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관음주송(觀音呪誦)’의 종교학적 함의

        강은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9

        The ‘Bodhisattva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noble spiritual heritage in human history, can be the essence of humanism that puts other people‘s relief to the fore. The embodiment of great mercy to relieve all sentient beings and to practice mercy is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e Mahayana Bodhisattva thought, which is the mother of all living beings and becomes a sanctuary and solves the temporal affliction of this world, forms the basis of a dynamic faith and practice culture of Buddhist believers in the subordinate Buddhism, it is an ideological eruption that solves their religious thirst. ‘Avalokiteśvara Mantra', constantly shouting the name of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a solver of troubles and problems of believer and the savior, plays a role of collecting the mind of the believer. Furthermore, the believer himself experiences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by inducing the experience to become one with the object of faith. In other Words, the object of faith functions as a mediator of practice at any moment. It is a function that performs a transformative function of making the believer subject equal to the object of faith. The power of faith toward the object of faith gradually promotes the dramatic experience that the object and the subject become united by promoting the self practice. This phenomenon is similar to the mystery experience in the mystic tradition. The pursuit of the ultimate goal of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 or community through various sounds (religious language), such as Avalokiteśvara Mantra, makes various emotional changes and mental and physical healing possible. In addition, it can extend the horizon of awareness by making change of consciousness through non-routine experience by highly intensive training. The ‘Avalokiteśvara Mantra', which simply recites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s itself a ritual ceremonial gesture and practice method, and co-ordinates the complex religious function that includes the attribute of prayer as ‘Avalokiteśvara Prayer'. In other words, it is verbal rite, performance and prayer itself. Furthermore, the person performing the ‘verbal ritual' called ‘Avalokiteśvara Mantra' conducts various roles of religion as the subject of the ritual, the performer, and the subject of prayer. Linguistic rituals tend to personalize practical rituals. And rituals in language are more dynamic, internally repletive way of salvation instead of somewhat formal, stereotyped rituals, done by gestures and anti-ritualism. Avalokiteśvara Mantra can be understood as a typical mantra performing method that intentionally embodies the state of consciousness which gives religious insight by breaking from daily consciousness by using language as a tool of practice. and it is an example that can be adequately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deautomatization and atered sates of cnsciousness in that it aims at religious insight that transcends language by utilizing language. I wonder how the Avalokiteśvara faith, which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Mahayana Buddhism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he basement of faith and practice, will converge on the desires and wishes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is age and become an ideal model. 인류 정신사의 고결한 정신 유산인 대승불교의 ‘보살사상’은 타인 구제를 전면에 내세운 휴머니즘의 결정체이라 할 수 있다. 중생구제의 큰 원력을 세우고 자비를 실천하기 위한 대자비심의 화현이 관세음보살이다. 모든 중생의 어머니가 되고, 귀의처가 되어 사바세계의 현세적인 고통을 해결해 주는 대승 보살사상은 출가자 중심의 한국불교 수행문화 전통에서 소외되기 쉬운 기층 불교 신도들의 역동적인 신행문화의 근간을 이루며, 이들의 종교적 갈증을 해소시켜 주는 사상적 분출구라 할 수 있다. ‘관음주송’은 신행자의 문제나 어려움의 해결자이자 구원자인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쉼 없이 염하는 것으로 신행자의 마음을 오롯이 신앙 대상에 모으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신행 주체가 신앙 대상과 하나 되는 체험을 유발하여 존재론적 변형을 경험하게 한다. 즉 신앙 대상이 수행의 매개체로 기능하는 가운데, 신행 주체가 신앙 대상과 분리되지 않는 불이의 전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신앙 대상에 대한 타력적 신앙이 점차 신행자 자신의 의지적 자력 수행을 통해 주체와 대상이 합일되는 극적인 체험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비주의 전통에서 볼 수 있는 신비체험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관음주송을 위시한 각종 소리(종교언어)를 통해 개별 종교 전통이나 공동체가 지향하는 궁극적 경지를 추구하는 행위는 다양한 정서적 변화와 심신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고도의 집중 수련에 의한 비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의식의 변화를 도모하는 등 인식의 지평을 넓혀 나갈 수 있다. 관세음보살을 단순히 염하는 ‘관음주송’은 그 자체로 종교 의례적인 몸짓이자 수행법이며, ‘관음기도’라고 불리듯이 기도의 속성까지 아우르는 복합적인 종교기능을 그 속에 응집시키고 있다. 즉 관음주송 자체가 곧 언어적 의례(verbal rite)이자 수행이며, 기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관음주송’이라는 ‘언어적 의례’을 실행하는 자신이 바로 의례의 집전자이자 수행자, 기도의 주체로서 종교의 다양한 역할을 스스로 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언어적 의례는 실천적 종교 의례를 보다 개인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몸짓으로 행하는 다소 형식적이고, 정형화된 의례를 대체하여 보다 역동적이고, 내적으로 충만한 구원의 방식을 지향하며, 반의례주의적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관음주송은 언어를 수행의 도구로 삼아, 일상적인 의식 상태를 탈피해 종교적 통찰을 주는 의식 상태를 의도적으로 구현하는 대표적인 만트라 수행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언어를 활용해 언어를 초월하는 종교적 통찰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탈자동화와 변형의식상태의 개념을 통해 적절하게 분석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를 관통하며 기층 신행의 저변에 도도히 전승되어온 관음신앙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바램과 희구를 어떻게 수렴하여 이상적 모델로 현현될지 자못 궁금하다.

      • KCI등재

        大韓佛敎天台宗 三大指標의 實踐에 대한 硏究

        김동림(보덕)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4 No.-

        대한불교천태종 중창조 상월대조사는 관념이나 이론에만 치우친 불교는 우리의 生命과 眞理體驗에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천명함에 따라 오직 몸과 마음에 의지한 실천하는 불교에 역점을 두고 종단 중창 이념으로 三大指標를 설정하였다. 삼대지표는 ‘인간 즉 불타, 생활 즉 불법’ 실현에 뜻을 둔 애국불교․생활불교․대중불교 具現을 지향하는 천태종의 새 불교운동이다. 첫 번째 덕목인 애국불교는 과거 정치 세력과 밀접하게 유착되었던 세습적인 호국불교 개념이 아니라, 個人과 國家와 社會가 안정된 가운데 민족 고유의 전통과 정신문화를 계승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다음 생활불교에 있어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觀音呪誦 수행과 晝耕夜禪이라고 하는 대한불교천태종의 전통 수행법에 따라 생활 속에 실천 가능한 불교 풍토를 조성한 것이다. 특히 실천적인 부분에서 강조되고 있는 계율 수지에 대해 비구 250계와 비구니 348계를 함축한 十善戒 受持만을 선포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持戒風土를 정착한 점은 대한불교천태종 수행문화의 새로운 면모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중불교는 도심 속의 사찰운영, 4박 5일의 관음수행, 승속불이의 안거제도 등을 통해 모든 생명체들을 성불의 길로 인도하는 會三歸一의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중창 70년을 맞는 대한불교천태종은 전국에 260여 곳의 말사를 건립하고, 신도 250만에 이르는 성과를 내면서 한국 불교계에서 삼대 종단의 班列에 올랐다. 이렇듯 종단의 敎勢와 성역화 사업이 번창할 수 있었던 것은 상월대조사의 興法護國․救世諸衆의 원력과 새 불교운동으로 전개된 삼대지표의 설정이 일반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가 불교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했다는 점을 손꼽을 수 있다. 이에 필자는 대한불교천태종 성장의 동력이 된 삼대지표의 실천 내용과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천태종단의 현재와 미래에 溫故而知新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시에 본고에서 제시하는 삼대지표의 세부내용들을 현 불교계가 사찰 경영과 포교 방안에 적용해 간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뭇 사람들이 정신적 안정을 취하고 마음의 평온을 회복하는 귀의처로 거듭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viewing the development path of Cheontae as three indicators, which were deployed by New Buddhist Movement and religious building ideology of Sangwol Daejosa Temple. Sangwol Daejosa Temple tells us that Buddhism only oriented with the principles is not a help to our lives and sincere experience at all. Thus, through the practice of life of Buddhism, Buddhism in daily lives, one should run parallel with works and practice toward fundamental ideology and through the emphasize of devotion to parents, one should not abandon the basic responsibility of human beings and thereby achieving the true religion. Based on this kind of background, the three indicators deployed by the new Buddhist Movement has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Buddhism of Patriotism, Livelihood, and Public. Buddhism of Patriotism does not mean the concept of Patriotism to conspire with the political power, but to success Korea's unique mentality and peace and harmony of individual, the society, and the country. Buddhism of Livelihood is settled with performing characteristics of 관음주송 and 주경야선. Buddhism of public leads Buddhist temple by harmonizing the Buddhists of authority centrally with the Chief monk and administration of religious affairs in Chong Bong mountain. The fact that Cheontae has 260 branch temples and consists of 2.5 million believers, rising to the rank of three religions in Korea, proves that we cannot help but concentrate on the New Buddhist Movement of Sangwol Daejo Temple. This would undoubtfully become the based of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Buddhism which is now realistically repressed. Especially, the three indicators of Cheontae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temple and this has a meaning of constructing the basis for Buddhist of authority and monks to devote to Kwan-im as practical Buddhism for the society and the country.

      • KCI등재
      • KCI등재

        상월(上月)의 불성개현사상

        황상준(Hwang, Sang J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2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의 시작은 석존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 목표도 석존이 깨달은 진리의 구현에 있기 때문이다. 근현대 한국불교 속에서 천태종 중창을 이뤄낸 박상월(朴上月, 1911-1974)에 의하여 전개된 불성개현사상(佛性開顯思想)은 한국불교의 유구한 흐름 위에서 펼쳐진 또 하나의 깨달음 운동이며 진리구현의 모습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상월의 불성개현사상과 대한불교천태종의 그 실천에 대한 고찰이다. 더불어 근현대 한국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그 의의를 조망함으로써 상월이 주창한 불성개현 사상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의한 법력과 원력으로 상월은 당시의 암울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도 민중을 위해 불성개현운동을 펼치고자 했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의 중심은 법화천태교관(法華天台敎觀)과 관음신앙(觀音信仰)을 중심으로 한신대승불교의 일환으로 기존의 불교에서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로의 전환이다. 상월의 실천수행과 교화행을 통한 천태종의 불성개현운동은 신행 중심축 이동에 의한 운동으로 한국불교 신행사(信行史)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승려와 일부 수행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되던 수행과 성불의 실천본원(實踐本願)의 중요성을 일깨웠으며, 실생활과 유리된 채 홀로 지향하던 승원불교(僧院佛敎)를 생활불교로 회귀시켰다. 상월은 천태종 중창이후 열반에 들 때까지 출 ․ 재가를 막론하고 구인사를 찾는 모든 대중들에게 불성(佛性)의 자각과 개현에 관한 교화를 펼쳤으며, 유훈(遺訓)으로 발보리심(發菩提心)할 것을 천태종도들에게 당부하였다. 그리고 법회의식(法會儀式)을 통한 출 ․ 재가불자의 불성개현에 대한 자각과 관음주송(觀音呪誦)을 통한 실천수행법의 제시는 기존 전통의 불교와는 차별화된 것이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바탕을 둔 실천수행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천태종도의 불성개현을 위한 천태종의 신행체제의 확립이다. 셋째, 불교신행활동과 생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생활불교의 정착이다. 끝으로 불교의 근본목적인 불자들의 깨달음 추구를 위한 실제적인 방편을 제시한 것이다. 상월의 중생구제 서원과 깨달음은 불교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 석존이 깨달은 진리를 오늘의 현대사회에 되살리기 위한 종교 구원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상월의 불성 개현사상은 불교의 본래 모습과 달리 왜곡되었던 이 시대의 불교를 새롭게 혁신한 신대승불교운동의 시작이자 현재 한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Buddhism is a religion that pursues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the beginning of Buddhism comes from the truth that the Buddha realized, and the goal is the realization of the Buddh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invaluable, and it is said that Sangwols thought is another movement for the Buddhists enlightenment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ociety. This present study focuses on both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and its practice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the value of Sangwols thought by looking at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system. Sangwol does not rely on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Sangha, but rather, he built a new Buddhist order, which is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to guide all sentient beings in finding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even though Korean Buddhism looked away and pretended not have noticed their aspiration for the enlightenment in the situation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that time.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Buddhism to the Popular Buddhism and the Daily Life Buddhism as a part of the New Mahayana Buddhism centered on both Cheontae Buddhism and the Avalokitesvara cult. This paradigm shift in the Buddhist faith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a quite different featu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order. Sangwol theory of the awareness of the Buddha nature is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it, and he revealed the Buddha nature to all Buddhists in the Cheontae Order since he reestablished the Order and left instructions as a great inspiration of the earnest aspiration to attain enlightenment. They faithfully followed their dharma teachers instruction by the Dharma ceremony, Daily Life Buddhism, and invoking the nam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awareness of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through Buddhist rituals and the presentation of Buddhist practice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Buddha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ngwol suggested a practice method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Second, he established the Cheontae Orders new mechanism for enlightenment as the practice of faith. Third, it is in the settlement of Daily Life Buddhism that Buddhist new activity and life can be achieved together. Finally, it is a practical way to pursu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ich is a fundamental Buddhist goal. Sangwols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beginning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because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presently his thought reveals the direction that Korean Buddhism should tak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한국 천태종의 염불수행 전통과 그 계승

        김세운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한국 천태종은 고려시대 大覺國師 義天에 의해 개창되었고 백련결사를 결성했던 圓妙了世에 의해 중흥되었지만 조선초기 숭유억불로 인해 그 종파명이 선종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천태종의 염불수행 정신은 조선후기 염불의 유행과 함께 전승되었다가 현대의 上月조사에게로 전승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려시대 천태종의 수행정신이 오늘날 천태종의 관세음보살 呪誦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고려시대 백련결사에서 천태종의 수행법이 염불수행으로 정착했으나 원간섭기 이후 천태종이 중앙으로 진출하여 권력과 결탁하면서 그 수행정신이 퇴락했으나 고려후기 浮菴無寄의 염불수행으로 그 정신이 계승되었다. 그러나 성리학을 기치로 내건 조선이 건국되면서 다시 천태종은 종파 통폐합으로 인해 그 존재를 상실하고 말았다. 그렇지만 천태종의 주된 수행법인 염불수행은 불교계에서 여전히 전수되었고 이는 조선후기 염불수행의 유행으로 나타났다. 조선후기의 염불수행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불교계의 보편적인 수행법의 하나로 정착되었고, 이를 상월조사가 다시 천태종을 중창하면서 천태종의 수행법으로 수용되었다. 고려시대 이래 천태종의 수행으로 받아들여졌던 염불수행이 다시 되살아난 것이었다. 그러나 상월조사는 현실에 맞는 수행법으로서 “관세음보살” 呪誦의 염불로 승화시켰다. 이는 고려 천태종 염불수행의 계승이면서 현실을 맞는 수행법으로 변화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eontae order of Korea was established by Uicheon(義天, 1055~1101) the master of great enlightenment in the Goryeo Dynasty, and was restored by Wonmyo-ryose(圓妙了世, 1163~1245) who initiated the white lotus movement. But it had lost its name when it was unified with the Zen order due to the anti-Buddhist polic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the spirit of chanting Buddhism of the Cheontae order managed to passed down to the generation up until the chanting Buddhism got populariz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the master Sangwol(上月, 1911~1974) of today was inherited in it.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act that the Cheontae spirit from Goryeo Dynasty is connected to today's Avalokitesvara prayer of the Cheontae order.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chanting Buddhism was adopted as a training method of the Cheontae order. Even though the spirit chanting Buddhism was decayed when the Cheontae order were in collision with the main political power after the period of Yuan intervention, the spirit was handed down to Buam-mugi(浮菴無寄) in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the Cheontae order had lost its existence when it was unified with the Zen order due to the anti-Buddhist policy of the Confucianist Joseon Dynasty. But the chanting Buddhism of the Cheontae order could still pass down to generation in the Buddhist society, and it was populariz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nting Buddhism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regarded as a general training method in the Buddhist society up until the modern times, and as the master Sangwol restored the Cheontae order, it became the training method of the order. This means that the chanting Buddhism which was regarded as the training method of Cheontae order ever since the Goryeo Dynasty period has been revived. But the master Sangwol has changed it into the Avalokitesvara prayer to match the reality of the times. Thus its possible to say that his training method has inherited the tradition of chanting Buddhism of the Cheontae order of the Goryeo Dynasty and also changed it more realistic.

      • 상월원각대조사 교시문에서 교지의 실천에 관한 연구

        이승남(광도)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19 天台學硏究 Vol.22 No.-

        교시문에서는 참다운 생명의 원리와 올바른 생활법칙을 가르쳐 이상세계를 구현하려 한다는 불타의 교지를 교시하였다. 또한 천태종도는 천태일승의 교지를 받들어 불교의 대중화와 생활화로서 지상불국의 실현을 발원하고, 밝은 자아의 개발과 밝은 생활의 창조 그리고 밝은 사회의 건설 등 3대지표의 실천을 선서해야 한다고 교시하였다. 불타의 교지와 천태의 교지 그리고 삼대지표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천태종도는 이러한 교지를 받들어 실천해야 하는 사명을 지니고 있다. 『법화경』의 제2방편품에서는 모든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여 일불승으로 교화를 하신다고 하였다. 제법실상의 일승진리와 행보살도의 일승인행 그리고 일체종지의 일승불과를 가르치신다. 이러한 불타의 가르침에 따라 불자는 제법실상의 진리를 이해하고 보살도를 구족하여 불국토를 건설해야 한다. 이것이 『법화경』에서 설하고 있는 불타의 교지와 불자의 사명이다. 천태대사는 천태산 화정봉에 올라 일실제를 깨달았으며, 천태종은 그의 가르침에 따라 삼제원융의 일승진리를 영해하고 일심삼관의 일승인행을 실천하여 반야 · 해탈 · 법신의 열반삼덕을 갖춘 일승불과를 성취하여 모두가 성불하는 것을 종지로 한다. 천태종도는 삼제원융의 진리를 깨닫겠다는 발심을 하고 자리이타를 실천하여 자신과 모든 중생이 다 함께 성불하여 중생성불의 정토건설을 성취해야 한다. 천태의 원돈지관은 모두가 삼제원융의 진리를 깨닫게 하겠다는 보리의 마음을 내고 자리이타의 보살도를 닦아서 구경에는 모두가 반야 · 해탈 · 법신의 삼덕에 귀일하는 것이다. 대중불교의 실현과 생활불교의 실천 그리고 애국불교의 건립 등 3대지표의 실천은 곧 원돈지관의 실천이 된다. 또한 대한불교 천태종은 관음주송의 수행으로 삼대지표를 실천하고 있으며, 그것은 곧 천태의 교지와 불타의 교지를 실천하는 것이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상월 원각의 칭명염불 수행관

        법현스님(박규해) 한국선학회 2023 한국선학 Vol.- No.66

        본 논문은 칭명염불의 경전적 근거, 이론과 실행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칭명염불의 가치와 공덕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칭명염불을 통해 작게는 소원성취, 크게는 깨달음을 증득(證得)할 수 있다.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계속해서 칭명하면서 실제로 머릿속에선 아무런 생각도 하지 않아야 한다. 오로지 염송에만 집중함으로써 정신과 육체의 안정과 균형을 일으키며 정신적 조화를 이룬다. 또한 이 염불 수행은 신비적 체험을 경험하여 좀 더 깊은 수행으로 이끌어주며, 종교적 회심을 일으켜 새로운 인생관을 형성하게 하는 가치와 공덕이 있다. 상월의 칭명염불 정신이 불교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탈종교시대의 불교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월의 가르침에 따라 누구나 쉽게 칭명염불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설법전 같은 기도실을 24시간 개방하여 칭명염불 할 수 있는 공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상월이 강조한 칭명염불의 가치와 공덕을 널리 전파하기 위해서는 가족 단위로 종교 활동에 동참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상월의 뜻에 따라 불교에 많은 사람들이 친근감을 느끼고 편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불자들에게 신앙적 토대에 도움이 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칭명염불의 올바른 수행법과 이를 통한 가치와 공덕에 대해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셋째, 불교 발전을 위해 현대사회에 적합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in detail the scriptural basis, theory, and practice of Chingmyeong Yeombul. Based on this, the value and merit of Chingmyeong Yeombul present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You can achieve your wish and realize through Chingmyeong Yeombul. While continuing to name the name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you should not actually think about anything in your head. By focusing Chingmyeong Yeombul, it creates balance between the mind and body and achieves mental harmony. Besides, this Buddhist practice has the value and merit of experiencing a mysterious experience and leading to a deeper practice, and creating religious conviction to form a new view of life. In this study, a religious foundation for modern people in the era of de-religiousization was established and applied to real life to present the right Chingmyong Yeombul and Buddhist methods. First, by Sangwol's teachings, a space where anyone can easily name and worship should be created. It is necessary to open a prayer room such as Seolbeopjeon Hall for 24 hours to have a space where you can worship. Second, it is important to create a culture that participates in religious activities on a family basis in order to spread the value of Chingmyeong Yeombul emphasized by Sangwol. Third, according to Sangwol's will, many people should feel friendly and comfortable approaching Buddhism.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esented research results that helped the Buddhists in modern society to the religious foundation. Second, significant information was provided on the proper method of performing Chingmyeong Yeombul and its value. Third, measures suitable for modern society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sect.

      • KCI등재

        대한불교천태종의 의례와 신앙

        고병철(Byung Chul Ko) 한국종교학회 2013 宗敎硏究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faith and rituals in religion, checking the contents and lists of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in Korea. And, by this, I try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faith which the Cheontae Order aims. For this reason, in the first chapter, examining the main literatures and histories of the Cheontae Order, I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second chapter, classifying the main lists of ritual of the Cheontae Order, I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Buddhist organizations and the Cheontae Order. Then, in Chapters 3 and 4, I examined the spaces and contents of rituals in the Cheontae Order. And, by this, I pointed out that faith of the cheontae Order is concentrated in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Goddess of Mercy) and memory of the Cheontae Order` founder. As a result, the Cheontae Order aims to faith on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the Cheontae Order` founder constructing various spaces and contents of rituals. And, through these, the Cheontae Order has been making a feature that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igions. Viewed from this point, rituals are a strategic tool to maintain and enhance the self-identity of the Cheontae Order. This research was done through several interviews and field survey, as well as literatures including previous researches. I expect to make this research a small contribution to understand the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