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요 연구의 확산과 수렴 - 최근 5년 동안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장유정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trend of folk songs in recent years. To this end, after looking for essay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11 to 2015,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recent research done in any way a folk song. And it was looking for a way to study the folk oral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view based on it. Recent studies made on the status of folk songs can be summarized in a few things: First, the folk musical studies. Second, studies of regional folk songs, third, the study of North Korean folk songs, ethnic Koreans, research and foreign folk songs of Yanbian folk music research and comparative studies, fifth, Arirang study of foreign folk songs and country ballads, Sixth, consider other market-pronged compared with folk songs and folk songs in market research or other nature of, seventh, research, private study and eighth ballads to pop to folk would upset modernization of them. Of course, one of the above studies are accentuated made redundant in several studies rather than exist as either one on its own, it can be summarized as a whole presented above. It looks as if the various folk studies conducted, to look at having a literary point of view can be seen that conducted the folksong research still insufficient. Especially, folk scene is a different situation, which is required for the inventory ballad research methods. Ballad then need the bars present in the fluid, dynamic look non-fixed form, considered for this. And, given the changed site conditions, as well as folk ballads requires research on folk ballads. New ballad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p ballad screen also needs to be considered. Findings of folk music being mad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do this, we must also actively utilized. In short, in the changed environment, will be considered for this study is a premise to be conducted 본고는 최근에 이루어진 민요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2011년에서 2015년까지 발간된 소논문과 학위논문을 살펴본 후, 최근에 민요 연구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구비문학 관점에서 민요를 연구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최근에 이루어진 민요 연구의 현황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민요의 음악적 연구, 둘째, 지역 민요의 연구, 셋째, 북한 민요의 연구, 넷째, 조선족이나 연변 지역 민요의 연구와 외국 민요 연구, 그리고 외국 민요와 우리나라 민요의 비교 연구, 다섯째, 아리랑 연구, 여섯째, 다른 시가 갈래와 민요와의 비교 연구나 다른 시가 속 민요적 속성 고찰, 일곱째, 민요의 대중가요화나 현대화 작업에 대한 연구, 그리고 여덟째로 민요의 사설 연구가 그것이다. 물론 위의 연구들은 어느 하나만 독자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몇 가지 연구가 중복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나, 대체로 위에 제시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양한 민요 연구가 진행된 것처럼 보이지만, 구비문학적 관점에서 민요 연구가 진행된 것을 보면 여전히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민요 연구 현장이 달라지면서 민요 연구 방법에 대한 재고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요는 고정된 형태가 아닌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존재하는 바,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달라진 현장 상황을 감안할 때, 토속민요뿐만 아니라 통속민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민요의 대중가요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신민요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민요의 음악적 연구 결과물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요컨대 달라진 환경 속에서, 이에 대한 고려를 전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민요 가창자 지속과 마을문화

        이창식(Lee, Chang-si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마을문화 소리판에서 민요 가창자 연행과 공동체 청중의 호응이 중요한 관계를 이룬다. 조사자와 연구자의 문제의식이 구체적으로 있을 때 과거 소리판과 가창자 혼자 부르기 현재 소리판을 역동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2015년까지는 고로 가창자의 전형문법이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지정 문화재, 비지정 문화재 공히 적용된다. 마을문화로서 구비민요의 가창자 보호는 필요하다. 전통형 구비민요의 전형은 가창자연속성과 내발적 생동성을 높이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 경기민요 지정 사례와 구비민요 국가지정(문화재청 기준)의 취지에서 보듯 특정 종목 자체의 가치와 복수성(한 종목 여럿)으로도 지정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대책으로 문화재 제도 보강이 필요하다. 마을문화 전승 지속 차원에서 민요 가창자 공동체의 인위적 구연 기반 조성을 장려해야 한다. 최근 마을문화 활성화 사업이 많다. 구비민요 영역이 어렵지만 공연과 놀이와 연계된 활동은 호응이 바림직하다. 문화자원의 활용론에서 가창자 보존은 중요하다. 긴급종목을 포함하여 가창자 보유 중요항목을 고려한 지방정부, 연구소, 연구자 등의 노력이 집중되어야 한다. 아울러 마을문화 지속 차원에서 민요 가창자에 대한 일본 아마미제도의 시마우타처럼 민요가수제 도입이 필요하다. 가창자를 통해 구비민요유산의 마을자산 또는 활용자원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설화와 달리 민요 전승은 어려움 크기에 창곡의 특수성으로 민요의 지속화와 차세대 육성에 대한 전승의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Village took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and cooperation from the audience is important relationships in the sound board, past and when investigators a matter of conscious by 2015 can organize a dynamic, the sound board now to sing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alone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classic example of the Typical grammar partly. The quintessence of folk song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in a row of the refining side of a spontaneous burst of vitality and ability. As shown in the tenor of certain specified cases and a folk song Arirang, Gyeonggi-do, Korea country event of revenge against its own values and (several in a stock) Also designated as possible to extend. In order to continue on with the village 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keep proper environment for Folklore singers. It is definitely true that there are many industries related to village culture and it comes out to be successful in terms of performance. However, a theme which involves Folk song needs to be developed more and deeply in order to attract more visitors. When we talk about the resources regarding the culture, Folklore singers are considered as top priority. In order to keep them as top priority as their resources, the effort of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needed at all circumstances. This paper suggests adopting a system for traditional narrators and Folksong-singers. folksong-singer system reflects creating commercial values like Shimauta in Amami Island, Japan. Preliminary approval system and licens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judging activities by examiners, researchers and experts on narration capability. Intangible Cultural Asset Protection Act and application and role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will be in effect in 2016. It can grow through appoin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f the singers are of generations, it can be an advantage to vitalize transmission.

      • KCI등재

        민요 가창자의 전승과 소통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The folksinger of folksong will be able to discuss from the various side. Today the site where maintains the tradition of folk song is disappearing from direction of a ceremony. Must understand the transmission method and a being understood aspect of the folksinger because like that. The folk song every the folksinger is different. This paper researched the folksinger people intensively from this writing. Folksinger current quality confronts with a character the area by important folksinger research must be deepened the comparison research with existing literature data. Study of oral folksong will research with field folksong context. We conversed directly the folksinger life of four people with the method which is various. Seok Palrye folksinger was an ability which composes talk of a folk song. Han Taeu folksinger will be able to narrate orally a many kinds folk song. Hwang Okbun folksinger was possibility like the autobio- graphy of oneself of calling a folk song there. Sin Yongnyeo folksinger well folk song and talk. 제천(堤川)지역 구비민요는 지역민들에게 있어 삶의 표현방식의 그릇이다. 구전민요는 삶의 현장마다 부르는 소리가 제각기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민요 가창자 전승의 가변성을 유의하면서 제천지역 민요 각편들을 두루 조사하여 일차적으로 각각 각편의 실상을 정리하고 주요 가창자의 이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증보판 구비문학 조사에 참여하여 현시점에서 민요의 전승기반에 대해 주목하였다. 2009년 증보 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의 조사 일환으로 시작한 첫 번째 지역이 충청북도 제천시인데, 구비민요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충북 제천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 사설을 1차적으로 살펴 현시점의 전승실태를 드러낸다. 아울러 민요를 통해 제천지역 가창자들 현재 소통 가능성과, 이와 연관하여 오랜 세월에 걸친 민요 소통양상을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구비문학으로서 민요의 현지적 조사의 실상과 한계-증보 한국구비문학 사업이 대체로 이러한 문제점을 지님-를 새삼 따져보았다. 제천지역의 민요 가창자를 통해 현재 소리판 위기를 간접적으로 진단하였다. 가창자 중심의 장기간 현지체류에 의한 참여관찰을 통해 민요맥락(folksong context)의 심층적인 기술이 중요하다. 구전민요지의 현재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문헌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고려하여 지역별 주요 가창자 연구가 심화되어야 한다. 소리판의 변화추이도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여러 제보자 중에서 네 명의 민요 가창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면담하였다. 석팔례 가창자는 사설을 구성하되 이야기-민요적 재담과 신파에 가까운 구연-를 엮어 연극하듯 주변 사람과 어울렸다. 이야기를 민요로 구성하는 능력이 있다. 한태우 가창자는 상여소리로 이미 지역에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자신의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나머지 가창자들과 어울려 어떤 각편도 소화가 가능하였다. 황옥분 가창자는 다양한 각편 사설을 보유하고 있고 어릴 때 고향-강원도 삼척지역 원덕-에서 익힌 각편도 기억하고 있어 자신의 자서전처럼 전달하였다. 신용녀 가창자는 소리꾼과 이야기꾼 양쪽의 소양을 지니고 있다. 친정이 영월지역 주천이라 전형적인 아라리 각편들을 지니고 있었다. 알지도 못했던 가창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금방 소리를 주고받으며 진한 동질감을 가졌다. 상대방 소리 때문에 잊혀진 각편이 생각난다고 하였다. 이해와 소통이 새로운 소리판을 짰다. 전승과 소통의 마지막 불씨 같았다.

      • KCI등재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 분석과 구축 방안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2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atus of Korean folk song archives and Anglo-American & European ballad archives and suggests requirements for constructing a digital archive for Korean narrative songs. A Korean narrative song archive has never been established while there are several Anglo-American and European ballad archives providing original texts and sound sources. The requirements and conditions for constructing a Korean narrative song archive are as follows; First, narrative song researchers should establish standard names of songs and construct a thesaurus; build a database of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and catalog materials related to the narrative songs. Second, an operating agency should solve problems with archiving such as copyright resolution, inter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rchives, and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arch engine and materials. Lastly, IT experts should design a multi-search system, an auto-associative query switching system, and an interactive platform between user and provider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The construction of a Korean narrative song archive can then be the basis for extending to archives of all other oral literature including the other folk song genres. In order for the Korean folklore archive to be created, it should be backed by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the folk scholars. 이 글에서는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 서사민요 및 외국 발라드의 디지털 아카이브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필요한 사항 및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소장 자료의 원문 및 음원을 검색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다수 갖추고 있는 외국의 영미․유럽 지역 발라드와는 달리 한국 서사민요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디지털 아카이브를 갖추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한국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을 위해 해결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표준명 설정 및 시소러스 작업, 자료의 내적․외적 정보 데이터베이스 작업, 관련 기사․해설․논문․문화콘텐츠 목록화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둘째, 운영 기관은 저작권 해결, 디지털 아카이브 간의 상호 연계, 검색 시스템 및 자료의 영역을 뒷받침해야 하며, 셋째, IT 전문가는 멀티 검색 시스템, 연관 단어 검색 전환 시스템, 상호 작용이 가능한 플랫폼 설계를 통해 이용자들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한국 서사민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은 이후 서사무가와 설화를 비롯한 구비 서사문학뿐만 아니라 서정민요와 무가, 교술민요와 무가 등 구비문학 전반의 디지털 아카이브로 연계 확장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세르비아 구비서사시와 한국민요의 作詩單位 분석 : 마르코 끄랄례비치(Марко Кра?еви?) 관련작품과 ‘정선 아라리’를 중심으로

        김상헌(Kim,Sang-hu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구비시가(口碑詩歌)의 내재적(內在的)?외재적(外在的) 작시원리를 모두 함께 살피는 일은 방대한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구비시가의 작시원리를 규명하려는 목적의 일환으로써 페리와 로드가 주목하고 있는 구비서사시의 외재적 작시원리와 작시단위들을 살피고자 한다. 물론 세계의 모든 구비서사시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원리로써의 작시원리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국가와 민족의 구비서사시 자료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겠지만, 이 또한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연구과제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구비서사시에 들어맞는 하나의 보편적 원리를 찾는 일은 단 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고, 그렇게 단계적으로 이루어진 작시원리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들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만 보편적 이론의 도출이 가능하다. 구비서사시의 보편적 작시원리를 도출하기 위한 첫 단계 연구로써, 세르비아의 구비서사시 가운데 마르코 끄랄례비치(Марко Кра?еви?)라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들과 한국의 민요 가운데 ‘정선아라리’를 통하여 작품의 구성원리로써 작용하는 유고슬라비아와 한국 구비시가의 의미적?형식적 작시단위를 살피고자 했다. It is so extensive that make observation of the immanent and external composing principles. In this article, you can read some representative works and have the explanation of the specialities of the composing principles on yugoslav and korean oral poetry. Naturally, for universal principle of composing oral poetry, more nations and ethnic groups have to be intended for the investigation, but it can not be realized in a short time. As a first step to conduct a universal composing principle of oral poetry, among the serbian oral epic poetry have chosen works about Marko Kraljevi?, universal hero of the Balkan peninsula. For comparing with those works, have chosen a korean folk ballad ‘Jeongseon Arari’. In this article, we put more emphasis on semantic composing principles of the oral poetry.

      • KCI등재

        한국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의 구상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This paper analyzes representative cases of folk song archives and larchiveum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in order to prepare concrete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Korean folk song archives and larchiveum. As a result of analyzing Korean folk song archives and larchiveum cases, the necessity of researches to record meta information about folk song materials, to supplement folk song classification system, was highlighted. In foreign countries, the classification and search system of folk songs is provided very systematically based on professional research by folk songs researchers with national support. In particular, detailed meta-information and keyword work are done for each folk song, so not only can folk songs be searched in various ways, but also the link between folk songs archives is very diverse. Based on this, three basic directions for the Korean folk song archive and larchiveum were presented. It should be a specialized space where the center and region are interconnected, an open space where users participate, and a space for the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a new folk song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central Korean folk song archive should serve as a hub for designing and distributing the platform of folk song archives, and the local folk song archives should take on the role of specialized spa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folk songs, while maintaining the individuality and heterogeneity of local folk songs. In addition, each local folk song archive is not an institution-centered closed space but an open space where users can participate, so that local people can act as producers who collect folk songs and produce new folk song contents. In particular, the folk song larchiveum is a cultural space that combines the roles of existing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creating and communicating a new folk song community where folk songs are experienced, created, and transmitted through actual face-to-face meetings. When the local folk song archives as well as the national folk song archives are specialized and linked to each other, Korean folk songs will live and breathe as new songs that are always created and passed down instead of disappearing as old songs. As a result, Korean folk songs can be spread as assets of world folk songs. 이 글에서는 한국 민요 아카이브와 라키비움의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과 외국의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를 구축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 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 사례를 분석한 결과, 민요 자료에 대한 메타정보의 체계적인 기록, 민요 분류체계의 수정, 보완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 등이 부각되었다. 외국의 경우는 공통적으로 민요의 분류 및 검색이 민요학자들에 의한 전문적 연구를 기반으로 매우 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활용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전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개별 민요 자료마다 자세한 메타정보와 키워드 작업이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의 민요 검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민요 아카이브들 간의 연계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 이에 앞으로 한국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으로 중앙과 지역이 상호 연계된 특화 공간, 이용자가 참여하는 열린 공간, 새로운 민요 공동체의 생성과 소통 공간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즉, 중앙의 한국민요 아카이브는 민요 아카이브의 플랫폼을 설계하고 분배하는 허브의 역할을, 지역 민요 아카이브는 각 지역 민요의 개별성과 이질성을 살려내면서 각 지역 민요의 특징에 맞는 특화 공간의 역할을 맡아야 하며, 각 지역 민요 아카이브는 기관 중심의 닫힌 공간이 아니라 이용자가 참여하는 열린 공간으로서, 지역민 스스로가 민요를 수집하고 민요 콘텐츠를 제작하는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민요 라키비움은 기존의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의 역할을 복합한 문화 공간으로, 민요의 생산자와 이용자가 실제 얼굴을 맞대는 만남을 통해 민요를 체험하고 창작, 전승하는 새로운 민요 공동체를 생성하고 소통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한국민요 아카이브, 지역민요 아카이브, 지역민요 라키비움이 각자의 특성과 전문성을 특화하면서도 서로 연계될 때, 한국 민요는 사라져가는 옛 노래가 아니라 현재도 늘 새롭게 창작, 전승되는 노래로 살아 숨 쉬게 될 것이며, 세계 민요의 자산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체코의 구비문학론

        김규진(Kim, Kyu Ch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체코 구비문학은 다른 동유럽 구비문학처럼 체코 민족의 역사, 언어, 종교, 풍습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주 고 있는 문학 장르이다. 그 이유는 구비문학이야말로 민족의 역사와 운명을 통해 만들어진 공동체적 성격을 지 니는 민족문학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작품에는 한 민족의 삶, 의식과 이상을 담은 요소들이 들어있 다. 구비 문학의 갈래는 일반적으로 구비 운문과 구비 산문으로 크게 나누어지게 된다. 구비운문에는 구비서정 시(민요), 구비서사시와 발라드 등이 포함된다. 구비 산문은 일반적으로 신화, 전설, 민담 등이 있으며 수수께 끼, 속담, 금언, 격언, 일화 등의 구비단문도 여기에 포함된다. 민속극도 구비문학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구전문학과 기록문학의 상호 보완 및 영향은 지대하다. 이러한 상호 관계는 문학의 테마, 주제, 모티프, 플롯, 인물 및 시적이고 언어적인 수단에서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내적 교류는 여러 장르 즉, 신비로운 이야기, 신화, 동화, 영 웅적인 전설, 기사도 이야기, 모험담, 도덕적이고 풍자적인 우화, 동물이야기, 민요, 발라드, 속담, 자장가, 격언, 에피 소드, 수수께끼, 날씨 이야기, 금언, 민속극 등에서도 이루어진다. 체코구비문학은 주로 19세기에 독일의 로망주의의 영향 하에 발견되고, 수집되고, 인식되고 그리고 학문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보헤미아, 모라비아, 실레지아, 슬로 바키아에서의 구비문학의 창조는 18세기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체코 구비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코 구비문학이 어느 시대에 주로 번창했으며 어떻게 채록되었는지, 또 어떤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었고 문학의 일부분으로 인정되었는지를 살펴보겠다. 아울러 체코어와 유사한 슬로바키아어를 사용하고 또 체코와 한나라를 오랫동안 유지했던 슬로바 키아의 구비문학도 이해를 돕기 위해 약간 언급하고자한다. 또 기타 몇몇 동유럽 민족국가의 구비문학의 특성 을 알아봄으로써 구비문학의 보편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체코 구비문학의 갈래를 소개하고 체코 구비문학 중에서도 민담 수집가 겸 작가로 가장 유명한 에르벤과 넴쪼바의 문학세계도 알아보고자 한다. The Czech folk literature is mainly discovered, appreciated and scholarly studied during the 19th century largely influenced by German Romanticism. But in Bohemia, Moravia and Silesia and Slovakia the creation of folk literature had taken place in the 18th century. This paper aims to give a brief information of the Czech folk literature. As an introduction, the notion of the Czech folk literature, 『lidová slovesnost』 or 『folklor e』 was presented. The 2nd chapt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lk literature in general. In the 3rd chapter is treated classified systems of folk literature by genres as well as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folk literature in Czech and Slovakia. In the 4th chapter is treated with two major Czech folk literature authors Jaromír Erben and Božena Němcová. The Czech folk literature is the literary genre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zech tradition, history, language and religion. The folk song is the most precious single heritage of Czech national culture. Bohemian, Moravian, Silesian and Slovak folk songs, mainly lyrical, have always been living sources of inspiration for creative artists such as musicians as well as poets and writers. Folk tales are stories full of characters and motifs that have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zech folk tales have an ancient Slavic tradition as well as European and Asian tradition. In the folk literature there two major genres folk poetry and folk prose. Legend, myth, folk tales, fairy tales, fables, proverbs, riddles, anecdotes and sayings are belong to the folk prose. Folk songs, folk lyrics and epics, ballards and nursery rhymes belong to the folk poetry.

      • KCI등재

        북한 민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김문태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9

        There are 37 folk songs commonly and deeply discussed in the three kinds of literary history of the North Korea that were published in three periods. In the North Korea's literary history, the number of folk songs that were discussed in detail is less than the number of folk tales or classical poetry or classical prose that were discussed. This is the result of the guideline that North Korean folk songs should meet the people's sense of beauty at that time by revising, remaking, and creating. The themes of folk songs are criticism on ruler (17), labor (9), patriotism (7), and pure human touch (4). This shows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emphasizes revolutionary folk songs. North Korea is aware that the national traits in 37 folk songs contain the people's progressive virtues, and these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 and the urgent problems in the people's lives. However, these three kinds of literary history do not mention the aspects of artistic imagery. National traits in folk songs are virtues that communist anthropology should pursue. But traditional folk songs have been underrated, while creative folk songs have been emphasized in the North Korea. Because most of themes of national traits in traditional folk songs are pure human touch. After all, the epitome of the principal communist anthropology of the North Korea has been achieved through creative folk songs than traditional folk songs. 북한에서 세 시기에 출간된 3종의 문학사에서 공통적으로 심도있게 논의되는 민요 작품은 37수이다. 북한문학사에서 민요는 비중있게 논의되는 작품수가 설화, 고전시가, 고전산문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적다. 북한의 민요는 오늘날 인민들의 시대적 미감에 맞아야 하므로 전통적인 민요를 수정, 개작, 창작해야 한다는 지침에 따른 결과이다. 민요작품 37수의 주제는 통치배 비판이 17수, 노동이 9수, 애국심이 7수, 순수인정세태가 4수이다. 이는 북한문학사가 투쟁적인 민요를 강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북한은 37수의 민요작품 안에 내재된 민족적 특성이 진보적이고 인민적인 덕목들로 시대의 요구와 민족생활의 절박한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세 시기의 문학사는 공히 민요의 예술적 형상화 측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민요에 내재된 민족적 특성은 공산주의적 인간학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 덕목이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전통 민요의 위상이 저하되는 반면, 창작 민요가 강조되고 있다. 이는 전통 민요에 나타나는 민족적 특성의 대부분이 순수인정세태적인 덕목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결국 북한은 오늘날 주체형의 공산주의적 인간학의 전형을 전통 민요보다는 창작민요를 통해 실현하고 있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아시아 구비문학 활용 방안

        권오경 ( Kwon Oh-kyung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본고는 구비문학을 활용한 다문화사회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아시아 구비문학을 상호관계성 속에서 살피기 위해서 먼저 비교시각을 확보하는 일과, 아시아 구비문학이 가지고 있는 독자성과 유사성을 다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 구비문학의 본질적 요소와 다문화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상호비교하여 활용 방안으로 나아가기 위한 항목을 설정하고 세가지 방안을 순서대로 살폈다. 구비문학이 지닌 세상의 근원과 현상에 대한 설명과 이해, 세상을 보는 지식과 소통, 공감하기, 세상의 일에 적극 중재하고 삶을 즐기는 것은 구비문학의 본질이자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해서도 필요한 기본 역량들이다. 1) ‘보편적이면서 다양한 문화의 상대적 인식’에서는 穀神으로서의 死體化生神話를 사례로 들어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보여주고자 하였고, 2) ‘문화에 대한 지식으로 소통하고 공감하기’에서는 이 세상이 거짓과 불평등, 빈곤 등으로 가득찬 악한 세상이 된 사연을 아시아 여러 나라의 설화를 통하여 살폈다. 그리고 3) ‘문화중재와 더불어 세상 즐기기’에서는 구비문학 중에서도 특히 노래와 劇 장르를 통하여 중재하고 세상을 즐기는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사회는 일찍부터 다중적인 사회문화 현상을 지녀왔다. 현대 한국의 다문화사회화는 사람들의 이동에 따라 다중성, 다양성이 더욱 가시화된 경우이다. 구비문학은 다중적, 다문화적, 혼종적 세계의 근원과 현상을 보여주며 갈등을 화합으로 풀어가는 방법을 제시하는 대표적인 문학 장르이다. 따라서 구비문학을 활용한 다문화사회통합 방안을 살피는 작업은 글로벌사회에 대응하는 데 의미있는 일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using methods of oral literature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t first, I tried to get the comparison viewpoint because of the comparative approach between Korean oral literature and another Asaian oral literature. And then I researched the unique characteristic and similiaty of Asian oral literature in the point of university and diversity. For the using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the multi cultural field, it is nesessary to compare the functions and competence with the fundemental elements of oral literature. This is bridge to link two fields. At the results, there are three items. 1)Understanding the universal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2)Getting th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of this world, 3)Sharing the sympathy, arbitration and enjoy the society are the essencial elements. And these are also essencial elements in the oral literature. 1) For the understanding of relative cognition in the point of universality and diversity, I explaned the God of grain as the myth of transformation of dead body. 2) We can communicate and share the knowledge of world culture and sympathy by the folktales, especially using the fables. So we know that this world is full to the evil, untruth and unequal, poverty etc. 3) To arbitrate between the different culture is very popular in the theater as the oral literature and it is also shown multi-cultural society. Particularly sharing the joy is common in the traditional folksongs. This paper is the draft proposal. And specific methods are necessary to use the oral literature texts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구비문학과 문예창작-현대시에서의 민요 아리랑과 논개 이야기의 수용을 중심으로-

        박경수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Oral Literature and Literary Art-the reception of Arirang songs and Nongae tales in modern poemsPark, Kyung Su(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Oral Literature has been always become the basis and the motive power for creating new literary culture. The study deals with modern poems which are accepting Arirang songs and Nongae tales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literature on the basis of oral literatu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several regional Arirang were received with variety in modern poems. Especially the more a poet passed through the experiences about Arirang of his own region, the more his poems based on Arirang gave us a deep impression and a sympathy; secondly some poets are consisting of their works with personal identity by making the efficient use of Arirang; thirdly the tales of Nongae were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Nongae as a Kisaeng(i.e. a female entertainer), the other is Nongae as a non-Kisaeng fourthly, there are poems expressing the diverse images as a human being much more than poems focused on the tale of Nongae itself. These poems, which are alluded from Nongae, are categorizedinto three types. 1) first one is a poetry expressing variously the image of Nongae as a human being. 2) second one is a poetry receiving the tales of Nongae as a Kisaeng from a vulgar woman to a sacred. 3) third one is a poetry accepting the tales of Nongae as a non-Kisaeng who was of noble birth. 이 글은 구비문학이 새로운 문학 문화를 창조하는 중요한 토대나 원동력이 되어왔다는 점을 전제로, 구비문학을 수용한 현대의 문학 문화가 갖는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는 일환으로 현대시에서 민요 아리랑과 논개 이야기를 수용한 작품들을 찾아서 논의한 것이다. 먼저 민요 아리랑은 각 지역의 아리랑을 중심으로 현대시에 다양하게 수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각 지역의 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 작품들 중에서 지역 아리랑에 대한 체험적 공감대와 이해를 충분히 마련한 시인의 작품일수록 그렇지 못한 시인의 작품들보다 민요의 가락과 정서를 한층 폭넓은 범위에서 활용하면서 개성적인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박세현의 시, 진도아리랑을 수용한 김준태와 박상률의 시가 이런 점에서 주목되었다. 한편, 제주 출신의 시인 김희철은 아리랑의 리듬에 제주 방언을 잘 살려 쓴 작품을 통해 새로운 지역 아리랑을 창출하여 자신의 시적 정체성을 마련한 본보기를 보여주었다. 민요 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가 이처럼 새로운 시세계의 모색이나 개성적 시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기도 했지만, 민요의 형식에 대한 고답적 인식과 아리랑의 대중성에 지나치게 의존한 작품들도 있다는 차원에서 반성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논개 이야기가 현대시에 수용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논개 이야기는 역사상 실존했던 인물의 설화라는 점에서 사실과 허구의 이중성을 가진 이야기로, 논개의 출신과 신분, 논개 죽음의 이유와 그 의미에서 서로 상반되는 화소를 가지고 있었다. 이 상반되는 이야기의 화소를 바탕으로 논개 이야기를 크게 기생인 논개 이야기와 기생 아닌 논개 이야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런데 현대시에서 논개 이야기의 구체적 화소보다 논개의 인간상을 주로 탐구하는 묘사 중심의 작품들도 있었고, 논개 이야기의 화소를 수용하면서 기생인 논개 또는 기생 아닌 논개 이야기로 각기 변별되는 화소를 수용한 작품들도 있었다.논개의 인간상을 주로 탐구한 시로, 노천명의 시는 논개의 비극적 인간상을, 여영택의 시는 절개의 인간상을, 임종성의 시는 논개의 비극적 존재성과 함께 존재 초월의 이중성을 묘사하고자 했다. 기생인 논개 이야기의 화소를 수용한 서정주, 고은, 김준태, 권혁소, 모윤숙의 시작품들을 통해 풍류와 관능에 물든 세속적 여인상에서부터 ‘나라보살’로 존재가 확대된 모습, 현실과 역사의 문맥에서 재해석된 인간상, 그리고 지나치게 신비화, 영웅화된 여인상까지 논개의 다양한 인간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기생 아닌 이야기를 수용한 정동주의 서사시는 양반담론과 민중담론의 혼효성, ‘사실성’의 지나친 강조 등의 결점을 안고 있었으나, 논개의 사랑과 죽음의 화소를 새로운 서사의 맥락에서 수용하여 충과 의열이란 관습화된 주제에서 벗어나 인간성의 회복과 반성이란 현재적 의미를 포섭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