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길선주 목사의 『해타론』(1904)과 『만사성취』(1916)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실천적 삶

        안수강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본 연구는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초기 저서들로서 『해타론(懈惰論)』(1904)과 『만사성취(만셩)』(1916)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실천적 삶과 현재적 함의를 고 찰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자는 그의 논증에 나타난 핵심적인 사상들과 논 지들을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길선주의 ‘그리스도인의 소명의식’ 논지에 기초하여 소명의식의 가치, 현세에 서 감당해야 할 책무들, ‘천직(天職)’이 갖는 함축적인 의미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둘째, 길선주의 ‘영적 전투로서의 그리스도인의 삶’ 논지에 기초하여 그리스도인의 지상 생애, 다채로운 질곡(桎梏)으로 점철된 험난한 인생, 환란 체험, ‘이미타티오 크 리스티(그리스도를 본받음)’의 주제 등에 주안점을 두어 분석했다. 셋째, 길선주의 ‘지상 생애와 내세의 일원화’ 논지에 기초하여 그리스도인이 지상에 서 감내해야 할 고난, 현세와 내세 양자 간의 상호 연속성, 작은 천국으로서의 그리스 도인의 지상 생애 등에 초점을 맞추어 조명했다. 넷째, 길선주의 ‘마음 내면의 개혁’ 논지에 기초하여 동기론적(動機論的) 윤리관, 고 질적인 부패행태(음란, 방탕, 술 취함, 속된 잔치, 허사를 생각하는 일, 시기, 원망, 허 욕, 쟁투)를 척결할 일, 그리스도의 형상 회복 등에 역점을 두어 천착했다. 다섯째, 길선주의 ‘민족복음화’ 논지에 기초하여 한반도 복음화, 인가귀도(人家歸道, 온 가정 복음화), 현세와 내세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삶, 영원한 복락 등을 살폈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practical Christian life and its present implications, focusing on Rev. Seon-Ju Gil’s early books Hetaron(1904) and Mansaseongchwi(1916). I considered the important thoughts and points revealed in his arguments as follows. First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hristian sense of calling’, I analyzed the value of calling, responsibilities to bear in this world, the connotative meaning of ‘vocation’, and so on. Second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Christian life as a spiritual battle’, I focused on the Christian life on the earth, the rough life based on various sufferings, the experience of hardship, the theme of ‘imitatio Christi’, and so on. Third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unification of earthly life and the afterlife’, I studied the sufferings of Christians on the earth, mutual continuity of the present and the afterlife, Christian life on the earth as a small paradise, and so on. Fourth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reformation of heart’, I examined motivative ethics, the elimination of chronic corruption(obscenity, profligacy, drunkenness, secular feast, futile idea, envy, resentment, vain greed, competition), the recovery of image of Christ, and so on. Fifth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national evangelization’, I considered the evange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vangelization of the family, Christian life in the present and the afterlife, eternal happiness, and so on.

      • KCI등재

        The Belgic Confession을 통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안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Guido de Bres의 The Belgic Confession과 Clarence Bouwman의 해설서를 중심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The Belgic Confession은 로마 제국과 로마 가톨릭의 박해 가운데서 자신들이 믿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를 공개적으로 알리고, 순교를 각오하며 종말을 준비한 신앙고백서이다. 당시 The Low Countries에 살고 있던 신자들은 행한 대로 심판을 받게 될 것과 비밀과 위선도 드러나게 될 것을 믿었다. 또한 심판의 날에 참된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완전한 구원이 성취되고, 행함에 따른 열매를 보게 되며, 대적하고 박해하던 불경건하고 사악한 자들이 공정하게 심판 받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The Belgic Confession은 현대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구원받은 백성들이 이 땅에서 어떻게 신앙생활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교훈을 주고 있다. 현대 교회는 자본주의에 익숙하여 성장주의, 외형주의, 기복신앙 등으로 인하여 성경에 대한 바른 해석과 가르침 보다는 인간 중심으로 전락해 가고 있다. 교회가 세상의 소금과 빛이 아니라 세상 문화를 적극 도입하여 향락을 추구하여 참된 그리스도인과 영적인 열매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The Belgic Confession은 영적 성숙을 추구하지 않거나, 경건을 추구하지 않는 명목상 그리스도인들에게 참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게 하는 신앙고백서라고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37조로 구성된 de Bres의 The Belgic Confession 가운데 24조, 26조, 27조, 28조, 29조, 32조와 Clarence Bouwman의 해설을 중심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21세기 교회가 성숙해지고,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삶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표지가 드러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심판의 날에 완전한 구원의 반열에 설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ue meanings in Christian life referring to the Belgic Confession by Guido de Bres, and articles about the doctrinal standards by Clarence Bouwman and suggest the practicing methods. The Belgic Confession is a written confession of faith by Christians, encountering an oppression from Rome and Roman Catholicism, to publically announce what they believe resolving a martyrdom. The Christians at the time, living in the Low Countries, believed that the judgment would be made on what is done and the secrets and hypocrisy will be exposed. They also believed that the complete salvation would be achieved for Christians who will gain the fruits of good acts seeing the evils and blasphemers be judged impartially. The Belgic Confession provides the morals to modern Christians how the saved ones should live in the temporal world. The modern church degenerated, influenced by capitalism focused on economic growth, externality, and the faith for blessing, centered in the human matters rather than the authentic interpretation and teachings. In the time the church enjoys and is focused on the human matters rather than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the spiritual fruits are rare to find. In this sense, the Belgic Confession is what makes nominal Christians who do not pursue devotion to be the true Christian. This study analyzes article 24, 26, 27, 28, 29, and 32 among the 37 articles of the Belgic Confession by de Bres and Clarence Bouwman’s interpretation to seek what is the life of true Christians, and suggests practicing methods. Through the practice, churches of the 21st century can achieve the spiritual growth, and modern Christians could present signs of Christians in life so they could attribute glory to the God and achieve the complete salvation.

      • KCI등재

        춘계 이종성이 말하는 통전적인 기독교인의 삶

        김선권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0 No.-

        Lee Jong-Sung poursuit la théologie “holistique”. Il souhaite de la même manière la vie holistique du chrétien. Toute sa théologie se fonde sur l'anthropologie. À partir de celle-ci, elle s'étend jusqu'à toute la théologie systématique. Pour la raison que la compréhension à propos de l'être humain soit biblique et s'en appuie sur le quadruple état, son anthropologie peut dire être théologique: l'état d'intégrité, l'état de corruption, l'état de grâce, l'état de gloire. C'est sur ce fait qu'il affirme la vie chrétienne. Avant tout, la foi s'unit à la vie chrétienne. Les chrétiens sont à vivre la “vie croyante”. La vie chrétienne mûrit dans la simultanéité de la justification et de la sanctification. La justification n'est pas séparable de la sanctification. Le chrétien ne détache pas dichotomiquement l'Église du monde: il fait prévaloir la vie dans ce monde. La mission de l'Église se trouve pour le monde. Ce monde en devient mieux par l'activité missionnaire. Bien que Lee Jong-Sung soit contre la dichotomie (le sacré et le profane), pour lui l'Église était encore une communauté idéale. Le croyant vit jusqu'à son terme de la vie en recevant l'aide de l'Église, qui est la mère des chrétiens. Il vit actuellement sous l'horizon eschatologique. Lee Jong-Sung traite sotélioliquement, ecclésiastiquement, eschatologiquement etc... à savoir holistiquement de la vie chrétienne. 춘계 이종성(春溪 李鐘聲, 1922-2011)은 통전적 신학을 추구했다. 그의 신학이 통전적인 것처럼, 그가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삶 역시 통전적이다. 그의 전체 신학은 인간학에 근거한다. 신학적 인간학을 단초로 해서 조직신학 대계로 확대시킨다. 그의 인간학이 신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성서적이고 전통 신학에서주장하는 인간의 4중 상태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을 이상적 존재로서의 인간, 전적으로 타락된 인간, 중생된 인간, 완성된 인간으로 4중 상태로 접근한다. 이러한 신학적 입장에 근거해서 그는그리스도인의 삶을 주장한다. 이종성은 그리스도인의 삶을 말하면서 신앙과 삶을 통전적으로 결합시킨다. 신앙이 개인과 공동체의 삶과 유리되어 존재할 수 없으며그리스도인은 “신앙적 삶”을 살아야 한다. 하나님, 타자, 자기 자신과의 관계 안에서 관계의 통전성을 가진다.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성장한다. 칭의와 성화는 분리될 수 없다. 값없이 의롭게 된 중생한 자들은 성화의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스도인은 교회를 성으로, 세상을 속으로 즉 이분법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세상과 사회 안에서의 삶 역시 중시한다. 교회는 세상을향하여 선교를 해야 하며, 세상은 교회의 선교를 받아 더 나은 세상이 된다. 이종성이 성속의 이분법적 구별을 반대했을지라도 그에게서 교회는여전히 이상적 사회(공동체)였다. 신자는 천국에 이를 때까지 어머니로서의 교회의 도움을 받으며 산다. 기독교인은 종말론적 지평 아래에서 현재의 삶을 산다. 현재를 살면서 미래를 살고, 현재 안에는미래가 약동한다. 종말의 지평 아래서 현재의 순간을 사는 것은 장차하늘나라에서 가질 복락을 이곳에서 미리 맛보는 삶이다. 이종성은그리스도인의 삶을 단편적 혹은 파편적으로 다루지 않고, 구원론적, 교회론적, 종말론적으로 즉 통전적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로마서 7:14-25절과 그리스도인의 현재적 삶

        김현광 ( Hyun Gwang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1 No.-

        로마서 7:14-25는 신약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많은 신약학자들은 바울이 이 구절에서 그리스도인이 되기 이전의 경험을 묘사한다고 주장하고 또 다른 많은 학자들은 그리스도인의 경험을 묘사한다고 설명하거나, 바울이 율법아래 있는 유대인, 아담 안에 있는 인간을 묘사한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 지지하는 입장은 바울이 로마서 7:14-25에서 자신의 경험을 통해 그리스도인의 경험을 묘사한다는 것이다. 이 구절의 ``나``를 로마서의 발신자인 그리스도인 바울로 보는 것은 가장 자연스러운 독법이며 로마서의 다른 부분에서도 바울은 ``나``를 통해 자신을 지칭하고 있다. 이외에도 로마서에서의 일인칭 사용, ``우리-나-너-우리``의 전환, 현재 직설법 시제로의 전환, 율법과 이방인, ``이미 그러나 아직 아니`` 개념, 아담과 그리스도의 시대, 7장과 8장의 관계 등을 고찰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의 설교자들이 로마서 7:14-25를 그리스도인의 경험이라는 관점에서 설교하는 데 주저할 필요가 없음을 밝힌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율법을 지키지 못하는 자신의 무능력을 고백하지만 그것이 끝이 아니다. 그는 그리스도 안에서 결코 정죄함이 없음을 확신하며(8:1) 성도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의 능력을 의지할 때 하나님의 뜻을 따를 수 있도록 성령이 도우신다는 것을 믿는다. 그러므로 바울은 7:25에서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한다고 말한다. Romans 7:14-25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passages in the New Testament. Numerous significant New Testament scholars have argued that Paul describes pre-Christian experience in this passage. Many other scholars, however, have suggested that Paul describes Christian experience here. The position supported in this article is that Paul depicts Christian experience in Romans 7:14-25 using his own experience. It is most natural to see "I" in this passage as Paul, the Christian sender of Romans. In Romans when Paul uses "I," it refers to Paul himself. Some other evidences can be presented for this position: the shift from "we" to "I" in 7:14 implies that Paul includes Roman Christians in "I"; The shift to the present tense in 7:14-25 signifies that Paul describes his current experience; Paul considers Gentile Christians to be under the Law; the tension between mind and flesh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he ``already-but not yet``; Paul and Christians exist between the two epoches of Adam and Christ in reality despite their having been released from sin and Law; 7:14-25 anticipates Christian victory in Romans 8. In conclusion this article encourages Korean preachers to preach Romans 7:14-25 in terms of Christian experience. Paul confesses his inability to keep the law in this passage. However, that is not the end of the story. He believes that he will not be condemned for his failure since he is in Christ Jesus (8:1). The Holy Spirit helps Christians follow the will of God when they rely o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Christ. So, Paul says "thanks be to God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in 7:25.

      • KCI등재

        일제 문화정치 초엽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성화관(聖化觀) 분석

        안수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본 연구는 일제 문화정치 초엽 1922년에 발행된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성화관(聖化觀)을 분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성화는 영혼 안에서의 신적인 사역이며, 이 사역에 의하여 성스러운 성품이 강화되고 거룩한 훈련을 촉진한다. 본 연구자는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성화관에 부각된 핵심적인 담론을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원익상의 “사람의 本位”와 이기풍의 “新造의 人” 등을 중심으로 구원과 성화의 상호 유기적인 관련성을 인과관계의 관점에서 살폈고, 심정설(心情說)과 동기론적 윤리관에 단초를 둔 그리스도인의 회개를 다루었다. 둘째, 한석원의 “責任의 自覺”, 김창준의 “最大의 模範”, 김필수의 “球上無比의 紀念”, 유경상의 “正義의 力” 등을 중심으로 그리스도인의 청지기 정신, 이웃을 향한 이타적 사랑, 정의구현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했다. 셋째, 논지의 주안점을 기독교 성화의 실천적 함의에두어 맘몬이즘 타파, 성적 타락과 퇴폐문화 일소, 금주금연에 대하여 살폈으며 강규찬의 “愛의 讚頌”, 강두송의 “婦人問題”, 박동완의 “至誠一貫”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view of Christian sanctification in Jonggyogyeoi Jemyeongsa Gangyeonjip(1922) in the early era of Japanese cultural policy. Sanctification consists in a divine operation in the spirit, whereby the holy disposition is strengthened and its holy exercises are increased. I considered the prominent discourses on the Christian sanctification in this book as follows. Firstly, I treated with the organ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ause and effect and Christian repentance on the basis of heart-warming theory and motivative ethics, focusing on Ik-Sang Won’s “Human Responsibility” and Gi-Pung Lee’s “New Man”, and so on. Secondly, I concentrated on Christian stewardship, altruistic love for neighbours, achieving justice, focusing on Seok-Won Han’s “Self-Awareness of Responsibility”, Chang-Jun Kim’s “The Greatest Model”, Pil-Su Kim’s “The Greatest Commemoration”, Gyeong-Sang Yu’s “Power of Justice”, and so forth. Thirdly, I centered the point on practical implication of Christian sanctification such as destruction of mammonism, elimination of sexual sins and rotten culture, anti-drinking and anti-smoking, focusing on Gyu-Chan Kang’s “Praise of Love”, Du-Song Kang’s “Women’s Issue”, Dong-Wan Park’s “Consistent Sincerity”.

      • KCI등재

        존 칼빈의 개혁교리를 통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리

        손수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The significance of John Calvin's theological contributions for Reformed doctrines has been proven through the theological reflections of many theologians over 500 years after Calvin's death. However, despite the theological and practical excellence of Calvin's theological thoughts for Reformed doctrines, some concerns are being raised due to the originality of Calvin's doctrine in which relates to Christian life is being seriously downplayed in modern times. The theological principles of Calvin for Reformed Doctrines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Roman Catholic Church's ecclesiastical or church political dogma. In addition, there are vivid difference between Calvin’s Reformed doctrines and the 'cognitive' doctrin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doctrinalism (conservative doctrinalism) as well as the 'empirical expressionism' theory of liberal theology. Calvin's doctrinal understandings for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is based on the gospel of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in the Bible which is centered on God's salvation. Ultimately, it aims to help a believer who is the member of church to maintain and grow one’s faith and quality of life along with the mission for the Church’s reformation. For solid Christians, constructive practice through the divine doctrines of God is not an option, but a sacred duty as well as a response to the new life given through the redemptive work of Christ. For Calvin, the ultimate goal of church reformation is not the external growth of the church. The real value of Calvin's Reformed Doctrine lies in the sincere question of the way to live as a true Christian through the truth of God and providing appropriate answers. 개혁주의 신학연구에 있어서, 존 칼빈의 교리가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은 칼빈 사후 500 여 년간 신학자들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칼빈 교리의 신학적, 실천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들어서 그리스도인의 삶과 관련해 칼빈의 교리가 갖는 그 본래성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칼빈 교리의 신학 원리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권주의 또는, 교회 정치적 교의학과는 분명한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전통적 교리주의(보수적 교리주의)의 ‘인지적’(cognitive) 교리 이해와 자유주의 신학의 ‘경험적 표현주의’(empirical expressionism) 이론과도 격을 달리하고 있다. 교회개혁을 주창한 칼빈의 교리는 하나님의 구원을 중심으로 한 성경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계시의 복음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교회개혁이라는 대의와 함께 교회의 구성원이 되는 신자 개인의 신앙과 삶의 질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올바른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거룩한 교리에 대한 삶으로의 실천은 선택이 아닌 그리스도의 구속의 사랑에 빚진 자로서의 거룩한 책무요 응답인 것이다. 칼빈의 교회개혁은 교회의 외적 부흥에 있지 않다. 하나님의 진리를 통해 과연 우리가 어떻게 세상 속에서 올바른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것인가? 에 대한 물음과 그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칼빈의 교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 마르틴 루터의 삼대 논문

        이후정(Hoo-Jung Lee)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7 No.-

        본 논문은 한국의 개신교회가 종교개혁 5백주년을 맞이하면서 그 의미를 재발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루터의 종교개혁의 위대한 정신과 원리를 재발견하고 회복하려는 요구를 전제로 한다. 진실로 루터는 복음을 재발견하였고, 참 교회의 비전을 다시 찾은 위대한 개혁자이다. 이러한 종교개혁 신학의 대 원리가 그의 삼대 논문에서 해명된 것이다. 첫 번째 논문에서 루터는 그리스도인 군주, 귀족, 평신도들 전체에게 호소하면서, 영적인 영역을 구분하여 세상 권위를 지배하는 부패하고 타락한 교황권에 대해 개혁은 평신도들에 의해 주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인사제직설에 의하면 모든 신자는 영적 권위를 가지며, 사제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오직 의존하고 권위를 두어야 한다. 둘째 논문에서 루터는 로마교회가 자유를 박탈당하고 성례전의 오용에 의해 사로잡힌 포수 상황에 처했음을 개탄한다. 루터는 성례전을 성찬, 세례, 참회에 국한하여 논의하면서, 그 본질은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과 신자의 신앙에 있다고 선포한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새 사람됨과 중생에 있으며, 외적 행위가 아니라 십자가의 회개가 중요한 것이다. 셋째 논문은 이어서 그리스도인의 참된 자유에 대한 메시지를 다룬다. 루터는 그리스도인이 자유와 섬김의 이중 정체성을 모르기 때문에 계속 행위와 의식적인 성례전, 미신적인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밝혔다. 그 자유는 외적인 조건과 상황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영적인 자유, 내면과 마음 깊이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선사받는 구원의 기쁨이다. 루터는 신앙이 그 핵심이며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에 따라 자유, 신자의 존엄성, 특권이 허락됨을 주장한다. 독특하게 신자는 서로에게 하나의 그리스도가 된다는 자발적인 사랑의 섬김을 설명한다. 육체에 거하는 이생의 삶에서 어떻게 육욕을 정화하며 극기와 절제로써 자기를 복종시켜 하나님과 이웃을 기쁘게 사랑으로 섬길 수 있을까에 주목한다. 유명한 비유인 선한 열매가 선한 나무에서만 나온다는 행위의 윤리적 원리가 천명된다. This essay aims at elucidating what Martin Luther proclaimed regard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is Reformation theology. In his Three Treatises , he tried to rediscover the gospel, the vision of true church, and the Christian life based on real freedom. First, Luther claimed that the reform of the church be carried out by lay people. In this, he deni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oman church. Also he dealt with the wide spectrum of reform projects. Second, Luther compared the corruption and distortion of the church with the Babylonian captivity. Attacking upon misused sacramental system, he reinterpreted the tru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baptism, and penance. Especially, his emphasis was laid on the Word of God and His promise which should be accepted by faith alone. Third, Luther’s description of Christian freedom and the life of faith and love. This freedom only comes from conscience and divine salvation by grace. And resulting life of Christians is composed of joyful faith and serving love toward neighbors. Luther showed that voluntary love is worked by faith, which includes the self-disciplined life made possible by crucifixion of sinful desires and endurance of suffering and trial in the world. If we recapture these messages of the Reformation, our churches will be reformed and renewed according to the original patterns of the early church, rebuilding their true identity upon the firm stronghold of the Gospel.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바울 이해에 대한 비교 연구

        천세종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mparatively the writings of Arthur T. Pierson and KyungChik Han by focusing on Paul’s lfie and theology. The study examines their presentations of Paul’s identity and message, the function of Christ’s resurrection, and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s such as “in Christ” and “new creature” in 2 Corinthians 5:17. Pierson who has a passion for world mission highlights on Pausl’ role as an evangelist. In Pierson’s opinion, Paul has become a partner of God by participating in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KyungChik Han who was a senior pastor of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has paid a special attention to Paul’s life and message instead of his theological issues. Han thinks that Paul had a particular goal in his mind: to live as “a genuine C hristian.” Han regards Paul as a role model for modern Christians and church leaders. About the resurrection of Christ, Pierson believes that the resurrection has become a proof of the incarnation, a foundation of justification of the believers, and a basis for world mission. According to Han, the resurrection is a theological affair that guarantees the believers a future resurrection. At the same time, it is a socio-cultural event that brings a victory to life over death, truth over falsehood, love over hatred, and justice over injustice. For Pierson the expression, “in Christ” is an essential theological concept in understanding Paul’s thought. By being in Christ a believer experiences being separated from the old realm and entering inot a new domain of existence and life. While Pierson emphasizes a theological aspect of the phrase, “in Christ,” Han accentuates Paul’s expression, “new creature.” Han explains his congregations the meaning of the arrival of a new generation. He wants them to be prepared for the new era by becoming a new person in Christ. As a senior pastor of a mega-church Han underscores a communal aspect of Paul’s theology and a socio-cultural value of it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being a new person and a new society. 본 논문의 목적은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바울에 대한 이해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피어선과 한경직의 설교와 저술들을 살펴보면서 바울의 정체성과 삶에 대한 이해, 부활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와 “새로운 피조물”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피어선과 한경직이 가지고 있는관점과 삶의 자리가 바울 이해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관심 있게 살펴본다. 세계 선교에 지대한 관심과 열정을 가졌던 피어선은 복음 전도자로서의 바울의 삶을 강조하면서, 세계 선교에 동참하는 것이 하나님의 동역자로 살아가는길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평생 교회 담임목회자였던 한경직은 바울의 신학적측면보다는 신앙인으로서의 바울의 삶과 메시지에 관심을 집중한다. 한경직은바울이 가졌던 삶의 목표가 “그리스도인다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었다고 설명하면서, 바울을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이 본받아야 할 모범으로 제시한다. 피어선은 기독교의 가장 근원적인 두 가지의 기적을 성육신과 부활로 이야기 하면서, 부활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전개한다. 피어선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성육신의 증거가 되고, 죄인을 의롭다고 인정하시는 칭의의 기초가 되며, 세계 선교의 근거가 된다고 주장한다. 한경직에 있어 그리스도의 부활은 믿는 자들의 미래적 부활을 보증하는 신학적인 사건인 동시에 “생명, 진리, 사랑, 정의”가 승리하는사회·문화적인 사건으로 이해된다. 바울이 사용하는 “그리스도 안에”와 “새로운 피조물”이라는 표현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두 지도자는 차이를 보이는데, 피어선에게 “그리스도 안에”라는표현은 바울 신학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은 이전의 세상과의 이별을 의미하며 믿음을 통해 새로운 삶과 존재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선계 선교와 복음 전파에 큰 관심을 가졌던 피어선이 복음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그리스도 안에”라는 표현을 통해 바울의 신학적 측면에 집중하였다면, 한경직은 “새로운 피조물”이라는 구절에 초점을 두면서 급변하는 세상 속에 살고 있는 교인들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를 설명하고 새로운 존재가 되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한국의 대표적 장로교회의 목회자로서 한경직은 믿는 자 개인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와 민족도 새롭게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바울신학의 공동체성과 사회·문화적 측면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인 부부의 영성 : 받아들임과 내어 줌

        송종례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6 인간연구 Vol.- No.10

        Christian married couples fulfill and complete the oath of matrimony through the life of loving union in personality and act in Christian faith.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in married life is based not only on the union of body but also on the union of mine/spirit. It is 'the union of two whole beings', so to speak, which forms a 'special personality of marriage' and is the essence of matrimony. However, the Christians are not exceptional from the problem of divorce which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contemporary society in Korea. This paper intends to research the spirituality of married couple that motivates them to do, think, and act as the energy in their daily lifeas Christians. Thus, this study starts to define the identity of Christian married couple, and then it briefly discusses about sexuality of married couple and its spirituality exploring the misunderstanding of sexuality in society. Although sexual life of husband and wife is a blessing of God and a loving and creative act, sexuality has been misunderstood as vicious and wicked in dualism in Christian history and this negative thought has mainly affected society. This research seeks after the spiritual models for married couple and then brings up some efforts that they need to follow from these models as Christians. In order to help marriage life in the Catholic tradition, this study also discusses some precious spiritual ascetic aspects which will be a helpful guide for their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m and between husband and wife. So far, they have lost many good points under the prejudice that asceticism is only practiced by the religious. Married life is the life to practice the foolishness of Jesus in their lives and the life to reveal the wisdom of God. Thus, marriage requires practicing Trinitarian spirituality, paschal spirituality and creative spirituality including some ascetic points in their dail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