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모의 권위와 부모자녀간 권력이동에 관한 연구

        성성이 한국효학회 2010 효학연구 Vol.0 No.12

        포스트모던사회에서 정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부모자녀관계에서 의사결정에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은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부모자녀간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도 물리적이고 가시적 성격을 가진 권력의 중요성만을 강조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권력과 함께 부모의 권위 역시 지속적인 부모자녀관계에 있어서 부모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다. 권력은 시간의 흐름을 통해 부모에게서 자녀로 이동되는 현상이 일반적이지만 부모의 권위는 자녀사랑을 기반으로 한 애(愛)적 권위와 영(靈)적 권위, 윤리적 권위를 통해 관계의 역사성과 지속성을 가진다. 부모의 권력은 상실되어가는 반면 부모의 권위는 성장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현대사회에서 부모의 권위는 효와의 연계를 유도해 낼 수 있는 주요 변수라 볼 수 있다. In post modern times, sensibility is important. but ironically, physical thing, visible value is very important when decision making is happen in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 In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 parental authority have a decisive effects on decision making. In this thesis, parental authority have authority of love, authority of spirit, authority of ethic. generally power of effect in relation of human don't have the love thing. But authority of love is most important in parental authority with historicity, long lasting. In the course of time, power of parents lose effects but, more and more authority of parents rise. So, It is important to connect authority of parents and HYO(filial piety).

      • KCI등재

        중국 현대국가 구상과 ‘권력일통(權力一統)’ 원리의 지속

        장윤미 현대중국학회 2019 現代中國硏究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Chinese elite recognized and redefined the “state”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rn state. It mainly looks at the discussion and historical process of the time, focusing on the “power” discourse, and explores the character of the Chinese state combined with thes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eculiarity of Chinese politics. In China, the concept of ‘state’ has long existed as an entity even before modern concepts were imported. Since the era of Qin-Han(秦漢), the state itself has represented a universal political committee. With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dynastic system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modern times, a new conceptualization of the state is sought among the knowledge elite. But the notion of “A Concentrated Power(權力一統)” formed in the existing “Great Unification(大一統)” political structure persisted, and this notion was reinforced amid the failure of the republican revolution and the successive course of another revolution. The unified concept of power and the concentrated orientation to power structure have never changed in Chinese politics. Accordingly, the legitimacy of power was hard to deviate from the logic of moral politics. The idea of one power has also influenced China’s national view, symbolizing that the absolute power of the state has an exclusively balanced view, monopolizing only one “public interest”. The modern China has monopolized and justified power while securing authority with its moralized principles, and politics has thus been captured by the state.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국가 건설과정에서 중국엘리트들이 ‘국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재정립했는지, 주로 ‘권력’ 담론을 중심으로 당시의 논의와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념적 특성과 결합된 중국 국가의 성격과 중국정치의 특이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근대적인 ‘국가’ 개념이 수입되기 전부터 오랫동안 국가가 하나의 실체로서 존재해왔으며, 진한 시대 이후 국가는 그 자체로 보편적인 정치권위를 상징해왔다. 근대시기 전통적인 왕조체제가 무너지고 지식엘리트 사이에서 국가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가 모색되지만, 기존의 대일통 정치구조에서 형성된 ‘권력일통(權力一統)’ 관념이 지속되었고, 이러한 관념은 공화혁명의 실패와 또 다른 혁명의 연속 과정 속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일원적 권력 개념과 일통적 권력구조에 대한 지향은 중국정치에서 변한 적이 없으며, 이에 따라권력의 정당성의 근거도 도덕정치의 논리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다. 권력일통 관념은 중국의 국가관에도 영향을 미쳐, 국가라는 절대자가 배타적으로 유일한 하나의 ‘공공이익’을 독점하며 균형잡힌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징화되어왔다. 현대국가 사회주의 중국은 도덕화된 원리로 권위를확보하는 동시에 권력을 독점하고 정당화해왔다.

      • 교회의 권위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덴칭거’ 활용의 필요 및 한계

        최현순(Choi, Hyeon-so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본 논문은 권위가 위기에 처해 있는 현대에, 특히 교계제도를 신적 설립으로 받아들이는 가톨릭교회의 입장에서 현대인들에게 교회의 권위에 대하여 어떻게 말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교회론적 권위 개념이 19세기와 20세기에 열렸던 두 차례의 바티칸 공의회에서 어떤 시대적 삶의 자리에서 그리고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그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가톨릭교회에서 권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성과 자유의 이름으로 그리스도교의 계시진리와 권위를 부정하는 근대세계에 대하여 오히려 교회의 권위를 강조함으로써 교회를 보호하고 신앙진리를 지키고자 하였다. 반면, 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계제도에 부여된 권위가 그리스도로부터 부여된 것이며, 하느님의 백성을 그 궁극목적인 종말론적 완성에로 이끄시는 데에 봉사하도록 세워졌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전망 안에서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선언한 교황직에 대한 이해도 새롭게 이해되고 있다. 또한 권위에 대한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교도권 문헌들의 모음집인 ‘덴칭거’가 매우 유용하지만, 반면 편집자에 의한 선별 모음집이라는 점, 그리고 교도권 문헌의 형성과정이나 그 삶의 자리에 대한 자료의 결여에 따른 한계도 드러났다. This study aims to seek a way to speak about the Church authority in today's world which is in crisis of authority, considering how and in which context the first and second Vatican Councils understood the concept of Church authority. The Vatican Council I had tried to respond with the fortification of authority to the changes and challenges posed in the name of reason and liberty by the modern world. But this means brought about many problems in the Church and ecclesiology. Instead, Vatican Council II, regarding Christ as the origin of the Church authority, emphasizes it’s role as ‘diakonia’. The hierarchy of Church is instituted by Christ himself for the service to the people of God, which God Himself leads to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In this perspective, Vatican II interprets dogma of the papacy. And this research shows som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 use of Denzinger in the theological research.

      • KCI우수등재

        정치권력의 양태, 도덕성, 그리고 발전방향

        김동일(Dong-il Kim)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2

        이 글의 목적은 정치권력의 다양한 양태를 분석하고 그 도덕성 조건을 제시한 뒤, 각 양태의 이념형과 도덕성 조건 충족 여부를 설명 및 검토하여 정치권력의 도덕적 발전에 대한 한 가지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선 정치권력의 네 가지 양태를 권위, 권한, 세력, 그리고 폭력으로 분석하고, 정치권력의 세 가지 도덕성 조건으로서 ‘의사존중’, ‘권력평등’, 그리고 ‘유익제공’을 제시한다. 정치철학사적으로 볼 때 다양한 정치권력 양태의 이념형으로서 플라톤의 철인지배가 도덕적 권위를 인정받는 정치권력으로서 제시된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의 지배가 법적 권한을 부여받는 정치권력으로, 그리고 로크의 대의 정부가 정치적 세력을 획득하는 정치권력으로 제시되어 왔다는 것을 설명한다. 나아가 정치권력 도덕성 조건들의 도덕적, 정치적, 그리고 현실적 우선성을 고려하면서, 우선세력을 획득하고, 그 후에 권한을 부여받고, 그리고 궁극적으로 권한을 인정받는 방향으로 정치권력이 발전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forms of political power, to suggest some conditions for its morality, to explain the prototype of the various forms, and to suggest a route through which political power should develop its morality. First, having analysed forms of political power in terms of authority, jurisdiction, force, and violence, this paper suggests three conditions of morality for political power: respect of opinions, equal power, and provision of advantage. It is explained that various forms of political power have been suggested by different philosophers such as authority-acknowledged political power by Plato, jurisdiction-conferred political power by Aristotle, and force-winning one by Locke. Furthermore, reflecting on the moral, political, and practical priority, this paper proposes that political power should develop its morality in the order of firstly force-winning, then jurisdiction-conferred, and finally authority-acknowledged form.

      • KCI등재

        권위소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세대별 차이 연구

        황윤용(Yoon Yong Hwang),오민정(Min Jung Oh)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경영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권위수준에 따른 광고효과의 세대별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즉 동일한 광고를 제공하더라도 권위수준에 따라 광고효과가 차이가 나타날 것이며 특히 세대별로 이러한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연구결과 광고화자의 권위수준이 높을수록(권위효과가 클수록) 광고태도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기성세대들은 순권위 효과가 나타난 반면, 젊은 세대들은 오히려 권위수준이 높은 화자일수록 광고에 대한 영향력이 줄어드는 역권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성세대들에게는 동일한 광고라 할지라도 권위수준이 높은 사람이 광고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인 반면, 젊은 세대들에게는 오히려 권위수준이 높은 사람의 광고효과는 그 영향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 반대로 권위수준이 낮은 사람의 광고효과가 오히려 효과성이 높다고 정리된다. 또한 조절변수로서 권력거리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젊은 세대들에게서는 권력거리가 낮을수록, 기성세대들에게서는 권력거리가 높을수록 광고에 대한 권위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들이 광고소구를 선택함에 있어 선택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mpact on the advertising authority level difference by generation. In other words, even if offered the same advertisements will appear different depending on the authority level. Furthermore, the difference will have been confirmed by further generation fact that clearly appear.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authority, the effect appeared authority to the older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young generation have a reversed authority effect. Specifically older generation are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uthority level. And the young generation was lower rather higher authority level. Also a result of examing the moderating variable, the older generation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advertising authority higher power distance, and the young generation had a effect on the advertising authority higher power distance was differe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an advertisement must pay selective attention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 KCI등재

        한국사회 전문가의 권위와 신뢰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u Jung),이명진(Lee, Myoung-Jin),최샛별(Choi, SetByol)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3 No.2

        공적영역에 대한 신뢰 하락과 전문가 집단의 권위 붕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들 집단에 대한 권위와 신뢰의 지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전문가는 누구인지, 이들의 권위와 신뢰 수준은 어떠한지, 거기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16년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전문가 권위와 신뢰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했고, ‘전문가 동의 수준’과 ‘권위 수준’, ‘신뢰 수준’에 대한 기초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특정 직업 집단을 전문가로 판단하는 데에는 전문지식과 업무능력으로 대별되는 ‘지식전문성’과 사회적 지위, 영향력, 소득수준으로 대별되는 ‘권력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지식전문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문가의 권위에는 ‘권력성’만이 유일하게 강력한 영향을 미쳐 한국사회에서 권위가 권력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신뢰에는 지식전문성과 권력성뿐만 아니라 법/규정 준수, 윤리성, 공익성으로 대별되는 도덕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권력성의 경우 신뢰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현재 한국 전문가들의 권력 기반이 정당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시민들이 전문가 집단에게 바라는 것과 현재의 상황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Korean society is suffering from the decline of trust and authority of the experts. Using national data collected of 1,500 adults in 2016,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o is the expert in Korean society? 2) What are their authority and trust levels? 3) Which factors affect their levels? On judging an expert, ‘power(social status, leverage, income)’ and especially ‘expertise(professional knowledge and job performance)’ had significant effects. However, on experts’ authority, only the ‘power’ had the strongest influence. In addition, experts’ trust level was influenced not only by expertise and power but also by ‘morality (law/regulation abidance, ethicality and public interest)’. However, another discrepant result is that power had negative impact on trust level. This implies that at present, the power base of Korean experts lacks legitimacy and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reality and expectations of experts.

      • KCI우수등재

        중국 정치에서 권력승계의 불안정성 : 마오쩌둥 사후 후계 사례의 함의를 중심으로

        이재준(LEE, Jae-Jun)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1

        중국 정치에서, 권력승계는 시진핑 집권 시기에 새로운 전환기에 직면했다. 격세 지정, 연령제, 임기 제한 등 권력승계와 관련된 제도들이 후퇴했기 때문이다. 권력승계의 제도화는 중국 정치에서 안정적인 권력승계를 이룰 수 있었던 요인이라고 지적되어왔다. 그런데 이 같은 제도들에서 균열이 나타나면서, 마오쩌둥 사후 이어진 권력승계의 불안정성이 다시 중요한 함의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중국 정치에서 권력승계 제도화 이전 시기 권력승계의 불안정성이 나타났던 원인이 무엇인가?’이다. 본 논문은 지배 연합의 이념적 선호 구성이 중국 정치에서 권력승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후계자는 지배 연합 다수의 이념적 선호에 부합하는 이념을 제시해야 집권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지배 연합의 이념적 선호 구성이 다원적일 경우 안정적으로 다수의 지지를 확보하는 일이 그만큼 어렵다. 특히 전임자가 일인지배 권력 구조에서 후계자를 지명했을 경우, 그 후계자는 지배 연합 다수의 선호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를 갖게 된다. 이를 ‘후계자의 함정’이라고 부를 수 있다. In the Xi Jinping era, power succession in Chinese politics has faced a new turning point. As the institution related to power succession had been discarded in 2018, uncertainties in power succession could increase. The Institutionalization in power succession, such as age limit of ‘67 stay and 68 retire’, the two-term limit of the Chinese president, and the ‘grandpa-designated successor’ rule, had resulted in stable succession. Therefore, the question of this article is, "What caused the instability of power succession in Chinese politics in the absence of the institution related to succession?" The central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ruling coalition"s ideological preference affects the stability of power succession in Chinese politics. The successor can maintain power when proposing ideologies that the majority of the ruling coalition support. If the ruling coalition"s ideological preference is pluralistic,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successor to propose an ideology consistent with the majority"s preferences. Besides, the power structure under the predecessor is also a critical variable in the power succession. In the personalistic rule, the paramount leader can designate the successor, who could inherit his idea, by his own decision. As a result, the successor has limitations to respond to the majority ideological preference of ruling flexibly. That can be called the ‘successor"s trap.’

      • KCI등재

        중국공산당 제19차 당 대회의 쟁점 분석 : 시진핑 권력 강화의 이론과 현실적 제약

        전성흥(CHUN Sung Heung)(全聖興)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1

        이 글은 중국 공산당 19차당대회의 핵심 쟁점인 시진핑의 권력강화 현상에 대한 분석이다. 흔히 이번 당대회를 통해 시진핑이 일인지배체제를 구축하게 되었다고 평가하는데, 본문은 이와 다른 시각으로서 시진핑 권력집중의 한계를 설명하고 있다. 시진핑이 전임 총서기와는 달리 18차 당대회 이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권력을 집중해온 사실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19차 당대회를 계기로 ‘시진핑 사상’이 당헌에 삽입되는 등 더욱 권력이 강화되었음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시진핑 사상이 지도이념화될 수 있는 근거인 ‘신시대’의 논리가 설득력이 부족하고, 시진핑 사상의 체계 자체가 권력 강화를 위한 인위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마오쩌둥이나 덩샤오핑과 같은 카리스마적 인물이 발휘하는 ‘권위형 권력’과 달리, 제도적으로 부여된 직책에서 비롯되는 ‘직위형 권력’이기 때문에, 직책과 무관한 절대 권력이 아니라 임기 내에 국한된 상대 권력이라고 평가했다. 그리고 집단지도체제를 견지해야 한다는 당내 공통된 인식을 부정하기 힘들고, 현재 집단지도체제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결정적 사례를 찾기도 어렵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집단지도체제와 시진핑 권력집중이라는 이중적 현상이 병존하고 있는 과도기적 특징을 강조했다. 시진핑의 권력집중이 집단지도체제의 부작용인 ‘강력한 리더십 부재’라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당내 집단적 필요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마오 시기 중국정치의 폐단인 ‘과도한 권력집중’과 권력남용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향후 추세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다. Despite the general belief that Xi established the “one-man rule system” at the 19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is study presents a different perspective, and explains limits on Xi’s consolidation of power. Xi has been consolidating power since the 18th Congress. That effort was evident in the 19th Party Congress, including inclusion of Xi’s ideology in the Party constitution. Nevertheless, a key concept -- the ‘New Era’ -- lacks a logic strong enough to allow Xi’s thoughts to serve as a leading ideology. The system of Xi’s thought is more of a means to consolidate power. Furthermore, contrary to the ‘authoritarian power’ exercised by charismatic figures such as Mao Zedong and Deng Xiaoping, Xi’s power is ‘positional.’ It is not absolute power that exists regardless of position; positional power is “relative” because it is limited by the term period. The party appears to favor maintenance of the system of collective leadership, and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present collective leadership is not operating. Therefore, the current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collective leadership and the consolidation of power by Xi coexist. This paper makes no conclusion about whether Xi’s consolidation of power is the result of the party’s collective need to resolve the problem of an ‘absence of a strong leadership’ as a side effect of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or whether it signifies an ‘excessive power concentration,’ a negative effect of Chinese politics under Mao. If the latter turns out to be true, it can be a premonition of instability in Chinese politics.

      • KCI등재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역할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효과

        주설,채연주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4

        Focusing on recent trends in leadership research,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by comparing effects of authoritaria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role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s that limit effectiveness of two leadership styles positing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time-with-leader as moderating variables. In particular, although the time-with-leader is not widely known as a critical variable in leadership research, it needs to be discussed in leadership studi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less face-to-face contact with leaders due to the telecommuting (eg. working at home). Based on the responses of 224 office workers in China, this study revealed that authoritaria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positively related to in-role performance. Also, both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time-with-leader have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oth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rejecte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re are few studies comparing authoritaria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spite advances in leadership research. In addition, it also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a variable, time-with-leader,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as a major variable in leadership research. 본 연구는 권위적 리더십에 대한 최근 연구경향에 주목해,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의 효과성을 비교하고 그 효과를 제한하는 조건에 대해 살펴본다. 두 리더십과 개인 성과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즉 조절변수로는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리더근접근무시간의 경우 지금까지 리더십연구에서 거의 회자되지 않은 변수이지만, 재택근무의 활성화로 리더와의 대면이 상대적으로 옅어진 현실을고려했을 때 리더십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본다. 중국에 근무하는 사무직 224명의 답변을 기반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역할내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적 리더십과 역할내 성과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은 모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역할내 성과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효과에대한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지금까지 리더십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왔지만, 여러 리더십 스타일을 비교하는 연구모델에서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비교하는 연구는많지 않았고, 리더근접근무시간이라는 지금까지 리더십연구에서 주요변수로 간주되지 않은 변수를 도입하여 리더십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권력과 소통의 관계에 관한 일고찰

        이효성(Hyo-Seong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9 No.1

        본고는 권력과 소통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 행위론을 도입하여 권력과 소통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려 했다. 권력은 다른 사람에게 의도된 효과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런데 인간은 언표내 행위라는 언어 행위의 수행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의도를 전하고 언표외 행위라는 언어 행위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의도된 효과를 낳으려 한다. 말하자면, 권력은 대체로 언어 행위를 통해서 행사된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물리적 강제력 즉 폭력의 경우는 언어 행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리적 강제력이라고 소통과 아주 무관한 것도 아니다. 더구나 다른 유형의 권력은 그 실행을 위해서 반드시 언어 행위를 필요로 한다. 심리적 강제력을 포함하여 권력은 대체로 언어 행위를 매개로 소통과 밀접합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언어 행위론을 통해 권력과 언어 행위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 그리고 더 나아가 권력의 행사는 언어 행위의 하나인 언표외 행위와 동일하며, 권력의 유형에 따라 언어 행위의 유형이 다르며, 언어 행위의 유형이 다름에 따라 그 윤리성도 다르다는 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This paper i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speech act theory has been introduced. Power is the capacity of some persons to produce intended effects on others. And the human being tries to get intended effects by perlocutionary acts through performing illocutionary acts, both of which belong to speech acts. Generally speaking, therefore, it can be said power is exercised through speech acts. Of course, in case of exercising physical force or violence, no speech act is needed. However, even violence is not totally unrelated with communication. Moreover, power other than violence is always in need of speech acts for its exercise. Including psychic force, power in general is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by mediation of speech acts. This paper, using speech act theory, attempts to examine that what is the relationship power and communication hold, that the exercise of power is the same as performing speech acts called perlocutionary acts, that the form of power is differentiated by kinds of illocutionary acts used for its exercise, and that morality of power is different according to illocutionary acts used for its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