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정시의 극적 재현과 담화양식

        고현철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이 논문은 서정시에서 가능한 극적 재현과 범주를 담화양식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실제 극적 서정시의 예를 들어 점검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극적 독백양식"인데, 특정의 인물인 극적 화자가 시적 청자 없이 발화하거나 특정의 인물인 극적 청자가 아닌 시적 청자에게 발화하는 경우이다. 고정희의 <호세 리잘이 다시 쓰는 시>를 들어 점검하였다. 둘째는 "극적 배역양식"인데, 특정의 인물인 극적 화자가 특정의 인물인 극적 청자에게 발화하는 경우이다. 서정주의 <추천사: 춘향의 말 1>을 들어 점검하였다. 셋째는 "극적 인용양식"인데, 한 화자의 발화이지만 하나의 발화에 직접 인용되는 발화가 겹쳐 이중발화가 되는 경우이다. 김소월의 <먼후일>을 들어 점검하였다. 넷째는 "극적 대화양식"인데, 둘 이상의 화자에 의한 둘 이상의 발화인 대화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이다. 황지우의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 잉게숄 저, 박종서 역 청사청사(靑史) 188면 값 1,900원>을 들어 점검하였다. 다섯째는 "극적 혼합양식"인데, 두 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담화양식적 혼합"은 극적 독백, 극적 배역, 극적 인용, 극적 대화 가운데 둘 이상의 담화양식이 혼합된 경우이다. 황동규의 <악어를 조심하라고?>를 들어 점검하였다. 보다 상위의 장르론에서 혼합양식을 보이는 경우 즉, 서정시가 극적이고 서사(서술)인 혼합양상을 보이는 경우 "장르론적 혼합"이 된다. 임화의 <우리 오빠와 화로>를 들어 점검하였다. 서정시 내에서의 장르론적 혼합을 넘어 이보다 더 상위의 층위에서 장르론적 혼합을 보이는 경우는 서정시의 범위를 넘어선 것이 된다. 극시와 서사시 그리고 이 둘이 혼합된 시가 바로 그것이다. 보다 상위의 층위에서 장르론적 혼합을 살펴보는 일은 본 연구를 넘어선 것이므로 따로 살펴야 할 문제가 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ramatic representation within lyrical poetry,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dramatic discourse forms of lyrical poetr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terms of descriptive generic criticism, any lyrical poems are dramatic.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paper investigates that the dramatic discourse forms of lyrical poetry are five types theoretically, that is, the "dramatic monologue" form, the "dramatic character" form, the "dramatic quotation" form, the "dramatic dialogue" form and the "dramatic mixture" forms. Second, it investigates that the "dramatic monologue" form is the dramatic speaker addresses his speech to the non-dramatic listener, the "dramatic character" form is the dramatic speaker addresses his speech to the dramatic listener, Third, it investigates that the "dramatic quotation" form is the poetic speaker addresses his speech to the poetic listener through the direct quotation within the lyrical poem, the "dramatic dialogue" form consist of the live convers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s alternately, Fourth, the paper argues that the "dramatic mixture" forms are classify the two types, that is, "discourse formal mixture" and "generic mixture". The "discourse formal mixture" is the mixture more than two types among the "dramatic monologue" form, the "dramatic character" form, the "dramatic quotation" form and the "dramatic dialogue" form. Finally, it is claimed that the dramatic representation of lyrical poems are made on the base of five types of dramatic discourse forms practical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modern Korean lyrical poems.

      • KCI등재

        한국시의 극적 재현과 탈식민주의

        고현철 ( Hyun Chul K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시에서 극적 재현의 구체적인 양상을 탈식민주의 전략과 연관되는 재현 방식과 상호관련지어 연구한 것이다. 이 경우 재현은, 저항성이 드러나는 ``대변``에 강조점을 둔 것이다. 현재까지 이런 연구는 전혀 없으므로 본 연구는 선도적인 것으로, 한국시에서 재현과 탈식민주의 문제를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살펴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시에서 ``극적 독백``으로 탈식민주의를 드러내고 있는 대표적인 고정희의 〈호세 리잘이 다시 쓰는 시〉를, 박진성의 시적 전유인 사실적 재현에다가 탈식민화와 폐기의 탈식민주의 전략이 결합한 것으로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둘째, 한국시에서 ``극적 배역``으로 탈식민주의를 드러내고 있는 대표적인 김승희의 〈사랑8-프라이데이가 로빈손 크루소를 만난 날〉을, 패러디인 ``재현의 재현``에다가 되받아쓰기와 전유의 탈식민주의 전략이 결합한 것으로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셋째, 한국시에서 ``극적 인용``으로 탈식민주의를 드러내고 있는 대표적인 이하석의 〈아메리카〉를, 내면 재현에다가 이에 상응하는 내적 되받아쓰기의 탈식민주의 전략이 결합한 것으로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넷째, 한국시에서 ``극적 대화``로 탈식민주의를 드러내고 있는 대표적인 문병란의 〈미국개와 조선똥개의 대화〉를, 박진성의 시적 전유인 사실적 재현에다가 전유와 되받아쓰기의 탈식민주의 전략이 결합한 것으로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한국시에서 재현과 탈식민주의의 문제는 본 연구에서 확장될 수 있다. 보다 확장된 재현 개념과 다양한 방식을 탈식민주의 전략과 연관시키면서 체계화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ramatic representation and cultural strategies of postcolonialism in the Korean poetr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paper investigates that Ko Cheong-Hee`s poem 〈A poem rewritten by Jose Rizal〉based on the \dramatic monologue` rerated with ``mimetic-representation`` among dramatic representation, ``decolonization`` and ``abrogation`` among cultural strategies of postcolonialism. Second it investigates that Kim Sung-Hee` poem 〈Love 8-the day Friday met Robison Crusoe〉based on the ``dramatic character`` rerated with ``representation of representation(parody)`` among dramatic representation, ``write back`` and ``appropriation`` among cultural strategies of postcolonialism. Third, it investigates that Lee Ha-Seok` poem 〈America〉based on the ``dramatic quotation`` rerated with ``inward-representation`` among dramatic representation, ``inward-write back`` among cultural strategies of postcolonialism. Fourth, the paper argues that Moon Byeong-Lan`` poem 〈A dialogue with American dog and Korean dog〉based on the ``dramatic dialogue`` rerated with ``mimeric-reoresentation`` among dramatic representation, ``appropriation`` and ``mimeric-representation`` among dramatic representation, appropriation and ``write back`` among cultural strategies of postcolonialism. In conclusion, it is claimed that the interrer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dramatic representation rerated with types of representation and cultural strategies of postcolonialism in the Korean poetr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 KCI등재

        세르누다의 시에 끼친 엘리엇의 영향

        장재원 ( Chang Jae Wo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4 No.-

        본 논문은 스페인 시인 루이스 세르누다에 끼친 T. S. 엘리엇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세르누다는 스페인의 시적 전통과 초현실주의나 순수시처럼 당시 유럽에 등장한 새로운 문예사조들을 자신의 작품에 잘 용해시켰다. 세르누다에 대한 엘리엇의 영향은 특히 1940년대에 본격화되었으며 그의 후기 시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엘리엇은 그의 시 작품으로 뿐만 아니라 시에 대한 평론과 새로운 문학적 주장들로 유명하다. 본 논문에서는 세르누다에 대한 엘리엇의 영향을 크게 두 가지 양상에서 조명하였다. 첫 번째는 세르누다의 시적 사상과 비평에 대한 관점과 태도에 미친 엘리엇의 영향이며 두 번째는 구체적인 시 작품의 제작에 끼친 엘리엇의 영향으로, 이 두 가지는 이론과 실천처럼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엘리엇의 시에 대한 주장 중 “예술에 있어서 몰개성론”과 “객관적 상관물”, 그리고 “극적 독백”이 세르누다의 시 사상에게 큰 영향을 준다. 세르누다가 엘리엇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엘리엇을 알기전과 후에 세르누다의 시 사상과 창작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그의 초기 시 세계와 후기 시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비교하고 설명하는데 관심을 기울였다. 세르누다의 전기 시에서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은 이성이나 가치관에 종속되지 않고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했지만 지나치게 주관적 감정에 빠지기도 했는데 엘리엇의 시 사상은 그에게 이러한 과도한 주관적 표현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엘리엇이 주장한 시 사상은 시인이 작품을 보다 객관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표현하는 길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세르누다는 엘리엇의 사상을 수용하고 자기방식으로 적용하면서 더욱 성찰적이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르누다 후기 시「라사로」와 「왕좌」에서 엘리엇이 주장한 “극적 독백” 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로 인해 세르누다는 프랑코 시기의 젊은 시인들에게 시에 대한 새로운 표현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기에 젊은 세대는 세르누다를 통해 극적 독백과 엘리엇을 수용하게 된다. 그러한 결과로 세르누다는 영국문학과 스페인 문학, 그리고 전후 세대와 이전 세대를 이어주는 문학적 교두보의 역할을 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works by T. S. Eliot on the Spanish poet Luis Cernuda, who successfully combined poetic traditions of his native land and new literary movements such as the surrealism and pure poetry, which were beginning to emerge in Europe. Cernuda began utilizing elements of Eliot’s poetry in the 1940s, gradually incorporating it to formulate the styles of his poetry during the later years of his life. Eliot is renowned not only for his poetry itself, but also for critiques on others’ poetic verses and offering new literary insights. The current study highlights the effect Eliot had on Cernuda in two different aspects: The first is on how the American poet influenced his Spanish counterpart in developing perspectives and attitudes regarding ideas and critiques of poetry, and the other is on the influence in terms of producing poems. These two perspectives are complementary,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Eliot’s ideas about poetry such as the “impersonality in art,” “the objective correlative,” and “dramatic monologue” are especially critical in formulation of Cernuda’s poetic ideas. Because the fact that Cernuda was altered by Eliot is tied to the changes to the Spanish poet’s poetic ideas and creations before and after he encountered Eliot’s works,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comparing and explicating the difference between Cernuda’s poetic world in his earlier days and later days.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career, Cernuda subscribed to automatism, which enabled him to express ideas and emotions without being bound to reason and conventional values, but at the same time the technique pushed him excessively towards subjective emo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poetic ideas of Eliot suggested a way to escape from such excess of subjective emotions. The American poet argued for employing more objective and diverse perspectives in creating works of poetry, Cernuda accepted and personalized to generate even more insight. Following this trend, the current study delves into the role of Eliot’s “dramatic monologue” in Cernuda’s “Lazaro” and “The King’s Chair.” Trough these attempts, Cernuda presented new methods of expression for young Spanish poets during the reign of Franco, and the young generation accepted dramatic monologue and Eliot through Cernuda. As a result, Cernuda served as a literary bridge between British and Spanish literature, and between pre-war and post-war generations.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연극성

        이승규 ( Lee Seung-gyu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김수영의 청년기에 이루어진 연극 체험은 그의 시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시에 빈번히 나타나는 연극성을 통해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연극 대사와 같은 시적 표현이 극적 긴장을 부여하는 동시에 무대에서 연기가 진행되는 듯한 현장감과 박진감을 촉발하였다. 극적인 대화로서의 고백이 장면화와 이야기화에 기여하면서 시적 독백으로 연동되었다. 그러한 시도가 시적 구조를 중층화하여 의미를 강화하고 울림을 증폭하였다. 시 「전화 이야기」와 「나는 아리조나 카보이야」는 극적 대화를 통해 연극성이 효과적으로 발휘된 작품이다. 또한 전통 연희의 영향을 짐작하게 하는 장면으로 인해 김수영의 연극 체험이 서구의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에서의 독백에서 고백적 목소리가 자기성찰을 넘어 사회비판으로 나아가 역설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사랑의 변주곡」의 웅변적인 독백은 대비와 반전의 드라마로 형상화되어, 삶과 현실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깨달음의 환희가 미래의 신념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김수영 시의 연극성은 그의 시가 갱신되는 특유한 계기로 작동하였다. 형식 실험의 한 방편으로 연극적 표현 방식이 활용되고 극적 발상과 시도가 지속됨으로써 그의 시 영역이 확장되었다. 연극적 표현의 방식이 김수영의 시 창작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처럼, 예술과 시에 대한 그의 지극한 변혁 의지 또한 청년기 연극 활동으로 인한 유산이라 할 수 있다. Kim Soo-young’s theater experience during his youth had a profound influence on his poetic world.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heatricality that frequently appears in his poems. Poetic expressions such as theatrical dialogue give the poetry theatrical tension and spark a sense of presence and excitement as if the action were progressing on stage. The monologue as a dramatic dialogue contributes to the scene and narrative and is linked to a poetic confession. Such an attempt strengthens the meaning and amplifies the poem’s reverberation by creating a layered poetic structure. “The Story of Phone” and “I Am Arizona Cowboy” are works that demonstrate theatricality to the fullest through dialogue.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Kim Soo-young’s theatrical activity is not limited to Western activity due to the scenes that make us guess about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theater. The monologue in “Someday Leaving the Palace” shows a pattern in which the confessional voice goes beyond self-reflection to social criticism and works paradoxically. The eloquent monologue of “Variations of Love” is embodied as a drama of contrast and reversal, extending the joy of enlightenment and new discovery of life and reality to future convictions. The theatricality of Kim Soo-young’s poetry acts as a unique opportunity for his poetry to be renewed. The method of theatrical expression was used as a means of formal experimentation, and dramatic ideas and attempts continue to expand his poetry. Just as the method of theatrical expression had a certain influence on Kim Soo-young’s creation of poetry, his willingness to transform art and poetry can also be said to be a legacy of the dramatic activities of his youth.

      • KCI등재

        서사민요와 대중가요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남녀 간 연애를 주제로 한 노래를 중심으로-

        이정아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pic folksongs and popular songs, which were respectively enjoyed in traditional society and industrial society,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attitude of the receivers toward dating, which is one of universal human needs.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speaking patterns of the lyrics in several selected epic folksongs and popular songs of the 1960s and the 1970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ds of the songs, a variety of speaking patterns appeared in the epic folksongs such as narration of the narrator, dramatic monologue or dramatic dialogue, which showed that there were direct or indirect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s. In contrast, there was no two-way communication in the popular song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narration of the narrator, monologue of the narrator or monologue of the first-person narrator. The speaking patterns of the epic folksongs were open, which implies that utterance by others was allowed at anytime. On the contrary, those of the popular songs were closed, which denoted that utterance by others wasn’t allowed.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at there would be another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dating. The epic folksongs dealt with physical desire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woman in a positive manner, whereas the popular songs of the 1960s and 1970s passively described longing for someone whom the writer couldn’t be with or sorrow about that. Despite the open structure of the epic folksongs, however, the folksongs looked at the dating situations, which they described, at a distance. On the contrary, the popular songs had a closed structure and dealt with the dating situations in an emotionally attached manner. The closedness of the epic folksongs was guaranteed by being enjoyed only by some people, but the popular songs were distributed through massmedia. It was possible for the epic folksongs to take an active and open attitude toward dating due to the closedness of the songs and the solidarity of the people who enjoyed the songs, and the passive attitude of the popular songs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y were freely distributed through massmedia such as radio or TV.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nd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in more detail, more intensive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이 연구는 전통사회와 산업화사회에서 불린 서사민요와 대중가요를 통해 향유층(수용자층)이 인류 보편의 욕망인 연애에 관하여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를 구명하기 위해 시도한 선행 작업이다. 이를 위해 서사민요와 1960~70년대 대중가요 가운데 대중에게 널리 불리고 사랑받았던 노래 중 최소한의 이야기성을 담보하면서 연애 상황을 담아낸 노래를 선택하여 이들 노랫말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을 살펴보았다. 대상 자료를 살펴본 결과 서사민요는 서사적 서술, 극적 독백, 극적 대화 등 다양한 말하기를 통해 등장인물 간 소통을 지향하는 반면 대중가요는 서사적 독백과 일인칭 화자 독백 등을 통해 일방적 말하기를 하고 있으며 소통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서사민요의 노랫말은 언제든지 다른 발화가 개입할 수 있는 개방성을 띠는 반면 대중가요는 다른 발화의 개입이 용인되지 않는 폐쇄성을 띤다. 이러한 차이는 연애에 대한 태도와 그 차이를 유추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현재의 육체적 욕망과 남녀 간 직접적 소통을 긍정하는 서사민요와는 달리 1960-70년대 대중가요는 일방적인 말하기를 통해 현재 나와 함께 할 수 없는 상대방에 대한 그리움과 아쉬움의 정서를 중심으로 소극적 자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사민요에 나타난 개방적 구조는 향유자들에게 열려있지만 노래 속 연애 상황에 대해서는 일정한 거리를 취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대중가요에 나타난 폐쇄적 구조는 연애 상황에 대해 정서적으로 밀착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향유자 간 소통을 통해 비밀과 폐쇄성이 보장받았던 서사민요와 달리 대중가요는 대중매체를 통해 생산, 유통되었다. 민중이 향유했던 연애에 대한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는 향유층의 결속력과 폐쇄성이 보장한 것이고 대중가요에서 발견되는 소극적 태도는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공개적으로 유통된 데 그 원인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입증하기 위해 향유층의 경험을 근거로 보다 정밀하고도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브라우닝의 극적 독백

        유선무(Son-Moo Ryu)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2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16 No.1

        This paper aims to trace the particular ways in which Robert Browning engages the ethical and political challenges of the Victorian period, an age in rupture. The critique of subjectivity is one of the great motifs of Browning, who refutes the belief that the essence of the human is interior to the individual, whether called by religiously inflected names such as soul, and spirit or philosophically oriented terms such as self and mind. Strategically employing the form of dramatic monologue, Browning puts this interiorized subject on trial, problematizing the truth claims and sincerity of human consciousness. He focuses on the way this interiorization privileges the masculine and the figurative, which erases, even murders the feminine and the corporeal. In opposition to the sterile and violent subject as consciousness, Browning locates the free-floating desire and corporeality of embodied subject,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self and the other, culture and nature, and mind and body. The rebellion of the body, however, cannot lead to the creation of a new social space and ethics. The body and the desire produced by it are already materially supported by society they are born into so that corporeal subjectivity is always in danger of being sexualized and displayed for the pleasure legitimized in the very society.

      • KCI등재

        T. S.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와 셰익스피어의 햄릿: “자기와의 대화” 에 나타난 극적 독백

        황인경 한국T.S.엘리엇학회 2023 T.S. 엘리엇 연구 Vol.33 No.1

        프루프록은 자신을 햄릿과 비교하고 그의 중요성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아니오! 나는 햄릿 왕자가 아니다”) 그리고 평소의 자기 비하로 돌아가 자기 말을 통해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주인공이 아니라 연극의 작은 캐릭터가 되어 독백에 충실하였다. 이처럼 햄릿과 프루프록은 각각의 자아에 대한 책임을 묻고 극을 시처럼 전개하고 시를 극처럼 전개하면서 자기와의 대화를 꾀한다. 자기에게 충실한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자기 지향주의의 정체를 알리는 햄릿의 혼잣말과 프루프록의 자아와의 대화는 이어지고, 스스로 자기의 개성을 드러내지 않는 사색과 생각에 잠기는 듯한 유념유상의 자기 지향주의의 몰개성화된 분열된 자아를 보인다. 이처럼 대화 속에 발현된 혼잣말의 목소리는 셰익스피어의 햄릿의 자아상을 형성하는 언어적 텍스트로 만들어진 극적 독백이다. 전통과 개성을 살리는 자기와의 대화이지만, 결국 이런 대화는 그 무엇보다도 강력한 이미지로 남겨진다.

      • KCI등재

        대화시에서 극적 독백으로 : 브라우닝의 『폴린』

        조희정 ( Cho¸ Hee Jeo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8 영어권문화연구 Vol.11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Browning's generic experimentation taking place in Pauline. Although the poem has been entertaining relatively low critical attention due to its incoherence, it merits close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generic development that transforms a conversation poem into a dramatic monologue. Browning’s Pauline resembles the conversation poem in that its speaker focuses on his own mental movement and invokes a female auditor in order to confess his feelings and thoughts. Yet, the speaker, who clearly shows the tendency toward self-supremacy in the beginning, increasingly realizes his own limit in connecting with the outer world. The speaker’s clear self-consciousness inserted later into the text renders the poem “double-voiced.” In addition, through the footnote added by Pauline in the middle of the text, the poem reveals a striking discrepancy between the speaker’s utterance and the female auditor’s reaction. Pauline in this poem does not function merely as a silent, passive recipient of the speaker’s monologue; rather, she becomes a reader and a critic, who possesses the potential to dialogize the poetic text. Pauline displays its author’s ambivalent view of Romanic poethood as well as the inherited poetic form. Diverging from the generic features of the conversation poem, it foreshadows the emergence of the dramatic monologue in Browning's later poetry.

      • KCI등재

        브라우닝 극적 독백시의 정치성

        김철수(Chul-Soo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12 영미어문학 Vol.- No.105

        Browning’s dramatic monologue as an objective form has its root in the despair of the political liberal who has lost his belief in his mentor Shelley’s romantic ideology. However, the very sense of loss, paradoxically, drives him to find out the harder, safer, and more reliable lyric form that could be a model for the later modernist poets. Emerging as parodies of Mill’s aesthetics and politics, Browning’s Porphyria’s Lover”constitute a running dialogue with Mill’s ideas. This monologue narrates a fictional episode in which a sexual murder takes place. Alone with a lover, the cold and greedy violence of this monologue establishes a privacy in which the public world disappears. Taking the sexuality as a test case, this monologue parodies Mill’s closet poetics. Browning’s objective form both as a cultural critique of the poetics of exclusion and as a construct of the authoring self comes to its summit with “My Last Duchess.” Presenting the marriage agent as the auditor, this monologue is consisted of the manifold readings, and the complex act of readings can be the ground of the dialogue between the private self and the world. If a direct, working-class-based political poetry was closed to Browning by virtue of his middle-class status, he could write poetry which became cultural critique by presenting and dramatizing a politics of poetics.

      • KCI등재

        Robert Browning의 극적 독백과 W. B. Yeats의 마스크 이론

        정신우 한국예이츠학회 2004 한국예이츠 저널 Vol.22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obert Browning's dramatic monologue and W. B. Yeats's mask theory. Even though two poets were not contemporaries,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y show some similarities in poetic skills and subjects. Unlike Romantics revealing a poet's subjective feeling directly in their poems, Robert Browning created the dramatic monologue to develop the field of the objective expression. In his “dramatic monologue,” a character instead of the poet utters the speech that makes up the whole of the poem, in a specific situation at a critical moment. This person addresses and interacts with other people and we know of his presence, as well as what they say and do, only from the clues in the discourse of the single speaker. In his “My Last Duchess” the Duke is negotiating with an emissary for a second marriage, and the reader can know the speaker's cruel character and intentions. In his “Andrea Del Sarto,” though Andrea was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in the Renaissance period, he was a failure as an artist because of his artistic passion and indomitable spirit. Excusing his artistic frustration, he once more tries to believe his wife's lies. When Yeats entered art school in Dublin in 1884, he was an enthusiastic reader of English poetry, especially Browning. Yeats was an admiring reader of Browning's poetry, and Browning was one of the nineteenth-century forefather poets of Yeats. He explored, as Browning did, the themes of creative men divided within themselves and struggling to unify their inspirations toward love and intellect, aesthetic contemplation and heroic action. In this process, Yeats developed the concept of masks from the other self in contrast to the natural self perceiving a man as the conflicting existence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 his doctrine of mask, Yeats provided a formal aesthetic for the poet's need to speak dramatically through the masks of other personalities; Browning had long practised dramatic poetry in principle in which he donned the masks of personalities totally unlike his own. Browning tended to hide his interests behind the masks of his characters, whereas Yeats more openly voiced a variety of mystical and antithetical thoughts. Yeats happened to find an occasional, almost incidental similarity of language and a shared attitude toward the sources of poetic inspiration with Browning's. By 1929, when he was sixty-four years old, rewriting and revising his poetry with an eye to a collected edition, he announced that he would be turned from Browning. Yeats was an appreciative reader of the older poet, but the great achievement of Yeats's poetry transformed and transcended the influence of Brow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