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時調에 나타난 국화[菊]의 심상

        조태성(Jo Tae-seong) 한국시조학회 2007 시조학논총 Vol.27 No.-

        국화는 흔히 四君子라 일컬어지는 식물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국화는 우리 문화 영역에서 이러한 식물 중 梅ㆍ蘭ㆍ竹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다. 文人畵의 경우에 이러한 편중 양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그러나 문학의 영역, 특히 시조 장르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반대로 나타난다. 국화는 매화와 더불어 우리 시인묵객들의 아주 친근한 제재가 되어 왔던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국화의 모습에 대해 특히 우리 시조문학 안에서 그 형상과 상징 등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국화가 지닌 문학적 의미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화 관련 시조 41수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우리 시조 문학에 나타난 국화의 형상을 분류해보았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그것이 가지는 심상을 천착해봄으로써 국화 시조에 대한 나름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첫째, 傲霜孤節의 상징으로서의 국화와 둘째, 계절 흥취의 표상으로서의 국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女節과 終末의 상징으로서의 국화의 변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화의 이러한 모습 중 대부분의 시인묵객들은 작품 속에서 계절 흥취의 표상으로서 국화를 다루었음을 논구할 수 있었다. 이는 국화를 제재로 차용한 작품의 장르적 성격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즉, 시조라는 장르 자체가 ‘唱’과 관련하여 흥취적 성격을 다분히 가지고 있는 만큼, 이와 결합할 수 있는 장르적 특성이 국화가 가진 계절적 흥취와 부합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A chrysanthemum[菊] is one of plants that be called 'Sagoonja[四君子]. But, it was not seemed to a clear figure on this plants in the domain of our culture. In the case of Mooninhwa[文人畵], this aspect of concentration is notable. However this aspect shows in the domain of literature, specially Si-jo. A chrysanthemum have been a theme of our poet with an maehwa blossom.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literature at the three points of view through looking into a chrysanthemum's types and symbols. For this examination. 1 took Sijo works(41) to this study's object, and classified the types of a chrysanthemum seemed to our Si-jo literature. And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to its symbol, I wanted to the significance of a chrysanthemum in Si-jo works. Therefore I could to confirm the types of the chrysanthemum as the symbol of Osanggoieol [傲霜孤節], the interest of a season. the Yeojeol[女節], and an end[終末]. Also, I understood that the most poet treated a chrysanthemum as the symbol of he interest of a season in their works.

      • KCI등재

        한국 한시에 나타난 국화의 의미

        이동재 ( Dong Jae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본고는 우리나라 한시에서 국화가 어떤 이미지로 인식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지어진 시 가운데, 이를 ‘고결한 인격의 승화물’, ‘음주와 교유의 매개물’과 ‘가을 절서의 인식물’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화는 가을을 대표하는 꽃으로서 외면적 자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고정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즉 가을 서리 속에서 꽃을 피우는 국화는 절개와 함께 은자를 상징한다. 이후 문인들에게서는 도덕적 상징으로 선비로서 가져야 되는 하나의 관습적 상징이 되었다. 국화가 갖는 은일적 상징과 도덕적 상징은 우리나라의 문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문인들은 다음과 같은 이미지로 이를 시화하고 있다. 첫째, ‘고결한 인격의 승화물’로 인식하였다. 유학의 영향을 받은 우리 선조들은 벼슬을 그만둘 때에는 자연에 은거하면서 도연명처럼 집안에 국화를 손수 심어서 가꾸었다. 이는 국화가 세찬 바람과 된서리 속에 고고한 자태를 드러내고, 절개를 굳건히 지키는 지사나 충신의 상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인들은 국화를 손수 심고 가꾸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이를 문학의 소재로 차용하여 자신의 고고한 절개, 지조 등을 표현하였다. 둘째, ‘음주와 교유의 매개물’로 인식하였다. 가을날 국화 옆에서 국화주를 마셨다는 이야기는 굴원의 『이소(離騷) 』에서 출발한다. 이후 한자문화권에서는 9월 9일 중양절에 국화 아래에서 술동이를 두고 술을 마시는 일을 국화준(菊花樽)이라고 하였으니, 일상화된 행사였다. 우리 선조들은 국화를 감상하기 위해 국화주를 마시고, 국화꽃 감상을 핑계로 친구들과 교유를 하였으며, 또는 달밤에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국화를 감상하며 홀로 국화주를 마시고, 이때의 심회를 국화에 붙여 시화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국화는 가을을 상징하는 국화와 음주의 배경으로 노래된 국화와는 그 차별화의 경계가 매우 모호한 관계에 있다. 셋째, ‘가을 절서의 인식물’로 인식하였다. 한자문화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자연물, 특히 꽃과 같이 사람들과 친숙한 사물의 변화를 통해 표현하였다. 국화는 음력 9월을 국월(菊月), 국령(菊令), 국추(菊秋)라고 하였듯이 가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또한 가을의 이미지는 결실과 시들어 감[죽음]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시인묵객들은 가을을 통해 환희와 공허감을 동시에 느낀다. 그러므로 국화의 이미지는 화자의 처한 위치나 심리상태에 따라 환희와 공허감을 동시에 갖고 있다. Chrysanthemum is a flower representing fall and has not only beauty in exterior look but also a fixed image. In other words, it symbolizes a hermit with fidelity as a flower blooming in autumn frost. Afterwards, it has been a conventional symbol of morality that a classical scholar should have. The symbolism of chrysanthemum as recluse and morality has made great effects on writers in Korea and they have reflected it in their poetry as follows. First, they perceived chrysanthemum as ``Sublimate of noble personality.`` Our ancestors affected by Confucianism grew chrysanthemum at home while living as a hermit in the nature when they left offices like Tau Yan Ming. It is because chrysanthemum has symbolized loyalty of loyal subjects and patriots to keep fidelity as showing its noble look in wild wind and frost. Additionally, writers not only grew chrysanthemum but also used it as a subject of their literature to express their npb;e fidelity and loyalty. Second, they perceived it as ``a medium of drinking and friendship.’The origin of drinking chrysanthemum wine beside chrysanthemum flowerbed in an autumn day tracks back to 『Iso(離騷)』. Afterwards, on Jungyangjeol (the ninthday of the ninth lunar month) people drink wine keeping wine container under chrysanthemum in Chinese cultural zone making it as an customary event called kukhwajun(菊花樽). Our ancestors drank chrysanthemum wine to appreciate chrysanthemum, interacted with friends appreciating chrysanthemum, appreciated chrysanthemum to deal with loneliness at the moon night, and wrote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for chrysanthemum.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distinguish chrysanthemum symbolizing autumn from that as background of wind drinking. Third, they perceived it as ``a representative node order in autumn.`` In Chinese cultural zone, people usually express seasonal changes as changes in the nature such as flowers which are familiar with people. Chrysenthemum (Kukhwa in Korean) is the representative flower of fall calling the ninth lunar month as Kukwol, Kukryeong and Kukchu. Additionally, as autumn had images of harvest and being withering [death], poets and painters felt delight and hollowness together in fall. Therefore, the image of chrysanthemum has delight and hollownes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sychology of the speaker.

      • KCI등재

        국화(菊花)꽃의 이미지 연구 -미당의 「국화(菊花) 옆에서」를 중심으로-

        김흥년 ( Hung Nyu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미당의 사후 창작과 비평사 의 인터넷 게시판에 「국화 옆에서 」에 나오는 ‘국화꽃’의 젠더가 여성인 것이 문제라며 꼬투리를 잡아, ‘국화꽃’은 ‘일왕(日王)’의 문장이라서, 이 ‘국화꽃’을 노래한 미당의 시는 친일시라는 그런 엉뚱한 주장을 하는 게시물이 있었다. 필자는 이 게시물에 대한 반론을 쓰다 어느새 전례 없는 ‘국화꽃’에 대한 원형 상징 해석의 논문으로 발전시키게 됐다. 이 소론은 자료를 많이 언급한 논문의 반론 형식이었기에 대상 논문의 잘못된 자료 해석을 골라만 내도 엄청난 분량이 될 수 있었다. 필자는 그 중에서 논지를 무색하게 할 만한 오해들만 집어내 다루었다. 우선 ‘국화꽃’이 우리네 전통 속에서 지조와 절개의 상징일 뿐, 남녀를 구별하지는 않았음을 사례를 들어 밝혔고, 꽃의 젠더는 모두 여성일 수밖에 없음으로, ‘국화꽃’을 미당 자신으로 보는 기존 연구들도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의 핵심은 ‘국화’를 노래한 미당의 다른 시들을 예로 들어 ‘국화꽃’이 미당의 아니마(anima)의 한 모습임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화꽃’의 발화 과정을 입문(initiation)이란 재생신화의 구조에 대입해 풀이했다. 결국 많은 기존 연구들이 ‘국화’와 ‘국화꽃’의 차이, 옛글에서는 ‘菊’과 ‘菊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문제에 대한 유명 문인들의 비평 행위에서조차 글 읽기와 쓰기 공히 문제였다. 또 미당의 이 시에서 ‘거울’의 역할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오인하는 문제점도 살폈다. ‘거울’은 여기서 ‘누님’의 여성성을 조금 부각시키는 것 외 다른 역할은 못한다. 끝으로 이 글은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척결도 급박한 사안이지만, 「국화 옆에서」처럼 이미 공과(功過)가 밝혀진 대상을 차별 없이 한꺼번에 과(過)로 몰아넣는 행위가, 특히 문학 비평의 이름으로 자행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비평의 칼날은 정의의 칼날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After Jung Joo Seo`s death, there was an article o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of the publisher “Creation and Criticism”, saying absurdly that ‘Beside a chrysanthemum’ is a japanophilie poem, missing Japanese king(日皇), on the pretext of a gender of ‘chrysanthemum flower’. This treatise has evolved as one of archetypal symbolic interpretations from an objection that I raised to the above article. I proved that a chrysanthemum is only a symbol of devotion and fidelity in our tradition,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male and female. I found that the previous investigations saying the ‘chrysanthemum flower’ was poet Seo himself, were wrong, because a gender of all the flowers are female. The key point of this treatise is to claim that the ‘chrysanthemum flower’ is one aspect of poet Seo`s anima, after investigation of his poems singing the ‘chrysanthemum flower’ and other flowers. For that purpose, I compared a blooming process of ‘chrysanthemum flower’ with the structure of Rebirth myth called Initiation and explained it. The fact became known that many existing studies had not consider seriously the difference between 국(菊)(chrysanthemum) and 국화(菊花) (chrysanthemum flower), the difference between (chrysanthemum) and (‘chrysanthemum flower’) in the old writings. On this issue, even famous critics had problems in writing and reading. Also I explored that the role of ‘mirror’ was exaggerated or mistaken. Here, the ‘mirror’ emphasizes a feminity of ‘older sister’, and could not play any other role. When the poem is completed, the ‘mirror’ seems to be interpreted as a symbol of versification. Finally, this treatise says that a punishment of betrayers is not only an urgent issue, but also a false accusation and distortion of already identified merits and demerits must not be carried, especially in the name of literary criticism. A blade of criticism has to be a blade of justice. While writing, a critic always should retrospect that himself is correct. Because it`s true the crooked eyes can not reflect a target properly.

      • 근대 호남지역 묵국도와 민화 국화도 연구

        우홍철(Woo Hong Chul)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4

        이 연구에서는 근대 묵국도(墨菊圖)와 민화 국화도를 고찰함으로써 근대 국화도의 두 갈래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래전부터 국화는 군자(君子)·은자(隱者)의 상징물이자 무병장수와 불로장생의 상징물로 인식되어 묵국도와 민화 국화도로 그려졌다. 묵국도는 조선후반기인 약 18세기부터 성행하기 시작하였고 19세기에 이르러 그 수요와 제작이 절정에 이르렀다. 약 2세기동안 묵국도는 한국만의 전통양식의 형성과 발전,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전형양식을 형성하였다. 묵국도의 전통은 근대 화단으로 이어져 서화가들의 꾸준한 후학양성과 사승관계를 통해 전통이 계승되었다. 특히 호남지역 화단에서 19세기 묵국도의 연장선으로 여겨질 만큼 전통적인 묵국도 전통양식의 이행과 계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주목된다. 호남지역 묵국도는 크게 전북지역과 전남지역으로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다. 전북지역에서는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1841-1910)의 법고창신(法古創新)과 시서화일치(詩書畵一致)와 문인화론에 기조(基調)하여 담묵의 강한 필치의 묵국도와 서(書)와 화(畵)을 접목한 자유분방한 필치의 묵국도가 그려졌다. 전남지역은 소치(小癡) 허련(許鍊, 1809-1892)의 위세에 힘입어 그의 국화의 구체적 표현과 수묵의 청아함을 바탕으로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전통적인 문인화풍의 묵국도가 그려졌다. 민화에서도 국화는 그려졌다. 민화 국화도는 다른 종류의 꽃들이나 문방구, 한 쌍의 새, 나비 등 부부의 금슬(琴瑟)과 화목함의 상징물과 조합을 이루고 있으며, 주로 화훼화나 화조·영모화 또는 책가도 형식의 작품들과 구성된 병풍으로 제작되어 실용적인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는 주 수요층이 서민계층인 만큼 수요층의 요구에 따라 불로장생과 장수의 영원함을 더 내비추어 그 길상의 기운을 받기 바램이 있었기 때문이다. 양식적인 면에서도 살펴보면 국화의 짙은 채색과 단순하면서도 과장되었으며, 한 쌍의 새와 나비 등과 조합으로 장식적인 측면이 돋보인다. 특히 민화 국화도의 국화는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국보(菊譜)」에 실린 국화삽화와 상당히 유사해 살핀 묵국도와 화법의 연관성이 주목된다. 이러한 공통점은 국화를 그리고자 했던 문인화가 및 서민화가들이 꽃의 표현을 중요시하는 국화화법의 높은 난이도와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화보(畫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이에 중심소재인 국화의 표현은 양 국화도에서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wo trunked aspects of modern chrysanthemum paintings by examining modern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墨菊圖) and Minhwa chrysanthemum paintings. From a long time ago, chrysanthemums were recognized as a symbol of the noble(君子) – the seclusive(隱者) as well as a symbol of longevity without disease and longevity without aging, and were painted in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and Minhwa chrysanthemum paintings.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began to flourish in the late Joseon period, around the 18th century, and in the 19th century, their demand and production reached their peak. For about two centuries,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formed a typical style through the process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change of traditional Korean styles. The tradition of Joseon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led to the modern painting circle. In particular, in the Honam region painting circle, the transi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style of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which is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he 19th century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is remarkable and attracts attention. Honam region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ose of Jeonbuk region and those of Jeonnam region. In the Jeonbuk region, based on Lee Jeong‐jiks(李定稷, 1841‐1910) Beopgochangshin(法古創新) and poetry‐phrase‐painting‐consistence(詩書畵一致) and literati painting theory,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were drawn with freehand brush strokes were painted by combining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with strong brush strokes of light ink with calligraphy(書) and paintings(畵). In the Jeonnam region, based on the specific expression of chrysanthemum and the elegance of Indian ink, owing to the power of Sochi(小癡) Huh Ryun(許鍊, 1809‐1892),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in the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 style with an antique atmosphere were drawn. In Minhwa the chrysanthemum was also painted. Minhwa chrysanthemum painting is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flowers, stationery, a pair of birds, and other symbols of deep bond(琴瑟) and harmony between the couple, and mainly produced as a folding screen composed of producing its practical character. This is because, as the main consumers were from the low‐income class, there was a desire to receive the auspicious energy by exposing longevity without aging and the eternity of longevity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onsumers. From a stylistic perspective, the deep coloring of chrysanthemum is simple yet exaggerated, and a pair of birds and a combination with butterflys stand out for its decorative aspect. In particular, Minhwa Chrysanthemum Paintings the shape of chrysanthemum is very similar to the chrysanthemum illustrations published in 『Gaejawonhwajeon(芥子園畵傳)』 「Chrysanthemum Records(菊譜)」, which draw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hrysanthemum paintings in ink with light color in the painting method. These common points are that with the high difficulty of the chrysanthemum painting method, valuing the expression of flowers, the literati painters and commoner painters who wanted to draw chrysanthemums in the process of solving it, were believed to be due to the high dependence on painting records(畫譜), and therefore the expression of chrysanthemums, the central material, showed the same appearance in both Chrysanthemum Paintings.

      • KCI등재

        재미작가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 나타난 국화의 심상 - <신한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

        김아연 ( Kim A-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4

        재미작가이자 독립운동가인 홍언(洪焉, 1880∼1951)은 1917년부터 1947년까지 295수에 달하는 시조를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의 기관지인<신한민보>에 발표하였다. 그 가운데 국화를 소재로 하는 시조는 1940년에 2수, 1941년 5수, 1942년에 1수, 1943년에 1수, 1945년에 4수, 1946년에 10수 등 총 23수가 있다.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는 `절개와 인고`, `가을 정취와 풍요로움`, `사멸과 재탄생`을 표상하고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가 상징하는 `절개와 인고`는 절개를 지키되, 속세를 떠나지 않고 현실에 참여하는 지사의 모습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가 표상하는 `가을 정취와 풍요로움`은 홍언 시대 이전의 국화 소재 시조에 나타난 국화의 계절적 표상을 계승하고 있다. 셋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는 홍언시대 이전의 국화 소재 시조와 달리 `사멸`을 상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재탄생`을 은유함으로써, 그 심상을 외연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홍언은 국화의 표상을 통해 자신의 서정성을 강조하고자 시조 양식을 선택하였다. 둘째, 재미작가인 홍언은 국내 시조문단과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국화 소재 시조를 발표함으로써, 국화 소재 시조의 창작적 전통을 계승하고 국화의 심상을 발전시켰다. 셋째, 홍언이 국화소재 시조를 창작하는 행위는 그가 비록 이민자이지만 한국인의 정체성을 간직하고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저항하는 지사적 삶을 지향하는 태도에서 시도된 것으로 추정된다.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ng Eurn (1880∼1951) was a first-generation ethnic Korean in the United States. He worked as a Korean-American writer at The New Korea (Sinhanminbo; founded in 1909), and wrote sijo, gasa, Chinese-letter poems, novels, plays, and literary reviews for The New Korea. This paper has examined Hong Eurn`s sijo based on chrysanthemum dealt with at The New Korea, which reported the chrysanthemum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this paper has figured out that the chrysanthemum traditionally symbolized “constancy and endurance.” He emphasized that people keep their constancy when they were resisting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engag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is, constancy and endurance had been incorporated in his experiences with which he fought against Japan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econdly, this paper has explored “an autumn flavor and the richness”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hrysanthemum. An autumn flower, the chrysanthemum has heightened excitement of season. And the chrysanthemum has co-existed with liquor, the moon, and friends. So “an autumn flavor and the richness” has followed the tradition of Korean sijo. Thirdly, this paper has proved “the death of the chrysanthemum” is converted into “the rebirth of the chrysanthemum.” This paper, thus, has found that “the rebirth” of the chrysanthemum is shown only in Hong Eurn`s sijo.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several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s described above. Firstly, Hong Eurn chose the form of sijo to express his lyricism through the image of chrysanthemums. Secondly, he developed a unique form of chrysanthemum image, he deviated himself from the conventional Korean literary circles. Finally, he wrote sijo based on chrysanthemums in order to preserve his Korean identity and pursue his life of a patriot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ts.

      • KCI등재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한 마산 국화축제이미지 분석

        강인호,서상윤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마산 국화축제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과 관광객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시작되었다. 마산국화축제 방문객과 미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화축제에 대한 인지도와 이미지, 정체성, 입장료 지불 의향 및 금액을 살펴보았고, 다차원척도법을활용하여 국화축제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을 시각화하였다. 조사결과 마산국화축제는 차별화, 지역문화반영, 고유프로그램 등에서 저조한 수준으로 인식되어 있었다. 그리고 마산국화축제에대한 관광객들의 인식은 평범하고, 단순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이러한 마산국화축제의 이미지개선 방향은 역동적이며, 최신의 세련되고 화려한 축제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마산국화축제에 대한 인지도에 있어서는 경남지역 거주자와 비교하여 경남 외 지역 거주자의 경우매우 낮게 나타났고, 국화축제의 입장료에 대한 지불 의도 또한 낮았다. 따라서 향후 국화축제의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마산국화축제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고유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매화시(梅花詩)․국화시(菊花詩) 연구 - 주제의식 양상을 중심으로 -

        권진옥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As a part of Doam(陶菴) Leejae(李縡)’s literature research, this paper focuses on poetry that he sang plum blossom and chrysan themum. The character of yeongmulshi(詠物詩) can be defined as takmuluui(託物寓意), this value is to express the ultimate reason through rhetorical methods. However, it is not that the all of yeongmulshi(詠物詩) are pursuing the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author is expressed and displayed in a confidential way. Here, the literary value of yeongmulshi(詠物詩) can be found.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symbolically expressed his ideological orientation, impressed the reader clearly, expressed his own inner consciousness, and comforted himself.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find the literary value of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In short,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have maintained the attitude of the seeking the truth through the objects and unified with the objects, making them the means of self-pity and self-examination. Therefore he pursued both the ideological and literary values ​​of yeongmulshi(詠物詩), Throughout his lifetime, he created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works ha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time of retirement until later years. He created a short form poem rather than a serial poem, and chose jeolgusi(絶句詩) and yulsi(律詩). Though it is not a perfect serial poem format, there are many works that are created in succession. In the last chapter, I examined the theme consciousness of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respectively studied in terms of ‘seeking the truth through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self-pity and self-examination through personification'. His plum blossom poetry and chrysanthemum poetry can be defined as moral and ethical yeongmulshi(詠物詩), in terms of seeking the truth through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self-pity and self- examination through empathy and unification. 본 논문은 도암(陶菴) 이재(李縡, 1680-1746)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그가 매화와 국화를 노래한 한시에 주목한 글이다. 우선 매화시(梅花詩)와 국화시(菊花詩)가 영물시(詠物詩)로서 어떠한 이념적 사유를 지향하고 어떠한 문학적 가치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영물시의 성격은 탁물우의(託物寓意)로 규정할 수 있고, 그 가치는 『시경(詩經)』의 비흥(比興)과 같은 수사적 방법을 통해 지극한 이치를 천명하는 데 있다. 그렇다고 영물시가 하나같이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정신을 추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작자 자신의 내면의식을 영물의 대상을 통하여 내밀하고 핍진하게 표출하기도 하는데, 이 지점에서 영물시의 문학적 가치를 포착할 수 있다.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는 문예미로 통칭되는 시의 기교나 수사를 통해 영물의 대상을 형상화하는 측면에서는 그 문학적 가치를 찾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재의 도학적인 매화시와 국화시는 영물의 대상을 통해 자신의 이념적 지향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어 독자로 하여금 분명하게 이해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의식을 내밀하고 핍진하게 표출하여 스스로를 달래고 성찰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요컨대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는 영물의 대상을 통해 구도의 자세를 견지하거나 영물의 대상과 일체화하여 자기 연민과 성찰의 수단으로 삼는 등 영물시의 이념적 가치와 문학적 가치를 모두 추구하였다. 2장에서는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를 개괄하였다. 이재는 총 45작품[38題45首]의 영물시를 창작하였는데, 이 가운데 매화와 국화를 노래한 작품은 총 25작품[21題25首]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창작시기를 보면 생애 전반에 걸쳐 창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1728년 용인(龍仁) 한천동(寒泉洞) 은거시절부터 만년에 이르는 동안 작품의 수가 차츰 늘어나서 1740년 이후에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형식적으로는 연작시(連作詩)보다는 단형시(短形詩)를 주로 사용하였고, 절구시(絶句詩)와 율시(律詩)를 골고루 선택하였다. 특정 대상을 접하고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감흥과 의식을 읊는 영물시의 성격상 율시보다는 절구시를 선호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재는 수십여 구를 할애하며 지은 배율(排律)을 다수 창작할 만큼 율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완정한 연작시 형태는 아니지만 시기적으로 연이어 지어진 작품들이 다수 보인다. 3장에서는 이재의 매화시와 국화시의 주제의식 양상을 ‘자연의 섭리를 통한 구도의 자세’와 ‘의인화를 통한 자기 연민과 성찰’의 측면에서 각각 규명하였다. 이재는 매화의 속성에 기인하여 자연의 섭리를 체득하기를 기대하기도 하고, 매화를 통해 촉발된 자연의 섭리 자체를 체화하여 거기에 순응하는 자세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국화를 노래한 한시에서는 국화의 속성을 통한 구도의 자세를 형상화하였다. 『주역(周易)』을 기반으로 한 황중(黃中)의 이치를 국화를 통해 형상화하여 이를 체득하고 추구한 사실은 이재가 자연의 섭리를 통해 구도의 자세를 견지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재는 매화와 국화를 의인화하여 때로는 스스로를 위로하기도 하고 때로는 성찰의 계기로 삼았다. 마주하는 대상물의 현상적인 재현이 아니라 작자의 의식이 투영되어 인격적인 존재로 발현되는 대상물은 그만큼 작자와 대상물의 간극이 좁아지고, 좁아진 만큼 물아일체...

      • 국화(菊花)의 품성(品性)과 효능(效能)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2

        태양을 상징하기도 하고, 달의 음기(陰氣)를 상징하기도 한 국화는 동양의 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국화에 대하여 동양에서는 어떠한 시각으로 인식하였으며, 어떠한 효능으로 활용하였는지에 대하여 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국화에 대한 품성을 한의학적 관점에서 파악하면 국화의 재배나 활용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학문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국화에 대하여 고서를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보는 시각의 차이의 차이로 국화를 양기와 음기의 상징을 동시에 가진다. 사상의학에는 이러한 국화를 발산지기가 보명지주인 태음인에게 응용되고 있으며, 처방으로는 태음인의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등에 활용되고 있다. 둘째, 은둔을 의미하는 국화는 선비의 기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재앙을 피하는 의미로 이해되어 중양절에 국화주로 이용되고 있다. 셋째, 맑은 기운의 상징은 국화는 사기(邪氣)를 물리치며 불로장생의 의미를 띄고 있다. 따라서 숙취와 불면에 응용되며 국화차 국침(菊枕) 화전 등으로 이용된다. Chrysanthemum(菊花), which can be a symbol of the sun or Eum-qi(陰氣) of the moon, is known as an oriental flower. This research studies how this flower has been understood and what medical effects it ha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s the character of Chrysanthemum is apprehended from the viewpoi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academic basis can be set for cultivating and applying this flower. As a result of the summarizing the literature, the conclusions are followed as below; Firstly,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Chrysanthemum has both Yang-qi and Eum-qi.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on, this flower can be used for Tae-eumin, whose healthy energy is Exhale-dispersing Qi, applied for Cheongshimyeonja-tang(淸心蓮子湯) as a medication. Secondly, Chrysanthemum means hermitage, representing the spirit of a scholar and escaping danger, from which alcoholic drink is made on Junggu-il(the ninth day of nin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hirdly, as the symbol of clear soul Chrysanthemum expels the malice(邪氣), implying perpetual youth and longevity. Therefore, it can be practiced for the aftereffects of the night`s drink and insomnia and used for a Chrysanthemum pillow and foods such as Chrysanthemum tea and a Chrysanthemum fry.

      • 시설국화 재배시 트랩식물로써 황색개화국화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

        최용석,황인수,최병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국화재배시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는 꽃을 선호하는 특성에 의해 국화의 개화시기에 꽃을 가해함으로 써 경제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해충이다. 시설국화는 5월 초순경 심겨지시 시작하면서부터 재배농가들은 10일 또는 1주일 간격으로 화학약제를 살포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건강악화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화재배시 발생하는 총채벌레를 유인하여 방제함으로써 방제효율을 극대화하고 화학약제의 사용을 최소화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개화한 황색의 포트국화에 미끌애꽃노린재가 산란한 채송화 줄기를 식재하여 재배국화 정식 10일 후 20m 간격으로 투입한 결과 총채벌레의 밀도는 신초당 3마리 이하의 밀도를 유지할 수 있었고 투입하지 않은 무처리구에서는 신초당 10마리 이상의 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꽃봉우리 형성 시기에 1회의 총채벌레 방제용 화학약제를 살포한 결과 수확시기 개화한 국화의 꽃당 총채벌레 밀도는 0.3마리 이하의 수준으로 총채벌레를 방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설국화재배시 발생하는 총채벌레 방제를 위하여 황색개화국화를 총채벌레의 트랩식물로써 투입하고 동시에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하여 수확전까지 총채벌레의 밀도를 관리한 후 수확시기에 화학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총채벌레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JNK-AP1 기전을 통한 국화꽃 추출물의 MMP1 발현 변화 조절

        김영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4

        목적: 국화꽃은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내포하고 있어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예로부터 감기, 두통, 어지러움, 고혈압 등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피부 진피에 국화꽃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국화꽃이 진피층의 세포외기질을 조절하여 피부노화를 경감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방법: 실험에 사용한 국화꽃 추출물은 건조한 국화꽃을 분쇄하여 70% ethanol을 사용하여 침출하였고,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실험과 이후 실험에 사용할 농도를 정하였다. qRT-PCR을 이용하여 MMP1의 mRNA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pGL-TRE luciferase reporter vector를 활용하여 AP1의 promoter 활성을 측정하였다. JNK와 p-JNK의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실험을 통해 국화꽃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하는 MMP1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더불어, 이러한 현상이 국화꽃 추출물이 MMP1의 상위조절인자인 AP1의 전사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부터 야기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는 AP1이 JNK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기작으로부터 조절되는 것을 증명하여 종합적으로 국화꽃 추출물이 JNK-AP1 경로를 통해 MMP1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화꽃 추출물이 노화와 주름생성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 indicum Linne), contains various antioxidants which are used to care cold, headache, dizziness, and hypertension in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in dermis, effects of C. indicum Linne are not understood, currently. Thus, in present study, we suggest an evidence that C. indicum Linne decreases skin aging by regulating extracellular matrix of dermis. Methods: Dried C. indicum Linne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concentrations of this experiment were determined by cytotoxicity with MTT assay. Matrix metalloprotease 1 (MMP1) mRNA expression was confirmed by qRT-PCR and activity of AP1 promoter was measured with pGL-TRE luciferase reporter vector. Moreover, protein expression of JNK and p-JNK was assessed by western blot. Results: As shown results, we demonstrated that C. indicum Linne extracts decreased MMP1 expression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 addition, C. indicum Linne extracts repressed MMP1 transcription by regulating AP1 transcriptional activity. Lastly, we demonstrated AP1 was regulated by blocking phosphorylation of JNK. Overall, C. indicum Linne extracts regulates MMP1 expression using JNK-AP1 pathway. Conclusion: C. indicum Linne extracts has potential to reduce aging and formation of wrinkle and to use as a cosmetic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