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손경한(Sohn Kyung Ha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과학기술과 법 Vol.7 No.1
Since last century, international trade of pharmaceuticals and medical instruments have increased and healthcare insurance business expanded over the national border. Recently,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and cross-border 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have become active. Accordingly, disputes in international healthcare area have also increased. This article focuses on international disputes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service or products provider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care industry are the formation of healthcare community for its constituents. This is because healthcare is closely related to, and a part of social security system of a community. Such healthcare community can be formed nationally or regionally. The regional healthcare community may cover a part of a country or several countries. The healthcare community defines and regula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stituents, i.e., patients, medical service providers, drugs and medical products suppliers and health insurers. Even a private medical treatment contract between a patient and a medical institution is strongly influenced, if not governed, by the regime of the healthcare community. We can find many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reaties which mention or rule international healthcare matters. For example,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EU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2000,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1979, IL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vention 1981,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1990,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1989,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06, The international trade laws also deal with health protection such as the WTO Treaty itself and the 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SPS Agreement). As directed by Article 57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International Health Organization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in 1946 to form the WHO, which is in charge of the international public healthcare matters. The WHO has promulgated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of which the most current version was amended in 2005. In addition to these international hard laws, there are numerous international soft laws in medical treatment. Some of the well known international rules are Nuremberg Code 1947, WMA International Code of Medical Ethics 1949(currently 2006), Declaration of Helsinki-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1964 (currently 1974), Declaration of Alma-Ata 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imary Health Care 1978, and WMA Declaration of Lisbon on the Rights of the Patient 1981 (currently 2015). Some of those rules became customary international laws. If not, they may be treated as a part of the “generally recognized international rules” as provided in Article 6 of the Korean Constitution or as those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law recognized by civilized nations”under the international law. Due to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service, the traditional rul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do not apply to healthcare disputes. Rather, the law of the relevant healthcare community apples in most cases. The only exception is the case where the patient voluntarily left his home to get the healthcare service in a foreign country. In such case the law of patient’s healthcare community is excluded and the law of the healthcare institution will apply unless the parties agreed otherwise as to the governing law of the healthcare service.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국가자격 시험에 대한 대구지역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 간의 인식차이
조승아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2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joring in healthcare and tourism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be activated by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The survey form were formul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college health department and tourism department of Dae-gu region by on-line. The 287 surve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were higher than tourism major students’. Second, the employment prospect in field of a medical tourism was high both of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but an employment interest of the healthcare major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tourism major students’. Third,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ve obtained the certificate responded more positive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an tourism major students’. The reason of not preparing the certificate was a difficulty of studying a foreign language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and lack of information for tourism major students. Fourth, the most difficult subject of certificate for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was a ‘medical term and understanding of disease’ but the score of tourism major students was high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need to improve the job promotion in field of medical tourism and the medical knowledge education program for tourism major students and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에 대한 인식 차이 규명을 통해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커리큘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대구지역 보건의료와 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7부의 설문조사를 회신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 전공자의 의료관광 관련 국가 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관광 전공자들에 비해 높았다. 둘째, 보건의료 및 관광분야 전공자 모두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전망을 높게 보았으나, 취업 관심도는 보건의료전공자들이 더 높았다. 셋째, 보건의료 전공자들이 관광 전공자에 비해 국제의료관광 자격증 획득에 더 긍정적이었다. 자격증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보건의료 전공자는 외국어 공부 어려움, 관광전공자는 정보부족을 꼽았다. 넷째,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 과목 중 두 전공 학생들 모두 ‘의학용어 및 질환의 이해’이 가장 어렵다고 답했으나 관광 전공자가 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분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홍보와 의학용어 등과 같은 의료분야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보건의료분야 전공자들에 대한 외국어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미얀마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정치・경제 및 사회 환경분석: 코로나19 팬데믹 및 쿠데타 이후 개발협력지원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송은미,권영대,노진원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1 地域發展硏究 Vol.30 No.3
최근 미얀마는 코로나19 팬데믹에 군부 쿠데타라는 정치적 불안정까지 겹치면서 전례 없는 보건의료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얀마의 정치・경제 및 보건의료와 관련된 사회환경 분석을 통해 미얀마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개발협력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쿠데타 이후 급변한 보건의료 수요와 지역상황 등을 반영하여 보건의료 환경개선을 위한 우선적 과제와 접근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정한 정치 환경, 낮은 경제 수준, 지역간 갈등과 내전 등으로 인한 불안정성이 미얀마의 전반적인 국가 발전을 저해하고 보건의료체계 개선에 큰 부담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미얀마의 보건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적 위기상황을 고려한 전반적인 보건의료체계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체계를 중앙집권적인 하향식 구조가 아닌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분권형 구조로 개선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일차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체계를 견고히 하고 보편적 의료보장의 확대를 위해 민간서비스 및 지역사회 기반 조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분쟁지역간 평화적 보건의료 협력관계 구축을 지원해야 한다. 넷째, 농촌과 소외지역의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과 보건의료인력의 유인요인을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미얀마의 높은 질병 유병률과 사망률의 원인이 되는 주요 질환의 관리와 예방을 위해 일차 보건의료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국제개발협력 주민참여형 보건의료모델 탐색 : 의료사회적협동조합 적용가능성
김학실(Hak Sil Kim)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제협력분야의 참여형 보건의료모델로써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제개발 보건협력분야에서 보건소 중심의 인프라 구축을 수행해 왔으나, 보건소 모델은 지역주민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주민주도의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을 선정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은 운영의 민주성과 조합원의 참여성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주민 참여를 위한 유용한 모델로 고려될 수 있다. 기획과 운영 과정의 주민참여 활성화, 교육과 네트워킹에서의 주민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지역기반 참여형 의료모델로써 건강과 지역사회역량 강화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성격의 연구로써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주민참여형 보건의료모델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협력국의 사회경제 및 보건환경을 반영한 실증적 분석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medical social cooperative model as a participatory health care model in ODA. The health sector projects in Korea are 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a theoretical discussion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medical social cooperative as a model for resident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cal social cooperative can be said to be a useful model for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aspect of emphasizing democracy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residents" intentions are reflected in the overall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and capacity building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and networking. Ultimately, a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medical model, it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strengthening health and community capacit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김한나(Kim, Han-nah),김소윤(Kim, So-Yoon),정창록(Jeong, Chang-R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0
본 논문은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연구 단계 별로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공공재가 갖는 지적 재화의 특성과 국제 보건이 갖는 국제 공공재의 특성을 살펴본다. 이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그것을 국제 공공재로 볼 수 있는가에 관한 논쟁을 정리해 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사회적 합의 조건 하에서 유전체 연구와 의료에 있어 연구기반과 연구개발 및 서비스의 전달 등 의료기술의 개발 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유전체 의료의 국제 공공재로서의 특성을 분석해 보려 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nomic medicine considering international public goods. Authors suppose that genomic medicine shows international public goods as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article, firstly we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goods and intellectual public good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health. Secondly, we summarize a debate on international genomic database as international public goods. Finally this paper analyzes characteristics of genomic medicine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ublic goods with four steps: research infrastruc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 delivery, international public health crisis.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의 포괄적 연구와 한국의 글로벌 리더십
김은미,강민아,강지현,김경효,김승철,김영주,김은실,김의정,김현수,김혜순,박미혜,박은애,서동철,유경하,이사라,이순남,정구영,정혜원,하은희,한재진 한국국제협력단 2016 국제개발협력 Vol.2016 No.1
세계에서 유례가 드물게, 원조를 받던 수원국에서 빠르게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은 이제 전 세계의 개발도상국들에게 공적개발원조를 주는 국가가 되었다. 특히 최빈국이었던 한국의 급속한 빈곤 퇴치, 경제 발전, 민주화 등의 경험은 개발도상국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공여국으로서 남다른 역사를 지닌 한국이 어떻게 하면 세계 보건협력 분야에서 조금 더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 2013년부터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진행하였다. 개발협력 전문가, 공중보건 전문가, 의학 전문가들이 다학제적 연구팀을 구성, 2년여 동안 4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단계로 한국의 개발도상국 당시의 성공적 공중보건사업에 대한 연구를 여성과 영아 건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로, 한국이 원조공여국으로서 2008-2012년에 국제보건협력분야에서 KOICA, KOFIH, EDCF를 통해 지원한 사업에 대한 전수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기여가 아직은 규모면에서 적을 뿐만 아니라 어떤 특성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세 번째 단계 연구로 세계의 국제보건협력에서 사각지대에 있는 분야가 영유아와 모성건강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이의 주요 원인으로 국제모자보건사업의 대상이 18세 이상 가임여성인데, 실제로 개발도상국에서는 18세 미만, 특히 15세 미만 소녀의 임신과 출산이 문제로 대두된바, 소녀들을 대상으로 국제보건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했다. 네 번째 단계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KOICA 보건협력 사례를 통해 향후 소녀건강과 교육관련 국제개발협력사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ʻ포괄적 소녀 건강과 교육ʼ이 세계보건 개발협력 분야의 사각지대에 있음을 밝히고 이 연구결과를 한국 정부에 제안하였고, 한국 정부가 ʻ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etter Life for Girls)ʼ 구상을 2015년 UN 개발정상회담에서 발표하게 되었다.
남북 보건의료 협력에 관한 법적 검토: 감염병 문제를 중심으로
김태원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1
International cooperation today implies solidarity among countries, but is still insufficiently recognized to demand the abandonment or transfer of state power.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 2005) exist as a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norm for infectious diseases. However, security for effective compliance and implementation of norms, such as conflicts with state and interests, and uncertainty of norm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Nevertheless, the state's failure to faithfully comply with its obliga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can certainly be subject to political and diplomatic criticism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intensity of criticism in the field of Health Cooperation will be even greater. In order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which have been stalled recently, discussions on humanitarian and security cooperation should be made in a timely manner to dispel and persuade international concerns und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Due to the cross-border nature of infectious diseases, Inter-Korean Health Cooperation is further required based on joint response between countries, and joint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must be approached from a win-win perspective. Therefore, Health Cooper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coexistential’ cooperation among the special situations of the divided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East and West Germany have achieved Coexistential Health Cooperation through the 「Health and Medical Agreement(1974)」 in the past, it is believed that Coexistential Health Cooperation between Couth and North Koreas will be a key driver of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오늘날 국제협력은 국가들 간의 연대를 함축하지만 국가주권의 포기 또는 양도를 요구하기에 여전히 불충분하게 인식되고 있다. 대표적인 감염병 관련 국제규범으로서 「국제보건규칙(IHR 2005)」이 존재하나 국가주권 및 이익과의 충돌, 규범의 불명확성 등 효과적인 규범의 준수 및 이행의 담보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가 국제협력 의무를 성실히 준수하지 않는 행위는 국제사회에서 분명 정치적·외교적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보건협력 분야에 있어서 그 비난의 강도는 더욱 클 것이다. 최근 교착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대북제재 속에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설득해 나갈 수 있는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주의, 남북한 및 (가칭)통일한국(統一韓國)의 인간안보 등 非정치적인 성격을 지닌 보건의료 협력 논의가 시의성 있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감염병의 초국경적(超國境的) 특성상 국가 간 공동대응을 기반으로 한반도 생명공동체로서 남북 보건협력은 시대적으로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감염병 공동대응은 일방이 아니라 반드시 상생(相生)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사안이다. 따라서 보건협력은 한반도가 지닌 분단국의 특수 상황 가운데 ‘공존적’(共存的) 협력의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단순히 상호 간의 실체를 인정하는 병존(竝存)이 아닌 상호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존재의 인정으로서 ‘신뢰’와 ‘협력’이라는 필수 요소를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 과거 동서독이 「보건의료협정(1974)」을 통해 공존적 보건협력을 이루었듯이, 통일한국을 대비하는 우리에게 있어서도 ‘한반도 생명공동체’로서 남북한의 공존적 보건협력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실현하는 핵심 동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윤대상(尹大相),공창훈(孔昌焄),김동하(金潼河),신윤희(申?熙),박건우(朴健雨)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4
세계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은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앞세워 미국의 거대 기업들을 인수하고 경제 영토를 확장 중으로 현재 G2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최근 경제침체로 저성장 중인 한국이 거대한 시장인 중국과의 협력은 불가피하며, 중국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산업분야를 선별하여 협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의사결정 분석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하여 바이오/의료기기 분야가 최적의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중국의 의료시장은 매년 고도의 성장을 보이고 있고, 낙후된 의료기기의 전면교체를 단계적으로 계획 중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과의 협력을 위해서는 중국진출 의료 플랫폼 구축, 정부와 지자체 신뢰기반의 대형 컨소시엄으로 사업추진 및 이동형 스마트 보건소를 통해 중국 의료서비스의 양극화를 해결 하는 등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China is leading the global economy and recognized as a G2 acquiring large US corporations and expanding its economic territory with huge foreign-exchange reserves. On the other hand, Korea is experiencing slow growth due to recent economic recess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cooperate with China, which is a huge market of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operate with industries that can coexist with China.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bio / medical device field is the optimal model through hierarchical decision analysis metho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Currently, the medical market in China is growing at a high rate every year, and plans are being phased out for replacing the underdeveloped medical devices. Based on this, mutual cooperation such as building a medical platform for entry into China, promoting business through a large consortium based on government and local trust, and solving the polarization of Chinese medical service through mobile smart public health center is necessary for cooperation with China.
북한의 코로나 대응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제보건규칙(2005)의 국제공조 관점에서
양상희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2 국제문화연구 Vol.15 No.2
North Korea has vowed to provide equal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o all citizens, including free treatment, doctor's care assigned to each area, and preventive medicine, but it is suffering from a recession that began in the mid- to late 1990s and a lack of budget for arms strengthening. In particular, the COVID-19 pandemic in the early 2020s added to this difficult situation. This study criticizes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Kim Jong-un administration's hasty policy errors in the COVID-19 pandemic, as North Korea's poor health care situation is due to various aspect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is research first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and attributes of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policy based on them. Subsequently, in term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COVID-19 pandemic policy is critically reviewed and the policy direction for private cooperation as a non-political means is presented in the conclusion.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supplement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COVID-19 response policy,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including South Korea, should be promoted transnational, and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 should be revised to the International Health Law with treaty-level coercion to ensure human mobility as much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