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음신앙의 불교사적 의의와 신라 海水觀音

        정병삼(Byung-sam J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4 No.-

        관음신앙은 사람들의 온갖 바람을 실현해주는 신앙이다. 관음은 여러 유형의 경전 내용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현세적 신앙에 더하여 아미타불의 극락왕생 제도를 돕는 협시보살, 여러 가지 요청에 응하기 위해 32 또는 33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변화신 등이 생겨났다. 그리고 관음이 일정한 곳에 항상 머물고 있다는 신앙이 『화엄경』에 수용되었다. 『법화경』을 토대로 한 현세구원적 관음신앙은 7세기 무렵에 가장 보편적인 신앙이 되어 다음 세상에서의 구제를 바라는 아미타신앙과 짝을 이루며 사람들에게 널리 환영받았다. 아들을 낳기 위해, 바다에 고기잡으러 나갔다가 소식이 끊긴 아들의 무사 귀환을 위해, 고치기 어려운 병을 낫기 위해, 눈먼 이가 광명을 얻기 위해 사람들은 진실한 마음으로 관음을 찾았다. 관음의 현실 구원을 더욱 구체화한 것이 관음보살이 이 땅에 직접 살고 있다는 眞身常住 신앙이다. 진신상주 신앙은 관음이 풍광 좋은 바닷가 바위에 앉아 신앙인들에게 바람을 성취해 준다는 설정으로 인도에서 시작하여 동아시아 각국이 자국에 관음도량을 설정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신라에서는 洛山 관음도량을 개설하여 신앙인들의 순례길을 이끌었다. 낙산 관음도량은 義相이 7세기에 시작했다고 전승되어 9세기 梵日에 이르러 확인되고 이후 고려에서 더욱 왕성하게 전개되었다. 중국의 동해안 普陀山 관음도량은 9세기 중반 일본승 慧鍔의 개창으로 전승되었지만, 이미 7세기 중반 王勃이 보타산으로 부른 것처럼 그 유래는 더 이전으로 올라간다. 이들 모두 바닷가에 자리를 마련한 海水觀音들이다. 보타산 관음도량은 그 개창에 신라인들이 깊숙이 관여했다. 혜악의 개창에 신라 상인이 크게 도움을 주었고, 『고려도경』에서는 觀音像 봉안의 주인공을 혜악이 아닌 신라 상인이라고 밝혔다. 이런 기록들은 보타산 觀音院 개창에 신라인들의 역할이 적지 않게 작용했음을 입증한다. 보타산 관음원의 주 목적은 개창자들의 성격에서도 드러나듯이 黃海를 오가는 해상 안전의 도모였다. 이는 신라인들이 크게 활동하던 赤山 法華院의 신앙과도 상통한다. 그리고 이런 지향은 적산 법화원 활동의 토대를 열었던 張保皐 船團의 신앙 지향과도 다르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belief of Avalokitesvara realizes all kinds of wishes of people. Avalokitesvara was developed in various types of canons. In addition to the help of this world, Avalokitesvara help Amitabha lead to purified world, and he appeared in 32 or 33 forms to respond to various requests. Moreover the belief that Avalokitesvara always stays in a certain place in this world was accepted in Gandhavyuha. Based on the Lotus Sutra, the secular Avalokitesvara belief became the most common belief around the 7th century in Silla. The Avalokitesvara belief was widely welcomed by people in the idea of realizing the wishes in the present world. To give birth to a son, to the safe return of fishing son in the sea, to open eyes who had blind, to heal a disease that was difficult to cure, people seeked for Avalokitesvara with a sincere heart to get over every problem. One aspect that helps Avalokitesvara is the belief of he lives in this land really. This Avalokitesvara’s residence belief began in India with the setting that Avalokitesvara sat on a scenic beach rock and achieved the wishes to the believers, and expanded to East Asian countries setting Avalokitesvara site in their own countries. In Silla, Naksan Avalokitesvara’s residence was opened to lead the pilgrimage route of believers. Naksan Avalokitesvara’s residence was began by Uisang in the 7th century, and was confirmed in Beomil in the 9th century, and later developed more vigorously in Goryeo. Avalokitesvara’s residence, Putuoshan on the east coast of China, was began in the mid-9th century with the Japanese monk Egaku, but its origin is expected to be longer in Tang poets. In the opening of Avalokitesvara’s residence in Putuoshan, Silla merchants greatly helped the opening of Egaku, and Goryeo Dogyeong revealed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e enshrinement of statue of Avalokitesvara was a Silla merchant, not Egaku. This prove that Silla peopl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opening of the Putuoshan Guanyinyuan. The main purpose of Putuoshan Guanyinyuan was to promote maritime safety in the Yellow Sea.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religious tendency of Jeoksan Beophwawon, where the Silla people were largely active. And this orientation will be no different from the belief orientation of the Jangbogo fleet, which opened the foundation for the activities of the Jeoksan Beophwawon.

      • KCI등재

        전남 지역 관음신앙의 전개와 완도

        신선혜(Sun-hye S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4 No.-

        전남의 불교는 백제 불교의 시작과 멀지 않은 시기에 시작되지만 그 흔적이 명확히 나타나는 것은 사비도읍기를 전후하여 활동한 발정, 혜현 등의 행적을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혜현은 법화신앙자로서, 전남을 중심으로 활동함으로써 백제 때 이 지역의 불교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관음신앙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 이후 전개되는 전남 관음신앙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대체로 전남의 지정학적 요인에 의해 해양신앙적 성격에 주목하였지만, 각 시대에 나타나는 관음신앙의 양상을 면밀히 살피면 관음보살의 상주처로서 전남 지역이 인식되는 사례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기존의 시각을 보완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점은 완도 관음신앙의 양상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므로 전남 관음신앙의 특징과 완도의 그것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먼저 본고에서는 관음신앙의 시대별 전개 양상을 일별하며 혜현이 월출산으로 이거한 배경을 해당 지역의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으로 인해 관음보살의 영험함이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시각을 제시하였고, 곡성 성덕산 관음사 창건 역시 곡성의 지정학적 특징에 따른 백제 관음신앙의 편린으로 파악하였다. 신라 하대에 이르러 서남해안 불교계에서 관음신앙적 요소를 찾고 장보고가 특히 이 지역 선종산문에 관심을 보인 이유를 관음신앙을 통해 무사항해를 염원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영암 관음굴의 존재와 강진을 중심으로 한 백련결사의 활동에서 고대부터 이어진 전남 관음신앙의 양상을 알 수 있는데, 특히 후자의 경우 천인과 천책이 몽고난을 피해 완도 법화사로 들어감으로써 완도 관음신앙의 전개와 이어진다는 점이 주목된다. 전남 관음신앙은 이전 시기의 특징을 보임과 함께 완도에서는 국난 극복의 염원이 투영된 양상으로 관음신앙이 전개된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전남의 관음신앙 양상은 기록을 통해서보다는 관음보살상 및 관음보살도 조성사례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강진 고성사 청동관음보살좌상이나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발견된다. 이렇듯 전남 관음신앙이 확산되면서 완도에는 장보고와의 관련성 속에서 『법화경』에 근거한 해난구제적 성격의 관음신앙이 시작된다. 이후 고려 때에는 백련결사의 성격이 완도에 이어지며 조선시대 역시 강진, 해남 등지와의 교류를 통해 『화엄경』의 영향을 받은 윤왕좌 관음보살상이 완도 관음사에 조성되기에 이른다. 완도에서는 전남 관음신앙의 특징적 양상이 시대에 따라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완도 불교계는 관음신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Buddhism in Jeollanam-do begins not far from the beginning of Baekje Buddhism, but its trace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activities of Baljeong and Hyehyeon, who were active around the Sabi period. In particular, Hyehyeon is the Avalokitesvara-faith’s believer, and by working mainly in Jeollanam-d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valokitesvara-faith best shows the Buddhist characteristics of this area during the Baekje period. Research on Jeollanam-do’s Avalokitesvara-faith, which has developed since Baekje, has generally focused on the nature of marine faith due to geopolitical factors in Jeollanam-do, but if you closely examine the aspects of the Avalokitesvara-faith in each era, you can find cases in which Jeollanam-do is recognized as a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Furthermore, this point is characterized by the aspect of Wando’s Avalokitesvara-faith, so I would lik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Jeonnam’s Avalokitesvara-faith with that of Wando. First, it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n the background of Hyehyeon's move to Wolchulsan Mountain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local transportation route, and the creation of Gwaneumsa Temple in Seongdeoksan Mountain, Gokseong, was also identified as a trace of Baekje’s the Avalokitesvara-faith according to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Gokseong. In the late Silla perio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reason why Changbogo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Zen mountain sects in this area was to pray for safe navigation through the Avalokitesvara-faith.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existence of Yeongam Gwaneum Cave and the activities of white Lotus Community centered on Gangjin showed the aspect of Jeonnam’s Avalokitesvara-faith,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which leads to the development of Wando’s Avalokitesvara-faith. While the Avalokitesvara-faith in Jeollanam-d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period, the Avalokitesvara-faith was developed in Wando in the form of a projection of the desire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the aspect of the Avalokitesvara-faith in Jeollanam-do can be found as a case of the creation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which are typically found through the seated 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oseongsa Temple in Gangjin or the seated Geumdo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Daeheungsa Temple in Haenam. As the Avalokitesvara-faith in Jeollanam-do spreads, the Avalokitesvara- faith in the nature of maritime relief based on the 『the Lotus Sutra』 develops in Wando in connection with Changbogo. Later,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character of white Lotus Community continued to Wando, 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Bodhisattva Seated in Maharaja-lila Asana influenced by 『the Avatamska Sutra』, was created at Gwaneumsa Temple in Wando. In Wando,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Avalokitesvara-faith in Jeollanam-do are found according to the times. Wando Buddhism developed around the Avalokitesvara-faith.

      • KCI등재

        현대 觀音菩薩像 新圖像과 관음신앙의 경향

        KIM HYE BUM 불교미술사학회 2018 불교미술사학 Vol.26 No.-

        This study analyzed the new icons of nine Avalokitesvara at the four temples in Korea. It investigated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new birth to this icons. Also it examined the new trends and significance to the modern faith of Avalokitesvara through the new icon. It is summarized that what messages are given to Buddhists living in modern times by the following four types. First is the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the farmers' association movement. Second is the practical movement to carry out work and medi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farming movement. Third is the Religion and World Peace Movement by Practicing nonpossession and noble poverty. Fourth, Let's live as a Buddha as an edification, practice, and propag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Buddhist University. All of which has an enlightening character that demanded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nded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on the premise of practical Buddhism. The faith of modern Avalokitesvara contained the both of the 'Reliance upon Avalokitesvara' and 'one's own strength'. It still has retaining the traditional icons it relies on the Avalokitesvara faith as a saviour.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newly emerged the new Avalokitesvara icons reveal the practical idea that Buddhists themselves encounter and challenge to the problems and demands of the present age. These changes are interpreted as a step in recognizing that the Avalokitesvara faith of Korea has grown to pursuing that the happiness are given by the practice and effort. The balance of the both that is to inherit to cause of the 'benefitting oneself and others' pursued by the Mahayana Buddhism, it will be expected to grow into a more solid public faith of Avalokitesvara in the modern and future of the world. In addition, the leaders‘ role to public is very importance, and revealed the influence of innovative ideas and actions. Finally, the part that can not be left out of this study is that the laymen, rather than the Buddhist priests, show the movements of local propaganda more actively. 이 논고는 네 곳의 사찰에 봉안된 9구의 새롭게 출현한 관음보살상의 신도상(新圖像)을 분석하고, 현대에 도상이 탄생하게 된 동기와 배경을 조사하였다. 그신도상에 투영된 한국 현대 관음신앙의 신(新)경향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것이현대의 불교계와 미술사에 어떠한 메시지를 주고 있는지 요약하여 다음의 4가지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농민결사운동을 통한 불교 사회참여와 개발(開發)’, 둘째, ‘농선(農禪)운동으로 일과 수행을 동시에 이루어 나가자’는 실천운동이다. 셋째, ‘무소유·청렴을실천하며 종교와 세계의 평화운동’이다. 넷째, ‘불교 교육을 통한 중생교화·포교· 실천·수행·붓다로 살자’이다. 각 사찰의 관음보살상의 독특한 신도상의 형상과단어의 뜻만 달리했을 뿐 이 모두는 불교계의 사회참여를 요구하며 실천불교를 전제로 한 대중의 의식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담겨있는 계몽적 성격을 가졌다. 현대 관음보살상의 신도상에 투영된 관음신앙은 타력적인 요소와 자력적인 요소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다. 관음보살상의 획기적인 신도상을 창출해내면서도 기존의 전통도상을 유지했다는 것은 구제자로서의 관음신앙을 의지하는 것이다. 반면에, 새롭게 출현한 관음 도상들의 특징과 조성 배경은 불자들 스스로가 현시대가 당면한 문제와 요구에 부딪히면서 개선해 나아가는 실천사상을 드러냄으로써, 본인과 가족만을 위한 기도를 넘어서 이웃과 사회 전체를 정토로 만들려는 ‘자리이타’의 사상이 두각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관음신앙이 토착신앙과 융합하여 현세 이익만을 추구했던 기복신앙에서 한걸음 성장하여 신앙도 복도 자신이 실천해갈 때 주어짐을 이해하는 과정에 들어선 것으로 해석된다. 관음신앙의 양면성인 타력과 자력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대승불교가 추구하는 ‘자리이타’의 대의를 계승하는 것으로서현대와 미래의 더욱 단단한 대중의 신앙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사회대중을 이끌어갈 사찰의 지도자들이 붓다의 교설을 대중에게 어떻게 전하고 계몽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 대중에게 가장 친화력 있는 관음신앙의관음 신도상을 표현해 내었고, 그것에 부합되는 행동으로 전력 질주하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좌시할 수 없는부분은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들이 사찰의 소임자로서 불교의 정법에 의지하여 더욱 적극적인 지역포교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변동명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e Avalokitesvara-faith was a religion which was people-friendly, popularized among people, and believed to save people in this world. The belief in bless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included the miracle on the sea such as sea rescue.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otection from sea disasters was not found in the early Avalokitesvara-faith when the faith was firstly accep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faith had only something to do with the sea as yet. Because the Avalokitesvara-faith at the early stage was not fully taken root in those common people. It was during the middle Unified Silla that the concept of the sea began to be appeared in the Avalokitesvara-faith. During this period, the Avalokitesvara-faith was spreaded to local areas by Uisang(義湘) based on the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of the Unified Silla. As the faith started to take roots among the locals, it was associated with the sea. However, the association with the sea was not concrete enough to find the concept of sea rescue until the late Unified Silla. As the maritime trade began to flourish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the concept of the worship of sea deities became to be emphasized in the Avalokitesvara-faith,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is faith and sea became strong. The connection might not be strong enough to meet our expectation but at least it was safe to say that the Avalokitesvara-faith had tendency to be more characteristic of the worship of sea deities. 신라의 관음신앙을 바다와의 관계 속에서 살폈다. 관음신앙은 친서민적이며 대중화된 현세구제의 신앙이었다. 관음신앙의 현세이익적인 요소 중에는 海難救濟와 같은 바다에서의 應驗도 포함되었다. 그렇지만 관음신앙이 받아들여진 처음에는 그와 다소 달랐다. 삼국시기의 관음신앙에서 해양적 요소를 찾아내기는 쉽지 않았다. 단지 그와 무관치 않았을 것임을 추정하는 데 머물렀다. 관음신앙이 아직 제대로 토착화하지 못하여 널리 지방과 민중들 사이에까지 유포되지 않은 데 기인한 현상이었다. 관음신앙에 해양적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에 들어서였다. 이 무렵 관음신앙은 중대 왕실의 우대를 바탕으로 義湘 등에 의해 중앙에서 지방으로 널리 전파되었다. 그와 함께 민중들 사이에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하였으며, 바다와도 점차 연관을 맺어갔다. 그러나 해난구제와 같은 바다와 관련된 직접적인 영험을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은 여전하였다. 신라 중대의 관음신앙을 해난구제와 같은 바다에서의 현세적인 영험을 기원하는 해양신앙과 직결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단지 이 신앙이 바다와 연고를 맺어간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신라 하대에는 해상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관음신앙에서 해양적인 요소가 부각되어갔다. 해난구제 영험을 연상케 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예상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관음신앙과 바다 사이의 친연성이 한층 깊어갔다. 하대로 내려갈수록 신라의 관음신앙에서 해양신앙적인 성격이 짙어지는 경향성을 찾아볼 수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新羅 文武王代의 洛山 觀音信仰

        소은애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This thesis examines on the Avalokitesvara-faith at Naksan, and searches relation with another Buddhism-faith in the same period. At first in india, The Avalokitesvara-faith shows character of blessing good fortune. Because of starting off with development of Mahayanist Buddhism, which assimilates endemic god. The Avalokitesvara-faith was introduced from China in later Hu-Han(後漢) period. That formed Avalokitesvara-residence faith(眞身常住信仰) of Botasan(普陀山) in center of bless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The early stage of The Avalokitesvara-faith introduced into Unified Silla shows blessing good fortune which is based on Samanta-mukha-parivarta(普門品) of Saddharma Pundarika Sutra(法華經). The Avalokitesvara-faith which was popular in Naksan region placed in East sea during 文武王 period, was showed especially. After returning of Uisang(義湘) from China, Naksan-temple(洛山寺) was build by Uisang for the first time. Real residence of The Avalokitesvara is based on Gandavy-uha-sutra(入法界品) of Buddhavata-msaka-nama-mahavaipulye-sutre(『華嚴經』) preached Buddhism there, and Naksan-temple was a center temple forming The Avalokitesvara-faith which stressed personality of practical ascetic exercise. The Avalokitesvara-faith showed in Bakwhadoryang-Balwonmoon(「白花道場發願文」), which was written in Avalokitesvara-cave of Naksan's by Uisang, was a wish that people want to be born in paradise of real world. Mainly practicing contemplating one's true character. The Avalokitesvara-faith was appeared with connecting with the land of happyness-faith(淨土信仰). When Wonhyo(元曉) come to Naksan's after Uisang, His seeing Avalokitesvara's remained appearance of the earth god strongly. All Several appearance remind appearance of the earth god as Avalokitesvara's being changed appearance, for example cutting down the rice plants, woman of washing Wolsubaek(月水帛) and bluebird on a pine and so on. thus basis, being able to combine Avalokitesvara-faith with the earth god, can see in Bumbon(梵本)'s Gwaneumkyoung of Samanta-mukha-parivarta of Saddharma Pundarika Sutra. Avalokitesvara-faith among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established Bakwhadoryang-faith(白花道場信仰) and spreading of Buddhist -world thought. In addition to it influence on Odesan-faith(五臺山 信仰) to be able to say as completion of Buddhist-world thought. It consider to defense of the fatherland(護國) in Naksan's Avalokitesvara-faith through the point of reading Suvarnaprabhasa-sutre(『金光明經』) and Inwang-sutra(『仁王經』) that consist of Hokuksambukyoung(護國三部經) at Dongdae Kwaneumbang(東臺 觀音房). And It also is considered to the same point that tried to enlarge to increase in popul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Naksan's Avalokitesvara-faith had tried to unite Usik(唯識) and Esoteric Buddhism(密敎), even to include Avalokitesvara-faith of former Silla period. that is coincided in MoonMu King's will which had tried to achieve unification between denominations as well as ideologies with Naksan's Avalokitesvara-faith. We are able to consider not only relation with constructing unification rule system in MoonMu King period with Naksan's Avalokitesvara-faith. And but also meaning to be showed Bakwha-paradise that was showed real paradise in this world to war-stricken people. 이 글은 신라 문무왕대 형성되었던 낙산 관음신앙의 성립배경과 내용을 살핀 후, 當代 다른 불교신앙과의 관계에 대해 밝힌 글이다. 처음 인도에서 관음신앙은 토착적인 신들을 흡수한 大乘佛敎 흥기시 발흥하였기에 현세구복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後漢代 이후 중국에 전래된 관음신앙은 현실구복적 성격을 중심으로 唐代에는 普陀山의 眞身常住信仰을 이루었다. 신라에 전래된 관음신앙의 초기 모습은 『法華經』 普門品에 근거하여 現世求福的인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문무왕대 동해안에 위치한 낙산지역에서 유행했던 관음신앙은 특수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낙산사는 義湘이 귀국 후에 처음 세운 사찰로서 80권 『華嚴經』 入法界品에 근거하여 관음의 眞身이 그곳에서 常住 說法하며, 실천수행적 성격이 강조된 관음신앙을 형성한 중심사찰이었다. 또 의상이 낙산의 관음굴에서 지은 「白花道場發願文」에서 보이는 관음신앙은 자신의 본성을 관조하려는 수행을 주로 하면서 현실정토인 백화도량에 現身往生하려는 것으로 淨土信仰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한편 의상의 뒤를 이어 찾아온 元曉가 만났던 관음에게서는 地母神的인 모습이 강하게 나타났다. 벼를 베는 여인과 月水帛을 빨래하던 여인, 그리고 소나무 위의 靑鳥는 모두 관음의 변신으로서 지모신의 생육적인 모습을 연상시켰다. 이처럼 관음신앙과 지모신 신앙이 융합될 수 있었던 근거는 梵本 『觀音經』과 『법화경』 보문품에서 볼 수 있었다. 신라의 菩薩住處信仰 중에서도 낙산 관음신앙은 백화도량신앙을 확립함으로써 佛國土思想을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나아가 불국토사상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五臺山 信仰에도 영향을 미쳤다. 東臺 觀音房에서 護國三部經을 이루는 『金光明經』과 『仁王經』을 읽었다는 것에서는 낙산 관음신앙의 護國的인 성격도 볼 수 있었다. 통일전쟁기 지모신 신앙을 수용하여 인구증가와 농업생산력 증대를 모색했던 점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었다. 낙산 관음신앙은 華嚴을 중심으로 唯識과 密敎를 통합하려고 했으며, 이전의 신라 관음신앙까지도 그 안에 포함하고자 했다. 이는 낙산 관음신앙을 통해 불교 종파간의 통합과 사상면에서의 통일까지 이루려 했던 문무왕의 의지와 부합하는 것이었다. 낙산 관음신앙은 문무왕대 통일지배체제를 구축하는 것과도 관련되었지만, 당시 전쟁으로 피폐해진 일반 백성들에게 현신왕생이 가능한 현실정토인 백화정토를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고려 후기 體元의 관음신앙의 특성

        정병삼(Jung, Byung Sam)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0 No.-

        14세기의 고려 사회는 원의 간섭기로서 사회 전반에 변화의 기운이 감돌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사회 운영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던 불교는 중앙 교단이 일반 정치 상황과 같이 원과 연계되어 공덕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적 경향에 젖어들었다. 이전까지 활력을 보여주던 수선사 계통의 결사불교 대신 법상종과 가지산문이 새로 대두되면서 친원적 성격을 띠게 되고 국가적 성향을 지니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왕실과 권문들에 의해 사경과 불화 제작이 크게 늘었다. 이 시기에 활동한 體元은 신라 화엄에서부터 강조되어 왔던 관음신앙을 강조하였다. 적극적인 관음신앙 신행자였던 체원은 『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와『白花道場發願文略解』를 편찬하여 관음신앙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사례를 해석하고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는 40화엄에 수록된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을 찾아 법문을 듣는 부분을 따로 떼어 이에 대해 징관의 해석을 제시한 다음 자신이 다시 여러 전적을 인용하여 풀이한 것이다. 체원은 이 책에서 『화엄경』의 관음을 『법화경』의 관음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화엄경』의 관음은 관음이 20 여종의 공포에 처한 중생이 두려움을 벗어나게 하고 不退轉에 이르게 한다는 것으로 특히 해안가 보타락가산에 관음이 상주한다는 주처 신앙에 특징이 있다. 이에 비해 『법화경』의 관음은 칠난 삼독 등 온갖 고뇌에 처한 사람들을 구제해 주고 여러 응신으로 나타나 無畏를 베푸는 현세구원적인 것이다. 체원이 이 성격이 다른 두 관음신앙을 한데 모아 강조한 것은 당시 사람들이 바라는 관음신앙이 현실구제적인 데 있음을 파악하여 나온 것이었다. 『화엄경』의 20종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한다는 것과 『법화경』의 고난 구제가 상통하므로 이런 작업이 가능하였다. 나아가 체원은 그런 고난 구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감응전 등에서 찾아 수록하여 실천적인 지향을 강조하였다. 체원은 이 책을 통해 고난 구제와 감응 사례를 중심으로 화엄적 관음과 법화적 관음의 융합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백화도량발원문약해』는 신라 화엄의 정초자 의상이 관음을 예념하여 지었다는 발원문으로서, 관음의 백화도량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구도적 성격의 것이었다. 체원은 이를 의상과 법장 등 화엄 초기 조사들의 전적을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체원은 이를 통해 화엄교단이 구도적 관음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체원은 40화엄 관음법문 부분을 지송용 『관음지식품』으로 간행하고 『삼십팔분공덕소경』을 간행하여 공덕을 강조하였다. 이 시기 급증하는 사경과 불화 제작의 경향도 공덕과 왕생을 강조하는 것이며 관음은 미타에 다음가는 많은 예를 보인다. 체원의 이와 같은 저술과 간행 작업은 상류층들의 사경 등 직접적인 공덕신앙을 지원하면서 특히 자신이 속한 화엄 교단을 중심으로 교단에서의 구도적 관음신앙의 정립과 공덕적 신앙의 일반인에 대한 이해와 확산을 통해 포괄적인 관음신앙을 전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14th century, Goryeo dynasty was transparenced in the intervene of Yuan. The Buddhism which took a role of social management changed conservative. It connected with Yuan and focused on merit belief. The Suseonsa school was weakened and Beopsang school and Gajisan school were arose. They were connected with Yuan and Goryeo government. Chewon tried to suggest the reason and practice of practical belief, he based on Avalokitesvara belief which was maintained from Silla. With his comrade Inwon, Chewon believed actively Avalokitesvara belief. He wrote Hwaomgyeong-Gwanjajaebosalsoseolbeopmun- byeolhaengso and Baekhwadoryangbalwonmun-ryakhae. He wanted these books would be a guide of Avaloki- tesvara belief. Hwaomgyeong-Gwanjajaebosalsoseolbeopmun-byeolhaengso is the interpretation of separated part of Gan- davyuha(40 volumes), which contains Sudhana meet Avalokitesvara and hear his sermon. The author Che- won innoted the interpretation of Chengguan and added his own interpretation which is consisted of various books. Chewon intended to expound Avatam- saka-sutra linked with Lotus-sutra in Avalokitesvara belief.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Avatamsaka-sutra is the practice of great benevolence, and give empha- sis on the fact that Avalokitesvara lives on the shore of Mt. Potalaka. That of Lotus-sutra is accomplishing people’s desires. Chewon joined these two various Avalokitesvara believes, because people want to get actual helps.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Avatam- saka-sutra which shows Avalokitesvara derives people from twenty fears is similar to that of Lotus-sutra which Avalokitesvara derives three disasters and seven difficulties. So Chewon could join these two Avalokitesvara believes. Furthermore he found actual prayers for Avalokitesvara and listed them in that book. With this work, he showed that he wants to indicate practical praying for Avalokitesvara. So most of quoted books are annotations on the Gandavyuha (40volumes), and the book of responding prayers. Baekhwadoryangbalwonmun-ryakhae is the interpre- tation of praying letter for Avalokitesvara after he ascertained Naksan is the holy place where Avalokite- svara lives now. The letter intends to not deriving fears but wants to rebirth in Pure Land. Chewon quoted this with Uisang and Fazang, the Silla and Tang founders of Hwaom Buddhism. And he interpreted the detail of the case of practical Avalokitesvara belief. Chewon made these two books and did other works. The one was publishing the part of Avalokitesvara preaching in Gandavyuha-sutra(40volumes) for men’s reading, and the other one was the publishing of Samsippalbungongdeoksogyeong. He emphasized the practical praying for Avalokitesvara. In those days the writingsandpaintingsofAvalokitesvarawereincre- ased. Those Avalokitesvara works were second to Amita works. This was based on that circumstances. In those records we can find people’s praying for merit and Pure Land. This is also reflected those trends. The writing and publishing of Chewon helped the noble class who made merit through writing sutras. And it gave important roles through his effort for profounding the praying Avalokitesvara belief on the basement of Hwaom school. In 14th century, Goryeo dynasty must seek the new change which contains lower people’s intention. In that case, Chewon’s works were a meaningful result.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 문화에 나타난 고래 신화와 관음신앙의 해양 신화 상상력 비교 연구

        표정옥(Jung Ok Py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3

        본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 문화를 상호 이해하기 위해 한국과 베트남 고래신앙의 해양 신화 상상력과 관음 신앙의 불교 상상력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두 나라에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는 고래신앙과 관음신앙 상상력의 비교 연구를 통해 각 나라의 민간신앙과 종교적 상상력을 상호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삼국유사(三國遺事)〉와 베트남의 〈영남척괴열전(嶺南拓怪列傳)〉은 대표적인 신화서인데, 이 두 신화서의 비교를 통해 신화가 생성되는 문화적 욕망을 살피고 두 나라간 상호 이해의 디딤돌을 다지고자 했다. 첫째, 한국 동해안의 고래 신앙과 베트남 동해안의 고래신앙은 일부 유사성과 차이성을 가진다. 한국의 동해안의 고래신앙과 베트남 동해안의 고래신앙에서 각 나라의 문화와 종교가 어떠한 문화 교섭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의 관음신앙에 대한 상상력과 베트남 중부의 해수관음에 대한 상상력을 비교해 보았다. 한국의 관음사상은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등에서 두루 나타나고 있는 불교의 모성적 자비의 상상력이 보이는데 베트남의 북부와 중부에 걸쳐서 이러한 해수관음 사상이 비슷하게 보이고 있다. 두 나라는 대승불교의 영향권 아래에 있는 나라들이기 때문에 유사한 점이 많다. 두 나라의 고래신앙과 관음신앙의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과 베트남의 해양 신화 상상력이 종교 상상력을 어떻게 받아들이면서 교섭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화적 공통점의 상호비교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 이주 여성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베트남 이주 여성의 문화를 단순한 언어소통이 아니라 심층적인 문화 이해의 초석으로 삼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searches for the mythical strategy of Korean and Vietnamese cultural intelligence and coexisiting dynamic relationships. To understand this problem, this article tries to study about Korean-Vietnamese Culture through the mythic imagination of whales and the Avalokiteśvara belief (觀音信仰), focusing Korean 〈Samgukyusa〉 and Vietnamese 〈YongNamDhukGyeYelGen〉. To study about the cultural relationships of Korea and Vietnam, this research aims to contemplate the ancient mythical imagination and modern historical imagination. In the future, Korea and Vietnam have to face with various cultures with a open mind. Particularly, this study defines the two concepts for Korean and Vietnamese futur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relationships. So, this research aims to study about the Ocean Myths and Religious imagination to understand the Korean-Vietnamese Multiculture. The First, we think of the Korean and Vietnamese whales as respecting whales culture. The two countries have a common with whale religion and whale festivals. The second, we need to think of the Avalokiteśvara belief (觀音信仰) with connecting with whales. The Whale and the Avalokiteśvara (觀音) are similar in the size and the Maternity. This attitude can lead us to understand Korean and Vietnamese Cultures deeply.

      • KCI등재

        의상(義湘)의 화엄사상과 양양 낙산사(洛山寺)의 관음신앙 연구

        문무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에 소재한 낙산사(洛山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新興寺)의 말사이다. 해변에 위치한 특이한 구조를 갖춘 사찰로, 우리나라 3대 관음기도 도량 중의 하나이며 낙산은 범어 보타낙가(補陀落伽, Potalaka)에서 유래한 말이다. 관세음보살이 항상 머무르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671년(문무왕 11)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낙산사 창건 이후 관련된 삼국유사 에는 원효(元曉), 조신(調信), 사굴산파의 개산조 범일(梵日)의 이야기 등이 전하고 있다. 의상은 화엄학을 해동에 이끈 해동화엄종(海東華嚴宗)의 초조로서 중국에서 발달했던 화엄학을 신라 땅에 나타내고자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화엄사상의 바탕에서 낙산사를 건립하였으며, 이는 의상의 화엄관을 통해 신앙적 토대를 구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낙산사의 관음신앙은 화엄적 토대에서 구축된 것이며, 이를 통해 신라의 새로운 화엄세계를 구축했다고 할 수 있다. 10여년의 유학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의상은, 중국에서 배운 『화엄경』을 기반으로 관음보살의 상주처로 ‘낙산(洛山)’을 설정하면서 진신상주 신앙을 전개하였다. 이로써 관음신앙을 비롯한 신앙과 사상에 변화가 생겨났다. 무엇보다 진신상주 신앙은 관음보살뿐 아니라 모든 부터님과 보살이 항상 머문다는 사상이 이어져 신라를 불국토로 인식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에 성덕왕대에는 낙산에서 가까운 오대산의 동서남북 그리고 중앙에 각각 관음, 미타, 지장, 석가, 비로자나불이 상주하고 있다는 오대산신앙의 성립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불국토사상은 현재 신라 땅이 곧 불보살이 존재하는 공간이 되므로 따로 ‘정토(淨土)’로의 왕생을 설정할 필요가 없었다. 문무왕대 의상이 귀국하여 낙산에 관음진신상주 신앙을 심기 시작했으며, 때문에 「광덕 엄장」은 극락왕생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관음은 미타의 협시로서 인식되었다. 이후 효소왕(692~702 재위)이 진신석가(眞身釋迦)를 공양했다는 일화가 나오는 등 진신상주 신앙이 퍼지면서 성덕왕대 불·보살이 상주한다는 오대산신앙이 형성되고, 이후 현신성도의 사례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므로 신라는 불국토로 제불·보살이 상주하고 있는데, 현신성도를 도와주는 관음보살은 미타의 협시가 아니며, 불국토인 신라 땅에 제불·보살이 상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선지식’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하겠다. 의상의 화엄신앙이 낙산사를 통해서 구현된 것이다. Naksansa-temple (洛山寺), located in Yangyang-gun, Gangwon-do, is a branch temple of Shinheungsa-temple (新興寺), the headquarters of the 3rd diocese(敎區) of the Jogye(曹溪) Order of Korea Buddhism. It is a temple with a unique structure located on the beach, and is one of the three major Avalokitevara(觀音) prayer temples in Korea, and Naksan comes from the Sanskrit Potalaka (補陀落伽). It was founded by Uisang (義湘) in 671 (the 11th year of King Munmu’s(文武王) reign) with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菩薩) always stays. After the founding of Naksansa-temple, the stories of Wonhyo (元曉), Joshin (調信), and Beomil (梵日) of Sagulsanpa(闍堀山派) are told in the related Samgukyusa(三國遺事). It can be seen that Uisang, as the Chojo(初祖) of Korea Avatamsaka Buddhism (海東華嚴宗), who led Avatamsaka(華嚴) studies to Korea, wanted to present Avatamsaka studies developed in China in the land of Shilla. Naksansa-temple was built on the basis of this Avatamsaka thought(華嚴思想), and it can be seen as building a belief foundation through Uisang's Avatamsaka view. The Avalokitevara belief of Naksansa-temple is built on the foundation of Avatamsaka, an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Shilla's new Avatamsaka world(華嚴世界) was established. Uisang, who returned after 10 years of studying abroad, based on the Avatamsaka Sutra(華嚴經) learned in China, he developed the everlasting existence of bodhisattva belief by establishing Naksan (洛山) as the permanent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菩薩). As a result, changes occurred in beliefs and thoughts, including the Avalokitevara belief, and above all, the everlasting existence of Bodhisattva belief is not only about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菩薩) but also the idea that all Buddhas and bodhisattvas always stay continued, laying the foundation for recognizing Shilla as the Buddha Land.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Odaesan(五臺山) belief that Avalokitevara, Amitbha, Ksitigarbha Bodhisattva, Shakyamuni Buddha, and Vairocana Buddha reside in the east, west, north, south, and center of Odaesan(五臺山) near Naksan, respectively, during the King Seongdeok period. This Buddha's Land Conception is that the current Shilla land is the space where Buddha Bodhisattva exists, and there was no need to set up a separate rebirth to the Pure Land (淨土) . During the king Munmu(文武王) period, Uisang returned to Korea and began to plant the everlasting existence of Bodhisattva Avalokitevara belief in Naksan, and therefore Gwangdeok(廣德) Eomjang(嚴莊) was depicted as a Rebirth in Paradise(淨土), and then Avalokitevara was recognized as the attendant of Amitbha(阿彌陀). Afterwards, like an anecdote that King Hyoso (孝昭王:reign 692-702) offered the Sakyamuni true body (眞身釋迦), as the everlasting existence of bodhisattva belief spreads, during the King Seongdeok period, the Odaesan belief(五臺山 信仰) that Buddha statues-bodhisattvas resided was formed, and afterwards, cases of Hyeonshinseongdo began to emerge. Therefore, Shilla is the Buddha Land, where all Buddhas-bodhisattvas reside, and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who assists Hyeonshinseongdo(現身成道), is not Amitbha s attendant, but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the same role as good knowledge (善知識) that helps all Buddhas-bodhisattva to reside in Shilla, the Buddha Land. Uisang's Hwaeom(華嚴) Belief is implemented through Naksansa-temple.

      • KCI등재

        융합학문논문 : 중국 객가인(客家人)의 사당(祠堂)에 반영된 관음(觀音)신앙

        문지성 ( Jee Sung Mo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2

        중국의 14억 인구는 다시 56개 민족으로 분류되고, 그 95%이상이 한족(漢 族)이다. 한족의 문화는 다시 중원(中原)문화ㆍ제로(齊魯)문화ㆍ형초(荊楚) 문화ㆍ파촉(巴蜀)문화ㆍ오월(吳越)문화ㆍ민대(민臺)문화ㆍ영남(嶺南)문화 등 8대 권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영남문화는 다시 객가(客家)문화ㆍ광부 (廣府)문화ㆍ조산(潮汕)문화 등 여러 개의 권역으로 세분된다. 본 연구는 그 중 하나인 객가인을 선택해 그들의 문화형태에 대해 탐구하는 내용이다. 객가인은 긴 중국역사 속에서 중원의 고향을 떠나 장기간 유랑하다가 남 부의 새롭고 낮선 곳에 정착한 사람들이다. 새로운 정착지를 정하면 환난(患 難)을 피하고 안정과 복록(福祿)을 바라는 마음이 간절할 수밖에 없다. 따라 서 그들의 신앙은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하다. 하지만 그들이 무엇보다도 중 시하고 정성을 드리는 사당을 통해 단지 3가지 항목만 발견할 수 있다. 즉 조당(祖堂)으로 대표되는 유교적 조상숭배 관념, 토지공사(土地公社)로 대표 되는 도교적 토지신숭배 관념, 그리고 관음각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관음신앙이다. 객가인의 관음신앙은 보타산의 관음성지로부터 전파되었다. 보타산의 관음신앙은 해양의 험난한 환경 속에서 수시로 겪게 되는 예측불허의 재난들 로부터 보호해주는 주체로서 관음보살의 자비이념을 형성했다. 해양문화적 성격, 현실구복(現實求福)적 성격을 반영하면서, 전통 불교교리 속의 ‘인과 응보(因果應報)’, ‘발원역행(發願力行)’을 통해 구현되는 자비와는 개념이 다르다. 바로 어머니가 어린 자식을 대하는 ‘무조건적이고 무한한 사랑이자 비호’이다. 결국 자애로운 어머니 모습의 여성적 관음의 형상을 수립했고, 명칭 또한 ‘보살’이 아닌 ‘낭낭[어머니]’로 바뀌게 되었다. 거친 환경에서 살 아가는 민중들에 의해 형성된 ‘중국적’ 관음신앙이 고난을 극복하고 험난한 환경에 정착한 객가인에게 동병상련(同病相憐) 설득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中國的將近十四億人口,分類于五十六個民族,其中百分之九十五以上屬 于漢族。漢族文化一般分于中原文化,齊魯文化,荊楚文化,巴蜀文化,吳 越文化,嶺南文化等八種,而嶺南文化再細分以客家文化,廣府文化,潮汕 文化等, 本論文卽探討客家文化的內容。 客家人本是中原漢族,而在長久的中國歷史風波中,離開故鄕,經歷苦 難,遂到南部地區定居的;他們艱苦地建設了新的家園,就希望不再팽面患 難,而平平安安過日子,故建造了堅固而尨大,有利于防備外侵的大型住 宅。通過他們住宅裏的祠堂布置中,可以發現3種核心信仰:以祖堂所反映 的儒家祖先崇拜,以土地公社所反映的土地神崇拜,以觀音閣所反映的佛敎 觀音崇拜。 客家人的觀音崇拜,來源于浙江省周山島普陀山的觀音信仰;以慈悲理念 爲核心的普陀山觀音信仰,雖然受到佛敎原本理念的影響,但獨自樹立而形 成的成分也흔大,故其所呈現的慈悲與以 ‘因果應報’, ‘發願力行’等爲做前 提的原本理念有所不同,則以母親對待赤孩的 ‘無由而不渴的賜愛和庇護’;遂 把從前的 ‘觀音菩薩’ 稱號, 也改成爲 ‘觀音娘娘’。如此觀音信仰的內涵,則 當地以海洋還境爲舞臺而生活的商人和漁民等,經常팽到無能爲力的災難,不可豫測的苦厄,故援以佛敎的觀音菩薩願力,寄託自我的祈願,遂形成了 獨特的一種信仰形態。客家人也經歷過多次患難,處境不安,故借以普陀山 所形成的觀音信仰,寄託了祈安求福的心情。

      • 『삼국유사』 탑상편 「백률사」조의 종합적 검토

        신선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

        『삼국유사』 탑상편 「栢栗寺」조는 신라 효소왕대 백률사 관음상의 神力으로, 납치되었던 夫禮郞이 귀환하고, 함께 없어졌던 萬波息笛, 거문고가 제자리로 돌아왔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본 조목이 塔과 佛像의 조성에 관한 편목인 탑상편에 편제되어 있는 만큼 백률사에 조성된 관음상의 내력을 전하려는 의도로 기술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효소왕대를 중심으로 한 신라 관음신앙의 전개양상 혹은 당대 일련의 정치적 흐름과도 아울러 이해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도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栢栗寺」조가 탑상편에 편입된 의미를 찾기 위해 관음상 조성 및 그 영험에 대한 『삼국유사』의 다른 조목들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특히 「慈藏定律」조에 주목하여 유입 초기의 관음신앙은 사찰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가지지 않았던 반면, 백률사를 비롯한 관음신앙처 ‘三所’의 등장은 신라 중대에 들어서면서 관음신앙이 사찰과 신앙이 결합하는 형태로 정착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이를 탑상편 편제의 이유로 파악하였다. 한편 『삼국유사』에서 다뤄진 관음신앙의 양상은 소의경전에 따라 다른 신앙형태를 보이는데, 그 중 仁容寺, 栢栗寺, 衆生寺, 芬皇寺등 왕경 사찰의 경우 『법화경』에 따른 현세구제적 관음신앙의 형태가 나타난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신라 중대초 義湘이 『화엄경』의 관음신앙처를 왕경이 아닌 洛山지역에 설정하였던 점과 대비된다. 즉 의상의 관음신앙은 왕경 불교계 혹은 중대 왕권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왕경에서는 중고기 이래 유포된 『법화경』에 근거하여 관음보살을 신앙하였고, 그 주처로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조화가 구현되었던 소금강산의 백률사가 설정된 것이다. 이렇듯 중대 초를 거쳐 왕경을 중심으로 자리잡은 현세구제적 관음신앙은 효소왕대 백률사를 중심으로 부각된다. 이러한 상황에는 효소왕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는 불안정한 정국의 타개책으로 백률사의 관음신앙을 활용하였다. 즉 夫禮郞의 납치와 萬波息笛의 실종이라는 왕실의 위기가 백률사의 관음상에 대한 예배와 기도를 통해 해결되었다는 설화를 탄생시킨 것이다. 그런데 이 설화의 이면에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反효소왕적 세력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효소왕은 이러한 세력의 제압을 위해 당시 洛山을 중심으로 신앙되던 『화엄경』에 근거한 관음신앙이 아닌 王京을 중심으로 한 『법화경』적 관음신앙에 가탁하여 王京중심, 王室중심으로 불력을 모으고자 하였다고 생각된다. 물론 여기에는 효소왕 자신의 왕권의 불안정성이라는 고단한 현실을 구제받고 싶은 간절함이 작용하기도 하였을 것이다. In the article of ‘Baekryulsa(栢栗寺)’ containing in the fascicule of ‘Tapsangpyeon(塔像篇)’ of ‘Samkuk Yusa (三國遺事)’, there is a story of divine power of the ‘Gwaneum Statue(觀音像)’ which brought the kidnapped ‘Buryerang(夫禮郞)’ along and restored the lost Manpasikjeok(萬波息笛) and harp(Geomungo) disappeared contemporaneously. For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is article, this study intended to find the reasons why and how the article of ‘Baekryulsa’ was inserted into the fascicule of ‘Tapsangpyeon’ of ‘Samkuk Yusa’, and thereby, the faith in Gwaneum(觀音) in the early days of its introduction was identified that it was not centered around contemporary Buddhist temples; but contrarily, the appearance of three Spots(三所)’ of the faith in Gwaneum including the ‘Baekryulsa’ during the mid-age of Silla(新羅) dynasty was identified that the faith in Gwaneum began to settle down as a faith joined with those in contemporary Buddhist temples. Besides, the faith in Gwaneum described in ‘Samkuk Yusa’ reveals varied aspects accorded with respective scriptures of Buddhism, and the faith originated by Uisang(義湘) and propagated in the region of Naksan(洛山) was interpreted that it was adopted neither by the contemporary society of Buddhists in the capital area nor by the regality in the mid-age of Silla dynasty. On the contrary, the faith in Gwaneum propagated in the capital area was based on the scripture of Beophwagyeong(法華經) which had been circulated since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dynasty by which the ‘Baekryulsa’ in the Sogeumgangsan(小金剛山) and realized the harmony with indigenous faith, was selected as one of centers of this faith. The faith in Gwaneum propagated in the area of capital with its nature to relieve the present world since the early to mid-age of Silla dynasty was centered around the ‘Baekryulsa’ and was brought to the fore under the reign of King Hyoso(孝昭). And it seems that the intention of King Hyoso was reflected in the context behind this situation in that he exploited the faith in Gwaneum of ‘Baekryulsa’ as means of the breakthrough to get over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That is, it was estimated that the King Hyoso relied on the faith in Gwaneum based on the scripture of Beophwagyeong that propagated around the area of contemporary capital to gain the control over his counterforce who had another style of the faith in Gwaneum based on the scripture of Hwaeomgyeong(華嚴經) that propagated in the area of Naksan placed in the mid-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