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기반진단도구를 활용한 모형중심 교수방법의 효과 탐색

        김혜원 ( Hye Wo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2

        학습을 시작하기 전이나 학습의 과정 중에 전문가의 문제해결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정신모형을 제시하는 모형중심 교수방법은 비전문가인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설계를 위한 방법을 습득하고 이에 대한 정신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어 모형중심 교수방법(Model-Centered Instruction: MCI)과 협동학습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126명의 대학생들이 7주 동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두 개의 독립변인(모형중심/비모형중심 교수방법과 협동/개별학습)에 대해 네 집단으로 나뉘어져 수업을 받고 두 번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자신들이 학습한 교수설계에 대한 내용에 대해 정신모형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질문에 응답하였다. 모형중심 교수방법의 집단에게는 전문가의 학습지도안 모형이 주어졌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수자로부터 코칭과 스캐폴딩이 주어졌다. 협동학습을 하는 집단에게는 짝과 함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고 같은 클래스 동료들에게 자신의 학습지도안을 발표하고 질의 응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학습지도안은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학습지도안 평가 루브릭에 의해 점수화되었다. 정신모형의 개발 정도는 전문가의 정신모형과 유사함의 정도로 평가되었는데 이를 위하여 언어기반 진단도구인 T-MITOCAR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모형중심 교수방법이 비 모형중심 교수방법에 비해 교수설계 과제수행(학습지도안의 작성)에 있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동학습이 개별학습에 비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의 모형으로부터 어느 정도 학습을 성취한 후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을 실시하는 탐색의 단계로서 두 번째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을 때는 개별학습 집단 중 특히 모형중심 교수방법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와의 비교를 통한 교수설계의 정신모형 개발 정도는 집단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비전문가인 학습자들에게 전문가의 모형과의 비교를 통한 모형중심 교수방법의 필요성과 학습자들이 자신의 정신모형을 다른 동료집단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명료화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을 선행연구와 관련 지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del-centered instruction (MCI) in both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contexts. The study focuses on learning effectiveness in developing ment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and acquiring instructional design skill by making lesson plans when an expert model is presented and a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is applied within a collaborative context.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26 undergraduate students. Three times during the learning activities,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ke two lesson plans(lesson plan A and B) on social studies topic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dition, students in the MCI group were given an expert lesson plan to use while they complete their task-making a lesson plan. Then, the students in the MCI group had instruction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deling, coaching, and scaffolding. During this process, the students were asked at each stage of the instruction to compare their mental models for making a lesson plan to an expert model for that same lesson plan task. To assess the quality and improvement of the ment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the learners` mental model about instructional design was compared with the expert model.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expert`s model and the students` model were calculated by the T-MITOCAR program which is a language-based diagnosis t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 of model-centered instruction with an expert mod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support for the basic theoretical assumptions that novice learners need a chance to modify their mental models by comparing them with expert models as well as collaborative learning with their peers for effective learning.

      • KCI등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ㆍ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성과(成果)와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많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대한 미숙함도 있지만, ``교수 방법, 모형`` 등에 대한 차이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우 주목할 만한 연구도 많았으며, 이들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action with them will be connected to the expand of the new subject and range soon.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서 제시된 예비 과학 교사의 질문 분석

        김지윤,최원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it to class. To this aim, we categoriz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s raised when making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estion, the percentage of reframe typ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 ratio decreased in order of the anomaly detection, application, extension, recall, and contradiction type. The questions of reframe type were raised mainly for understan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the questions of anomaly detection, application, and extension type were rais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irs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at the purpose of lear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ask causal questions or application questions while making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rd, it is necessary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experience authentic class situation in advance through visiting classes or watching class videos before making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urt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 participation clas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rough the learn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emphasizing the inquiry process. Fifth, it is necessary to guid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ask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relation to various learning theories or scientific inquiry methods so that the purpose of the lesson is not limited to the surface-level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면서 제시한 질문을 분석하여, 예비 과학 교사들의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인식과 수업 적용 시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이다. 질문을 분석한 결과, 재구성 유형의 질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변칙발견, 적용, 확장, 회상, 모순 유형의 순서로 비율이 감소하였다. 재구성 유형의 질문은 주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제기되었으며, 변칙발견, 적용, 확장 유형의 질문은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수학습 모형을 학습하는 목적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임을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충분히 이해시켜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동안 인과적 질문이나 적용 관련 질문을 하도록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전 수업 참관이나 수업 영상 시청 등을 통해 수업 상황을 미리 경험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탐구 과정을 강조한 교수학습 모형의 학습을 통해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수업의 목적이 교수학습 모형의 이해에 한정되지 않도록 예비 과학 교사들이 교수학습 모형을 다양한 학습 이론이나 과학 탐구방법과 관련 지어 질문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러닝(e-learning) 교수ㆍ학습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 모형 및 준거 탐색

        이재진(Lee Jae Ji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이-러닝(e-learning) 교수ㆍ학습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모형 구안과 평가준거 탐색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닝 교수ㆍ학습체제는 온라인 교육이라는 학습환경적 특성과 학습자주도수업과 자기조절학습이라는 학습방법의 독특성 때문에 기존의 교수ㆍ학습체제와는 다르게 구성되므로 교수ㆍ학습체제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모형도 기존의 평가모형과는 달라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교수ㆍ학습체제 평가모형들은 교수ㆍ학습활동의 산출물을 중심으로 한 평가모형이므로 이-러닝 교수ㆍ학습체제의 평가모형으로는 적절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두고 있는 평가모형은 교수ㆍ학습체제 설계 및 실행 전과정의 질관리를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정중심모형의 구안에 목적을 두고 있고, 아울러 그러한 이-러닝 교수ㆍ학습 평가모형의 특성에 적합한 평가준거를 탐색해 보려는데 취지를 두고 있다. <BR>  연구결과, 이-러닝 교수ㆍ학습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교수ㆍ학습 운영의 주요 구성요인인 교수자, 학습자, 운영자들 간의 민주적 의사소통을 통한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합의과정,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적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자 의견수렴, 끝으로 이-러닝 교수ㆍ학습체제와 관련된 다양한 인력들을 확보하고 개발하여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활동 등이 중요한 요소들로 고찰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e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criteria as a construction plan of evaluation system which should be established for quality management of e-learning teaching-learning system. Because of the unique elements in learning environment as an on-line instruction, e-learning teaching-learning system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existed teaching- learning system of general school education. In spite, the evaluation for quality management on that system makes no difference.<BR>  While the most evaluation models on teaching-learning system have been centering on the outcomes from the activities, the model in this study is centering on the design and quality management on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system.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valuation criteria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designed through literature review.<BR>  In conclusion, the important elements which we should consider during evaluation for the quality management on e-learning teaching-learning system are as follows: Agreement process on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through democratic communication among instructors, learners, administrators as each element of system administration; opinion collection from learners in order to support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initiative learners.  Besides it is discuss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insure, develop and manage the diverse human resources so that they can perform its role.

      • KCI등재

        순환 모델(Rotation model) 간 혼합적 접근에 의한 다중모델(Multiple models) 기반의 블렌디드 중등 음악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김일영(Kim, Il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미래 디지털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의 설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등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순환 모델 간 혼합적 접근에 의한 다중모델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순환 모델의 유형별 수업 설계 방법을 기반으로 ‘스테이션 순환’, ‘거꾸로 교실’, ‘랩 순환’ 모델을 상호 혼합한 다중모델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음악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 설계하였으며, 수업 도구로 AI와 3D프린터, VR 등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였다. 결과 ‘거꾸로 교실과 스테이션 순환’ 혼합의 다중모델 음악 수업은 가정에서 온라인으로 학습한 음악 개념을 기초로 하여, 학교에서 교사의 지도에 따라 협업 음악 활동과 온라인 음악 수업을 병행하는 방안을 설계하였다. ‘랩 순환과 스테이션 순환’ 혼합의 다중모델 음악 수업은 교사의 직접 교수 방식으로 진행되는 통합수업을 적용하여 교사의 지도하에 음악 협동학습과 온라인 음악학습 및 과제 활동을 순환하도록 설계하였다. ‘랩 순환과 거꾸로 교실’을 혼합한 다중모델 음악 수업은 통합수업을 기반으로 가정 내 온라인 음악학습과 학생 주도적인 음악 연습 및 프로젝트 활동으로 설계하였다. 결론 순환 모델 혼합의 다중모델은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에 수반되는 여러 교육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미래 음악 수업 설계를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활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application method of multi-models by a hybrid approach between rotation models with the purpose of preparing a plan for blended music teaching and learning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secondary music classes in the future digitized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Methods Based on the class design method for each type of rotation model, multiple models that are mixed by ‘station rotation’, ‘flipped classroom’, and ‘lab rotation’ are proposed, and based on this, for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ing and learning were designed, and digital devices such as AI, 3D printer, and VR were used as classroom tool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ulti-model music class of ‘flipped classroom and station rotation’ was designed as a way to combine collaborative music activities and online music classes at school under the guidance of the teacher, based on the concept of music learned online at home. The multi-model music class of ‘station rotation and lab rotation’ is designed to circulate music cooperative learning, online music learning, and task activities under the guidance of the teacher by applying the integrated class taught by the teacher’s direct teaching method. The multi-model music class that mixes ‘lab rotation and flipped classroom’ is designed as an online music study at home and student-led music practice and project activities based on an integrated class. Conclusions The multi-model by mixing between rotation models can be flexibly applied according to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accompanying blended music teaching and learning, so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diverse and systematic method for future music class design.

      • KCI등재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조정윤(Jo JeongYun),김성준(Kim SungJ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수학영재수업을 적용하기 위한 학습대상, 학습영역, 학습유형을 비롯하여 교수학습모형 및 교수학습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B광역시 영재교육 담당교원 연수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초등수학 영재수업을 위해 작성한 교수학습과정안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에 따라 빈도수와 함께 각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학습 대상은 5, 6학년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습 영역의 경우 도형, 규칙성 영역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 유형에서는 심화 학습의 비중이 속진 학습보다 높았으며, 교수학습모형의 경우 Renzulli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은 직접 교수, 프로젝트 교수, 토론식 교수, 게임 교수, 공학 중심 교수, 문답식 교수 순이었다. 특히 교사들이 작성한 대표적인 사례를 내용 분석에 따라 검토한 결과 교수학습모형과 교수학습방법의 경우 실제 적용을 위한 다양성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영재 수업은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영재수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수업의 실제를 분석하고 교사들에게 다양한 교수학습모형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for discovering teaching learning models and methods that are actually applied to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Methods We analyzed the 31 teaching learning processes plan created b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gifted education in City B. In this stud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the learning targets, the learning areas, the type of learning, and the teaching learning models and methods. At the same time, we presented typical examples of the teaching learning models and methods presented in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Results The ratio of 5th and 6th graders was high in the learning target, and the frequency of figures and regularity areas was high in the learning areas. In the learning type, the enrichment learning is higher than the acceleration learning, and it was found that Renzulli s enrichment triad learning model is most preferred for the teaching learning model.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y were direct learning method, project learning method, discussion style learning method, game learning method, engineering-centered learning method, and question and answer learning method. Conclusions The gifted class must be able to offer a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to meet the needs of future socie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ctual classes where the gifted lessons are conducted, and to continuously consider these various teaching learning models and methods.

      • 漢文科 敎授ㆍ學習의 理論과 方法

        宋秉烈(Song Pyung Ny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교수ㆍ학습의 방법은 수업을 통해 최상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수업에 관한 여러 접근 방법들의 강조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학습과제의 특성, 수업조건에 맞도록 활용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학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 행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개발된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은 여러 교과나 내용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수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의 내용과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은 개발되었다. 따라서 한문과에서는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등으로 크게 분류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에는 교사 중심의 강의법, 학습자가 결론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질문을 위주로 하는 질문법, 교사와 학습자간 의사소통을 통한 토론법,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학습 환경을 구성해주는 개별학습법, 자유로운 연상과 탐색발견을 위주로 하는 브레인스토밍과 버즈 학습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심의 문제중심 학습법, 소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협동학습법, 학습자 스스로 학습 요구를 진단, 계획, 실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법,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역할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놀이 학습법, 낭독법 등이 있다.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분석법, 조어 분석법, 이야기를 통한 고사성어 학습법, 도제식 한시 교수ㆍ학습법, 자원 활용법, 비교학습법, 허자지도를 통한 독해 지도법, 어순 구조를 통한 독해 지도법 등이 있다.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언어 활용법, 색출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NIE 활용 학습법, 웹기반 교수ㆍ학습 방법, 옥편 활용 지도법 등이 있다. 전통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은 근대의 교수ㆍ학습 방법과는 다른 것이 주로 학습법에 치중되어 있다. 자기주도 학습법이라고 할 만한 것이 대부분이다. 낭송하며 학습하는 誦讀法, 학습내용을 반복해서 읽는 多讀學習法, 학습 내용의 이치를 궁리하여 깨우치는 格物致知 學習法(격물치지 학습법 ; 精讀 學習法),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하여 학습하는 全心全力(전심전력) 학습법 등이 있다. 제시된 한문과의 교수ㆍ학습 방법은 다양하나, 체계화가 미흡하여 다양한 유형과 모형, 기법의 개발 여지가 많다. The method of teachingㆍlearning is for getting the best effect through the class, so we have to grasp emphasis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methods about class and utilize to proper character of learner and task and the condition. As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there are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edagogic theory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classified two branches, one is to apply some general theories to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developed to be right for contents or nature of the area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 are 'Lecture method', teacher-centered method, 'Conversational method', question-centered to help learner draw the conclusion, 'Discuss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Personal learning', making one's personal studying environment out of regard for nature of learner, 'Brainstorming and Buzz learing', ceturing free associations and the exploration and discovery, 'Problem based learning', centuring process that is solving problems, 'Team teaching', where members achieve goals to work together, 'Self-lead learning', where the learner diagnose, plan and act learning needs himself, 'Role-play method', leading to play roles in the artifical situations and so 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llowing Chinese character and content's area, there are the things that are presented for pedagogic general theory like 'Elocution, Lecture method, Discusson method, Team teaching, Role-play method and so on', or developed in the school field like 'Elocution adding Hangeul to Chinese character, Leading method using image cuts,Utilizing Chinese character card,Radical centered teaching, Analyzing constructure, Utilizing resouces, Teaching through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Ok Pyeon), Analzing coinages, Utilizing languages, Searching out method, Comparing, Teaching reading through leading Huh ja(虛字), Teaching readig through constructure of the word order, Cognitive teaching apprentices and so on'. Some of them presented 'process', model of studying, but most of them are the teaching-learing methods presented in the level of technique without model.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mainly focus on something unlike modern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m are the things to say self-lead learning, learning through recitation(誦讀法), reading contents repeatedly(多讀 學習法), realizing the logic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devising(格物致知 學習法), learning through thorough self-discipline(全心全力學習法). There ar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but they are open to developing various types,models and techniques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 for systematization.

      • KCI등재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적용한 영어 문식력(Literacy) 학습이 초등 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문식력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효정,배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초등학교 영어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영어 리터러시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부산지역 A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4명의 영어 학습 부진 아동이었고, 4명의 영어 학습 부진학생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2012년 9월 10일부터12월19일까지 주 3회 30분씩10주 동안 연구자에 의해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활용한 영어 리터러시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4명의 영어 학습부진아 모두 중재를 시작한 후,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기초선 구간보다 향상되었고, 그 행동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유지 및 일반화 되었다. 중재 기간 동안 실시된 영어 리터러시 영역 성취도 평가에서도 모두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일반화 이후 실시한 리터러시 각 영역인 파닉스, 유창성, 어휘, 읽기에 관한 사후 시험결과 역시 사전 시험보다 전 영역에 걸쳐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영어 학습부진아들이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영어 학습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키울 수 있었고, 기존의 교사 주도적 학습부진아들을 위한 영어 지도법 및 지도 자료가 아닌 학생 주도적인 학습전략의 활용으로 영어 학습부진아들의 리터러시 학습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SDLMI) on the English literacy abilities including phonics,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English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classroom.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four English underachievers was employed and four forth-grade English underachiev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four students studied English literacy content for one semester. Using the SDLMI, the students set their goals, developed action plans, implemented and adjusted their plans, and evaluated their progress. The entire study took 12 weeks to complete as a format as one-on-one instruction, and each intervention session ranged from 20 to 30 minu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four students in this study achieved and maintained self-selected goals to mastery levels. All four students showed positive achievement in their English literacy abil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In addition, all four students reached the goals which they set by themselves for English literacy achievement, including fluency and vocabulary knowledge. In conclusion, the SDLMI with English literacy learning program customized for underachiever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underachievers in their affective domains, self-directed learning, as well as their English literacy abilities.

      • KCI등재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한 문해교육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력과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주,전병운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4

        Following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literacy education which adapted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can affect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of their determination and literacy leve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ree 6th year students at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given to these participants using the self 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With implementation of this new educational approach by the researcher, subjects were sought to set goals and plans, as well as to revise and execute them. The multiple prove design across subjects method was chosen among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result, 3 subjects showed improved levels of self-determination and literac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new approach, All the scores of the Literacy -Achievement Test, which was held during the revision period, have also increased. The aforementioned results were maintained as the time elapsed. This research encouraged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to gain inclination which allowed them to set and execute their own goals by guiding them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Also,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self -determined study strategy was able to make positive impact on the literacy of the individuals by offering them an educational guide. 본 연구는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한 문해교육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력과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6학년 경도지적장애학생 3명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하면서 학습에 대한 목표설정, 계획 및 실행, 목표 및 계획 수정을 하였고 연구자는 이를 위한 교수적 지원을 하였다. 그 결과, 국어 수업에 자기결정학습모델을 삽입시키면서 학교 및 가정, 지역사회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나타냈으며, 학습가이드를 제시하여 학생 주도적으로 다양한 학습전략을 활용하여 학습함으로써 문해력이 향상되었다. 아울러 참여 학생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를 키울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절차는 수업 시간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인 국어 학습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