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

        조보람(Bo ram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추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5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이루어졌고 국내 학술 논문 57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연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자료수집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의 활용이 높았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관련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에서 독립변인으로는 교육프로그램, 학업적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 대학생활적응이 활용되었고 매개변인으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활용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대학생활적응이 주로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생활적응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ity freshman adaptation to school lif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22 to August 2022, and 57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research related to college freshman adaptation to school lif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s by study subject,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freshmen at four-year colleges. Third, in the trend by research type,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most. Fourth, the use of questionnaire method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showed the highest at 64.9%. Sixth, in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education program, academic self-efficacy,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As a dependent variabl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mainly us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of college freshmen and suggest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

        국내 대학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연구동향

        조보람(Boram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77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내용, 전공영역, 관련변인의 동향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별 동향은 간호학과 언어학에서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가상현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가상현실 활용 수업이, 매개변인으로는 몰입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활용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77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major area,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the most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a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2. Secon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ird, as for the trend by major area, utilization was high in nursing and linguistics.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programs and studies on their effects were the most common. Fifth,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low as mediating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research trend of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동향

        조보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and 31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research contents, related variables, and program trend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honor students was actively conducted between 2007 and 2011 and between 2017 and 2021. Second, the trend by study subject was the highest among four-year students, followed by four-year freshmen, cybe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graduates. Thir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most of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onor students were conducte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the us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confid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high, and the university honor student program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ixth, when designing programs for honor students, the development of a portfolio management system,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continuous program quality management were emphasiz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seek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국내 학술지 31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내용, 관련변인, 프로그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도와 2017년부터 2021년 사이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재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4년제 신입생, 사이버대 재학생, 4년제 졸업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양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대학 우수학생 특성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대학 우수학생 프로그램이 종속변인으로는학업성취도와 진로확신도의 활용이 높았다. 여섯째, 우수학생 프로그램 설계시 포트폴리오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동적인학습환경 구축, 지속적인 프로그램 질 관리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있다.

      • KCI등재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2010년~2020년을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46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단일대상의 경우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조금 많았고, 혼합대상일 경우 ‘교사-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의사소통에 따른 효과성 연구가 높았다. 여섯째, 관련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종속변인으로는 수업태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주제로 진행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의사소통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domestic treend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ethods 46 journals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peri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of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is on the ri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in the case of a single subject, studies targeting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in the case of mixed subjects,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teacher-college studen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ourth,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used as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high. six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communication was the most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lass attitude was the most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ends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conducted on the topic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1991년~2021년 6월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송영인(Song, Young-In),송윤나(Song, Yu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유아 극놀이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 극놀이 연구들의 제한점을 살펴보고 향후 유아 극놀이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및 보완되어야 하는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방법 ‘극놀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이현순(1991)의 연구 기점으로 2021년 6월 까지 발표된 유아 극놀이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자료 250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주제에 따른 교과연계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교차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육분야의 극놀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극놀이 연도별 연구 동향은 2006년에서 2010년까지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유아 대상 연구가 대부분인 인적대상 연구가 물적대상 연구보다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성 검증인 실험연구에 기초한 양적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주제별 동향은 실천연구가 기초연구 보다 현저하게 많이 연구 되었으며 특히, 실천연구에 해당하는 연구물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교수방법의 효과성 검증이었다. 다섯째, 연구주제의 교과연계별 동향은 교과연계에 해당하는 연구물이 교과연계에 해당하지 않은 연구물보다 조금 많이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교과연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언어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 극놀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유아 극놀이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s drama play, which are ongoing so far,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hildren s drama play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fant drama play research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Methods It searched for periods, themes, methods and the subjects of 250 Korean scholarly journals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June, 2021, since Lee Hyeonsun (1991) first used the term of ‘dramatic play’, and estimated and analyze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by subject-connection Results First, the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had been drastically increased from 2006 to 2010,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nd tends to be recently increased,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years. Second, it primarily examines human subjects, rather than material objects,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the subjec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then,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method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was most often used. Fourth, the action research theme was prominently often used, compared to the basic research theme,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research themes, especially, the test on research methods effectivenes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studies with the action research theme.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subject-connected theses and that of others, though the former is slightly higher than the latter, for the trend of research by subject- connection, and language accounted for the most portion of it.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understands the tread of research on young children dramatic play and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and a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it.

      • KCI등재

        국내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 연구 동향

        김희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대상자의 ACE 관련 논문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ACE에 대한 용어, ACE에 대한 측정도구, ACE 관련 연구변인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국내 ACE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DBpia, KCI, KISS, RISS)에서 “아동기 부정적 경험”,“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아동기 역경 경험” 그리고 영문“Adverse Childhood Experiences”를 2016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 중에서 검색하였다. 최종 26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국내 ACE 연구는 201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은 성인(11편)과 청소년(9편)이 가장 많았고, 다수의 논문이 복지 관련 출판 분야(17편)학술지에 발표되었다. ACE의 국문 용어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8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측정도구는 전통적 ACE 범주를 묻는 ACE 척도(15편)가 주로 사용되었다. ACE 실태조사와 유형 관련 연구가 7편, 정신건강 관련 변인 14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ACE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s the research trend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 published in Korean jornals. To this end, we collected domestic research on ACE and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ics of research population, terminalolgy of ACE, and research variables realted to AC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the characterisics and trend of current Korean ACE research.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In domestic data (DBpia, KCI, KISS, RISS), we searched for the Korean keywords “childhood adverse experiences”, “childhood adverse life experiences”, “childhood hardship experiences” and the Enlish keyword“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mong domestic articles published from 2016 to 202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nal 26 resarch articles, the number of ACE studie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18. Adults (11 studies) and adolescents (9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study populations, with the majority of articles published in welfare-related academic journals (17 studies). The Korean terminology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8 studie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erm for AC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s was the traditional ACE scale (15 studies). There were 7 studies related to ACE prevalence and types, and 14 studies related to mental health-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ACE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이기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목적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교육정책 연구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 및 한국교육행정학회 홈페이지의 자료검색을 통해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에 대한 논문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 논문은 218편이었다. 분석 기준으로는 부문 영역 및 목적, 정책 과정과 수준, 연구방법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문헌 분석연구의 일환으로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2008년-2021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218편 논문에 대한 부문 영역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교원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주제별로는 자유학기제 정책, 혁신학교정책, 교원능력개발평가제, 교장공모제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목적별로는 현황 및 실태분석, 정책대안 및 개선 방안, 검증 및 적용 등의 순이었다. 둘째, 정책 과정별 연구동향에서는 정책평가, 정책집행, 정책결정 등의 순이었으며, 정책 수준별로는 국가 수준, 시⋅도 수준, 단위학교 수준 등이었다. 셋째, 자료수집 방법별 연구 동향에서는 문헌, 통계자료, 질문지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형태별로는 분석연구, 기술적 연구, 비교연구등의 순이었다. 결론 이상의 교육정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결론은 초⋅중등교육 영역, 자유학기제 및 혁신학교 정책의연구주제, 현황 및 실태분석의 연구목적, 정책평가의 과정, 국가 수준, 문헌 자료수집 방법, 분석연구의 형태 등이 주요 연구 동향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의 부문 영역, 연구목적 및 연구형태의 다양성 추구 등의 연구범위를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targeting educational policy-related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e of the Korean journals,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domestic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findings of analysis. Methods By searching for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website of the Korea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is author collected data about theses on ‘education polic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systematic ways, and for final analysis, 218 theses were selected.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set as sector areas and purposes, policy processes and levels, and research methods, etc. As part of reviewing the literatures, Excel program was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sector areas with 218 educational policy-related thes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2008 to 2021,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teachers were found in order. Concerning the topics of research, free semester policy, innovative school policy, the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 evaluation system, and principal competition system were found in order. Regarding the purposes of research,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political alternativ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ere found in order. Second, about the trends of research in policy processes, policy evaluation, policy execution, and policy decision were found in order, and in policy levels, the national level, city/province level, and the unit school level were found in order. Third, in the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s, literatures, statistical data, and questionnaires were found in order, and about the forms of research, analytic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 and comparative research were found in order.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educational policy, this researcher has derived following conclusions. Major research trends are associated with the area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topic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innovative school policy, research purposes o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processes of policy evaluation, the national level, the method of collecting literatures, and the form of analytic research.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broadening the range of research regarding various sector areas, research purposes, or the pursuit of diversity in the forms of research.

      • KCI등재

        국내 AI활용교육 연구동향

        허미선,배윤주,석희진,이정민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6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AI활용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 7월까지 최근 3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검토를 통 해 최종 7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3개년 중에서는 2020년에 게재된 논 문이,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별 분석에 따르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교과목별 분석에서는 외국어 교육과 관 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AI 테크놀로지 유형은 챗봇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 영역에서는 실행 단계가, AI활용교육 시스템 유형으로는 학생 지원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 으로 향후 AI활용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국내 AI활용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고, 교수자-학습자와 교수학습설계과정을 중심으로 AI활용교육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learning with AI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learning with AI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doing this, the final 78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over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9 to July 2021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review.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apers in 2020 among the three years were most published, and the most utilized research method was the qualitative researc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study subject,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studies on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analysis by subject, research relat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was most utilized and chatbot was most used in the AI technology type. Finally, the research learning with AI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student support accounted for the majority as the type of education system learning with AI at the implementation stage among the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learning with AI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research trends of learning with AI in domestic from an overall perspective, and examined learning with AI focusing on the instructor-learner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process.

      • KCI등재

        정보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이미나,오세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e research has purpose to offer the baseline data related with informational picture book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informational picture books focusing on the journals from 2000 to 2015. First of research problems, what is the trend of each picture book journals classified by information and by year? Second, what is the trend of each picture book classified by journal and by research contents? Third, what is the trend of each picture book classified by research subject and by evaluation criteria? 102 pieces of paper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 was divided into categories of publication year, academic journal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opics. Results. First, yearly trends have been progressed the most research in 2015, the continuous research presentations have been generally implemented. Second, literary researches for children were the most common trend by scientific journal, and the concept of social assimilation was higher in contents of the study. Third, subjects of the study were appeared in order of children, preliminary teacher and teacher, and evaluation conformity was indicated in order of educational elements, artistic elements and cultural elements. Finally, the trend of picture book,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a method that deliver divers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analyze trends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words and pictures, it also implied that can be investigated the important facts needed to children away from the presenting method in a lump.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정보그램책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여 정보그림책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는 첫째, 정보그림책 학술지의 등재구분별, 연도별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정보그림책의 학술지별, 연구내용별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정보그림책 학술지의 연구대상별, 평가준거별 동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논문 10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절차는 분석에 선정한 연구 논문 102권을 발행연도․학술지․연구대상․연구주제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15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연구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술지별 동향은 어린이문학연구(31편)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내용에서는 사회개념동화(18편)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에서는 유아(72편), 예비교사(25편), 교사(22편)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준거별에서는 교육적 요소(68편), 예술적 요소(48편), 문학적 요소(41편)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보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은 지식과 정보화 사회에서 다양한 지식,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정보그림책 동향을 분석하였다는 점과 일괄적인 정보 제시방법에서 벗어나 글과 그림의 역할이 강화되어 유아에게 필요한 중요한 사실 정보들을 탐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이론의 국내 연구 동향과 향후과제 : 최근 10년간 경영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지평기(Pyung-gi Ji),차동옥(Dong-ok Cha) 대한경영학회 2020 大韓經營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는 리더 구성원 교환관계(Leader member exchange: LMX) 이론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2010년~2019년 9월) 경영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에 출간된 논문 64개를 대상으로 연구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LMX 이론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리더십과 조직행동 분야의 주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LMX 연구가 실증 연구이며 이론과 개념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그러므로 LMX 이론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 개념적 연구(conceptual study)의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 또는 서번트 리더십 등 LMX 이론과 기본적 원리를 공유할 수 있는 타 리더십 이론과의 연계와 통합을 통하여 LMX 이론의 지평을 넓혀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LMX 연구에서는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런데 횡단적 연구의 특성 때문에 LMX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내재된 시간 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연구에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 LMX 연구설계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거의 모든 LMX 연구에서 구성원들만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LMX 측정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리더와 구성원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LMX의 관계적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LMX 측정시 리더들로부터도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또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자료(qualitative content) 분석을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LMX가 주로 독립변수 또는 매개변수로 활용되었지만 최근에는 LMX가 조절변수 그리고 종속변수로도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가설 설정시 LMX와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LMX가 포함된 가설 설정시 연구 모형에서의 활용에 관한 명확한 이론적 근거(rationale)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의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먼저, 국내 경영학계의 일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분석대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국내의 LMX 연구 전체에 관한 동향으로 간주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또한, 최근 10년 간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연구 동향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대상 논문들의 내용 분석에 중점을 두어, 통계분석 기반의 변수 간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A leader is one of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members attitudes and behavior.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of leadership is rooted in the premise of differential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and members. LMX theory wa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nearly 40 years ago and has received considerable research attention in the field of management research. A number of comprehensive revi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accumulated LMX studies overseas. Although LMX research was started in Korea in the 1980s,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effort to critically review the accumulated studies on LMX and to explore agendas for future research. The present study aims to summariz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LMX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overview of LMX studies by reviewing 64 papers published in 6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management over the last 10 years in Kore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cess proposed by Transfield et al.(2003)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e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LMX theory began in the 1980s in Korea, and it is still being dealt with as a major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leadership. However, most LMX studies are empirical and relatively few researches are on theory and 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ceptual stud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LMX research.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broaden the horizon of LMX theory through linkage and integration with other leadership theories, which can be helpful in sharing basic principles with LMX theory, such as transformation leadership or servant leadership. Second, most LMX studies so far have collected data from participants at a certain tim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cross-sectional study, the effect of the time variable inherent in the LMX development and changing process could not be reflected in those resear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a research design for longitudinal study on LMX in the future. Third, LMX measurements have been made by questionnaire only to members except leaders in almost all LMX studies. Thus,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LMX, which must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leader, have not been sufficiently reflected on LMX studies. Thus, future studies should also collect data from leaders when measuring LMX. In additi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hould be us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inally, although LMX was used primari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or a mediator in the past, LMX has recently been treated as a dependent variable or a moderator. However, in many cases, the rational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ther variables was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hypothesis set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rationale for developing hypotheses with LMX in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may also contribute to serving a guide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of the subject for leadership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