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지구조의 형식에 따른 해상풍력타워의 선박충돌거동비교

        이계희,곽대진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5 No.2

        The collision behaviors of the tripod and jacket structures, which are considered as support structures for offshore wind towers at theSouthwest sea of Korea, were compared by nonlinear dynamic analysis. These structures, designed for the 3 MW capacity of the wind towers,were modeled using shell elements with nonlinear behaviors, and the tower structure including the nacelle, was modeled by beam and masselements with elastic materials. The mass of the tripod structure was approximately 1.66 times that of the jacket structure. A barge andcommercial ship were modeled as the collision vessel. To consider the tidal conditions in the region, the collision levels were varied from –3.5m to 3.5 m of the mean sea level. In addition, the collision behaviors were evaluated as increasing the minimum collision energy at the collisionspeed (=2.6 m/s) of each vessel by four time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lastic energy dissipation ratios of the vessel were increased asthe stiffness of collision region. The deformations in the wind tower occurred from vibration to collapse of conditions. The tripod structuredemonstrated more collision resistance than the jacket structure.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concentrated centralized rigidity andamount of steel utilized.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서남해상에 건설예정인 해상풍력발전타워의 지지구조물로 고려되고 있는 세발구조와 자켓구조의 선박충돌 거동을 비선형동적해석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 구조물은 3MW용량의 풍력타워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두 지지구조는 쉘요소를 이용하여 비선형 거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모델링하였고, 발전기를 포함하는 상부의 타워구조물은 탄성재료를 이용하여 보요소와 집중질량으로 모델링하였다. 전체 질량은 세발구조가 자켓구조에 비하여 약 1.66배 정도였다. 바지선과 상선을 충돌선박으로 선정하여 모델링하였다. 조수차의 조건을 고려하여 충돌선박의 충돌위치를 평균해수면의 상하로 3.5m변동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각 선박의 최소충돌속도(=2.6m/s)에서의 충돌에너지를 각각 4배까지 증가시키면서 충돌거동을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지지구조 충돌부위의 강성이 클수록 선박의 소성에너지 소산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충돌조건에 따라 풍력타워의 변형은 진동에서 붕괴까지 발생하였다. 세발구조가 자켓구조에 비하여 큰 충돌저항력을 보였다. 이는 중앙부에 강성이 집중된 구조적 특성과 상대적으로 많은 강재의 사용량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전통목구조 건축물의 구조안전성 평가 사례

        이은진 ( Lee Eun-jin ),윤정훈 ( Yoon Jeoung-hoo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목구조 건축구조기준은 KDS 41 33에 규정되어 있으나 구조해석 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이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전통목구조의 일반적인 형태로서 지하층 RC, 지상층 전통목구조이다. 구조시스템은 지하층 RC벽식구조이고 지상층은 목구조라멘형식이다. 구조해석은 주요구조부에서 중력하중 및 횡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통목구조는 주요구조부에 접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2차부재가 많으므로 개별 부재의 허용응력 검토 시 2차 부재에 대한 고려는 설계자가 판단하여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한다.

      • KCI등재

        구조시스템에 따른 Tensegrity형 케이블 돔의 정적 불안정 거동특성

        조인기,김형석,김승덕,강문명 한국공간구조학회 2004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4 No.3

        대공간 구조는 3차원적인 힘의 흐름과 면내력에 의해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확보하는 형태저항형 구조로서 기본적인 구조저항 메커니즘은 구조물 자체의 곡률을 이용하여 면외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주로 면내력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한 구조시스템이다. 따라서 최소의 재료로, 가볍고 얇게 대공간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공간 구조시스템 중 연성 구조물의 일종인 막 구조, 케이블 구조 또는 복합 구조체로서의 막-케이블 구조물의 비약적인 발전이 최근 주목을 끌고 있다. 즉, 기존의 일반 구조재보다 가볍고 축 강성은 강하나 휨 강성은 매우 작은 막 및 케이블을 사용하여 대공간 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하중 레벨이 어느 임계값에 도달하면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뜀좌굴(snap-through) 또는 분기좌굴(bifurcation)에 의한 불안정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한 파괴 메커니즘의 파악은 구조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텐세그리티형 케이블 돔 구조물의 구조시스템에 따른 정적 불안정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형상해석을 통해 복합 케이블 돔 구조물인 Geiger형, Zetlin형 및 Flower형 케이블 돔 구조물의 초기응력에 의한 형상을 결정하고, 형상해석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정적 외력에 의한 불안정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A shell structure, having a curvature with a curved surface, is an extremely efficient mechanical creation regard to the external load. A basic structural resistance mechanism is the structural system, which is resisted the out-of-plane direction load by in-plane forces using the structure's curvature. Therefore, it has a merit to make thin and lightweight large spacial structures using minimum materials. Among the large spare structural system,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embrane structures, cable structures and the hybrid structures are watched recently. But, this kind of structural system shows the unstable phenomenon by snap-through or bifurc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structur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llapse mechanism by this phenomenon is very important to the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unstable characteristics of the Geiger-type, Zetlin-type and flower-type hybrid cable dome structures, which is the lightweight hybrid structures using compression and tension elements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tructural system.

      • KCI등재

        통합과 자율성으로서 구조적 연계

        이남복 한독사회과학회 2010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0 No.3

        체계이론이 자동생산체계의 조작적 폐쇄성을 강조할수록 체계와 환경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라는 필요성은 더욱 요구된다. 구조적 연계 개념은 바로 이러한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작적 폐쇄성이란 체계의 자동생산성이 오로지 체계 스스로의 조작에 의해서만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조적 연계는 체계 자체에서 자극, 놀라움, 교란만을 작동시킬 수 있다. 자극은 체계의 인지형식이지만 환경과 상관관계가 없는 인지형식이다. 체계 자체는 고유한 구조의 영상에서만 자극을 입력한다. 구조적 연계와 자극은 상호간에 포괄하는 개념이다. 포함과 배제의 이중적 효과를 지닌 구조적 연계는 자극에 초점을 맞추고 일어날지도 모를 우연성의 대비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구조적 연계의 기능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체계의 무관심한 코드화와 구조적 연계를 통하여 전달되지 않는 환경자극의 모든 것으로부터의 격리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커뮤니케이션 체계인 ‘사회’는 의식체계의 구조적 연계에 의지하고 있다. 기대라는 규범적 형식은 분명 놀라움을 통하여 작동된다. 이 형식은 의식체계와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구조적 연계를 필요로 하며 규범에서 비롯된 기대의 실망에 대비된다. 정치커뮤니케이션도 사회의 자동생산과정을 진행시키는 커뮤니케이션이기 때문에 정치체계에 있어서도 구조적 연계개념은 사회통합이나 정치적 조정이라는 문제해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치체계가 독자적인 자동생산체계로 기능분화 된다면, 독자적인 종류의 구조적 연계장치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러한 연계장치의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정치체계의 조작적 폐쇄성과 기능분화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사회구조에 적합한 기능체계에서 정치체계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연계 개념을 찾아내는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해상 수색ㆍ구조선의 최적배치에 관한 연구

        장운재(Woon-Jae Jang),금종수(Jong-Soo Keum),신철호(Cheol-Ho Shi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2

        선박이 해상에서 조난을 당했을 경우 인명과 재산 및 해양 환경보호를 위하여 조난자 및 조난선박을 신속히 수색ㆍ구조 함으로써 해양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 및 해양환경의 피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IMO에서 채택한 SAR협약은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발효되었고 국제적으로는 해양경찰청이 SAR협약의 이행기관이 되었다. 해상에서 조난자나 조난선박의 구조 및 발견 가능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기 때문에 SAR임무의 핵심은 효율적인 수색ㆍ구조 계획을 통해 신속하게 생존자를 수색ㆍ구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가 발생한 경우 구조선이 최단시간 내에 조난현장에 도착 할 수 있는 해상 수색ㆍ구조선 최적배치 모델을 정식화 하였다. 또한 해양경찰청의 구조선의 운용과 기술적인 능력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수색ㆍ구조 구역을 180개의 소구역으로 나누고 최적배치 위치 및 척수를 구하였으며, 구조선의 합리적인 운용을 위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척수를 산정하였다. The Korea Maritime Police Agency(KMPA) is the national maritime Search and Rescue (SAR) authority with the responsibility to promote an efficient organization of SAR services and to coordinate the conduct of SAR operations within the Korean Search and Rescue Region(SRR). The maritime SAR operations shall provide an adequate and effective search and rescue services to minimize the loss of life, injury, property damage or loss by rendering aid to persons in distress and property in the marine environment. The essence of a successful search and rescue operation is the speed with which it is planned and carried out because survivors who need assistance and whose chances of survival diminish rapidly with time. This paper aims to propose an optimal allocation model of maritime SAR fleet in view of minimizing the search and rescue time. When maritime accidents occur, rescue units have to reach to the dist ess scene within the specified time. For this, SAR units must be redeployed to an advanced base so that Rescue Units(RU) can reach to the scene of distress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The Korean maritime SRR is divided into 180 sub-areas in consideration of an operational and technical ability of SAR units. The suggested model is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application to the Korean maritime SRR. And also the Rescue Vessels(RV) required is estimated for each Rescue Co-ordination Center(RCC).

      • KCI등재

        초등수학에서 대상과 구조 : 구조의 횡적 다양성과 종적 다양성

        임재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6 No.3

        인식 주체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어진 대상에 구조를 부여하여 대상을 구조로 인식하려고 한다. 주어진 문제 맥락 속에서 주체가 대상에 부여할 수 있는 구조는 횡적, 종적으로 다양하다. 구조의 횡적 다양성의 측면에서, 한 대상 속에서 다양한 구조를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춘 문제해결 활동은 다양한 전략 사용에 중점을 둔 문제해결 교육의 보완이 될 수 있다 또, 도형 패턴 과제에서 일반식의 발견은 문제해결의 종착점이 아닌 새로운 구조 탐구의 시발점으로 여겨져야 한다. 구조의 종적 다양성의 측면에서, 교사는 학생이 보는 구조와 교사가 보는 구조가 다를 가능성에 유의하면서, 구조의 종적 다양성에 기초하여 아동이 진보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구조와 의식의 문제

        황순향(Hwang Soon-Hyang)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탈구조주의와 정신분석 담론은 주체를 분산시키고 해체시키는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힘을 주체성을 결정짓는 사회구조의 작용으로 파악한다. 이들의 이론에서 각 이론가들은 이성이란 이름하에 금지를 제도화하고 개인을 사회화하고, 나아가 주체와 주체의 욕망을 형성하는 구조의 작용을 드러낸다. 주체의 자아에서 숙주로 자라는 외래적이고 이질적인 무엇인 구조라는 ‘타자성’을 프로이트(Freud)는 ‘초자아’, 라깡(Jacques Lacan)은 ‘무의식(상징계)’, 지젝(Slavoj Žižek)은 ‘무의식’과 ’환상’, 들뢰즈와 가타리(Deluze and Guatarri)는 ‘오이디푸스적 구조’로 그들의 저술에서 다른 용어와 개념으로 정의된다. 본 논문은 먼저 그들의 이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들과 개념들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라깡과 지젝의 실재계, 충동, 향유 개념,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비도, 욕망개념이 갖는 정치적, 윤리적 함의를 밝힘으로써 구조와 의식의 문제를 검토한다. 이들의 이론에서 주체의 어떠한 영역을 자신에게 강제된 구조의 틀을 넘어서는 주체의 능동성으로 상정하는 가를 분석하고 무의식적 구조에 의해 봉인된 주체의 의식을 복원하는 이론으로 볼 수 있는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들의 이론에 나타나는 구조의 작용과 주체의 대응, 즉 구조와 주체의 역학관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프로이트, 라깡, 들뢰즈와 가타리, 그리고 지젝의 이론에서 주체와 주체에 대한 구조의 작용을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의 차이를 파악하고, 주체의 사고 작용을 구조의 작용으로 환원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의 이론에서 구조를 거스르고 탈주할 수 있는 주체의 힘, 즉 주체의 구조에 대한 반작용은 어떠한 발생학적인 과정에 의해 확보되는가를 분석한다. This essay aims at examin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subject’s consciousness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ethical sense of the concepts of the Real, drive, enjoyment(jouissance) of Lacan and Žižek and Libido and desire of Deluze and Guattari. And also this essay tries to clarify the different concepts of the same terminology and the same meanings of the different terminology such as unconsciousness, drive, desire, super ego, fantasy, the Symbolic, and the Real used by those theorists including Freud. The subject’s drive as the inertia of enjoyment and its area of subject, ‘the Real’ emphasized in the later Lacan’s theory are regarded as the driving force against all the symbolization carried out by the structure where subject exists. According to Žižek, the social stricture is found to be based on crack and void and to be structured inconsistently and around the traumatic kernel and lack, which enables subject to rebuild drive and enjoyment in the area of the Real, reacting to the division and alienation carried out by the structure. In Žižek’s opinion, the structure can be named the Other and the lack of the Other is a reason why structure cannot control subject’s drive and desire and interpellate subject wholly. So both the Other’s inconsistences and crack and lack and the subject’s drive in the field of the Real can be the main reasons to make subject cross the fantasy and get over symbolization of the structure. In conclusion subject cannot be totally divided and alienated by the symbolic language so that the concept of the subjectivity can be the reaction to symbolization, that is to say, the reaction to the interpellation by the concept of Althusser. For Deleuze and Guattari, desire produces and its product is real, and desire can produce only reality. And so drive and desire in the discourses of post-structuralism and the theory of schizoanalysis are subject’s strong capability not to be contained by Oedipal anxiety, and are positive sources that produce a new structure, that is to say, a new ideology in the society. Therefore, the subject’s drive and desire can be looked on the driving forces to make subject be conscious in the state of being free from the structure and to figure out in what strategy the Other,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tries to symbolize subject in the society.

      • KCI등재

        구조/행위 대립 극복으로서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이철(Lee Chul)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5

        본 논문은 니클라스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이론이 구조/행위 대립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한다. 본 논문의 해석에 따르면, 루만적 해법의 출발점은 행위도 구조도 아니다. 가장 먼저 발생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행위와 구조는 커뮤니케이션 다음에야 발생한다. 그때그때 발생한 행위와 구조는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이 된다. 이 해법은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이론의 세 개념 혹은 관점의 조합에서 도출된다. 첫째, 사회적 행위 개념을 행위를 구성하며 후속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개념으로 대체한다. 둘째, 역시 분석의 출발점으로서 최종적인 어떤 것으로 이해되는 구조 개념을, 시간 축 위에서 발현과 휴지(休止)를 반복하는 기대(의 구조)로서 파악한다. 셋째, 시간 차원에서의 행위/구조의 변화가 “사건/구조”의 상보적 진행 유형을 통해 나타난다는 점을 분석한다. 사건/구조(혹은 행위/구조)의 반복은, 타자준거를 실행하는 개방체계와 자기준거를 실행하는 폐쇄체계의 반복에 의해 진행된다. This paper interpret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system by Niklas Luhmann has the potential to solve the dilemma of structure/action.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is paper, neither action nor struc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Luhmann’s solution. The starting point is communication which occurs before anything else. Action occurs, and structure takes effect only after communication. The very action and structure build the precondition of the following communication. This kind of solution i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three concepts or perspectives from the Luhmann"s Supertheorie. The first concept is to replace the concept social action with that of communication constituting social action and stimulating the following communication. Also the concept structure, generally understood as starting point of analysis and used as the last independent variable, is dealt with as (the structure) of expectation repeating the pattern of emergence and pause on the time axis. And thirdly, it is analyzed that changes of action/structure on the time dimension reveals the complementary progressive pattern of event/structure. The repeating progress of event/structure (or event/structure) is explained through the repeating of the open system doing foreign reference and the closed system doing self referenc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대규모기업집단과 대리인 비용

        공경태(Gong, Kyung Tae),최종서(Choi, Jong Se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기업의 지배구조의 양부에 따라 대리인비용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국내 재벌기업의 일감몰아주기, 회사자금의 횡령 등 사회적 이슈가 되는 사건이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동기를 부여받았다. 대리인비용은 주주와 경영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직적 대리인비용과 대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평적 대리인 비용으로 구분된다. 국내의 대규모기업집단, 즉 재벌은 특히 지배구조와 관련하여 주목의 대상이 된다. 재벌 총수는 고용된 전문경영인을 견제하기 위한 내부감시장치를 설치하여 경영자의 방만한 경영을 견제함으로써 수직적 대리인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반면, 독점적 권력을 행사하여 관계회사와의 내부거래를 통해 비지배주주의 이익을 손상시킬 수도 있어 수평적 대리인 비용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기업의 지배구조개선을 목적으로 매년 국내 상장기업의 지배구조를 평가하여 등급을 결정하고 우수기업에 대하여는 수상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 기업의 지배구조 양부를 구분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기업지배 구조원으로부터 우수등급을 받은 기업 및 동 기간 동안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대규모기업집단지정을 받은 기업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들 집단에 속한 기업과 비교대상 기업 사이에 대리인비용의 차이가 관찰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선정된 표본기업은 지배구조우수등급 또는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 664개사와 비교대상 일반기업 4,043개사로 구성된다. 대리인 비용의 측정을 위해서는 매출액 자산비율, 영업비용 대비 매출액비율, 감가상각비, 지급이자, 세금차감전이익 대비 총자산비율의 3개 재무비율에 있어서 표본기업과 지배구조우수기업 대상을 수상한 준거기업 간의 비율차이를 구한 다음 이들에 대해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여 도출된 공통요인을 척도로 삼았다. 지배구조우수등급기업 소속여부 및 대규모기업집단 소속여부를 관심변수로 하고 대리인비용을 종속변수로 하는 일련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대와는 달리 지배구조우수기업의 대리인 비용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고 대규모기업집단과 기타기업집단 사이에는 대리인 비용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대규모기업집단의 수직적 대리인비용의 감소효과와 수평적 대리인 비용의 상승효과가 혼재된 결과로 해석된다. 나아가 지배구조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중 대규모기업집단 소속기업의 대리인비용이 비교대상 기업보다 높게 관찰된 사실은 기업지배구조원의 지배구조평가제도가 특히 대규모기업집단 소속기업과 관련하여 우호적으로 편향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대리인비용의 측정과 관련하여 한정된 대리변수에 의존하고 있어 결과의 일반화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gency costs vary depending on the types of corporate governance, mainly motivated by recent cases of tunneling, propping, and expropriation as manifested by several large business groups in Korea. Agency problem relates either to vertical cost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holders and managers, or to horizontal costs associated with the potential conflicts between large and minority stockholders. Business conglomerates are capable of exercising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managerial decisions of member firms. The major stockholders, normally the founder-owners of a conglomerate, are able to implement internal monitoring mechanisms to check imprudent and reckless operations practiced by employed executives, thereby mitigating the vertical agency costs. On the contrary, mainly due to the monopolistic power with regard to resource and decision controls, the major stockholders may harm the interests of non-controlling stockholders by engaging in tunneling, propping, and expropriation, resulting in the rise of vertical agency costs.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CGS) was established in 2002 with the view to enhance the corporate governance of Korean business community. Since its founding, CGS evaluates the governance system of Korean business enterprises listed in KRX and KOSDAQ and awards prizes to selected firms with superior governance structures.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difference in the agency costs of selected firms designated as having superior governance structures relative to control sample firms. We also compare the level of relative agency costs between business conglomerate member firms versus control firms. We compared 664 firm-years representing the superior class against 4,043 control firm observations over the 3 year period from 2009 through 2011. Agency costs are measured by the value of principal component derived from the difference scores of three selected ratios between individual sample firms and the three benchmark companies designated as the superior governance firm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under study. The ratios employed include asset turnover, operating expense to sales ratio, and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and depreciation. We conduct regression analyses whereby agency cost index is regressed on corporate governance superiority dummy, large business group dummy, along with several other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indicate that the agency costs of superior governance group marginally exceed those of control group,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observed between business group member firms versus non-member counterparts. Similar results are obtained from additional analysis which relies on alternative proxy for agency costs. These results raise some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GS led evaluation system or suggest a room for further elaboration in future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등가정하중법과 부분구조합성법을 이용한 구조최적설계

        최욱한(Wook Han Choi),나유상(Yoo Sang Na),박경진(Gyung-Jin Park) 대한기계학회 2015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9 No.8

        구조최적설계는 구조물의 성능 개선을 추구하며, 최근에는 구조최적설계는 항공기와 같이 복잡하고 대형인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되고 있다.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유한요소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이는 설계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에 부분구조합성법으로써 구분모드합성법이 해석시간 단축을 위해 종종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동적특성을 고려하고 해석의 정확도는 유지하면서,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등가정하중을 이용한 동적응답 최적설계에, 부분구조합성법을 적용하여 설계영역만을 고려한 구조최적설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 검증을 위하여 선형 및 비선형 동적응답 최적설계의 예제를 풀이하고, 그 결과에 대해 토의한다. Structural optimization pursues improved performance of structures. Nowadays, structural optimization is applied to the design of huge and complex structures such as an airplane. As the number of the finite elements is increased, the analysis solution becomes more accurate. However, the design cost using the finite element model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onent mode synthesis method that is using the substructure synthesis method is frequently employed in order to keep the accuracy and reduce the cost. A new design method for structural optimization is proposed to reduce the design cost and to consider the dynamic effect of the structure.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design cost by applying the equivalent static loads on the design domain. An example of linear dynamic response optimization is sol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