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교사들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와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이종원,허소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In order to promote inquiry-based fieldwork in schools, an in-service training was designed, planned and implemented for three days to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achers. The in-service training consists of three main components - understanding, experience and design of inquiry-based fieldwork. Survey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participating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and to assess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fieldwork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verall,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and agreed that the training provided them with actual experience necessary to perform fieldwork in schools and enhanced their ability to plan and implement fieldwork, which they perceived as great benefit to them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session provided them a variety of actual examples of fieldwork and opportunities to clarify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inquiry-based fieldwork. Before the train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aimed to improve the growth of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or to help students identify what they learned in the classroom in the real world, but after training they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the inquiry skills. And, prior to the training, the teachers tended to link the themes of fieldwork (eg, regional development, tourism, environment) to students’ career paths, but after the training they thought that inquiry experience through the fieldwork would be helpful regardless of students’ future career paths. 중·고등학교 지리교사들을 대상으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교사연수를 설계하고 진행하였다. 교사연수는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이해(지식)를 높이고, 학습자의 입장에서 직접 체험하고, 교사의 입장에서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해보는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들은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었고, 10편의 구체적인 야외조사활동 사례를 알게 되었으며, 탐구질문 → 안내질문 → 데이터 수집활동으로 연결되는 탐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교사연수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표시했다.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연수 전 참여교사들은 지리답사의 목표를 지리적 안목의성장이나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세계에서 확인하는 것으로 생각했다면 연수 후에는 탐구능력의 향상을 중요한 목표로 생각하게 되었다. 연수 전 교사들은 지리답사를 통해 다루는 주제(예, 지역개발, 관광, 환경 등)를 학생들의 진로와 연결시키는 경향이 강했지만 연수 후에는 야외조사활동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탐구능력이 전공분야와 상관없이 폭넓게 진로에 유용할 것이라 생각했다.

      • 국어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구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최종윤(Choi, Jongyun) 한국어문교육학회 2014 어문학교육 Vol.48 No.-

        이 연구는 새 국어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구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 교육 영역 간의 통합을 본격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가치는 교과서에 물리적으로 반영되며, 실제 국어 수업을 수행하는 교사들은 교과서에 반영된 내용을 토대로, 나름의 교육적 의의를 부여하여 가르치게 된다. 따라서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교사들이 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은 교육과정이 다루고 있는 국어 교육 영역 간의 통합이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한 필수 요건이다. 이 연구는 교사가 새 국어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구성의 특성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영역 간 통합적인 국어 수업의 실제 사용 맥락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교과서는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4년 5월 7일∼5월 12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1∼4학년 담임 교사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초등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국어 교과서관, 국어 교과서 영역 간 통합의 성격, 통합 구성 원리, 통합 구성의 효과성, 지향해야 할 통합 지도, 영역 간 통합을 위한 국어 교과서의 보완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효과적인 통합 지도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개발되는 시기부터 즉, 교육 과정의 내용을 마련할 때 영역 간 통합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현장 교사들이 지적해 준 바와 같이 영역 간 통합 지도는 학습 과제와 학습 활동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진정한 통합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n the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2011 revision curriculum emphasis integration with several se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s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ctu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So to find out various aspects of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I analyzed survey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used the textbook which were collected during the May. 7 ~ May 12, 2014. I analyzed the various aspects of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according to the korean textbook's viewpoint, system, the nature of the Integration , Organizing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effect of the Integration, instruction of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this study results, the efficiently integral instruction has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book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ly the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of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to find out efficiently instruction methods on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s.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교사의 지필평가의 역할 및 실태에 대한 인식 조사

        박현주 ( Park Hyunj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과 정기고사 지필평가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학교 과학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평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 계획, 문항 개발, 채점, 결과분석 및 피드백, 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 교사들은 평가를 선발과 학생의 능력 이해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수업 또는 교수학습 방법 개선의 피드백을 위한 역할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문항은 과학교사들이 분담하거나 교사의 건공별로 나누어 출제하였다. 과학교사들은 모두 평가틀을 작성하였고, 지필평가 문항유형의 비율은 선택형70과 서술형 30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서술형 문항은 담당 과학교사가 직접 채점하였고, 선택형 문항은 컴퓨터 채점으로 진행되었다. 과학 교과의 채점 도우미가 있는 중학교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교사들은 학급간 과학평가의 평균 점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학습 구성원인 학생의 차이와 수업 분위기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 섯째, 정기고사 지필평가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것은 과학교사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출제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 평가 문항 제작을 위한 교사의 평가 연수 제공, 교사간의 논의와 협의, 학교 시험 문항에 대한 저작권 등으로 나타났다. 지필평가를 위한 교육적 시스템 구축 및 환경 개선, 교사의 평가 연수 참여 등 지필평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및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middle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f role of student’s evaluations, teachers’ responses to students evaluations, developing assessment items, grading, and feedback. A total of 157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ience teachers seemed to understand that the objectives of the evaluations was for students to score and grade their teachers’ performance. The teachers had passive views on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the evaluations in terms of improving their teaching. Seco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divided and developed examination items according to their majors. They all created a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examination, and the majority of the proportion of examination items were multiple choice and short essay questions; 70% to 30%, respectively. Third, the short essay items were scored by the science teachers, while the multiple choices items were scored by computer. There were few scoring assista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urth,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average score of science assessment on their classes were the quality of students and learning atmosphere. Fifth, science teachers needed a proper evaluation environment, such as enough time to develop assessment items, in-service teachers training on evaluation and assessment, and cooperation system among science teachers.

      • KCI등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임병빈(Im, Byung-Bin),전영주(Jeon, Young-joo)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09 영어어문교육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Korean teachers of English toward Korea’s new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The authors will specifically endeavor to understand the degree to which teachers are ready to implement the TEE initiative as well as what the requirements are to prepare furthe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new teaching approa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teaching English in middle or high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teen questions covering such areas as: the awareness among Korean teachers of English toward Korea’s new approach to TEE, and the support system that teachers want to implement TEE effectively. The data, which was measured with the χ2 , T-test and ANOVA,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12.0, show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re in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of TEE and that a more systematic method of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In most areas,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similarly, although the middle school teach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he high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EE. The main reason for its failure is the lack of time which they had to prepare for TEE. Based on the data analysis,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in order for TEE to succeed, and finally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English teaching in Korean second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