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윤현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이 내러티브 연구는 세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재개발 경험을 기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중 결정적 사례 표집법에 의해서 선정된 13년 경력의 세 중학교 체육교사이다. 자료는 공식인터뷰 자료를 주 자료로 사용하였고 저널 ,이메일, 비공식 전화 통화를 추가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체육 교재 개발의시작, 교재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보람을 시공간, 관계 속에서 기술하는이야기하기,그이야기의 의미를 해석하는 다시 이야기를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은 자료수집의 다각도검증,연구참여자로부터의 코딩 및 결과물에 대한 확인, 동료연구자와의 연구과정 검토, 부정적 사례의 재검토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매너리즘에 빠져 새로운 체육수업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있었는데 우연히 얻게 된 미국의 체육 교재를 통해 한국형 교재를 개발하고자 의기투합 하였다.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샘플테스트와 교재에 포함 될 종목선정, 정확한 개념과 계열성이 확보된 내용틀의 구축, 삽화와 동영상을 활용한 시각화작업, 정기적 모임을 만드는 과정 그리고 사업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균형을 잡는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교재개발과정에서 어려움만을 겪은 것은아니었다. 내용발달 체계를 적용하여 교재내용을 재구성하는 과정, 교수방법을과제,학생, 교사카드로 확장하는과정, 샘플제작과 수업실연 준비 과정에서 보람을느꼈다. 이러한 세 체육교사의 교재개발과정은 체육 교재개발의 프로슈머, 모방, 창조로 가는길, 양단불락의추구, 학습공동체를 통한 지식 창출이라는 4가지의미로해석되었다.|This narrative research intends to describe thre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inquires the experience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ho were selected by critical case sampling. The main part of the data was obtained from form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Journals, emails, and informal interviews through telephone calls were also conducted for additional data. The collected data wer

      • KCI등재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

        김민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oring the changes of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I collected data through 29 interviews, questionnaires, production plan and portfolio of reflection from 29th March, 2018 to 29th Christian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which is a detailed subject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core categories and categorized them. In order to objectify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wo theologian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nges. First, the change of the knowledge of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confusion and stability.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confused by the idea of ​​creating and making ideas about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Stability has come as they learned theories of teaching materials through lectures and workshops.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ability are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teaching materials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 should be 'infant-centered', 'concrete production', and 'safe production'.In other words,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e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integrate the philosophy of Christianity and the method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personality change of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ppeared as Christian spirituality 'close to God', cooperative community 'close to peer', and personality 'close to m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for the group, we pondered on the Psalms and frequently thought about God. In the process of trial, error, failure, and success of the community collaboration process, we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persistence, confidence and achievement, joy and reward. Third, behavioral changes of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in 'searching for detail', 'searching again' and 'searching for new' in the process about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Unlike in the early weeks of class,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inued to concentrate and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s precisely, carefully and actively. The exploratory behaviors of diverse objects and recycled materials were overlooked by the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addition, the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nted to apply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his class to other subjects or to Bible story. Christian pre - service teachers could expect to improve the efficac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periencing the integration of Christian philosoph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methods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을 통한 기독예비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유아교육의 교재교구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세부 주제인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에 참여하는 기독교교육과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일 ~ 6월 29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제작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자료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확인을 거쳤다. 연구결과,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에 대한 기독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지식적 변화, 인성적 변화, 행동적 변화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기독예비유아교사의 지식적 변화는 혼란기와 안정기로 나타났다. 기독예비유아교사들은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에 대한 아이디어 창출과 제작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혼란기를 지나, 강의 및 워크숍을 통해 교재교구 이론을 습득하면서 안정기가 되었다. 안정기 안에 있는 기독예비유아교사들은 기독교 교재교구 개발에 관심을 갖고,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은 ‘유아중심으로 제작’,‘구체적으로 제작’,‘안전하게 제작’해야 함을 인식했다. 즉, 기독예비유아교사는 기독교의 철학과 유아교육의 방법론을 통합하는 교재교구의 실제에 대한 지식을 형성했다. 둘째, 기독예비유아교사의 인성적 변화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 과정에서 ‘하나님과 가까이’하는 기독교 영성, ‘동료와 가까이’하는 협동 공동체 인성,‘나와 가까이’하는 개인 인성으로 나타났다. 조별 과제인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과정에서 시편을 묵상하고 하나님에 대해 자주 생각하게 되었으며, 공동체 협업 과정의 시행착오와 실패, 그리고 성공 속에서 개인적인 긍정의 자세와 끈기, 자신감과 성취감, 기쁨과 보람을 경험하였다. 셋째, 기독예비유아교사의 행동적 변화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과정에서 '자세히 찾기', '다시 찾기', '새로이 찾기'로 나타났다. 수업 초기와 달리, 기독예비유아교사들은 지속적인 집중력을 발휘하였고, 교재교구제작 및 개발과정에 꼼꼼하고 세밀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기독예비유아교사가 간과했던 다양한 사물과 재활용품 활용의 탐색하는 행동이 나타났다. 또한, 기독예비유아교사는 본 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재교구개발 활동을 다른 과목 또는 성경 이야기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기독예비유아교사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을 통해 기독교 철학과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의 통합을 경험하면서 기독유아교사의 효능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독유아교육의 교재교구개발 및 지도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초등학교 법교육 교재 개발의 원리와 실제

        박형근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10 법과인권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는 사회에서 법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법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등학교의 실정과 학습자의 특성에 알맞은 법교육 교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법교육의 전반적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보고 새로운 법교육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둘째로 법교육 교재 개발을 위해 법교육과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실정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법교육의 목표와 구성요소에 따른 법교육 교재의 내용 구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셋째로 초등학교 법교육 교재 개발의 원리를 도출하기 위해서 먼저 사회과 교재 구성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것의 법교육 교재 개발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국내외 법교육 교재 개발의 선례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법교육 교재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위 두 가지 과정에서 얻어진 초등학교 법교육 교재 개발의 원리를 도출하여 이에 따라 초등학교 법교육 교재의 내용을 실제로 구성해 보고, 교재의 활용 방안과 교재 활용에 따른 기대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법교육 교재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활용한다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 청소년 비행, 왕따와 같은 실생활에서 부딪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심어줄 수 있고, 법적 사고력의 발휘를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TOPIK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실제

        조문경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3

        이 연구는 대학 부설 교육기관의 교재 개발 과정과 실제를 공유함으로써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기관이나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있다. 대학 부설기관의 학습자들이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동명대학교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텍스트를 교재의 듣기와 읽기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또한 실제 한국어능력시험(TOPIK) 기출문제를 복습과에 배치하여 교재 내용을 학습하면서 동시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 개발의 절차를 ‘개발 전 단계 ⇨ 개발 단계 ⇨ 시험 사용 단계 ⇨ 완성 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교재 단원 구성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는 교재 분석이나 교재 개발 현황, 교재 개발의 원리나 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교재 개발의 실제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교재 개발의 실제를 다룬 이 연구는 타 기관의 교재 개발에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process and thepractical status of textbook development for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es andresearchers developing textbooks. Considering that the goal of those studying atuniversity-affiliated institutes is entering a Korea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Tongmyong University utilized text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forthe listening and reading contents in the textbooks. In addition, actual TOPIKquestions were added in the review section so that students can study the textbookcontent and prepare for the TOPIK at the same time. The procedure for developingtextbooks was designed as "pre-development → development → application to the test→ completion, " and the details of each stage were examined. Additionally, the actualstructure of the textbook units was reviewed in detail. Most previous studies onKorean textbooks dealt with the analysis of textbooks, the status of textbookdevelopment, and the principles or method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only fewof them investigated the practical status of textbook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isresearch on the practical status of textbook development will provide other instituteswith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재 개발과 방향

        ZHAO H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몇 년간 대내외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세계화 국제화 시대라는 조류 속에서 높아지고 있어, 한국어 사용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교재 개발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1장에서는 연구에 앞서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유형을 짚고 보았다. 2장에서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는 이유 및 전체 교재 구성의 원리와 함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의사소통 교수라는 현재의 외국어 교육 이론을 적극 수용하고 그에 맞는 교수 학습 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행중인 한국어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학습자나 정부의 필요성에 의해서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나타나는 교재 개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았다. 한국어 교재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타이틀로 교재의 등장과 전개과정 및 교재 변천사 시기 구분을 해 보았다. 한국어 교재의 역사적 흐름을 살피면,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형식 및 관련 요인들의 변화 방향을 알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교재 발전 방향을 알고 개선할 근거를 찾아야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한국어 교재의 역사를 살펴보는 작업은 중요하다. 대상별 한국어 교재에 대한 논의를 했다. 여기에서 대상이란 목적이 다른 부류를 말하는데,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의 유학생, 여성 결혼 이민자, 다문화 가정의 유아,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 목적을 지닌 한국어 교재에 대해 서술했다. 한국어 교재 개발의 절차 및 유의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재 개발이란, 교수 번인과 학습 변인을 고려하여 새로운 교재를 편찬하여 발간하는 것을 말한다. 앞서 검토했던 의의와 문제점 및 역사 등 을 고려해 실제 개발 절차와 그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몇 가지를 간략히 기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periods from the 12th century until the present.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divided chronologically and showed different contents in each period. A theme in the study i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nged in their format during the periods. A lot of topics, contents and information, teaching styles, student task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are discus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ix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the various foreigners. Also,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need more deeper studies and efforts for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s.

      • 한국어 교재 개발의 사적 흐름과 최근의 한국어 교재 분석

        조항록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4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2 No.-

        本文主要立足于考察最近在韓國語敎材開發活躍地進行過程中所開發的敎材的歷史韓流,幷將整理韓國語敎材開發史作爲首要目的。同時,通過分析最近開發的敎材,考察現行敎材的特征及問題,幷提供今后對敎材開發有价値的資料。本文以從開化期的敎材開始到2000年以后的主要敎材爲硏究對象,分別揭示了開化期,胎動期,跳躍期,最近情況等各時期的特征。

      • KCI등재

        태국 학습자 대상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개발 연구 : 태국 부라파 대학의 <산업 한국어>를 중심으로

        고종환 ( Ko Jong-hwan ),우라이완 ( Uraiwan Jitpenthom Kim ),백민혜 ( Baek Min-hye ) 한국태국학회 2022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8 No.2

        태국의 대학에서 왜 <산업 한국어> 강의는 제대로 운영되기 어려운가? 부라파 대학교에서는 한국어학과 4학년 학생들을 위한 <산업 한국어> 강의를 개설해서 운영하고 있는데 문제는 적절한 교재가 부재한 상황이었다. 태국은 물론 한국에도 이 강의에 적합한 교재가 전무한 상황이므로 오래전부터 차선책으로 시사 한국어 교재와 산업인력공단에서 만든 공장 어휘용 교재를 사용했다. 이에 학생들을 중심으로 <산업 한국어> 강의에 필요한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가 많은 상황이다. 교재개발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자들은 4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설문분석을 실시했다. 특히 4학년은 물론이고 한 학기 후에 이 강의를 수강할 3학년 2학기 학생들을 대상으로도 역시 동일한 설문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답변인 설문 분석 결과를 서술하기 전에 먼저 <산업 한국어> 강의가 왜 중요하고, 강의에 적합한 전문 교재가 왜 필요한지 그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서 한국과 태국의 간략한 산업 현황과 한국어교육과 한국학의 상황에 관한 서술을 했고, 다음으로는 교재개발의 이론적 배경으로 교수 요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산업 한국어> 교재개발을 위한 기본 원리와 함께 <산업 한국어> 강의의 교육 현황과 교재에 관한 서술을 간략히 언급했다. 다음으로는 <산업 한국어> 교재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당시 수행했던 몇 가지 설문조사표를 바탕으로 서술했고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 함께 언급했다. 마지막으로는 <산업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내적 구성, 외적 구성과 함께 실제에 관한 서술로, 학습자들이 대부분 원했던 다양한 한국 산업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모든 강의에는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교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과 함께 한국과 태국의 산업 교류가 증진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산업 한국어> 강의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강의들처럼 <산업 한국어> 강의를 위한 전문교재가 반드시 필요하고, 특히 태국인 학습자들의 요구 또한 매우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산업 한국어> 강의에 적합한 한국어 교재가 개발된다면 향후 부라파 대학은 물론이고 태국의 다른 대학들 역시 이 강의를 운영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후속물로 추후 <산업 한국어> 교재개발의 실제적인 8단계 구성을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산업 한국어>교재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xtbook for < Korean for Industry >, an elective major subject for 4th graders at Burapha University in Thailand. This lecture is a lecture that does not have effective and appropriate professional textbooks despite being opened at many universities in Thailand as well as Burapha University. However, < Korean for Industry > is a subject whose importance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increasing industrial scale of Korea and Thailand, and due to this importance, most universities include it in the curriculum. However, the < Korean for Industry > subject has a serious problem, and both Korea and Thailand do not have appropriate professional textbooks for this le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as a preliminary survey to develop textbooks with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mind for the subject of Industrial Korea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th graders who directly took the < Korean for Industry > lecture and 3rd graders who will take the lecture next semes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earner needs through the survey, as expected, learners also showed strong complaints about the reality that there were no effective and appropriate textbooks.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a textbook for "Industrial Korean", and the new textbook will be a textbook that actively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a textbook for "Industrial Korean", and the new textbook will be a textbook that actively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In this study, the textbook was composed of 15 units, which are the desired amount of a semester, and practical examples (tentative name, past and present of the Korean medical Industry) were presented through the eight-step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ight-step compos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ppropriate textbooks for the future < Korean for Industry > subject will help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lectures not only at Burapha University but also at other Thai universities.

      • KCI등재

        한국어 교재 개발의 실제

        최은경(Choi, Eunkyung),이인희(Lee, Inhee),김진영(Kim, Jinyoung)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41

        이 연구는 중급교재 개발 과정의 실제를 공유함으로써 이제 막 교재를 개발하려고 하는 기관이나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되도록 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목적과 교육 현장의 상황에 맞게 개발된다. 한국어교육계에서 대학부설 한국어 교육기관 교재의 역할과 비중이 큰 것은 물론이고 이들 교재는 몇 년을 주기로 개정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주요기관의 교재 개발의 경험과 노하우는 타 기관의 교재 개발에 참고가 된다. 동국대학교에서는 기존 중급교재의 내용 대부분을 수정하여 새롭게 중급교재를 출간하였다. 교재 개발의 절차는 작업 내용의 성격과 해당 단계의 결과물을 기준으로 하여 ‘연구 단계 → 집필 단계 → 출판 단계’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현장의 교육 상황을 반영한 한국어 교재 개발 과정을 공유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이론적 접근보다는 실제로 교재 개발이 이루어지는 각 단계의 작업 상황을 보이려고 노력하였다. 이 연구가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sharing a case study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to make it a helpful reference to other Korean education institutions or researchers that are just beginning to develop textbooks.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general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s of lear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education field. Considering the fact tha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are large and the textbooks can only be revised every several years, it seems clear that the experience and know-how of major Korean institutions" textbook development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those of other institutions. Dongguk University revised most of the contents of its existing intermediate textbooks and published new on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proceeded from "research stage → writing stage → publication stage` according to the nature and results of each work to be done in the overall process. The study was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sha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reflects the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field. Therefore, rather than theoretical approaches, we tried to show all the workflow of each stage in which the textbook development work was actually conduct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researchers who want to develop Korean textbooks.

      • KCI등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개발: 현장 시범 적용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박윤희,장명희,박동열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in nine areas based on the urgent needs among 5 field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in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um respectively.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ew of job analysi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departme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review of related materials in each area, job information, job specifications at the entry level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discussions with industry people. In addition, th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form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taught with the textbooks for the filed application at the 11 vocational high schools for about one month.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The tests were focused on examining interests on General English, Vocational English, and self-efficacy on Vocational English.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use of the develope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직업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영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를 현장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고, 현장 시범 적용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5개 계열에서 교재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총 9개 분야(원예조경, 기계, 전기, 전자, 건축, 금융, 유통․물류, 해양생산, 조리 서비스)를 선정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해당 분야의 영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1) 기존의 직무 분석 자료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검토, 2) 특성화고 관련 학과 개설 현황 분석, 3) 국내외 관련 교재내용 검토, 4) 해당 분야 직업정보 조사, 5) 특성화고 졸업생의 직무 수행 내용 분석, 6) 분야별 산업체 인사와의 협의를 통해 개발되었다.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분야별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구성 체제에 따라 교재가 개발되었다. 직업영어 교재는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크게 구성되었으며, 소단원에서는 학습목표, 학습내용, pre-test, warming-up, 관계 지식, activity, 용어 정리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중단원에서는 학생들이 exercise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문 내용에 포함된 단어를 한글과 영어로 표기한 index도 제시하였다. 또한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특성화고 영어 수업모델 선진화 연구학교로 지정된 16개 학교 가운데 9개 분야의 직업영어 교재 적용이 가능한 11개 학교를 대상으로 약 1개월에 걸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재를 적용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효과성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일반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의 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재 적용 전과 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이 직업영어 교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파악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시범 적용 결과, 직업영어 교재를 적용하기 이전보다 학생들의 일반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 효능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의 직업영어 교재 내용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현장 적용 분석 결과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현장 활용도가 높은 직업영어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 개발 과정에 반영되었다.

      • KCI등재

        현지화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항목 연구 - 미얀마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권용혜 ( Kwon¸ Yong-hye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8

        이 논문의 목적은 교육부의 신남방지역 한국어 시범교육 교재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미얀마 중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의 개발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화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항목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현지화 맞춤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현지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권이나 국가의 학습자와 교수자, 교육 기반 등의 사회문화적 요소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기초 조사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이 체계적으로 정리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기존에 개발된 현지화 맞춤 교재의 개발 과정에서 진행한 사전 조사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지화 맞춤 교재 개발에 앞서 진행해야 하는 기초 조사 항목을 정리하고 조사한 내용이 교재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수요에 맞춰 개별 국가의 현지 상황을 반영한 교재 개발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우수한 현지화 맞춤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materialize the items of basic survey in order to develop the local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based o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Myanmar』 as a part of project on textbook development of Korean pilot education in New Southern Region by Ministry of Education. It has recently increased the request of the development on localized and customized language textbook ri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in many cultures all over the world. To develop the localized textbook, the preparatory research is necessary on socio-cultural elements such as learner, instructor,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of corresponding linguistic sphere or nation. However, there is a shortage situation of organized research systematically with specific items on basic survey up to now. Therefore, this study was looked into the historical trend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and was checked the preparatory research throughout the progress of development on localized and customized language textbook. On the base of this, the basic survey was organized before progressing of the development on localized and customized language textbook, thereafter, the specific items was proposed how the survey contents reflect to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is, it would be consulted the convenience of developing textbook reflecting the local situation in individual countries to meet the demand and would be assisted in progress of developing excellent localized and customized language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