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사회의 보건의료 원조 트렌드의 변화와 대북 보건의료 지원의 지속

        문인철(Mun Inchul),송미경(Song Meekyong),여현철(Yeo Hyun-chul) 한국세계지역학회 202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9 No.4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주의 활동은 2010년 이후 사실상 중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인도주의 활동 부분의 단절상황, 그리고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제한적이지만 꾸준히 추진되었다고 평가받는 분야는 보건의료 지원사업이다. 문재인 정부 등장 이후 남북관계는 직전의 정부 때보다 좋은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은 대부분 국제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반면, 국제사회는 여러 제약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대북 인도주의 활동을 전개했었는데, 국제사회는 UN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국제기구와 민간단체들이 식량과 농업, 특히 보건의료 영역에서 대북 지원 활동을 활발히추진하였다. 현재 국제사회의 원조 방향은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국제사회는 SDGs(지속가능발전목표)하에 지원에 대한 분야와 그 방식을 다각화 시키고 있다.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보건의료 원조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국가이다. 이는 그만큼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역량과 평가를 종합해 볼 때 한국은 보건의료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대북 지원을 위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극대화 보건의료 부문, 나아가 대북 인도적 활동 및 지원을 담당하는 중추역할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다양한 주체들 간 유기적 협력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대북 지원을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원칙을 수립 및 이행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의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세부 지원 분야를 다양화시켜야할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 정부는 남북한 정치․군사적 상황, 남북간 경색국면에서도 대북인도적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고, 외교적인 노력도 병향시켜야 할 것이다. Most of South Korea s humanitarian activities against North Korea have been suspended since 2010. However, South Korea s health care support for North Korea was steadily promoted even in the face of a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but was virtually limited. Since the advent of the Moon government,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has been mainly provided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ven though inter-Korean relations have been better than ever.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ontinued to carry out humanitarian activities against North Korea in spite of various restricti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led by the United Nations, actively promoted support activities for North Korea in the fields of food and agriculture, especially health care. Currentl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i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howing a big chang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diversifying its support fields and methods under the SDGs. Korea has the second highest proportion of health care ai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is also an indication that Korea s international status has risen to that extent. And this is also the potential for South Korea to lead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various support to North Korea, including the health care sector. South Korea should promote organic cooperation among various actors at home and abroad for humanitarian activities toward North Korea. In particular, South Korea should promote principled aid to North Korea, and should diversify detailed support areas to reflect North Korea s needs. Above al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laws and systems and make diplomatic efforts to ensure that humanitarian activities against North Korea can be carried out even in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s between the two Korea.

      • KCI등재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국가자격 시험에 대한 대구지역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 간의 인식차이

        조승아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2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joring in healthcare and tourism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be activated by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The survey form were formul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college health department and tourism department of Dae-gu region by on-line. The 287 surve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were higher than tourism major students’. Second, the employment prospect in field of a medical tourism was high both of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but an employment interest of the healthcare major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tourism major students’. Third,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ve obtained the certificate responded more positive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an tourism major students’. The reason of not preparing the certificate was a difficulty of studying a foreign language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and lack of information for tourism major students. Fourth, the most difficult subject of certificate for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was a ‘medical term and understanding of disease’ but the score of tourism major students was high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need to improve the job promotion in field of medical tourism and the medical knowledge education program for tourism major students and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에 대한 인식 차이 규명을 통해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커리큘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대구지역 보건의료와 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7부의 설문조사를 회신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 전공자의 의료관광 관련 국가 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관광 전공자들에 비해 높았다. 둘째, 보건의료 및 관광분야 전공자 모두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전망을 높게 보았으나, 취업 관심도는 보건의료전공자들이 더 높았다. 셋째, 보건의료 전공자들이 관광 전공자에 비해 국제의료관광 자격증 획득에 더 긍정적이었다. 자격증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보건의료 전공자는 외국어 공부 어려움, 관광전공자는 정보부족을 꼽았다. 넷째,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 과목 중 두 전공 학생들 모두 ‘의학용어 및 질환의 이해’이 가장 어렵다고 답했으나 관광 전공자가 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분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홍보와 의학용어 등과 같은 의료분야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보건의료분야 전공자들에 대한 외국어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제보건의료분쟁의 해결

        손경한(Sohn Kyung Ha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과학기술과 법 Vol.7 No.1

        Since last century, international trade of pharmaceuticals and medical instruments have increased and healthcare insurance business expanded over the national border. Recently,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and cross-border 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have become active. Accordingly, disputes in international healthcare area have also increased. This article focuses on international disputes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service or products provider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care industry are the formation of healthcare community for its constituents. This is because healthcare is closely related to, and a part of social security system of a community. Such healthcare community can be formed nationally or regionally. The regional healthcare community may cover a part of a country or several countries. The healthcare community defines and regula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stituents, i.e., patients, medical service providers, drugs and medical products suppliers and health insurers. Even a private medical treatment contract between a patient and a medical institution is strongly influenced, if not governed, by the regime of the healthcare community. We can find many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reaties which mention or rule international healthcare matters. For example,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EU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2000,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1979, IL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vention 1981,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1990,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 1989,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06, The international trade laws also deal with health protection such as the WTO Treaty itself and the 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SPS Agreement). As directed by Article 57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International Health Organization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in 1946 to form the WHO, which is in charge of the international public healthcare matters. The WHO has promulgated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of which the most current version was amended in 2005. In addition to these international hard laws, there are numerous international soft laws in medical treatment. Some of the well known international rules are Nuremberg Code 1947, WMA International Code of Medical Ethics 1949(currently 2006), Declaration of Helsinki-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1964 (currently 1974), Declaration of Alma-Ata 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imary Health Care 1978, and WMA Declaration of Lisbon on the Rights of the Patient 1981 (currently 2015). Some of those rules became customary international laws. If not, they may be treated as a part of the “generally recognized international rules” as provided in Article 6 of the Korean Constitution or as those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law recognized by civilized nations”under the international law. Due to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service, the traditional rul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do not apply to healthcare disputes. Rather, the law of the relevant healthcare community apples in most cases. The only exception is the case where the patient voluntarily left his home to get the healthcare service in a foreign country. In such case the law of patient’s healthcare community is excluded and the law of the healthcare institution will apply unless the parties agreed otherwise as to the governing law of the healthcare service.

      • KCI등재

        미얀마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정치・경제 및 사회 환경분석: 코로나19 팬데믹 및 쿠데타 이후 개발협력지원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송은미,권영대,노진원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1 地域發展硏究 Vol.30 No.3

        최근 미얀마는 코로나19 팬데믹에 군부 쿠데타라는 정치적 불안정까지 겹치면서 전례 없는 보건의료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얀마의 정치・경제 및 보건의료와 관련된 사회환경 분석을 통해 미얀마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개발협력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쿠데타 이후 급변한 보건의료 수요와 지역상황 등을 반영하여 보건의료 환경개선을 위한 우선적 과제와 접근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정한 정치 환경, 낮은 경제 수준, 지역간 갈등과 내전 등으로 인한 불안정성이 미얀마의 전반적인 국가 발전을 저해하고 보건의료체계 개선에 큰 부담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미얀마의 보건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적 위기상황을 고려한 전반적인 보건의료체계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체계를 중앙집권적인 하향식 구조가 아닌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분권형 구조로 개선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일차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체계를 견고히 하고 보편적 의료보장의 확대를 위해 민간서비스 및 지역사회 기반 조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분쟁지역간 평화적 보건의료 협력관계 구축을 지원해야 한다. 넷째, 농촌과 소외지역의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과 보건의료인력의 유인요인을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미얀마의 높은 질병 유병률과 사망률의 원인이 되는 주요 질환의 관리와 예방을 위해 일차 보건의료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주민참여형 보건의료모델 탐색 : 의료사회적협동조합 적용가능성

        김학실(Hak Sil Kim)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제협력분야의 참여형 보건의료모델로써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제개발 보건협력분야에서 보건소 중심의 인프라 구축을 수행해 왔으나, 보건소 모델은 지역주민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주민주도의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을 선정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은 운영의 민주성과 조합원의 참여성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주민 참여를 위한 유용한 모델로 고려될 수 있다. 기획과 운영 과정의 주민참여 활성화, 교육과 네트워킹에서의 주민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지역기반 참여형 의료모델로써 건강과 지역사회역량 강화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성격의 연구로써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주민참여형 보건의료모델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협력국의 사회경제 및 보건환경을 반영한 실증적 분석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medical social cooperative model as a participatory health care model in ODA. The health sector projects in Korea are 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a theoretical discussion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medical social cooperative as a model for resident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cal social cooperative can be said to be a useful model for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aspect of emphasizing democracy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residents" intentions are reflected in the overall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and capacity building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and networking. Ultimately, a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medical model, it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strengthening health and community capacit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 KCI등재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김한나(Kim, Han-nah),김소윤(Kim, So-Yoon),정창록(Jeong, Chang-R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0

        본 논문은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연구 단계 별로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공공재가 갖는 지적 재화의 특성과 국제 보건이 갖는 국제 공공재의 특성을 살펴본다. 이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그것을 국제 공공재로 볼 수 있는가에 관한 논쟁을 정리해 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사회적 합의 조건 하에서 유전체 연구와 의료에 있어 연구기반과 연구개발 및 서비스의 전달 등 의료기술의 개발 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유전체 의료의 국제 공공재로서의 특성을 분석해 보려 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nomic medicine considering international public goods. Authors suppose that genomic medicine shows international public goods as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article, firstly we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goods and intellectual public good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health. Secondly, we summarize a debate on international genomic database as international public goods. Finally this paper analyzes characteristics of genomic medicine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ublic goods with four steps: research infrastruc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 delivery, international public health crisis.

      • KCI등재후보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의 포괄적 연구와 한국의 글로벌 리더십

        김은미,강민아,강지현,김경효,김승철,김영주,김은실,김의정,김현수,김혜순,박미혜,박은애,서동철,유경하,이사라,이순남,정구영,정혜원,하은희,한재진 한국국제협력단 2016 국제개발협력 Vol.2016 No.1

        세계에서 유례가 드물게, 원조를 받던 수원국에서 빠르게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은 이제 전 세계의 개발도상국들에게 공적개발원조를 주는 국가가 되었다. 특히 최빈국이었던 한국의 급속한 빈곤 퇴치, 경제 발전, 민주화 등의 경험은 개발도상국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공여국으로서 남다른 역사를 지닌 한국이 어떻게 하면 세계 보건협력 분야에서 조금 더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 2013년부터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진행하였다. 개발협력 전문가, 공중보건 전문가, 의학 전문가들이 다학제적 연구팀을 구성, 2년여 동안 4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단계로 한국의 개발도상국 당시의 성공적 공중보건사업에 대한 연구를 여성과 영아 건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로, 한국이 원조공여국으로서 2008-2012년에 국제보건협력분야에서 KOICA, KOFIH, EDCF를 통해 지원한 사업에 대한 전수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기여가 아직은 규모면에서 적을 뿐만 아니라 어떤 특성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세 번째 단계 연구로 세계의 국제보건협력에서 사각지대에 있는 분야가 영유아와 모성건강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이의 주요 원인으로 국제모자보건사업의 대상이 18세 이상 가임여성인데, 실제로 개발도상국에서는 18세 미만, 특히 15세 미만 소녀의 임신과 출산이 문제로 대두된바, 소녀들을 대상으로 국제보건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했다. 네 번째 단계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KOICA 보건협력 사례를 통해 향후 소녀건강과 교육관련 국제개발협력사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ʻ포괄적 소녀 건강과 교육ʼ이 세계보건 개발협력 분야의 사각지대에 있음을 밝히고 이 연구결과를 한국 정부에 제안하였고, 한국 정부가 ʻ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etter Life for Girls)ʼ 구상을 2015년 UN 개발정상회담에서 발표하게 되었다.

      • KCI등재

        남북 보건의료 협력에 관한 법적 검토: 감염병 문제를 중심으로

        김태원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1

        International cooperation today implies solidarity among countries, but is still insufficiently recognized to demand the abandonment or transfer of state power.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 2005) exist as a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norm for infectious diseases. However, security for effective compliance and implementation of norms, such as conflicts with state and interests, and uncertainty of norm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Nevertheless, the state's failure to faithfully comply with its obliga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can certainly be subject to political and diplomatic criticism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intensity of criticism in the field of Health Cooperation will be even greater. In order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which have been stalled recently, discussions on humanitarian and security cooperation should be made in a timely manner to dispel and persuade international concerns und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Due to the cross-border nature of infectious diseases, Inter-Korean Health Cooperation is further required based on joint response between countries, and joint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must be approached from a win-win perspective. Therefore, Health Cooper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coexistential’ cooperation among the special situations of the divided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East and West Germany have achieved Coexistential Health Cooperation through the 「Health and Medical Agreement(1974)」 in the past, it is believed that Coexistential Health Cooperation between Couth and North Koreas will be a key driver of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오늘날 국제협력은 국가들 간의 연대를 함축하지만 국가주권의 포기 또는 양도를 요구하기에 여전히 불충분하게 인식되고 있다. 대표적인 감염병 관련 국제규범으로서 「국제보건규칙(IHR 2005)」이 존재하나 국가주권 및 이익과의 충돌, 규범의 불명확성 등 효과적인 규범의 준수 및 이행의 담보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가 국제협력 의무를 성실히 준수하지 않는 행위는 국제사회에서 분명 정치적·외교적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보건협력 분야에 있어서 그 비난의 강도는 더욱 클 것이다. 최근 교착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대북제재 속에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설득해 나갈 수 있는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주의, 남북한 및 (가칭)통일한국(統一韓國)의 인간안보 등 非정치적인 성격을 지닌 보건의료 협력 논의가 시의성 있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감염병의 초국경적(超國境的) 특성상 국가 간 공동대응을 기반으로 한반도 생명공동체로서 남북 보건협력은 시대적으로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감염병 공동대응은 일방이 아니라 반드시 상생(相生)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사안이다. 따라서 보건협력은 한반도가 지닌 분단국의 특수 상황 가운데 ‘공존적’(共存的) 협력의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단순히 상호 간의 실체를 인정하는 병존(竝存)이 아닌 상호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존재의 인정으로서 ‘신뢰’와 ‘협력’이라는 필수 요소를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 과거 동서독이 「보건의료협정(1974)」을 통해 공존적 보건협력을 이루었듯이, 통일한국을 대비하는 우리에게 있어서도 ‘한반도 생명공동체’로서 남북한의 공존적 보건협력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실현하는 핵심 동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대마관련 국제규범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전용일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32 No.2

        개별국가의 대마에 대한 규제 방향 및 정책은 국제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대마 등 마약류에 대한 규제를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국제조약은 마약단일협약(1961)이다. 1961년에 제정된 마약단일협약은 최근까지 대마를 가장 위험한 마약류로 분류하고 있었으며, 대마의 보유와 사용에 대해 개별국가가 법령 등을 통해 엄격히 규제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즉 개별국가의 대마와 관련된 규제 및 정책은 국가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점차 완화되어 가고 있는데 반해, 여전히 국제규범인 마약단일협약은 엄격한 규제를 개별 국가에 요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대마의 의료목적 사용의 필요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2020년 12월 2일 UN CND는 WHO의 대마의 통제물질 범위 수정에 대한 권고안을 받아들여 마약단일협약 별표 Ⅳ에서 ‘대마’와 ‘대마지’를 삭제하였다. 즉 지금까지와 달리 대마가 더 이상 의료적 효용가치가 없는 마약류가 아니며, 과학적 연구 및 의료목적 사용이 합법적으로 가능하게 된 것이다. 다만 국제규범과 국내법의 개정을 통해 대마의 의료목적 사용이 가능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목적 대마사용의 길은 요원하다. 이는 대마를 바라보는 관점과 인식이 여전히 통제 중심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위해, 마약단일협약이 체결될 당시 대마의 지위에 대한 결정이 비객관적․비과학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과 지난 2016년부터 4년간 실시한 WHO ECDD의 대마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검토(사전검토, 비판적 검토)를 통해 대마에 대한 의료적 가치가 인정되었다는 점을 떠올려야 한다. 그리고 대마를 의료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 지위의 수정을 국제사회가 합의했음을 보여주는 CND의 WHO 권고안 수용이 있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The regulatory direction and policies of individual countries on cannabis are affected by international norms, and the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treaty dealing with regulations on drugs such as cannabis is the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1961). The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signed in 1961 classified cannabis as the most dangerous drug until recently, and stipulated that individual countries strictly regulate the possession and use of cannabis through laws and regulations. In other words, while the regulations and policies related to cannabis in individual countries are gradually being relaxed, although the degree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the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which is an international norm, still requires strict regulations from individual countries. However,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voice on the necessity of using cannabis for medical purposes grew louder, on December 2, 2020, UN CND accepted WHO's recommendation to revise the scope of controlled substances for cannabis and removed 'cannabis' and 'cannabis resin' in schedule IV of the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In other words, unlike before, cannabis is no longer a narcotic with no medical value, and its use for scientific research and medical purposes is now legally possible. However, although the use of cannabis for medical purposes has become possible through revisions to international norms and domestic laws, the path to using cannabis for medical purposes is still far away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perspective and perception of cannabis is still control-centered. In order to change this percep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t the time the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was signed, the decision on the status of cannabis was made through a non-objective and unscientific approach. And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medical value of cannabis was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scientific review (preliminary review, critical review) of cannabis conducted by the WHO ECDD for four years starting in 2016. Finally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CND's acceptance of the WHO recommendation show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greed to revise the legal status of cannabis to allow its use for medical purposes.

      • KCI등재

        한 · 중 전략적 산업 분야 협력 분석 및 방향

        윤대상(尹大相),공창훈(孔昌焄),김동하(金潼河),신윤희(申?熙),박건우(朴健雨)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4

        세계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은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앞세워 미국의 거대 기업들을 인수하고 경제 영토를 확장 중으로 현재 G2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최근 경제침체로 저성장 중인 한국이 거대한 시장인 중국과의 협력은 불가피하며, 중국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산업분야를 선별하여 협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의사결정 분석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하여 바이오/의료기기 분야가 최적의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중국의 의료시장은 매년 고도의 성장을 보이고 있고, 낙후된 의료기기의 전면교체를 단계적으로 계획 중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과의 협력을 위해서는 중국진출 의료 플랫폼 구축, 정부와 지자체 신뢰기반의 대형 컨소시엄으로 사업추진 및 이동형 스마트 보건소를 통해 중국 의료서비스의 양극화를 해결 하는 등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China is leading the global economy and recognized as a G2 acquiring large US corporations and expanding its economic territory with huge foreign-exchange reserves. On the other hand, Korea is experiencing slow growth due to recent economic recess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cooperate with China, which is a huge market of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operate with industries that can coexist with China.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bio / medical device field is the optimal model through hierarchical decision analysis metho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Currently, the medical market in China is growing at a high rate every year, and plans are being phased out for replacing the underdeveloped medical devices. Based on this, mutual cooperation such as building a medical platform for entry into China, promoting business through a large consortium based on government and local trust, and solving the polarization of Chinese medical service through mobile smart public health center is necessary for cooperation with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