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e-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성기련(Sung, Ki-Ryun),김혜란(Kim, Hye-R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e-러닝은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학습 전개 과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매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학습할 수 있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해주는 장점을 지닌다. 국악교육에 있어서 e-러닝 콘텐츠의 개발이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e-러닝 콘텐츠는 다양한 그림과 사진 자료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국악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부각시키고 이해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e-러닝 콘텐츠는 국악에 대해 충분한 전문성을 갖고 있지 않은 교사라고 하더라도 이미 검증의 과정을 거친 수준 높은 음원 자료와 동영상 자료를 수업 자료로 활용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높다. 따라서 국악교육용 e-러닝 콘텐츠를 많이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e-러닝 콘텐츠를 어떤 방향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국악교육계에서 심도 있는 논의와 방향 정립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e-러닝 콘텐츠의 학습 주제와 각 주제별 학습 목표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e-러닝 콘텐츠를 개발할 때에는 국악의 특징을 잘 살려 가르칠 수 있도록 국악 어법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국악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 통합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도록 텍스트, 그림, 동영상, 플래시 애니메이션, 음원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구조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학교 현장은 학교가 위치한 환경적 요인과 학년 급별 수준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같은 주제의 내용이라 하더라도 학습자의 눈높이와 발달 단계, 관심에 맞게 학습 내용을 위계화 하여 설계해야 하며,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교사가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최근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학교 현장에서 e-러닝 이외에도 u-러닝(ubiquitous-Learning)이나 s-러닝(smart-Learning)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e-러닝 콘텐츠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그를 토대로 질 높은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된다면, 이후 그 결과가 새로운 환경과 매체를 통한 국악교육용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에도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E-Learning helps all people use a series of processes that enables them to develop the learning skills necessary for accomplishing learning goals and using various multimedia. E-Learning can be done anywhere at any time, so it can create a self-initiated learning environment. The reasons why it is important to develop e-Learning contents in relation to providing education on Korean music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can be effectively used to emphasize or stress particular points to students and can help them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s and values of Korean music by using diverse paintings and photos. Second, e-Learning is highly effective in that teachers can easily use high-standard sound sources or videos which already have been verified by e-Learning developers as suitable material without the need to worry about separately preparing for lessons. It certainly is important to develop diverse e-Learning contents when teaching Korean music, bu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and utilization of e-Learning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firs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o prepare a foundation for systematically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and selected learning themes from e-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goals for each theme based on it. In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the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en teaching Korean music should be applied to make the most of its special features. A focus was placed on structurally suggest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tests, pictures, videos, flashcards and sound sources, to make students comprehensively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ocio-cultural contexts. As schools can be ve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location and the class levels, it is important to compose conten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can selectively use them depending on learners’ levels, development stages and interests, even if the themes of the contents are the same. In line with our rapidly changing times, schools have recently begun to emphasize new approaches using various media, such as ubiquitous-Learning or smart-Learning, in addition to e-Learning. If there are lively and intelligent discussions on desirable directions for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and diverse upgraded contents are developed based on them, they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ntents for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new environments and new media in the future and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vitalized in a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국악교육에서 음악적 반응을 위한 감상수업 모형 연구

        박주만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1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is the behavior of understanding and enjoy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at gukak has. And it is to perceive and respond to the components and concepts that music consists of. In this sense, the key point of gukak appreciation education is to have students experience the gukak elements that the appreciation songs contain through direct activities and respond to them meaningfully so that they can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feel the pleasure from it. Thereupon, for the active appreciation teaching of elementary gukak education, this study devised the appreciation teaching steps emphasizing musical responses and the teaching model corresponding to them. As a result, for gukak appreciation learning for musical responses, this paper devised the gukak appreciation teaching model with the hierarchy of 5 steps: the sensible step, physical expression step, visual step, understanding step, and internalization step.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response-centered gukak appreciation teach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plans applicable to appreciation class at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song titled as「Daechuita」.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from the musical response-centered gukak appreciation teaching model suggested he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gukak elements that the song contains more meaningfully and also hav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gukak based on the accumulated gukak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Moreover, it is also expected to improve music appreciation ability and make achievements in gukak through 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국악 감상은 국악이 갖고 있는 미적 특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즐기는 행위로 이는 음악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와 개념을 지각하고 반응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국악 감상교육의 핵심은 감상곡이 담고 있는 국악적 요소를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하고, 그에 따라 유의미한 반응을 하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미적 경험과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국악교육의 능동적인 감상지도를 위해 음악적 반응을 강조한 감상 지도단계와 그에 따른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적 반응을 위한 국악 감상학습을 감각적 단계, 신체 표현적 단계, 시각적 단계, 이해적 단계, 내면화의 5단계로 위계화한 국악감상 수업모형을 구안하였고,「대취타」곡을 바탕으로 초등 감상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음악적 반응 중심 국악 감상 수업모형으로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로는 악곡이 담고있는 국악요소를 보다 의미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축적된 국악적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한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음악 감상 능력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으며, 가치화와 내면화를 통해 국악적 성취도 이루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과 교수·학습 활동 사례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역량 중심 교육과정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역량을 고려한 교수․학습 활동 선정이나 역량 중심 수업 설계와 같은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음악 교과 역량 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고찰하고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중심 국악 교수․학습 활동 선정 과정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국악 교수․학습 활동의 사례를 일부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고찰한 결과 대부분 일반적이고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수업에의 직접적인 적용이 어려웠다. 특히 국악 교육에서 역량의 의미와 요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므로 교과 역량의 의미와 요소의 국악 교육적 해석이 요구되었다.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은 역량이 지시하는 의미를 국악과 관련지어 재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제시된 음악 교과 역량에 대한 설명을 수단과 목적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분하고 각 내용이 지시하는 것을 국악 교육적 측면에서 해석해보았다. 또한 국악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의 하위 요소를 일부 예시하여 구체적인 해석도 시도하였다. 이어서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바탕으로 음악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국악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은 ‘근거 파악, 내용과 방법 선정, 활동 선정, 역량 분석’ 등 4단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1단계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활동의 근거를 찾는 것이고, 2단계는 1단계를 바탕으로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다. 3단계와 4단계에서는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근거로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하고 관련 역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적용한 교수․학습 활동 사례를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역량은 연계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국악 교수․학습 활동 사례에서 관련 역량의 분석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졌다. 특정 교수․학습 활동이 어느 특정 역량을 지향하지 않고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관련 역량이 달라지므로 국악 수업 설계 시 이점을 고려해야함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교육과정이 의도하는 교과 역량 증진과 함양 교육을 독려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 수업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namely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practical methods such as competency-based selec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competency-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should be promoted.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re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interpret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from a Korea music education perspective to ensur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based music education. On this ground, it proposes a process of selecting subject-specific competency-bas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and presents some of the specific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indicated that it wa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m to class because they are too general and comprehensive.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so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is needed to interpret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To interpret competencies from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is to reinterpret the meanings indicated by competencies in relation to Korean music To this end, the description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are divided into means and objectives, and each content is interpreted from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Also, some of the sub-elements of competenc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re illustrated for detailed interpretat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from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are selected to cultivat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The study proposes that sel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s made through a four-step process: “identifying grounds, selecting contents and methods, selecting activities, and analyzing competencies.” Step 1 is to identify the basis of activities in the music curriculum, and step 2 is to select contents and method based on the ground of step 1. Step 3 and 4 are to select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and analyze related competenci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from a Korea music education perspective. Cases of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utilizing the interpretation in this process are presented by each area. Competencies have a connective and integrated nature, so the analysis of competencies regarding the cas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is done in an integrative manner.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teachers design a lesson for Korean music, they should keep in mind that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re not directed at any particular competency, yet relevant competencies change depending on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is paper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의 고찰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Language and music have some relationships in common that they are composed of sound and featured by pitch and beat. Language critically influences the expression ability of music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in the expression of music. This correlation reveals that the development of a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is needed.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was considered, so far, to be one of the ways to teach western music.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this teaching method of using language is used in teaching Korean music.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that has so far been studied. Based on this result, I have developed a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odeling and have streamlined a systematic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that helps teach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well. As a result, I have reviewed theses that study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gujeonsimsu,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oral sound, jangdan made of words, as well as yulmyung and chuimsae. Furthermore, I thought that it was viable to conduct the teaching methods by using onomatopoeia (mimetic word and onomatopoeia) and aniri. The abov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have detailed individual teaching guidance and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the way to correlate or integrate these teaching methods. By integrating these teaching methods, I propose that the teaching methods be applied step by step in the class. In the introductory phase, gujeonsimsu and onomatopoeia (mimetic word and onomatopoeia) are to be applied for teaching and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oral sound, the teaching method with jangdan made of words, the teaching method with yulmyung and the teaching method with chuimsae are also to be applied for teaching. In the close-out phase, I thought that it was desirable to apply the teaching method with chuimsae and the teaching method with aniri for teaching. Based on this, I designed the teaching modeling per section by singing, by playing a music instrument, and by making music and appreciating music. At this point, I would apply various kinds of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y using language for a 1 hour class. Through this activity, I would construct the base that seeks out the integrity and diversity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at strongly establishes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언어와 음악은 소리를 재료로 하고 고저(高低)와 장단(長短)을 특징으로 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언어는 음악의 표현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음악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련성은 언어를 활용한 음악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언어를 활용한 교수법은 그동안 주로 서양 음악을 지도하는 방법으로 생각하여 왔으나 국악에도 오랫동안 언어를 활용한 교수법을 사용하였음을 고문헌의 기록과 국악 전문가들의 증언을 통해 알 수 있다. 단, 그 방법이 일반 학교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교수법으로 지칭하지 않았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과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국악의 특성을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체계화하였다. 국악 교수법을 연구한 논문을 고찰한 결과,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에는 구전심수법, 구음 활용 교수법, 말장단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등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교수법으로 흉내말(의성어와 의태어)과 아니리를 활용한 교수법도 가능하다고 보고 이를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으로 제안하였다. 이상의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이 꾸준히 마련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교수법을 연계 또는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교수법들을 통합하여 수업 단계별로 적용이 가능한 교수법을 제시하였는데 도입 단계에서는 구전심수법과 흉내말(의성어와 의태어) 활용 교수법을 적용하고 전개 단계에서는 구음 활용 교수법, 말장단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며 정리 단계에서는 추임새 활용 교수법과 아니리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활동별로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았더니 한 시간의 수업에 다양한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국악교육의 통합성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국악 교수법을 정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국악작곡 교육에 관한 논의와 관점

        윤혜진 ( Yoon Hye-jin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국악작곡(國樂作曲) 교육의 문제는 창작국악(創作國樂)에 대한 관점, 연주 현장의 요구, 그리고 한국 사회 및 문화에 대한 인식과 직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논의에는 전통, 새로움, 창작국악, 정체성(正體性) 등의 국악과 관련된 담론이 움직이는 추세와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복합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본고는 국악작곡 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읽어보고 실제 연주 현장의 상황 및 요구와 연계하고자 한다. 이로써 창작분야 교육의 실현으로서 국악작곡 교육에 대한 열린 논의와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악작곡 교육은 당대 활동하는 창작국악 작곡가들이 담당해왔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는 연주 현장의 변화와 함께 국악작곡가뿐 아니라 양악작곡가, 그리고 연주자 겸 작곡가가 교육에 참여하게 된다. 연주 현장에서 요구하는 음악은 창작국악에 제한되지 않는 음악이고 양악작곡가 및 연주자 겸 작곡가의 작품 혹은 집단 연주 창작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악기 혹은 국악적 재료를 사용하는 음악에 대한 논의에서 창작국악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제기는 국악작곡가의 작품에 제한된다. 이러한 창작국악에 대한 불균형적 관점은 국악작곡 교육과 연주 현장 간의 건강한 순환을 만들기 어렵다. 전공의 특수성이 희석된 오늘날의 국악작곡 교육은 초기 전공교육에서 강조했었던 내용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초기 국악작곡 교육은 전통음악의 분석과 이해, 한국음악학의 여러 논제들에 대한 연구, 그리고 한국 사회와 문화를 해석하는 인문학적ㆍ예술적인 논의를 전공 실기만큼이나 중요하게 강조해왔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 위에서 실기 교육이 결합되어야 한다는 목표가 있었으며 이는 현재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존재해야만 한다. 창작국악과 국악작곡에 관한 관점과 논의는 시대별로 갱신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관점은 고착되고 논의는 반복되며 교육은 중심을 잃고 연주 현장의 요구에 따라 움직인다. 연주 현장에서 혼재되는 창작국악의 성향과 내용, 강의자에 따라 극과 극으로 대치되는 국악작곡의 의미와 내용, 그리고 창작 국악ㆍ창작양악(創作洋樂)ㆍ창작음악(創作音樂)의 비판적 논의에 대한 차별적 관점 등은 국악작곡 교육에 대한 논의에서 함께 고려할 수밖에 없는 필수적 사안이다. 이에 대하여 균형적이고 열린 관점을 투영해야 국악작곡 교육에 관한 건강한 논의가 진행될 수 있다. 이번 논의를 통해 창작국악과 국악작곡 교육이 한국의 창작음악 문화를 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바를 고민하였으면 한다. The matters about kugak 國樂 composition are directly connected with perspectives on ch’angjak kugak, 創作國樂 request from actual performance field, and recognition for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discussing on such matters would require composite viewpoints which consider trends and environment of the discourses related to kugak such as tradition, newness, ch’angjak kugak, identity, and so on. This study is to read a stream and changes in the education for kugak composition and to interconnect to circumstance and needs of actual performance field. By virtue of those process, I would like to propose a more wide perspective toward kugak composition in embodying the education for creative area. Education for kugak composition has carried by kugak composers who are actively composing in actual performance filed. However yangak 洋樂 (Western music) composers and performer-composers as well as kugak composers came to teach kugak composition due to the changes of performance field since the late 1980’s. It seemed that the music performance field needs were the one not bounded to ch’angjak kugak, and music works composed by yangak composer and performer- composer have been increased. Although they were, it is only on the works by kugak composers that one raise issues by critical view in discussing over music works us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or elements. Such an unbalanced view to ch’angjak kugak cannot organize the right circulation and interrelation between education for kugak composition and field for actual performance. The present education for kugak composition lost the own characteristic. That is why we have to remind again what the early education made an emphasis on: analysis and comprehen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tudy on many issues on Korean musicology, and discussion through humanities and arts. These have been emphasized as much as compositional techniques. In other words, education for composition has to incorporate with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is. We should remember this must significantly exist these days. Despite that the perspective and discussion on ch’angjak kugak and kugak composition must renew according to changes of the times, the perspective is stuck to the previous one, the discussion is repeated, and education lost its core essence and be affected by performance field. In profound discussion over kugak composition, what the essential matter inevitably discussed together with are as it follows: the trend and content of chaotic field in performance area, meaning of kugak composition, and inequal view toward criticism in ch’angjak kugak, ch’angjak yangak 創作洋樂, and ch’angjak music. I hopefully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some useful purpose so as for the education for kugak composition to lead music culture in Korea.

      • KCI등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국악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참여의사 예측요인 분석

        박현승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3 No.-

        This paper analyzes factors that affect participation intention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Gugak). It included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level of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d of cultural arts and Korean tradition performing arts, cultural capital, social distance, attitude for Gugak, and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is the first, as for as we know, to study consumer behavior, knowledge, attitude, cognition, experience, and intention regarding Gugak.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suggest that level of knowledge, education experienced of cultural arts and Gugak, cultural capital, social distance, attitude about Gugak, gender, level of income, age, and level of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toward Gugak, while level of educ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국악에 대한 참여의사를 분서하였다. 이를 위해 국악에 대한 지식수준, 문화예술교육경험 유무 및 경험시기, 국악교육경험 유무, 국악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문화자본의 보유수준(상속된 문화자본, 획득된 문화자본), 국악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소비행동으로서 참여예측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국악에 참여하고자 하는 그룹은 국악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있으며, 청소년 시기 이전 즉,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과 선호가 확립되어지기 이전에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있는 집단, 국악교육경험이 있으며, 문화자본의 보유수준이 높으며, 국악에 대해 사회적 거리감을 가깝게 느낄수록, 국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수록 국악에 대해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그리고 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국악에 대한 참여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가까운 미래에 참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는 것이며,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과 선호가 확립되기 이전 시기 일수록 국악에 대한 참여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나 친근함이 높을수록 국악에 대한 참여의사 역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는데, 향후 국악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인식 확대 및 친근함을 높임과 동시에 호기심과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행동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국악에 대해 보유한 지식수준과 문화예술 및 국악교육경험, 문화자본의 보유수준, 국악에 대해 인지하는 사회적 거리감, 국악에 대한 태도 및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인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해 소비행위로서 참여의사를 예측해 보았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악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홍주희(Hong, Joo-hee),김유희(Kim, You-he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다변화되는 다문화 시대에 우리의 것을 지키고 우리의 정체성이 곧 세계화라는 의식의 흐름에 따라 최근의 음악과 교육과정 변화를 살펴볼 때 가장 큰 변화는 국악 교육 비중의 증가라고 볼 수 있다.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국악 교육의 양적・질적 제고 향상으로 국악 제재곡도 다양하게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 현장 학생들은 국악보다 서양음악, 동요보다 대중음악에 익숙함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지닌 제주특별자치도는 육지에 비해 우리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전문적인 대규모의 국악공연도 쉽게 접할 수 없을뿐더러, 국악전공의 교육기관이 전무한 실정이기에, 더더욱 초등학교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영향력이 크다고 하겠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직접적으로 만나는 교사들의 국악 교육 교수・학습 능력이야말로 제주지역의 국악 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주지역의 초등교사는 임용 과목에 국악 실기가 포함되어 있는 유일한 지역인 만큼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등교사의 국악 실기 능력을 갖추었다 할 수 있으나, 지역적 한계로 이 관심을 이어나갈 수 있는 제반 시설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은 국악 교육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그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해 어떤 부분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제주지역 초등 음악교육 중 국악 교육의 방향 제시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nalyzed 19 questions of the categories “Interest in Gugak Education,” “Status of Gugak Education,” “Projects for Supporting School and Art Instructors,”and “Proposals for Activating Gugak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Gugak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Jeju. Although their level of interest in Gugak was found to be somewhat low, all of them were aware of the need for Gugak education. Many teachers lack the leadership skills required for imparting knowledge on Gugak in music classes, and are keen to change this through training in Gugak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materials, among other things. Results of this study clarify that the next step is an indica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Jeju should proceed.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ll primary schoolteachers’ interest in Gugak before they take a teacher-certification exam, and not after appointment; this should be done by setting up an institutional system so that the portion of Gugak in the music curriculum of the education colleges that train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can be carried out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Gugak, which currently accounts for 40 percent of the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we should fully develop and disseminate various media materials that can arouse students’ interest in Gugak classes, as well as consider ways to develop YouTube channels and online games on Gugak that explain it in a fun and easy manner, so that students can learn it on their own by “playing.” Third, w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1:1 mixed classes where lessons are conducted by combining the practical skills of Gugak art instructors with the educational expertise of front-line. Fourth, we should ensure more opportunities to share information on Gugak training and to learn it for teachers after the appointmen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developing an online platform that recommends helpful training for teachers through simple test questions that evaluate their ability to teach Korean classical music.

      • KCI등재

        국악 가창곡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과정안 연구

        김선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1

        국악과 서양음악은 공통적인 점도 있지만 미적인 기준이 다른데서 오는 중요한 특성의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음악의 교수ㆍ학습 방법을 그대로 국익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류를 낳기도 했다. 본 연구는 가창곡을 중심으로 학급 단위 수업을 고려하면서도 우리 고유의 지도법을 적용하여 국악답게 지도하는 교수ㆍ학습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음악과의 일반적인 교수ㆍ학습 과정 구안 방법을 기초로 국악 교수ㆍ학습 과정 구안의 중점을 밝힘으로써 학급 단위 수엽의 효율성을 고려한 국악다운 교수ㆍ학습 과정을 제시한다. 국악 교수ㆍ학습 지도 과정 구안의 방법면에서는 실음 체험활동을 위한 교수ㆍ학습, 고유의 교수법 활용, 효과적인 국악 수업을 위한 적절한 교재ㆍ교구 및 용어 활용을 중점으로 보았고, 내용면에서는 장단, 가락, 창법에 대한 지도 유의점을 밝혔다. 이를 기초로 표현하기와 노래하기 중심의 〈진도아리랑〉, 악기 연주하기 중심의 〈밀양아리랑〉, 음악 만들기 중심의 평시조 〈동창이〉, 감상하기 중심의 〈아리랑〉, 이해 중심의 〈자진뱃노래〉의 수엽실제를 약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국악을 국악답게 가르치는 것은 자신이 이미 지니고 있는 자연스러운 음악성을 통해 음악적으로 성취함으로써 또 다른 음악에도 자신감을 얻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국악교육은 우리 민족의 타고난 음악성을 토대로 다른 문화권의 음악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해 국악을 국악답게 지도하는 교수ㆍ학습 방법의 연구가 꾸준히 요구된다. In spite of some similiarities, there are a number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ugak and Western Music. Therefore, applying Western teaching & learning methods to Gugak results in a number of mistakes. This thesis reports the application of a traditional teaching-and-learning method of Gugak to guide students toward a greater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authentic singing pieces. The method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native instruction, as well as proper materials, tools and terms. I also offer advice on effective means of teaching rhythm, melody, and singing skills. Based on these approaches, I suggest practical class activities like 〈Jindo Arirang〉 for expressing and singing, 〈Miryang Arirang〉 for playing the instruments, Pyeongsijo 〈Dong-chang-i〉 for composing, 〈Arirang〉 for listening, 〈Jajin Baet-norae〉 for understanding.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se methods of teaching Gugak improve students' self-confidence intheir natural musicality. It is hoped that successful teaching of Gugak will provide students with a powerful means of absorbing their native culture through their inborn musicality.

      • KCI등재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의 효과 분석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6 국악교육연구 Vol.10 No.1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Korean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3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ducting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and then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of those lessons. The followings are three main subjects for the research inquiry: First, changes in students' interests in social studies lessons through linking them with Korean music. Second, students'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lessons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those lessons. Third,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For this, social studies lessons lined with 10 Korean music lessons were given for 108 thir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raising the students’ general interests in social studies and they also effectively worked for increas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lessons and the level of the class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e social studies integrated with the Korean music helped th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Korean music into a more positive direction. To organize students' experience in a way that they can rea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and find it in cultural phenomena ultimately agrees with convergent education. From that aspec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utilization of Korean music for other lessons. Additio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secur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music will be effectively used for other academic fields through verifying its effect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국악과 연계하여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 변화,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의 양상, 국악에 대한 인식 변화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S초등학교의 3학년 학생 총 108명을 대상으로 10차시 분량의 국악을 연계한 사회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은 학습자들의 사회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과 수업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국악교육의 측면에서도 ‘국악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국악을 통해 문화를 읽어 나가고, 문화 현상 속에서 국악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경험을 조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융합교육과 맞닿아 있다.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 타 교과 수업에서의 국악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그에 대한 효과 검증을 통해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국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계속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악을 논하는 잡지의 지면 연구 시론

        이수정 ( Lee Su-je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이 글에서는 1945년 이후 한국 현대국악학(現代國樂學)을 논하는 관련 잡지와 지면의 상황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와 같은 연구기반이 마련되기까지 국악계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일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악을 소개하는 잡지의 연구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일제강점기의 잡지 지면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펴보았는데, 국악학(國樂學) 연구가 국악인아 아닌 민속학자ㆍ국문학자 또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되면서 타자적(他者的)인 시각으로 다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잡지는 처음 개화와 계몽을 목적으로 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이후 전문잡지가 등장하면서 각 분야의 연구 활동의 발표지면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음악계에서는 『三光』과 같은 전문 잡지가 등장하였다. 음악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국악을 다루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해방이후는 새 시대를 맞아 각 부분에서 학문적 토대 및 체제를 세우며 성장하는 시기였다.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변화를 겪었던 시기이면서 또한 제도 및 학문적 토대가 마련되던 시기이다. 음악 관련 단체가 결성되었고,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건립,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도 등이 마련되면서 학문의 주제 및 중심의 마련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각 기관의 기관지 및 『無形文化財』와 같은 관련 잡지가 발행되었다. 국악계가 성장하자 『國樂界』라는 최초의 국악전문잡지도 반짝 등장하였다. 국악계에 독자적한 학술지가 없던 1970년대 이전까지는 여러 학회지나 잡지의 지면을 통해서 학술활동을 진행하였지만, 대학에 국악과가 설치되고 학문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고등교육을 받은 신진연구자가 등장한 이후 다양한 학문활동이 이루어 졌다. 학교나 연구소에서 발행되는 각종 ‘논문집’을 통해 학술활동이 이루어 졌다. 한국국악학회(韓國國樂學會)에서 처음으로 『韓國音樂硏究』를 발행하였고, 이후 한국음악사학회(韓國音樂史學會)의 『韓國音樂史學報』를 비롯한 수십 종의 학술지 및 학회지가 발간되면서 현대와 같은 연구 환경이 조성되었다. 근대적인 학문의 정착과정에 신문ㆍ잡지와 같은 매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잡지 목록만으로 현대국악의 연구 활동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현대국악계의 연구사적 흐름을 규명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magazines which deal with modern Korean musicology and the status of those paper works published after 1945. The research shows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ield and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round for its scholarship in the modern times. In order to see the trend of research on introducing modern kugak 國樂 the research first looked at the magaz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music scholarship was most done by non-musicologists, such as scholars in folklore or language, or by Japanese in the perspective of outsider. The earlier magazines were published for enlightening people, and later specialized research magazines were began to appear in each field, for example in the case of music, specialized magazine like Samgwang 『三光』. It was the time that non music specialist were researching kugak. After the liberation many scholarships faced a new phase as building its academic ground as well as the system, although it was the time of historical turbulence. Many musical associations were organized; the Kungnip Kugagwon 國立國樂院 (National Kugak Center) was open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set. Not only each organization but also the institutions published their own journals, such as government organ and Muhyong munhwajae 『無形文化財』(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quick development, a special magazine Kugakkye 『國樂界』(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was appeared suddenly. But up until 1970s there was no specialized kugak journals. After the universities opened kugak departments new researchers were raised with the high level education. They did active academic works and the journals were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or their research center. Han'guk Kugak hakhoe 韓國 國樂學會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first published Han'guk umak yon'gu 『韓國 音樂硏究』(Studies in Korean Music) and some other academic journals including Han'guk umak sahakpo 『韓國音樂史學報』(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 Musicology) by Han'guk umak sahakhoe 韓國音樂史學會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were appear as making the modern research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modern scholarship, the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s were importa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historical flow in modern kugak field. However, only with the list of magazines provided in the paper,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research activities in modern kug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