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軍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조선시대 국가 의례는 吉禮․嘉禮․賓禮․軍禮․凶禮의 五禮 체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禮治를 표방한 조선에서는 국가 의례를 통해 국왕의 지위를 상징적으로 구현하려 했는데, 오례 중에서도 제왕의 통치 의례라는 측면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항목이 바로 군례였다. 군례는 군의 기강을 확립하는 효과와 함께 군의 최고 통수권이 국왕에게 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시켜주며, 왕의 절대적인 책임과 권위를 강조해 주었던 것이다. 조선의 국가 의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지만, 아직 군례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군례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군례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군례에 대한 연구 성과들은 ‘國家典禮書의 군례 연구’와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가전례서의 군례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대표 국가전례서인 『世宗實錄』 「五禮」, 『國朝五禮儀』, 『國朝續五禮儀』, 『國朝五禮通編』, 『春官通考』, 『大韓禮典』 등에 수록된 군례 항목을 분석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에서는 연구 현황을 고려하여 ‘射儀, 大閱儀와 講武儀, 宣露布儀와 獻馘儀’의 세 범주로 나누어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기존에 수행된 군례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례의 유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군례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의례와 역대 한국의 왕조로부터 내려온 전례를 수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그 의례들을 비교․검토하는 작업은 조선시대 군례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의례의 역사적 연결성과 구조적인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국가전례서의 군례 항목에 대한 통시적이고 철저한 분석 또한 요구된다. 특히, 오례 체계 내에서 군례가 갖는 고유성과 의의를 찾고, 군례 항목의 구성과 편제 내용 및 변화 양상 등도 함께 고찰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군례 세부 의식의 의주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은 앞으로 특히 활성화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되며, 기존 의주와 실제 운용된 행례 간의 간극을 파악하고 의례별 행례 빈도를 헤아리는 작업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례 연구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구분해서 서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이에 따라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분리하여 의례만의 기능과 특징을 밝히는 연구와 양측의 상호 연계성에 주목하여 변화하는 양상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오례 간의 연계 연구를 비롯해 군례를 통한 제도사․재정사적 연구와 음악․미술․복식 등 다양한 방면의 학제 간 연계 연구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consisted of Orye(五禮). It was Gilrye(吉禮), Garye(嘉禮), Binrye(賓禮), Gunrye(軍禮) and Hyungrye(凶禮). In Joseon, through national rituals, the king’s statu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were symbolically embodied. Among the Orye, the item that clearly shows the king’s ruling ritual was Gunrye. Gunrye visually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highest command of the military, along with the effect of establishing military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and emphasized the absolut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king. As interest in Joseon’s national rituals increases, various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but the research on Gunrye are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Joseon’s Gunrye research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Gunrye research and tasks to be promo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Gunrye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and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In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focused o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items of the Gunrye included in 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Orye of Sejong-Chronicle(世宗實錄), Gukjo-oryŭi(國朝五禮儀),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etc. In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Saŭi(射儀), Daeyeolŭi(大閱儀)-Gangmuŭi(講武儀), and Seonropoŭi (宣露布儀)-Hunkwekŭi(獻馘儀)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Gunrye studies,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the Gunrye should be supplemented. In addit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Gunrye items of the National Ritual Book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the work of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individual items of the Gunrye is judged to be a part that should be particularly activated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ware of in the Gunrye study is that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should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a study that reveal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lone by separating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s and a study that organ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wo side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linkage between Orye and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ancial history through Gunrye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clothing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조선전기 軍禮의 정비와 射禮의 의례화

        李旺茂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4

        이 논문은 조선시대의 軍禮가 중국 고대의 의례를 답습한 것만이 아니라 삼국시대와 고려를 이어 내려오던 전례도 함께 수용되었음을 밝혔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 射禮를 들어서 군례의 역사적인 정착과 의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의 군례는 국가의례인 오례의가 정착되는 성종대에 정비되었다. 군례가 국가 전례서에 공식적으로 오례의 하나로 포함되면서 군사의례가 완비되었다. 그러나 군례의 정비는 중국 고대의 예제와 고려시대까지 이어졌던 전통적인 부분 을 흡수하는 선에서 이루어졌다. 예컨대 중국의 예제는 『주례』의 오례 구조를 계승하였던 당대의 개원례를 도입 하였으며, 삼국시대의 예제를 계승한 고려의 오례 구도를 이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군례의 기원은 고려시대는 물론 삼 국시대와 주나라 및 당·송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그런 오랜 기간을 통해 정비되고 개선된 의례 형식이 가미되 어 정착되었던 것이다. 또한 조선의 군례에 활쏘기가 들어간 것은 조선왕조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었다. 조선초부터 활쏘기는 왕실은 물론 관료들 사이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 유교적 관점에서 활쏘기가 군자의 덕을 살필 수 있는 의례였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부분도 있으며, 태조를 이은 국왕들이 왕실내 전통적인 행사로 활쏘기를 이어간 것도 한 요인이었다. 활쏘 기가 習射와 觀射로 정비되면서 점차 의례적인 절차로 규정되었으며 결국 세종대 오례의에 포함되고 성종대 의례로 정 비되었다. 습사와 관사는 射禮儀로 정비된 이후에도 의례적인 시행만이 아니라 국왕들의 잦은 활쏘기에 맞추어 활발하게 거행되 었다. 다만 성종대 성균관 대사례가 정비된 이후 왕실의 활쏘기는 축소되었다. 특히 중종대 이후에는 국가적인 사례의 거행이 드물게 되었으며, 국왕이 활쏘기를 장려하는 것도 조선초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이점은 중종대 를 전후하여 문치를 강조하던 사림파의 정계 진출 이후 벌어진 일이라고 보인다. 중종 재위기간 내 국왕이 주재하는 활 쏘기가 2회만 거행되었다는 점이 그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국초부터 왕실의 장기이며 상무기질을 북돋기에 가장 용이한 방안이었던 射禮가 쇠퇴했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군례를 소홀히 다루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일 것이다. 따라서 조선초 군례의 정착과 사례의 정비는 상무적 기상이 강조되었던 시기를 기준으로 해서 그 변화 양상을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실제로 중종대 이후 잦은 왜변을 거치면서 상 무적인 군례의 시행이나 활쏘기는 권장되지 않았다. 오히려 왜란을 거친 뒤 새로 도입된 명나라의 군제에 맞추어 군례 가 변화되고 새롭게 정비되는 과정에서 무예가 강조되었다. 결국 조선전기의 군례는 그 정착 과정이 국가의례적 속성을 보이면서도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분히 依例的인 수준으로 변모되었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이점이 왜란과 호란을 겪게 될 조선의 딜레마였음은 물론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entered on the Ritualized of Royal archery as a national event led to the demonstration of military rites was settled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aims at considering of traditional of archery a Royal family and high position military people's. It was maintained as an system for both stability of royal family and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authority. As we know, since ancient times, the performance number of shooting arrows had been reduce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one more reason is, traditionally Royal family liked shooting archery. For example, King Taejong was very openly shooting archery to inside palace and outside field. He says the archery is a principal element of military persons. Anyhow, to the King Jungjong, many Kings played shooting archery. However, at that time, the Royal archery came from ancient Korea and Kingdom of Koryo.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Military rites will be established not just from ancient China. It specially called five manner of rituals. However, the rule of Confucianism to be Government police, archery ritual was declined. It's involved Curriculum of education. And this is related to the who got the new group of government authority. They are young confucianist. From there, the Confucianism manners, were to change of traditional of archery in Early Chosun Dynasty.

      • KCI등재

        英祖代 凱旋 儀禮의 整備와 그 意義 -『國朝續五禮儀』 「宣露布 ㆍ獻馘」 儀禮를 중심으로-

        신진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5 泰東古典硏究 Vol.34 No.-

        이 글에서 정리한 선노포 의례는 전쟁의 승리를 만방에 알리기 위해 비단 깃발(露布)에 승리를 고하는 글을 써서 알리는 것으로, 개선(凱旋)을 의미하는 의례이다. 그리고 선노포 의례와 함께 행해지는 헌괵 의례는 전투 과정에서 죽인 적의 수급이나 왼쪽 귀를 왕에게 바치는 의례이다. 선노포ㆍ헌괵 의례는 오례[吉ㆍ凶ㆍ賓ㆍ軍ㆍ嘉] 가운데 군례에 속해 있으며, 영조 연간에 『국조속오례의』가 편찬될 때 정식으로 국가 의례에 포함되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의 선노포․헌괵 의례가 어떤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으며, 어떤 형식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조선 초기에 『세종실록』 「오례」와 『국조오례의』가 정비될 당시 군례는 사례(射禮)를 중심으로 정비되었고, 출전과 개선에 관련된 의례는 정비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선 군례의 특징에 대해 밖으로는 명을 의식하고, 안으로는 장기에 걸친 평화로운 시대를 맞이했던 당대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 파악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외적으로는 임진 전쟁(1592)과 정묘․병자호란(1627․1636)을 거쳤고, 내적으로는 이괄의 난(1624)과 무신란(1728)이라는 대규모의 반란을 경험하였다. 뿐만 아니라 명이 멸망하고 청이 건국되면서 국제적 정세도 변화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전쟁․반란의 진압과 승리를 기념하는 선노포 의례가 정비되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당대의 분위기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조선의 선노포․헌괵 의례의 성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외부의 침입이 아닌 내부의 반란이었다. 조선에서 형식을 갖춘 선노포 의례와 헌괵 의례가 처음 행해진 것은 인조 2년(1624)에 발생했던 이괄의 난이 진압되었던 때였다. 하지만 인조 연간에 행해졌던 선노포 의례와 헌괵 의례는 당대에 국가 의례로 정식 편입되지는 않았다. 선노포ㆍ헌괵 의례는 다른 의례처럼 길일을 정하고 준비과정을 거쳐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행해졌기에 정밀한 절차의 논의 과정 없이 급하게 시행되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국조속오례의』에 수록되어 있는 선노포․헌괵 의례의 의주 또한 영조 연간에 무신란 진압 직후 실제 사용했던 것이 아니라 『국조속오례의』정비 단계에서 『대당개원례』와 『대명집례』를 바탕으로 개수하여 수록한 것이다. 영조 연간에 선노포․헌괵 의례가 정식 의주로 정비되어 국가 의례서에 수록되었다는 사실은 단순한 조선 군례 증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큰 반란을 두 번이나 경험하면서 임시방편적 차원에서 급하게 시행되었던 의례가 정식으로 수록되었다는 것은 사회적인 분위기의 변화가 국가 의례의 증설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반란을 진압하고 ‘의례’라는 형식을 통해 괴수의 말로를 만방에 보임으로서 왕의 위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려 했던 면모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출정과 개선 의례는 천자국의 의례임을 인식하여 의례서에 수록하지 않았던 조선 초기와는 달리 과감하게 승전과 개선 의례를 수록했다는 사실은 조선이 국제적인 천자ㆍ제후국 차원의 관계를 더 이상 의식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The Seonropo(宣露布) ritual was performed when the king’s army won and returned from the battle field to notify the people of their victory. To perform this ritual, they spread a wide silk flag, which looked like a scroll, and wrote down how they defeated the enemy. Additionally, the Hunkwek(獻馘) ritual, which was to offer an enemy’s cut head or ear to the king, was also performed. The Seonropo and Hunkwek rituals were included in the military ritual(軍禮). This ritual was included in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when it was published during the king Yeongjo period. This research identifies how the Seonropo and Hunkwek rituals were established in the Chosŏn period.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hen the 『Gukjo-oryeŭi(國朝五禮儀)』 was organized, military ritual was focused on an archery ceremony(大射禮) and did not involve an organized ritual for war or triumphant troops. In existing related research, this character of Chosŏn’s military ritual was the cause of conscious of Ming and the long duration of peace. However, in the later Chosŏn period, the era experienced not only the Imjin japanese War and Jungmyo·Byungja Invasion, but also suffered Lee Gwal(李适)’s Revolt and the Musin Revolt(戊申亂). Additionally, the Ming dynasty fell and the Ching dynasty was founded. This atmosphere influenced organized military rituals in the later Chosŏn period.

      • KCI등재

        고려시대 견장출정의(遣將出征儀) 및 사환의(師還儀)의 성립과정과 내용

        한정수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0

        This study dealt with three research tasks in a broad sense. The first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litary rit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volume 'military rites' of 「Yeji(예지)」.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contents and actual case of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and thereby attempt to understand what ritual procedures and operation occurred. The final task is to examine the contents, cases and operational methods of Sahwaneui(師還儀) paired with the rites of going into battl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Goryeo Dynasty organized the military rites ritualizing the military control by administering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by means of courtesy and dignity for the purpose of their assimilation. The military rites in Goryeo Dynasty were composed of Gyeonjangchuljangeui(遣將出征儀), Sahwaneui(師還儀), Guilwolsikeui(救日月食儀) and Gyedongdaenaeui(季冬大儺儀). But it is judged that the actual rites differed from the military rites of 『Goryosa(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First of all,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were equipped with the ancestral rites for a successful war such as Ryu(類), Eui(宜), Jo(造) and so on. The Goryeo Dynasty enhanced the dignity of the holy royal authority by performing the rites for taking and returning battle-axes and halberds(斧鉞) at Gyeongryeongjeon(景靈殿) with the king at the center through Gyeonjangchuljeugeui(遣將出征儀) and Sahwaneui(師還儀) probably organized in the reigning period of kings Yejong and Injong. In particular, Sahwaneui(師還儀) again reinforced subjects' loyalty towards its royal family and kings of the Goryeo Dynasty by symbolizing the facet of sharing virtues with the king at the center by means of dance(舞蹈), Seonggunmanbok(聖躬萬福), Seonji(宣旨), Seonropo(宣露布). Seonsajusik(宣賜酒食) and so on. It mirrored the aspect of sharing the triumphant joy with those making a triumphant return from the battle. 본 연구에서 대상과제로 삼은 것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군례의 의미와 「예지」 군례편의 구성 등에 대한 검토이다. 다음은 견장출정의의 성립과 내용, 실제 사례 등을 검토하여 어떠한 의례절차와 운영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이해 시도이다. 마지막으로는 출정에 따른 의례에 짝하는 것으로서 ‘사환의’의 내용과 사례, 그리고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를 정리이다. 이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에서는 국내외를 예 및 위엄으로 다스려 동화(同和)하기 위해 치군(治軍)을 의례화한 군례(軍禮)를 정비하였다. 군례에 정리된 것은 견장출정의(遣將出征儀)․사환의(師還儀)․구일월식의(救日月食儀)․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였다. 그렇지만 실제 의례는 『고려사』의 군례와 달랐다 판단된다. 먼저 견장출정의와 관련해서는 류(類)․의(宜)․조(造) 등의 승전을 위한 제사를 갖추고 있었다. 대략 예종 및 인종 대에 정비되었을 견장출정의와 사환의를 통해 고려는 경령전(景靈殿)에서의 부월(斧鉞) 출납과 환납을 국왕을 중심으로 행함으로써 신성한 왕권의 권위를 높였다. 특히 사환의에서는 국왕을 중심으로 그 덕을 나누는 면을 무도(舞蹈)나 성궁만복(聖躬萬福), 선지(宣旨) 및 선로포(宣露布)․선사주식(宣賜酒食) 등으로 상징화하여 재삼 고려 왕실과 국왕에 대한 신종(臣從) 의식을 강화하였으며, 개환(凱還)한 이들과 그 기쁨을 나누는 동락(同樂)의 면이 반영되었다.

      • KCI등재

        신라의 軍禮 수용과 王權

        채미하(Chai Mi-ha) 한국사연구회 2010 한국사연구 Vol.149 No.-

        In this thesis, how gunrye had been adopted after unified Silla society and what had king of Silla pursued by various military ceremony was examined. First, the society of Silla had changes in many systems relating to militancy before and after unifying the kingdom, and the military ceremony must have been changed too. Especially Daeyeol and 'Gwansa' ceremony and the rites for Seonjocheong which was the triumphal returning ceremony in king Moonmoo's period could had been influenced by Goonrye, the military ceremony of China. The unified Silla could had adopted 「Gaewonrye」 followed by continuing interchanges with China. Accordingly though there must had been various military ceremonies in Silla after unification, 'Gwansa' ceremony and Daeyeol had been the main facts of military ceremony and they could be compared with Hwangjekangmu, Hwangjegwansawoosagung of 「Gaewonrye」. Meantime, king Heongang had performed a royal tour, 'Gwansa' ceremony, and the military ceremony called 'Ryeop' in his 5th year. Especially 'Ryeop' had been replaced for daeyeol of the previous king and could be compared with Hwangjejeonsoo. Ryeop of king Heongang had been not only the military drill in the actual fighting where the beasts caught had been contributed in Jongmyo but also by which men of ability had been appointed. King Heongang had intended to break up the difficulties around his accession and put up royal authority. 'Ryeop' was the apex while it acted the grand finale of the ceremonies at king Heongang 5 years.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of those period had been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eremonies at king Heongang 5 years.

      • KCI등재

        홍무연간 軍禮정비와 錦衣衛의 역할

        金暻綠 ( Kim Kyeong Lok ) 명청사학회 2022 명청사연구 Vol.- No.58

        During the Hongwu period, he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the conduct of many wars, the Improvement of Military Polite, political activities, and various compilations. Hong-wu emperor ac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expanding his power and founding an empire called Ming. Unlike other military leaders, Hong-wu emperor won the war, established administration system, and solved various trouble with his times. After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the demand for war increased, and a larger army was sent to the conquest army. The way the emperor, who does not directly participate in the war, emphasizes his loyalty to a large army is to look for the traditional Rite system. That's military polite. Hong-wu emperor entrusted the role of guarding the military polite to the guard unit Gongweisi(拱衛司) and Yiluansi(儀鸞司).

      • 『국조오례의』에 나타난 군례 복식

        박가영(Ga-Young Park)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13 아시아민족조형학보 Vol.12 No.-

        This is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s of seven kinds of military ritual which is written in 『Gukjo-oryeui(國朝五禮儀, National Book on the Five Rituals)』. Through this study military ritual and ritual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will be well-understood. In the Archery contest ritual such as Sausadanui, Gwansausadanui, and Hyangsaui, king and courtier wore Sangbok(daily official clothes). In the military training such as Daeyeorui and Gangmuui, they put on Sangbok or Pyeonbok depending on the occasions. In the religious service at solar eclipse which is called Guilsigui, they wore white clothes for express careful attitude. In the exorcism ritual which is called Gyedongdaenaui, the exorcists put on masks and red cloth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despite being associated with military rituals, they did not necessarily wear military costumes. Second, the concept of Gibok in Gyedongdaenaui should be expanded. Third, they often changed clothes for one ceremony. Therefore several kinds of document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사용자 참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이터 전송 연계 및 딥러닝 대사증후군 예측 모델

        이현식(Hyunsik Lee),이웅재(Woongjae Lee),정태경(Taikyeong Je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20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5 No.6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헬스케어 도메인에 급증하여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신 첨단 기술이 실제 메디컬 환경에서 개인의 질병예측이라는 관점을 바라본다. 사용자 참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임상 데이터와 유전자 데이터,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병합하여 데이터를 수집, 처리, 전송하는 과정을 걸쳐 딥뉴럴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학습모델의 제시와 피드백 모델을 연결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이러한 첨단 의료 현장에서 일어나는 메디컬 IT의 임상시험 절차를 걸친 실제 현장의 경우 대사 증후군에 의한 특정 유전자가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과 더불어 임상 정보와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병합하여 서로 각기 다른 이종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질병의 특이점을 확인하게 된다. 즉, 이종 데이터의 딥뉴럴 네트워크의 객관적 적합성과 확실성을 증빙하게 되고 이를 통한 실제 딥러닝 환경에서의 노이즈에 따른 성능 평가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자동 인코더의 경우의 1,000 EPOCH당 변화하는 정확도와 예측치가 변수의 증가 값에 수차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증명하였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perspective that the latest cutting-edge technologies are predicting individual diseases in the actual medical environment in a situation where various types of wearable devices are rapidly increasing and used in the healthcare domain.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data by merging clinical data, genetic data, and life log data through a user-participating wearable device, it presents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learning model and the feedback model in the environment of the Deep Neural Network. In the case of the actual field that has undergone clinical trial procedures of medical IT occurring in such a high-tech medical field, the effect of a specific gene caused by metabolic syndrome on the disease is measured, and clinical information and life log data are merged to process different heterogeneous data. That is, it proves the objective suitability and certainty of the deep neural network of heterogeneous data, and through this, the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oise in the actual deep learning environment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encoder, we proved that the accuracy and predicted value varying per 1,000 EPOCH are linearly changed several times with the increasing value of the variable.

      • KCI등재

        조선시대 국왕의례에 대한 연구 – 강무(講武)를 중심으로 –

        정재훈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This study is about the royal ritual Gangmu. Gangmu is one of the Orye(五禮), and ritual that is subject to Gunrye(軍禮). Gangmu ritual is very important in the defense of a country. But the performance number of Gangmu had been reduced seriously in the middle Choson dynasty.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ere was the fact that the status of king had gone through a lot of change. In Gangmu, it adopted the form of hunting, but had its military exercise. If the enforcement of Gangmu was carried out by King, the authority of king revealed itself. There was reason to be certain about its decrease. The main cause of changes was appearance of sarim(士林) and the request for the king. In late Chosun Gangmu was carried out mainly with Yeolmu(閱武) without hunting. And it were closely connected Neunghang(陵幸) that was king's ceremonial walk. This characteristics were connected with the king who were Y대ngjo(英祖) and Jeongjo(正祖). 본고는 조선시대 국왕의례 가운데 하나인 강무(講武)에 대한 연구이다. 강무는 오례(五禮) 가운데 하나로서 군례(軍禮)에 속하는 의례이다. 국왕이 직접 행하는 이 강무 의례는 국가를 무(武)로써 지켜야 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의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 활발하게 시행되었던 이 의례가 조선 중기로 오면 급격하게 시행 횟수가 줄어들게 되었다. 국왕의 의례 가운데에서도 핵심적인 의례라고 볼 수 있는 강무 의례가 이렇게 드물게 시행된 배경에는 국왕의 위상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강무는 사냥을 하는 형식을 취하였지만 군사 훈련의 성격이 강하였고, 국왕이 주체가 되어 위엄 있게 치러진다면 그만큼 국왕의 권위를 드러낼 수 있는 측면이 강했다. 강무가 줄어드는 데는 바로 이러한 것이 이유가 될 수 있다. 즉 무(武)적인 요소보다 문(文)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사림의 등장과 그에 따라 국왕에게 성리학적 교양이 요청된 점이 중요한 변화의 요인이었다. 여기에 더해 장기간에 걸친 평화가 지속된 점도 배경이 된다. 조선후기에는 강무가 조선전기에 사냥과 군사훈련이 결합된 형태와는 다르게 사냥이 생략된 채로 열무(閱武) 위주의 행사로 치러졌다. 또 이는 국왕의 행차인 능행(陵幸)과 연결되었다. 이런 점은 영조와 정조 같은 탕평국왕들이 조선 초의 제도 회복을 통해 국왕의 권위를 높이려고 하였던 지향과 연결된다. 다만 조선 초의 제도와 반드시 같아질 수 없었던 것은 역시 조선 중기를 거치며 강무 제도 자체가 약화된 점에서 기인하며, 이를 완전하게 회복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軍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혜민 ( Yun Hye-min )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100 No.0

        During th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consisted of Orye(五禮). It was Gilrye(吉禮), Garye(嘉禮), Binrye(賓禮), Gunrye(軍禮) and Hyungrye(凶禮). In Joseon, through national rituals, the king’s statu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were symbolically embodied. Among the Orye, the item that clearly shows the king’s ruling ritual was Gunrye. Gunrye visually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highest command of the military, along with the effect of establishing military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and emphasized the absolut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king. As interest in Joseon’s national rituals increases, various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but the research on Gunrye are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Joseon’s Gunrye research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Gunrye research and tasks to be promo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Gunrye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and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In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focused o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items of the Gunrye included in 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Orye of Sejong-Chronicle(世宗實錄), Gukjo-oryŭi(國朝五禮儀),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etc. In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Saŭi(射儀), Daeyeolŭi(大閱儀)-Gangmuŭi(講武儀), and Seonropoŭi (宣露布儀)-Hunkwekŭi(獻馘儀)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Gunrye studies,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the Gunrye should be supplemented. In addit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Gunrye items of the National Ritual Book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the work of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individual items of the Gunrye is judged to be a part that should be particularly activated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ware of in the Gunrye study is that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should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a study that reveal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lone by separating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s and a study that organ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wo side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linkage between Orye and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ancial history through Gunrye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clothing should be s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