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듣기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박준홍 ( Park Junh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3

        이 연구는 현직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듣기 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듣기 교육에 관한 교육과정이 어떠한 양상을 지니든 결국 듣기 교육을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에 따라 듣기교육은 다양한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범주는 크게 네 가지로 듣기의 중요성, 듣기 교육의 효과, 듣기 교육의 전문성, 듣기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설정하였고, 주된 분석 방법으로는 다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의 중요성은 읽기와 말하기 다음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아졌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듣기 교육이 듣기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면서도 듣기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득된다는 점에 대해서도 상당한 동의를 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듣기 교육의 전문성이 다른 영역 교육의 전문성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듣기 교육의 전문성을 더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교사와 고등학교교사 간의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듣기 교육의 개선 방안에서 교사들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 내용의 마련, 듣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재고, 듣기 평가 방법의 정교화 및 체계화, 듣기 교육에 특화된 교수·학습 방법의 마련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듣기 교육에서 어떤 요인에 대한 강조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듣기 능력관여 요인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태도, 어휘력, 듣기전략, 배경지식, 문법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급 및 듣기 교육의 전문성 수준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모국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듣기 교육 연구 자체가 매우 미미한 상황에서 듣기 교육의 실현 양상을 결정하는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듣기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liste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service Koreanteache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ased on four categorie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he effectiveness of listening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listening educ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listen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ⅰ) The importance of listening decreased as level of schooling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was the most significant. (ⅱ) The effectiveness of listening education was highly evaluated and tendency of natural obtaining of listening ability was also evaluated more than the average. (ⅲ) Professionalism of listening education decreased as level of schooling increased. (ⅳ) Improvements to listening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mproving the education contents followed by raising the teachers’ awarenes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main factors about listening ability, manners was valued the highest followed by vocabular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김영민 ( Young Min Kim ),문지선 ( Ji Seon Mun ),박정숙 ( Jung Suk Park ),임길선 ( Gil Sun L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양성기관에서 과학교사교육을 받고, 교직 경력이 5년 이상인 경력 과학교사들과 교육현장에 처음 입문한 초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장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과학교사양성과정이 과학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양성과정에 대해 경력 과학 교사들과 초임 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경력과학교사 5명과 초임 과학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내용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식 수업, 교과서와 실험 도구 중심의 수업 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집단 중심의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상호작용적 강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내용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학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과학 교수법 전달의 수업 목표, 수업 시연, 조별 협동학습, 발표 등의 다양한 수업 전략, 컴퓨터 프로그램, 시범 자료, ICT 등의 다양한 수업 자료, 지필 평가, 프로젝트 수행, 발표 및 수행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 소집단과 대집단의 혼용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흥미로운 자료 사용, 다양한 질문법, 협동학습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과학내용학과 마찬가지로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초임교사들이 좀 더 다양한 수업 전략 및 교수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래서 그런지 자신들이 경험한 과학 교육학 과정에 대해 경력 교사는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초임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학이 자신들의 수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대체로 좋은 모델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은 교수들이 교과교육학을 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셋째, 일반 교육학에 대해 과학교사들은 교육학 이론 전달의 수업 목표, 강의와 발표식 수업, 교과서 중심의 수업 자료, 지필 시험과 보고서 분석 중심의 평가 방법, 대집단 중심의 수업 등으로 인식하고 있고, 사례와 일화를 많이 들어주는 수업, 소집단 토의 등이 좋은 수업 방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소통 없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좋지 않았던 교수법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경험한 일반 교육학 과정은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있어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과학 내용학과 일반 교육학 과정은 과학 교사 양성에 걸맞는 상당한 변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eginner and experienced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from which they graduated, and to compare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For the study,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IMPRACT project` that was being conducted in America. The interview tool includes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 of science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gener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ir preparation courses. For the interview, seven beginning science teachers,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five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ampled from secondary school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eginning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es of science subject matter were not good model for teaching science in their secondary school because they were not diverse enough and entailed mostly knowledge transfer just through lecture without teacher-student interaction. Second, most of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were affected positively by the teach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classes for science pedagogical subject matter and they could apply those strategies and methods in their current science teaching. Lastly, most of the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general pedagogical subject matter is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science teaching in their schools, but the courses that they experienced at their university were not appropriate for their current teaching.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매개효과

        문정희,송승민,한정이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았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어떻게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인식 수준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여선혜 ( Yu Sun-hye ),김혜순 ( Kim Hye-so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현장에서 생태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효능감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생태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18명이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자연생태계 인식,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 교사효능감,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 및 교사효능감의 평균점수는 5점 리커트식 척도에서 모두 4점 수준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연령과 학력 및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자연생태계 인식차이가 유의하였고, 교사의 연령과 학력, 근무기관유형 및 담당학급유형(영아반, 유아반)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가 각각 유의하였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 및 교사효능감 간에 모두 정적 상관성이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 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에는 자연생태계 인식이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는 간접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므로 생태유아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현장의 지원 노력이 다각도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s, analyze the roles of teaching efficacy i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and contribute to the basic research aimed at improving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318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Gangwo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collected data regarding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were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by using an SPSS 20.0 program. First, the preschool teachers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teaching efficacy, scoring an average of 4 out of 5 for each variable on a likert scal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by age, education, and institution type and in teaching efficacy by age, education, institution type, and class type (infants, young children). Third, pre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Fourth,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at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nclusion, pre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ot only directly affected by their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medium of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give on-site support with the objective of get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teaching efficacy and improving them.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인식의 매개효과

        하지민,고은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업가치인식의 두 하위요인인 내적 직업가치인식과 외적 직업가치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07명이 응답한 임파워먼트, 직업가치인식, 교사효능감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4번 모델을활용하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업가치인식의 하위요인인 내적 직업가치인식과 외적직업가치인식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상관분석에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이었다. 그러나 직업가치인식 하위요인에서 유아교사의 내적 직업가치인식은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이었지만, 외적 직업가치인식은 임파워먼트와 부적 상관관계이었고, 교사효능감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내⋅외적 직업가치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내적 직업가치인식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외적 직업가치인식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파워먼트와 내적 직업가치인식을 지원하는 방안이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김연수,이시자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0 teacher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old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all cases among the teacher’s happines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um path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self-awareness, and ecological understanding,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happiness of the teach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favorabl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eachers, and to strenghten the teacher education to upgrad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인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설문지(최영옥, 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설문지(김시연, 2014),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설문지(백은주⋅조부경, 2004)를 배부하고 그 가운데 300명의 자료가 SPSS 23.0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전문성인식의 세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의 하위 영역 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미 있는 정도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부분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전문성인식의 세 하위 영역 가운데 지식과 기술발달, 생태학적 발달 그리고 자기이해 발달의 순서로 부분 매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전문성 인식에 의해 매개되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문성인식 가운데 교육과정을 계획, 수행, 평가하며 유아 및 학부모와 상호작용 하는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발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인식을 증진하려는 방안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 초등교사의 읽기 유창성 인식과 교사 전문성 개발

        이경화(Kyeong Hwa Lee),오정용(Jung Yong Oh)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4 초등교과교육연구 Vol.40 No.-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읽기 유창성에 관한 인식과 상관관계를 탐구하고, 초등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 유창성 교육 내용, 읽기 유창성 요소를 파악하고, 교사의 읽기 유창성 인식과 교사 전문성과의 관련성을 탐구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은 배경 변인 4문항, 유창성 인식 문항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유창성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결과는 정확성과 자동성 인식에 비해 표현성 인식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 유창성 관련교사 교육 경험 정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 유창성 지도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결과는 모든 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넷째, 읽기 유창성평가 경험 정도를 볼 때, 초등교사 대부분이 읽기 유창성 평가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읽기 유창성 평가 도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결과는 교직 경력과 저학년 지도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경력 교사, 저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가 읽기유창성 평가 도구를 많이 알고 있었다. 여섯째, 읽기 유창성 지도 및 평가 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살펴보면, 표준화된 읽기 유창성 교재와 가정과의 연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읽기 유창성 인식요소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성과 신속성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이를 통해 읽기 유창성의 요소인 정확성, 신속성, 표현성 중 정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교사가 신속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읽기 유창성 관련 교사 교육 경험 정도가 표현성, 읽기 유창성 평가 도구 인식, 유창성 평가 도구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읽기 유창성 관련 교사 교육 경험이 많은 교사가 읽기 유창성 요소인 표현성을 인식하고, 읽기 유창성 지도의 중요성과 평가 도구를 인식하는 것을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차이

        주영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4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18.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학교폭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중등교사가 중등예비교사보다 유의하게 높다. 학교폭력 유형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괴롭힘을, 중등예비교사는 집단적 폭행, 집단따돌림을 가장 심각한 학교폭력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사소한 감정 때문에 폭력행동이 일어나며, 피해의 원인으로 중등교사는 다소 고정적인 변인의 특성을 띠는 성격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중등예비교사들은 변화가능한 대인관계 기술 부족이나 대인관계 적응력 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피해학생에게 필요한 조치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전담부서 등에서의 상담, 중등예비교사는 전문적인 상담 및 개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우선적으로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중등교사는 학부모와 교사의 연계, 중등예비교사는 전인교육, 인성교육을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가해학생 처벌, 담임교사와의 면담, 학부모에게 통지, 학생생활기록부 기록 의무화 등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예방 혹은 대처에서 담임교사와 학생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 과정에 새롭게 개설된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 과목의 개선점에 대한 제안에 대해,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보육교사의 컴퓨터 불안도 및 인터넷 콘텐츠 준거와 인터넷 콘텐츠 수업 활용 인식에 관한 연구

        서명숙,윤진주 한국아동미술학회 2011 아동미술교육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에 대한 불안도 및 인터넷 콘텐츠 준거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려는 인식을 보육교사의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를 검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 189명이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컴퓨터 불안도는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담당 영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관 내 컴퓨터 보유율이 많을수록, 직전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관련 학습을 한 경험이 있을수록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터넷 콘텐츠 준거에 대한 인식은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고, 기관 내 컴퓨터 보유율이 많을수록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터넷 콘텐츠 수업 활용에 대한 인식은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만 3세와 만 5세를 담당하는 교사일수록 높았다. 넷째, 보육교사는 컴퓨터 불안도가 낮고 인터넷 콘텐츠 준거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인터넷 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려는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터넷 콘텐츠가 유아교육과정에 적절히 통합되어 제시될 수 있도록 유아 컴퓨터 교사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의 관계 분석

        김영한,한현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1

        The goal in this study is to strive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by identifying the impact affected by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in accordance with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ultimately by enhancing teacher’s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The final 322 copie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ith the higher teaching experience, it showed the higher awareness in professionalism, and special class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an teachers graduating from univers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cognition differe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efficacy, special class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efficacy than teachers graduating from university. Second, i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higher, it showed teachers’ efficacy also was higher. And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such as efficacy of self-regulation, self-confidence and degree of task difficulty, which was subareas of teachers’ efficacy. Third, if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higher, it showe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also was higher. And the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such as professionalism, loving of education and passion, which was sub-areas of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의 제고 및 그들의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학급 교사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기수거된 설문문항을 중심으로 t 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으며 대학원 졸업의 특수학급 교사가 대학 졸업의 교사보다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다.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대학원 졸업의 특수학급 교사가 높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으면 그들의 교사효능감도 높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사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의 모든 영역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으면 그들의 교직헌신도도 높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직헌신도의 하위 영역인 전문 의식, 교육애, 열정의 모든 영역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