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연구

        이승욱,고진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군 복지시설 민간 활용의 개념은 민간이 군 복지시설을 활용해 추가적인 효용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민간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민간의 개발행위로 시설의 고도화나 유휴부지의 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군 복지시설은 군 장병들과 가족들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지만, 대부분의 서설이 노후화되어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 측면에서 군 복지시설은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인식되어 있어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시 자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군 복지시설은 주민들에게 더 이상 기피 시설이 아니며, 민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은 활용은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최의 공간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복지시설 중 민간 활용이 가능한 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108개 복지시설 중 영외에 있는 시설 80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내 9개 시설에 대해 민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간 활용방식의 유형으로 3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군 복지 확대를 위한 민간 참여 활성화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개발방식과 다양한 주체 간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 군의 복지 증진과 도시의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기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의 해제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정회근(Jeong, Hoe-K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8 土地公法硏究 Vol.81 No.-

        도시 군계획시설이란 국민의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체의 생활기반시설 중 도시 군관리계획으로 결정 고시된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시설이 10년이 경과할 때까지 도시 군계획시설사업이 시행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장기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이라 한다. 장기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의 발생원인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원부족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장기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은 장기간 개발행위제한으로 재산권 침해가 발생하여 국민의 민원이 제기된다. 또한 이러한 시설은 지방재정의 취약으로 장기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의 조기집행이 곤란하다. 따라서 장기 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로 인한 재산권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를 해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제제도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규정된 해제권고제, 해제신청제, 실효제도, 일몰제 등이 있다. 이러한 규정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실효성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기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로 인한 재산권 제한에 대한 권리보호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해제제도의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are those determined and published by the urban or Gun government plans among all residential infrastructure projects designed to satisfy the basic demands required for the people s living. If the urban or Gun planning projects are not carried out until 10 years have elapsed, they are called long-term uncollected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Causes of long-term uncollected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were caused by the lack of funds from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Public complaints were raised concerning the violation of property rights due to limitations of long-term development activities in long-distributed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In addition, such facilities were vulnerable to the weakness of local finance, preventing the early execution of a long-collected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violation of the property rights due to the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that have not been implemented for a long time. The release system is release recommendation system, Release application system, ineffective system and automatic release system in the Act on Planning and Use of the National Land. The regulations are not specifically stated, making them ineffective.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d improvement method of the release system to develop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to limit property rights due to the long-distributed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 일몰 해제에 따른 경기도 대응방안

        이성룡,이양주,이지은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aft possible resolutions for the sunset provision of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this study, legal system and government policy related to the urban planning sunset system were first examined, and the status quo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were analyzed. Upon the analyse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problems and agendas of sunset provision of the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propose the responsive strategies. In 2000, urban planning facility sunset clause was introduc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Urban Planning Act. If implemented, sunset claus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nullifies the proposed project of the facilities of which the installment did not take place for 20 years since the planning(designation and determination). As of December 31, 2017, 13,749 urban planning facilities have not been installed for over 10 years since the planning, 102.3㎢ area-wise, and presumably the total cost of implementing the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reaches 33.3 trillion won. Out of the facilities, 4,647 urban planning facilities with the area of 56.7㎢ were not installed for 20 or more years after the determination, and will lose effect by July 2020. This amounts to 33.8% of the total number of long-term unexecuted facilities, and 55.4% of the total area. Estimated project cost to implement the facilities is about 13 trillion won, which accounts for 40% of total project cost. Among the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road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numbers of facilities that are subject to validation due to more than 20 years of nonenforcement: 4,067 out of 10,329 long-term unexecuted roads are lost effect, reaching 39.4%. Parks have the largest target area: 30.3㎢ out of 41.2㎢ long-term unexplored parks are targeted for validation, which accounts for 76.3%. Also, parks have the highest enforcement cost: the projected cost is 4,817.2 billion won, which is 51.6% of the total project cost of 9,332.7 billion won for the long-term uncovered parks. The authority of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to directly manage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s limited, since the control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is delegated to the municipal governments. However, provincial Government needs to provide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o ensur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the sunset provision.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aw and improve the system secure the supply of funds from Development Charges and Regional Development Fund. Moreover, the City Planning Commission needs to revise the standards of the Urban Planning Committee and establish guidelines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 KCI등재

        군사기지‧시설 보호와 관련된 법제의 개선방안 - 군사기지‧시설 보호 법제의 체계정당성을 중심으로 -

        김권일,김재호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4 No.1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은 군사기지‧시설을 보호한다는 기능과 군사주둔지와 훈련장 등의 이용을 확보하여 원활한 군 작전등 활동을 수행하도록 보장한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군사기지‧시설 주변의 사유지까지 보호구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유지까지 보호구역으로 설정하여 국민의 재산권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의 변천과정의 특징은 보호구역의 축소라고 볼 수 있다. 더구나 최근 안보상황과 사회 환경이 변화하고 있어, 보호구역에 대한 적극적인 변화도 요구된다. 보호구역은 일종의 규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최근 규제완화가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다음의 내용을 고려하여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의 전면적인 개정 가능성도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외부 세력의 탐지나 정찰로부터 군사기지․시설을 보호한다는 내용은 「군형법」과 「군사기밀보호법」에서 기본적으로 규율될 수 있다. 둘째, 군사기지․시설 주변으로 무분별한 개발 및 도시화로 인하여 군사기지․시설 보호에 침해를 가져오지 않도록 국토계획과 군사기지․시설계획이 연계되는 법률의 제정이 필요하다. 군과 지방자치단체․지역 주민이 군사기지․시설 보호 문제 등을 협의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면, 국가가 일방적으로 국민의 재산권을 제한하는 보호구역의 설정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군 작전등 활동이 필요한 지역을 보호구역으로 설정하기보다는 군 작전등 활동이 필요한 때에 일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이 필요하다. 현재 이에 대한 법률이 없으므로 군 작전등활동에 대한 개념․범위․보상절차 등의 훈련 등에 관한 법률 제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내용이 입법화 된다면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은 전면적 개정이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개정을 통해서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definition of the 「PROTECTION OF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ACT」 is to protect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from external threats(destruction etc.) or information theft, to restrict people's using a protection zone, and to guarantee smooth military operations by securing the usage of military camp and training ground. However, I think, to protect those facilities, there is no need to restrict people's using the land and designate even private land of the neighboring area as a protection zone.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should be guaranteed, and the right should never be restrained under the pretext of national security. Nowadays, the protection zone has been gradually reduced to protect people's rights i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ACT. In addition, more active changes to the zone have been required according to those in the concept of the regulation, the state of national security, and military operation plans. Considering the above factors, we need to highly speculate the possibility of revision on the ACT.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could be sufficiently protected and regulated from the detection or reconnaissance of external forces just by the 「MILITARY SECRET PROTECTION ACT」. Moreover,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act needs to be enacted, which links national land planning and that of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not to damage those military facilities from indiscreet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f the two plans are harmoniously implemented, not only will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be secured, but the purpose of protecting those military facilities will be achieved. The enactment of other acts on the military activities, although necessary, but not legislated, are also needed. Some special laws regulating military activities(guard, training, operation, administrative support etc), activity scope(use of weapons, entry of private property, use of people’s properties etc), and compensation rule(loss compensation by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to smoothly carry out military operations. If 「MILITARY SECRET PROTECTION ACT」,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act, and General military Powers act reflecting all those things are implemented, 「PROTECTION OF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ACT」 will be able to be by and large amended and so will the infringement of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be minimized. The paper suggests a new alternative after analyzing current laws according to a rapid social change. As the contents on national securities, military operations, and military programs are, however, almost off-the-record,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required.

      • KCI등재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 지정처분 및 실시계획 인가처분의 위법 여부와 그 위법의 정도에 대한 연구

        장윤순(Jang Yunsoo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9 No.-

        본 사안은 사인인 사업시행자가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대상인 토지를 사업시행기간 중에 제3자에게 매각하고 제3자로 하여금 해당 시설을 설치하도록 하는, 즉 대행시행의 형식이 포함된 실시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법리가 확정된 최초의 판결이다. 또한 대법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목적, 활용 형태와 이를 접하는 일반인의 인식에 비추어 보면, 그 홈페이지에 행정결정을 게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정청의 의사를 외부에 표시하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인정하였고, 행정처분의 성립시인 홈페이지 게재 시점을 기준으로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의 요건 충족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고 명백히 밝혔다. 또한, 본 사안에서 고등법원과 대법원은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 지정 요건시 토지의 소유 면적과 토지 소유자의 동의 비율을 갖추지 못한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 지정 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하다고 보았다. 지극히 타당하다. 한편,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대행 인정으로 인한 이 사건 실시계획 인가처분의 무효 여부에 관하여 고등법원은 중대하고 명백하여 무효라고 보았으나 대법원은 위 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하나 해석상 다툼의 여지가 있으므로 그 하자가 명백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대행개발을 허용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점, 사업수행 중 사업시행자 이외의 자는 행정청으로부터 시행자로 지정을 받아 시행할 수 있게 하는 점 등에 비추어서 관계 법령의 문언에 반하는 것이 명백함에도 행정청이 합리적인 근거 없이 그 의미를 잘못 해석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또한, 고등법원은 참가인이 공익사업을 수행할 의사와 능력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이는 중대·명백한 하자이므로 이 사건 실시계획 인가처분은 무효라고 판단하였으나 대법원은 참가인이 공익사업을 수행할 의사와 능력이 없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고등법원의 위 판단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공익사업을 수행할 의사와 능력이란 관계 법률에 따라 지정·인가 등을 받아서 공익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목적물에 관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의사와 능력일 것이다. 이는 관련 목적물을 설치한 과거의 실적이 있는지, 관계 법률과 절차에 따라서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지, 완공할 때까지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인데, 본 사안에서 고등법원의 판단이 대체로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판결은 지방자치행정이 적법성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에 대하여 경종을 울리는 판결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is is the first decision in which confirms that any form of construction executed by third-party authority will not be allowed under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like the case where its project implementer, the signed person, sold the facility to a third-party and make them to establish the facility. Also, the Supreme Court admitted that considering the purpose, its utility of making Internet homepage and the perception of general people looking at it, making a post on its homepage was accepted as an official and general way of expressing the opin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Therefore, after this point when the post was uploaded on its homepage, which was also considered as the point making its administrative disposition valid, the court clarified that whether it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implementer of urban·gun planning facilities project should be determined. Moreover, in this case the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saw that when making the requirements for the implementer of urban·gun planning facilities project, if the city·gun decided someone as the implementer who has not owned required area of land or has not met the agreement ratio from the land owners yet, the flaw resulted from this should be considered severe and clear. This is legitimate. On the other hand, about the nullity of permission to implement this case due to allowing a third-party implementation of urban·gun planning facilities project, the High Court saw this as severe and clear to be invalid, but the Supreme Court saw this as severe in its flaw, but the Supreme Court also saw that there could be some interpretational dispute and that its flaw was not that clear. However, since there was no any regulations to allow executing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that any other person other than the project implementer should be designated as implementer from the administrative agency to execute the project during the implementing period, it is shown to be clearly against to the relevant ordinance, and instead it is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ch made the wrong interpretation of it without any reasonable basis. Moreover, the High Court saw this cas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a mere participant of the project has a will and ability to execute the public project, which can be clearly seen as a severe flaw, so that the permission for this project execution should be invalid. However, the Supreme Court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see the person lack of will and ability to execute such project and rejected the judgment of the High Court. However, the will or ability to execute public project would be those to execute a project related with public interest under certain designation or permission. Thi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certain standards such as whether the person has any other past experience of establishing the construction related to the project, whether the person knew how to execute such project along the relevant laws and process, whether the person can raise funds necessary to complete the project, and it seems that the High Court made the right decision for thi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is case as the decision which raised the alarm for administration of local court to satisfy the legitimacy principle.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광주·전남지역 군사시설 건설과 전쟁유적의 성격

        조건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3 No.-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Japan built numerous military facilities o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wangju and Jeollanam-do, which were not very important militarily, were destined to be the fiercest battlefield at the end of the war. While the Japanese military’s military activities centered on Jeju Island drew attention from academia,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relatively. In this article, the war remains left by the Japanese military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army and navy,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ince the beginning of 1945, the Japanese military has strengthened military and naval uni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o prevent U.S. attacks, while expanding military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m. They can be divided into land, sea, and air milita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many still remain. Military faciliti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clude defense and surveillance facilities, boat bases, and airfields. In particular, the main base was built in Mokpo and other island areas on the southwest coast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military supplies to avoid the U.S. military blockade. In addition, an army airfield was built near Mokpo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importance of the sea and the transportation fleet. A typical military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Nav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s an air base. In particular, a number of related facilities suchas ammunition warehouses and fuel warehouses were built around the runway of the airfield in Gwangju and Yeosu. There are no runways left in Gwangju, but a number of underground facilities built for use as fuel and ammunition warehouses are confirmed. In Yeosu, concrete-built runway remains on the coast, and related facilities are also identified nearby. In particular, there is a large-scale underground facility behind Yeocheon Elementary School,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ircraft shelter that the Japanese military built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ircraft shelter is a semi-circular concrete structure built to protect aircraft from air strikes. The Japanese military made these bodies to use them for suicide attacks. In addition, the 5th Air Force, which was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had a total of 700 aircraft, of which 500 were organized for suicide attacks. The Japanese military turned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a launching base for “suicide attack aircraft” to continue the invasion war.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은 한반도 남서해안에 수많은 군사시설을 건설했다. 일제 식민지기 군사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광주·전남지역은 전쟁 막바지 가장 치열한 전장이 될 운명이었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일본군의군사 활동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던 반면, 광주·전남지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남긴 전쟁유적을 육군과 해군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군은 1945년 초부터 미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육군과해군 부대를 증강하는 한편 그에 대응한 군사시설을 확충해 나갔다. 이들은 그성격에 따라 육상과 해상군사시설, 그리고 항공군사시설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도 상당수가 남아 있다. 일본 육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은 방어와 감시 시설, 주정기지, 그리고 비행장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주정기지는 미군의 해상봉쇄를 피해군수물자를 운송하려는 목적으로 목포를 비롯하여 남서해안 여러 도서지역에건설했다. 아울러 목포 인근에 육군비행장을 건설했는데 해상의 중요지와 수송선단 보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일본 해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로는 대표적으로 항공기지를들 수 있다. 특히 광주와 여수에 비행장 활주로를 중심으로 탄약고와 연료고등 관련 시설들을 다수 건설했다. 광주에는 활주로는 남아 있지 않지만, 연료고와 탄약고로 사용하기 위해 구축했던 지하시설이 다수 확인된다. 여수에는 해안에 콘크리트로 구축한 활주로 유구가 남아 있고, 역시 인근에 관련 시설물들이확인된다. 특히 여천초등학교 뒤편에 대규모 지하시설이 있는데 그 건설 목적에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구축했던 비행장 엄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엄체는 항공기를 공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축한 반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일본군은 이들 엄체를 특공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아울러 전쟁 말기 한반도에 주둔했던 제5항공군은 총 700기의 항공기를 보유하고있었는데, 이 중 500기를 특공용으로 편성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침략전쟁의지속을 위해 한반도 남서해안을 ‘자살 공격기’의 발진 기지로 만들었던 것이다.

      • KCI등재

        국가안전보장과 주민의 참여

        김혁중(Kim, Hyukjung)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4-3

        우리 헌법은 그 전반에 걸쳐 국가의 안전보장이 매우 중요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국가안전보장 의무를 직접 수행하는 국군의 군사 활동 여건 보장을 위한 인적·물적 조치들은 헌법과 법률에 의해 인정되고 보장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군사시설의 설치는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군의 운영에 있어서 물리적 요소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즉, 적의 위협에 대해 적재적소에 군사시설을 설치해야만 효율적으로 적의 공격을 방어하거나 경계할 수 있으며, 적절한 공간이 부여되어야만 평시에도 훈련하고 전투준비태세를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안전보장을 목적으로 한 군사시설정책의 집행은 필연적으로 해당 지역 주민과 인근 주민들의 기본권의 제한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군과 지역주민,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간의 가치와 이념의 불일치, 비용과 편익의 불균형 그리고 시설에 대한 인식의 불일치 등의 요인 때문이다. 군사시설관련 갈등구조를 법적인 대립구조로 분석해 본다면, 새로운 군사시설의 설치나 기존 군사시설의 이전은 우리 헌법상 인정되는 두개의 큰 가치의 충돌 즉, 국가안전보장이라는 공익적 가치와 국민의 기본권 특히 재산적 가치의 충돌에 따른 제한과 조정의 문제라 할 것이다. 따라서 군사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대하여 국가안전보장과 주민들의 기본권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결국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 군사시설의 설치 뿐 만아니라 그 시설운영의 일부분에 있어서도 가능한 범위 내에서는 주민의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군사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대한 절차의 정당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행정절차법이나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국방군사시설사업에 관한 법률 그리고 환경영향평가법 등 현재의 법제상에 인정되는 주민참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국회나 언론등에서 논의 되고 있는 지역주민 등에 대한 지원법률안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용함으로써 주민들의 참여와 지지를 얻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군사시설에 있어서의 주민참여는 그 주체의 한계 등 일반적인 주민참여절차에 있어서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군사시설의 기밀성이나 긴급성 등 군사시설 자체가 가지는 본질적인 한계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가안전보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주민참여가 이루어짐으로써 군사시설 정책 수립과 집행에 있어서 국민들의 신뢰와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법률적·제도적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Constitution emphasized that national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issue and so to ensure that purpose of the national security, it is obvious for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Armed Forces to be recognized and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laws. The installation of a military facility is to take the physical elements while operating military group for the national security. In other words, military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to effectively defend the enemy threat or attack. Also adequate space must be provided in peacetime to hold a military training and to maintain combat readiness. However, the enforcement of the military facility policy for the purpose of national security will inevitably cause a restri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local residents and nearby residents. The restriction is caused by the inconsistency of the values and ideals between the military, local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groups. Also there are imbalance of costs and benefits, and mismatches of recognition on military facilities. To analyze the military facilities related conflict on the structure of a legal confrontation perspective. installation of new military facilities or transfer of existing military facilities will clash with two great constitutional values, ie, clash and adjustment between the public value of national security and people’s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property value. Therefore, need to establish and enforce a policy in the direction to reconcil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national security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military facilities. Eventually, installation of a military facility, as well as operating the facility, need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o maintain the legitimacy of the procedure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military facilities. Thus, actively utilize current legislations on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such as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Military Facilities Act, policies on the National Defense Military Facilities Projec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lso accommodate supportive bills being discu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or in the media to the possible extent and obtain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the residents. However, in practice, there are not only problems regarding military facilities, but also have intrinsic limitations on the confidentiality or urgency of military facilities. Therefore, substantially allow citizen’s participation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national security, and continue legal and institutional research to get the trust and support of the people when enacting the policies on military facilities and enforcing such policies.

      • KCI등재

        일본군 위안소 업자의 지위와 역할에 관한 연구

        강정숙(Jeongsook K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여성연구 Vol.96 No.1

        일본군 ‘위안부’제 하에서 군 ‘위안부’ 동원업자와 군위안소 업자(관리자 혹은 경영자)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군 ‘위안부’ 동원 및 군위안소 경영에 실제로 관여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회피하거나 경감시키려는 이들은 업자들에게 대부분의 책임을 덮어 씌우는 일이 지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군 ‘위안부’제 하에서의 업자의 지위와 역할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밝히기 위해 자료는 일본군 관련 공문서 자료와 군 ‘위안부’와 관련된 이들의 구술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이 글에서는 일본군이 업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역할을 규정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1) 일본군 규정과 업자들을 지칭하는 용어, 2) 군인 군속, 군 ‘위안부’ 여성들의 업자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군은 야전주보규정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군위안소를 군의 부속시설로서 보았고, 군위안소 업자는 민간인만이 아니라 군속, 군인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일본군의 요구에 응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위안소 유형에 따라 다소 달라질 가능성이 있지만, 일본군 위안소 업자는 군인 군속일 경우는 물론 민간인 경우에도 준군속으로 보아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군 ‘위안부’제 운영에서의 책임을 민간인 업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하겠다. The contractors involved in mobilizing military ‘comfort woman’ and the managers of the military comfort st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under the opera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system. They were actually involved in the mobilizing of the ‘comfort woman’ and managing of the military comfort stations. Continuously, the managers were blamed for the problems occurred in the system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because of the ones trying to reduce or evade their responsibility to the manag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larify the status and role of the managers who worked under the regulation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system. Data from the Japanese military’s official documents and oral documents of the related people to the military ‘comfort woman’ were used to clarify this. This article analyzed 1) the regulations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terms used to call the managers, 2) the perspective of the civilian military workers and military ‘comfort woman’ towards the managers.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the Japanese military saw military comfort stations as the affiliated facilities of the Japanese military as it is regulated in the field canteen regulations. Also, the managers of the military comfort stations were organized with not just mere civilians but also civilian military workers and even soldiers, which means the managers had to meet the demands of the Japanese military.

      • KCI등재

        군사시설보호구역 관련 민-군 갈등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범(Park, Sung Bum)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7 No.-

        군에서는 군사시설을 보호하고 원활한 군사작전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지역을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설정하고 민간인의 각종 행위를 제한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군과 지역사회 간의 갈등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군사시설보호구역 운영과 관련한 민-군 갈등 실태 분석을 통해 미래 군 발전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제도 개선과 아울러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내에 위치한 경기도 김포신도시 개발 및 경북 포항시 포스코 공장 증축 과정에서 나타난 민-군 갈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군에서는 군사시설보호구역을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과 아울러 갈등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갈등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였고, 군-지역사회 간 상생차원의 대책이 요구되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characteristics of army and rational improvement of institutions which are consistent with development of future army through an analysis of conditions related to operations of the Military Installation Protection Zones. Als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a way to resolve conflicts against local community. (2)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is mainly used for this research and materials of related institutions which include preceding researches. journal, the ministry of defense are concerned. Partly, to complement a limit of literature investigation, field studies are used. (3)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ajor problem is that there is no proper law, institution, and management system which deal with conflict related to control of the Military Installation Protection Zones. Another problem is a lack of measures to resolve disadvantages caused by a designation of Military Installation Protection Zones. 2. RESULTS The military should prepar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manage of the Military Installation Protection Zones. systematically and establish a conflict control system to cope with occurrence of conflict. Also, to compensate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y members for disadvantages caused by the designation of the Military Installation Protection Zones, substantial supports should be given in terms of coexisting between the military and local community.

      • KCI우수등재

        AHP를 이용한 군 취사식당 기능공간 분석

        이승후,이현수,박문서,지세현 대한건축학회 202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6 No.5

        This research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functional space and evaluation factors of eachfunctional space of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Dining in the military is an important factor in restoring combat power and promoting morale.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serves as a not only for meals, but also for watching TV, education and club activities. Workers working indining facility spend most of their work hours in dining facility, perform tasks such as cooking, dishwashing, and leftover disposal, and takebreaks. As such,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is a space where various functions are performed, and space planning should take into accountthese various functions when planning the building of the dining facility. However, the criteria for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which arethe basis for planning the space of military dining facility, are calculated only by simply analyzing the standard floor plan to match the sizeof the person-to. Therefore, when there is space to be reduced in the total area,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leaving visible table spacewithout consideration for priority or functional space, unseen office space, and adjusting the entire area through reduction of the lounge. Accordingly,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space that the staff of the military dining facility considers importa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the characteristics of each functional space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s unique function. This can be an indicator that can be usedas a basis for future revision of the building floor area standards of the defense and military facilities standards, and it can improve usabilitywith an efficient space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ilitary and the satisfaction of its workers. Furthermore,efficient use of the defense budget through rational building plans can contribute to budget reduction. 본 연구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군 취사식당의 기능공간과 그에 따른 평가요소의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군 병영 내에서의 식사는 전투력 복원과 사기 증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군의 취사식당은 식사뿐만 아니라 TV 시청, 교육, 동아리 활동 등의 소모임 기능을 수행한다. 식당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조리부사관/병/군무원 등)들은 일과시간 대부분을 식당에서 보내며 취사, 식기세척, 잔반 처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휴식도 취한다. 이처럼 군의 취사식당은 여러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취사식당 건축 계획 시에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고려한 공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집단생활을 군부대의 특성상 식중독 등의 질병 발생 시 전염의 우려가 높으며 이는 곧 전투력 하락으로 직결된다. 식당에서의 위생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위생 관리체계인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eria Control Point System)에서는 식품을 다루는 환경에 관하여 효과적인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공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공간구성이 적절하지 못하면 위생원칙에 반하는 동선을 유도하게 되어 위생관리가 어려워지고, 식당 구성공간에 위생개념이 고려되면 위생원칙을 준수하기 쉬워지고 위생관리가 편해지므로(Lee, 2011), 기능공간 계획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군 취사식당의 공간을 계획함에서 기준이 되는 국방군사시설기준은 표준 평면도를 단순 분석하여 인당 규모에 맞도록 한 계산식으로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체 면적에서 줄여야 할 공간이 있을 때 우선순위에 대한 기준이나 기능공간에 대한 고려 없이 눈에 보이는 테이블 공간은 남겨두고 보이지 않는 사무실 삭제, 휴게실 축소 등을 통해서 전체 면적을 맞추는 등의 부작용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 공공시설 취사식당의 건축계획은 식당 내부의 세부공간 기능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공무원 수 전체 인원에 대한 비율에 해당하는 전체면적만을 제시하는 수준이고, 미군의 경우는 Public area, Serving area, Preparation area, Support area 등의 기능공간 분류를 통해 한국군보다 세부적인 기능공간별 바닥면적을 제시하고 있으나 주·부식, 취사방법 등의 차이로 인해 적용하기에는 제한사항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군 취사식당을 대상으로 취사식당 근무자가 중요시 여기는 공간의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고유 기능에 따른 분류를 통해 기능공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국방군사시설기준의 건축바닥면적기준 개정 시에 관련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고, 한국군 특성과 근무자 만족도를 고려한 효율적인 공간계획으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합리적인 건축계획을 통한 효율적인 국방예산 활용으로 예산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