋找了與韓國的比較和另一種選擇。首先考慮包括其歷史特色的永久性展覽的國立近代美術館, 幷提供了國立韓國美術館作爲替代。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