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

        표정민,임명희,박은지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dependent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ffect the moral intelligence and creative mind se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on the moral intelligence and creative mind sets, we surveyed 271 freshmen to junior students majoring in young child education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The total data from 268(98.9%) students, excluding the data from 3 insincere answers,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wo factors,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nd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were suggested by EFA, and they are deep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belief that he or she holds. Second, on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on the moral intellige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has more positive effect on the moral intelligence, whereas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has no effect. Third, an intensive investigation on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which shows a similar relationship with the moral intelligence, reveals that it has a highly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growth percep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fixation perception.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has no effect at all.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의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1~3학년 예비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3명의 자료를 제외한 268명(98.9%)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수법 선호 경향 척도를 구인타당도에 따라 개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하여 유사한 응답이 나타난 문항들을 요인들로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이 도덕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AMOS 7.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법 선호 경향은 각 교수법에 바탕이 되는 교육신념과 관련되어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와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인 두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의 경우 분별이 되지 않고 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는데,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가 도덕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는 도덕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는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서로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의성 성장 신념체계는 높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성 고정 신념체계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는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섭교수법 -판타지장르 장르 영화창작전문가 양성을 위한 통섭교수법을 중심으로-

        정민수 ( Min Soo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8 No.-

        판타지장르·SF장르의 해외 영화영상산업 동향, 국내 영화영상산업 동향, ILM의 모델기반의 특수효과 사업을 통해본 변화 Boss 필름 스튜디오의 폐업을 통해 본 변화, New York Times기사를 통해본 변화, 중국 영화시장을 통해본 변화 유튜브, 유료영화서비스 준비를 통해본 변화, 스마트폰 영화촬영시대를 통해본 변화, 국내 판타지장르·SF장르 산업체를 통해본 변화를 종합 분석하고 통섭교수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창작 단계별 대본 전문가 양성 교수법, 스토리보드 전문가 양성 교수법, 콘티 전문가 양성 교수법, 특수효과 (배우)전문가 양성 교수법, 특 수효과 (배경) 전문가 양성 교수법 현장합성촬영 전문가 양성 교수법, 현장합성편집 전문가 양성 교수법을 실험한 결과 각 각의 교수법은 1학년부터 2학년까지 총4학기 동안 교과목의 특수성에 맞추어 각각 진행한 후, 이 모든 교수법을 통합한 ``통섭교수법``을 작품제작 교과목에 적용하여 3학년부터 4학년까지 총4학기에 거쳐 총4회 반복학습을 진행 함으로서 판타지장르·SF장르의 ``통섭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에 판타지장르· SF장르의 ``통섭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통섭교수법``을 제안한다. The necessity of the consilience teaching method has been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changes by examining domestic fantasy and SF genre industry, changes through smart phone movie filming, changes through preparation of a subscription-based movie service, Youtube, changes though the Chinese movie market, changes through New York Times articles, changes through the closed down Boss film studio, changes through special effects and projects based on the ILM model, domestic filmmaking industry trend, and overseas fantasy and SF genre filmmaking industry trend. This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fostering ``consilience experts`` in the fantasy and SF genre is possible by conducting repetitive learning of a total of 4 times undergoing a total of 4 semesters from the third year and fourth year by applying the ``consilience teaching method`` to the work production curriculum for a period of 4 semesters from the first year to the second year after testing the fostering of experts in on-site synthesizing and editing teaching method, fostering of experts in on-site synthetic imaging teaching method, fostering of experts in special effects (background) teaching method, fostering of experts in special effects (actor) teaching method, fostering of experts in conti teaching method, fostering of experts in story board teaching method, and fostering of experts in screenplay by film creation stage teaching method.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consilience teaching method`` for fostering ``consilience experts`` in the fantasy and SF genre.

      • KCI등재후보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의 고찰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Language and music have some relationships in common that they are composed of sound and featured by pitch and beat. Language critically influences the expression ability of music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in the expression of music. This correlation reveals that the development of a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is needed.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was considered, so far, to be one of the ways to teach western music.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this teaching method of using language is used in teaching Korean music.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language that has so far been studied. Based on this result, I have developed a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odeling and have streamlined a systematic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that helps teach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well. As a result, I have reviewed theses that study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gujeonsimsu,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oral sound, jangdan made of words, as well as yulmyung and chuimsae. Furthermore, I thought that it was viable to conduct the teaching methods by using onomatopoeia (mimetic word and onomatopoeia) and aniri. The abov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have detailed individual teaching guidance and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the way to correlate or integrate these teaching methods. By integrating these teaching methods, I propose that the teaching methods be applied step by step in the class. In the introductory phase, gujeonsimsu and onomatopoeia (mimetic word and onomatopoeia) are to be applied for teaching and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teaching method by using oral sound, the teaching method with jangdan made of words, the teaching method with yulmyung and the teaching method with chuimsae are also to be applied for teaching. In the close-out phase, I thought that it was desirable to apply the teaching method with chuimsae and the teaching method with aniri for teaching. Based on this, I designed the teaching modeling per section by singing, by playing a music instrument, and by making music and appreciating music. At this point, I would apply various kinds of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y using language for a 1 hour class. Through this activity, I would construct the base that seeks out the integrity and diversity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at strongly establishes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 언어와 음악은 소리를 재료로 하고 고저(高低)와 장단(長短)을 특징으로 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언어는 음악의 표현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음악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련성은 언어를 활용한 음악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언어를 활용한 교수법은 그동안 주로 서양 음악을 지도하는 방법으로 생각하여 왔으나 국악에도 오랫동안 언어를 활용한 교수법을 사용하였음을 고문헌의 기록과 국악 전문가들의 증언을 통해 알 수 있다. 단, 그 방법이 일반 학교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교수법으로 지칭하지 않았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과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국악의 특성을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체계화하였다. 국악 교수법을 연구한 논문을 고찰한 결과,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에는 구전심수법, 구음 활용 교수법, 말장단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등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교수법으로 흉내말(의성어와 의태어)과 아니리를 활용한 교수법도 가능하다고 보고 이를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으로 제안하였다. 이상의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이 꾸준히 마련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교수법을 연계 또는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교수법들을 통합하여 수업 단계별로 적용이 가능한 교수법을 제시하였는데 도입 단계에서는 구전심수법과 흉내말(의성어와 의태어) 활용 교수법을 적용하고 전개 단계에서는 구음 활용 교수법, 말장단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며 정리 단계에서는 추임새 활용 교수법과 아니리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활동별로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았더니 한 시간의 수업에 다양한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국악교육의 통합성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국악 교수법을 정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 의사소통능력에 중점을 둔 영어 교수법

        문혜리 동의공업대학 1999 論文集 Vol.25 No.1

        English has been learned or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for a long time in Korea, but it is still regarded as a very difficult language to learn or teach. This is because English teachers have chiefly depended on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of teaching English. Recently they have begun to use many other methods which were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But these teaching methods contain many difficulties in being appli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English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eaching methods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a socially acceptable and contextually appropriate use of language,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cative competence studied by Hymes, Halliday, Paulston, Cummins, Canale & Swain, Savignon and Campbell & Wales. The following teaching methods which have improved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presented: Situational Reinforcement, the Microwave Method, the Audio-Visual Method, the Silent Way, Community Language Learning, Total Physical Response, and Natural Approach. All of these methods develop various exercises that simulate real situation. Thus theses methods help the language learner to gain communicative competence by understanding contextually connected sentences. Today, the utmost concern to teachers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teaching English. With the help of the various teaching method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English to Koreans can be developed

      • KCI등재

        국악 어법에 맞는 국악 교수법 고찰

        성기련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2

        우리 음악은 서구의 음악과는 다른 형성배경과 학문적 체계를 갖고 형성되었으며 따라서 음악교육에 대한 관점 에서도 서구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난다. 따라서 우리가 음악을 통해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해 왔던 내용 및 방법 과 서구의 음악교육의 그것과는 치아가 있으며, 우리의 사상 및 전통을 바탕으로 한 국악교육 철학의 정립은 물 론 국악 교수법에 대한 연구와 고찰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국악을 국악답게 가르치기 위한 교수법을 우리 고유의 국악 교수ㆍ학습 방식 속에 서 찾기 위하여 전통적인 기보법과 관련한 교수법과 전통적인 신체표현을 활용한 교수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 다. 그 결과 전통적인 기보법을 활용한 교수법은 크게 가락선보 교수법, 구음 교수법, 총보 활용 교수법으로 정 리할 수 있었고, 전통적인 신체표현을 활용한 교수법은 발림 교수법, 디딤새 교수법, 손장단(양수지박) 교수법, 손시김 교수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국악을 국악답게 가르치기 위한 교수법 개발의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밑바탕으로 하여 보다 체계적인 교수법 이론이 정립된다면, 국악 교육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Since Korean music has been established by the different ways comparing with Western music, it has many different views upon music education. These gaps make the different contents and approaches of Korean music from Western techniques. For this reason, more recently, there have been musical efforts to revive Korean cultural traditions and ideas through the use of more culturally authentic teaching methodologies. This paper explores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notation and physical expressions for teaching authentic Korean music in classrooms. In particular, the following traditional approaches are described: the Garaksunbo, Gueum and full score approaches as examples of traditional Korean notation systems and the Jangdan by hands, Balim, Didimsae and Sigimsae by hands as examples of traditional physical expressions. It is hoped tha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 authentic approaches to teaching Korean music.

      •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김경령(Kim Kyungryung)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4 No.-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이론과 현장 적용 실험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언어 교수이론을 발표해왔다.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1980년대나 되어서야 외국의 교수법에 대한 소개가 몇몇 논문을 토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단기간 내 수많은 언어 교수 이론들이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하였고 부분적으로 한국어 교수법으로 응용, 전환되어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발표되어 온 외국의 교수 이론에 대한 소개와 함께 한국어 교수법에 어떻게 전환되고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언어교수법 중 문법번역식교수법, 청화식교수법, 침묵식교수법, 전신 반응교수법, 다중지능접근법, 직접식교수법, 협동학습법, 총체적접근법, 내용중심접근법과 의사소통접근법 등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한국어 교수법으로서도 접목 및 응용이 가능한지 등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외국어 교수이론을 무분별하게 수용하기보다 표준적이고 독자적인 한국어 교수 학습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은 학계와 현장에 있는 모든 한국어 교사들이 절실히 느끼는 과제이다. 언어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과 과정은 상호 보완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다양한 학습자 변인에 대한 연구와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세분화된 교수법 개발, 효율적으로 교수법이 실행되기 위한 교과 과정 개발 등에 대한 문헌 및 실험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various kinds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nd material development. Various kinds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which introduced a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a. Around 1980, these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ology begin to introduce and influenc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Some of them worked efficiently while others did not. This study explains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 or approaches like grammar translation method, audiolingual method, the silent way, total physical response, the direct method, content based instruction, community language learning, Multiple intelligence, whole approach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rea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오코너 바이올린 교수법 고찰: 스즈키 교수법과의 비교분석

        이가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3

        시대와 음악문화의 흐름에 따라 교수법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한 진화가 요구된다.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법을 찾고, 선택하는 것은 전체 교육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번 연구는 오코너(Mark O’Connor, 1961-)의 새로운 현악 교수법을 소개함으로써 기존의 현악 교수법을 보충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통하여 교사가 현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보자를 위한 교재로 볼 수 있는 1권을 중심으로 악곡 구성, 관련 테크닉, 즉흥연주 접근방법 측면에서 분석 하였으며 실제 적용을 위해 스즈키(Shinich Suzuki, 1898-1998) 교수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개의 교수법이 양립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오코너와 스즈키 교수법은 모두 자신의 기술을 개발하고 능숙한 음악가가 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바이올린 교수법이지만, 이들 사이에는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다. 레퍼토리에 있어서, 스즈키는 고전 클래식 레퍼토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오코너는 미국 음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스즈키 교수법은 학습에 대해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오코너 교수법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에 미국 바이올린 연주의 음악적 요소를 통합하고 즉흥연주를 장려한다. 다양성과 창의성을 통한 오코너의 접근방법은 현악 교육의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현악 교수법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eaching method requires evolution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long with the flow of times and music culture. O’Connor recently introduced his new method to the music world, which infuses creativity and diversity, based on the Suzuki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is new American school of string playing “O’Connor Violin Method” and to compare it with the Suzuki method. The ultimate goal is to help string teachers better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and use them effectively, and to help students develop a love and appreciation for music, while also equipping them with the skills they need to make music. This essay includ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pedagogical principles, analysis of the pieces from the method book I in terms of repertoire, technique, and improvisation which is the most original feature of this method. It would give an idea of developing creativity in violin teaching. The combination of academic approach and joyful creativity will be expected to cause the chemical change of music learning.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의 구앵(Gouin) 직접교수법을 중심으로 –

        석주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Gouin Direct Method was introduced as Korean Teaching Method by Swallen, one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why he adopted it as a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udio Lingual Method has been implicitly accepted as a secondly employed teaching method following Grammar Translation method which was firstly employe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Korea. But I found Gouin Direct Method was applied before Audio Lingual Metho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history through examining Swallen’s papers published in the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 (1892~1898). Swallen thought Gouin Direct Method enable to supplement old Grammar Transl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at new method reflect the natural procedure by which thought was transformed into language and the naturalness of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Gouin Direct Method was noted not only for its verb-oriented skill but also its focus on pronunciation, accent, etc. It was Gouin Direct Method that enable Korean language teaching firstly to consider Korean pronunciation in its application to Korean teaching. Due to Swallen’s contribution to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 (1892~1898), which was issu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in Korea, we can figure out what kind of teaching method was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nd how significant it was in the history of Korean teaching. 석주연, 2019,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183 : 433~455 19세기 말 한반도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선교사 스왈른(Swallen)은 <한국학휘보 Korean Repository>(1892~1898)이라는 구한말 서구 외국인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기고와 발행이 이루어졌던 영문 잡지에 한국어 교수법과 관련한 기고문들을 남겼다. 이 기고문들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효과적인 언어 교수법인 구앵 직접교수법(Gouin Direct Teaching Method)을 제안하고 그 적용의 절차와 유용성을 기술하고 있다. 그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제안은 동사 연쇄 중심의 교수법을 소개했다는 점, 한국어 발음 및 억양 등에 대한 관심을 환기했다는 점, 기존의 문법번역식 교수법을 보완하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목표어인 한국어로 사고하는 방법을 강조하였다는 점, 한국어교육사에 있어 청각구두식 교수법 적용 이전의 한국어 교수법의 적용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등의 의의를 가진다. 그가 이러한 교수법을 제안한 동기와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19세기 말 서구의 언어 교수법 추세의 변화와, 당시 전제되었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대안 제시라는 측면이 있었다. 구한말 외국인 선교사가 한국어 학습을 위해 당시 서구에서 유행하던 최신의 특정 교수법을 제안하고 적용 사례를 제시한 보기 드문 경우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사교육을 위한 독일 교수학 이론 모형에 대한 탐구

        주현정,이병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teaching method models applied to teacher education in Germany and then draw out suggestions for Korean adult education.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used the interpretative method of study which including literatur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For this, the author collected literature which took key places in teaching methods in Germany and then reinterpreted it in the context of Korea. Results: Teaching method models in Germany have been developed focusing on how to educate teachers as an adult learner in the times of rapid change. These models, therefore, have focused not on macroscopic viewpoints but on such microscopic perspectives as planning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start point of pedagogical behaviors, aim of teaching/learning course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Study findings showed that teaching method models for teacher education in Germany could be classified into following five models in general: (1) the discipline theory-based teaching method provides a theoretical base which is necessary for a teacher to design class schedules, and this model understands teaching as an interaction; (2) the learning theory-based teaching method provides the method of class analysis teachers must practically understand, and presents a theoretical base for the special knowledge and ability of teaching, thus presenting/providing the general teaching method models which include all the areas of class; (3) the discipline process-based teaching method develops and presents analytic and assessing tools for schools and classes from the aspect of specialty development of learners (teachers); (4) the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role of learning and teacher, and altered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pla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5) the theory of main agent’s scientific learning has focused on the reason of learning and the denial of learning, thus arousing people’s interest in the main agent of learning from personal and social aspects. Conclusion: The common point of these teaching method theories is that a teacher must lear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hen recompose it by himself.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독일의 교사교육에서 적용하고 있는 교수법모델을 내용적으로 분석하고 이의 한국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내용분석이라는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독일 교수학 모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문헌들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해석하여 한국적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독일의 교수법적 모델들은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성인학습자로서의 교사를 어떻게 양성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으로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이 모델들은 거시적 관점보다는 교수학습과정의 기획, 교수법적 행위의 출발점, 교수학습과정의 목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같은 미시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독일의 교사교육에 있어서의 교수법 모델은 크게 다섯 가지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도야이론적 교수법은 교사가 수업계획을 구상할 때 필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수업자체를 상호작용으로 이해한다. 둘째, 학습이론기반의 교수법은 실제적으로 교사가 알아야할 수업분석방법과 교수의 전문지식 및 역량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수업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교수법모형을 제시·전달하고 있다. 셋째, 도야과정 교수법은 학습자(교사)의 전문성발달이라는 측면에서 학교와 수업을 위한 분석도구와 평가도구가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다. 넷째, 구성주의적 교수법은 학습과 교수자의 역할, 그리고 교수-학습과정 계획의 방향을 의미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다섯째, 주체과학적 학습이론은 학습해야 하는 이유와 학습에 대한 거부에 초점을 두어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학습주체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논의 및 결론: 이들 교수법 이론들의 모델을 관통하는 것은 교사 스스로가 여러 교수법들을 학습하여 스스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국악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국악 교수법 고찰

        한윤이(Yun Yi Han)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Research has been made for long on how to teach Korean music, but only recently the types and contents of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have been categorized and named.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new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long with the types of Koran music researched so far and suggesting some guidelines on how to us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nstruction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of 3 to 6 grad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of analysing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used in activity areas reveals that the singing part employs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such as Garaksunbo use teaching method, Hanbae Gamji teaching method (Upper body use teaching method & lower body use teaching method), tapping-lap-to-the-beat teaching method, Sonsigirn use teaching method, Gujeonsimsu teaching method, play teaching method and integrated music and dance teaching method, and that playing music instrument part resorts to oral sound use teaching method, tapping-lap-to-the-beat teaching method, Yulmyung use teaching method, Hanbae Gamji teaching method, Chongbo(a score) use teaching method, and Jangdan by hand teaching method, etc. Making music part uses Sorisigim teaching method, Garaksunbo use teaching method, integrated music and dance teaching method, Hanbae Gwnji teaching method, and oral sound use teaching method while appreciation part adopts Hanbue Gamji teaching method, Sonsigim use teaching method, Chuimsae use teaching method, oral sound use teaching method, tapping-lap-to-the-beat teaching method and integrated music and dance teaching method, etc.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presented in the current music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reflect the on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However, problems have been determined that grade 5 and 6 textbooks have all different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publishers and that singing part and appreciation part employ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 part and making music part rely on just one or two teaching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find ways to make use of most of the teaching methods in every part of class and to develop more teaching methods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composition. 국악을 지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악의 특성과 국악 연구는 국악의 어법을 맞는 국악 교수법으로 명명하고 분류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교수범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률 바탕으로 초등학교 3, 6학년 음악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국악 교수법을 분석하여 국악 교수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활동 영역에서 적용한 국악 교수법을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 활동에는 가락선보활용 교수법, 한배 감지 교수법(상체 활용 교수법, 하체 활용 교수법), 무릎 장단 교수 법, 손시김 교수법, 구전심수법, 놀이 활용 교수법, 가무악 통합 교수법 둥이 적용되었고, 악기 연주하기 활동에는 구음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무릎 장단 교수법, 한 배 감지 교수법, 총보 활용 교수법, 말장단 교수법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음악 만들기 활동에서는 손시김 교수법, 가락선보 활용 교수법, 가무악 통합 교수법, 한배 감지 교수 법, 구음 활용 교수법 둥을 적용하였고 감상하기 활동에서는 한배 감지 교수법, 손시김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구음 활용 교수법, 무릎 장단 교수법, 가무악 통합 교수법 둥을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적용한 국악 교수법의 종류가 다양하지만 노래 부르기와 감상하기에서는 여러 교수법을 고루 활용한 반면 악기 연주하기와 음악 만들기에서는 두세 가지 교수법만 집중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