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 -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노재현 ( Jae Hyun Rho ),오현경 ( Hyun Kyung Oh ),한윤희 ( Yun Hee Han ),박경욱 ( Kyung Uk Park ),변무섭 ( Moo Sup Byun ),허준 ( Joon Huh ),최영현 ( Yung Hyun Choi ),신상섭 ( Sang Sup Shin ),이현우 ( Hyun Woo Lee ),김효정 ( Hyo Ju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역사공간의 진정성 제고와 보존관리에 활용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가지정 문화재인 경상북도 소재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성주 한개마을 등 3개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분포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민속마을의 전체식물상은 127과 430속 614종 5아종 100변종 33품종으로 총 7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 목본식물은 263분류군(35.0%), 초본식물은 489분류군(65.0%)으로 나타났다. 하회·양동·한개마을의 전체 식물상은 각각 총 534·479·40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률은 30.1·38.2·37.0%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관상외래식물이 135분류군, 풍치외래식물이 21분류군, 경작외래식물이 64분류군 그리고 귀화외래식물이 80분류군으로 나타나, 관상외래식물의 비율이 탁월하게 높았다. 마을별로는 하회마을 161분류군(30.1%), 양동마을 183분류군(38.2%), 한개마을 151분류군(37.0%)으로 양동마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2. 하회마을내 단위문화재로 지정된 고택 정원에 식재된 관상외래식물은 총 30분류군이고, 옥연정사(8분류군)·양진당(7)·하동고택(6)·충효당(5) 등의 순으로 외래식물수가 높았으며, 백목련·능소화의 식재율이 탁월하였다. 양동마을에서는 총 51분류군이 관찰되었는데, 두곡고택(16분류군)·수졸당(14)·무첨당(13)·상춘헌고택(1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국·불두화·상사화 등의 출현율이 높았다. 그리고 한개마을의 관상외래식물은 총 62분류군으로 진사댁(35분류군), 교리댁(25)·한주종택(20)·하회댁(16) 등의 순이었으며, 골담초·뚝향나무·백목련·불두화·산당화 등의 출현률이 높았다. 3. 정원 외부를 살펴보면 하회마을에서는 만송정 숲 하부에는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이 높은 우점도로 생육하고 있어, 겸암정사 인근의 가시박과 함께 제거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만송정숲 주변 낙동강 하상으로는 아까시나무림과 양버들군락 등의 풍치외래식물이 하안식생으로 띠숲을 이루고 있다. 양동마을에서는 마을 안길에 자연 발생한 가죽나무군락과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가 비향토식생경관으로 인지된다. 또한 한개마을 외곽에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가죽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세력 확산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민속마을 간 발생 외래식물의 유사도는 47.0∼48.6%로 이와 같은 이유는 연구대상지가 모두 경상북도에 위치하여 있는 관계로 식물의 생육조건이 유사하며, 관상용으로 판매되는 외래식물이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판단됨에 따라 외래식물에 대한 마을별 관리대책과 공통 관리대책의 병행이 요구됨을 암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distribution situation of alien plants and to propose management plan in the 3 Folk village in Gyeongsangbuk-do which is Cultural property designated by the State; Hahoe, Yangdong and Hangae. This research is for improve of sincerity of historical site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which use about administration of preserv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verall flora and alien plants appearance The total flora in the 3 folk villages were listed total 752 taxa including 127 families, 430 genera, 614 species, 5 subspecies, 100 varieties and 33 forms. Among them, woody plants take 263 taxa(35.0%) and herbaceous plants take 489 taxa (65.0%). Flora in the Hahoe, Yangdong and Hangae village were total 534, 479 taxa and 408 taxa and exotic plant index was 30.1%, 38.2% and 37.0% respectively. In types of exotic plants, ornamental exotic plants were 135 taxa, deciduous exotic plants were 21 taxa, cultivating exotic plants were 64 taxa, and naturalized exotic plants were 80 taxa and those result lead that the ornamental exotic plants is the highest ratio. According to the villages, Hahoe village had 161 taxa(30.1%), Yangdong Village had 183 taxa(38.2%), and Hangae village had 151 taxa(37.0%) that Yangdong village showed the most number of exotic plants. 2. Planting of landscape exotic plants in the unit cultural assets Meanwhile, Ornamental exotic plants in old house`s gardens in Andong Hahoe village which is designated as a unit assets, those are total 30 taxa; followed by the Okyeon house(8 taxa) is highest and the Yangjindang(7), the Hadong house(6) and the Chunghyodang(5). Magnolia denudata appears the most as for 4 times and Campsis grandiflora etc. each took 2 times. Based on the Yangdong village, Gyeongju, that are found total 51 taxa; followed by the Dugok house(16 taxa) the Sujoldang(14), the Mucheondang(13), and the Sangchunheon (12). High appearance rate of ornamental exotic plants were Viburnum opulus for. hydrangeoides, Lycoris squamigera, Caragagna sinica and Magnolia denudata etc. Based on the Hangae village, Seongju, that are designated total 62 taxa; followed by the Jinsa house(35 taxa), the Gyori house(25), the Hanju head family house(20), and the Hahoe house(16). Taxa with high appearance rates were Caragana sinica, Juniperus chinensis var. horizontalis, Magnolia denudata , Viburnum opulus for. hydrangeoides, Chaenomeles speciosa etc. 3. Problems of exotic plant landscapes in the outer spaces of the folk villages Problems of exotic plant landscapes in the outer spaces of the Hahoe village are as follows. In lower of the Mansongjeong forest, Ambrosia artemisifolia, which are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ive with high dominance value. This should be have a remove with Sicyos angulatus immediately. In the Nakdong river bed around the Mansongjeong forest is covered with a riparian vegetation forest belt of Robinia pseudoacacia L. forest, Populus nigra var. italic community, and Populus x tomentiglandulosa community colony. Based on the Yangdong village, the planted or naturally distributed Ailanthus altissima colony, sporadically distributed Robinia pseudoacacia as well as Amorpha fruticosa are detected all over the village and ecotones. Based on the Hangae village, Ailanthus altissima and Robinia pseudoacacia are sporadically distributed around the village and there is a sign of spreading. similarity of exotic plantsis 47.0% to 48.6% and a reason why this happened is all of research site in Gyeongsanbuk-do and that is why growth norm of plant is similar, exotic plant which is sales for ornamental and it infer to require related countermeasure of each villages and joint related countermeasure.

      • KCI등재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길지현,김창기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3

        Numerous cases have been reported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To obtain basic data about howthose plants affect the ecosystems of Korea, we compiled a list of 78 species categorized as ornamentals from 309 naturalizedspec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life forms, origin, and their current global status of naturalization and regulation. Plantsbelonging to Compositae comprised the largest group, with 23 species. In all, 75 species were considered herbaceous, andperennial species out-numbered annuals and biennials. Most species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Except forHouttuynia cordata, the other 77 species were naturalized in other countries as well. Furthermore, 34 species, including Asterpilosus and Solidago altissima, have been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or classified as alert species in Korea or other countries. Therefore, monitoring may be required to prevent spread of those species, especially for species which have not been managedunder domestic law up to now 외국으로부터 도입된 관상식물의 귀화 사례가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고 있다.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생태계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귀화식물309종을 대상으로 관상식물로 분류할 수 있는 78종의 목록을 작성하고, 생활형과 원산지 전세계적인 귀화 및 규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에 귀화한 외래 관상식물은 국화과식물이 23종으로 가장 많았다. 75종이 초본으로 대부분을차지하였으며, 다년생 식물이 일년생 및 이년생 식물에 비해 많았다.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이 가장 많았으며, 약모밀을 제외한 나머지 77종은 해외에서도 귀화사례가 보고되었다. 미국쑥부쟁이와 양미역취 등 34종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규제 또는 주의 대상으로 분류된 종들이므로, 이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Methodology of Ornamental Value Evaluation for Landscape Perennial Planting on the Lack of Sunlight Space

        Seung Won Han,Kwang Jin Kim,Ji Hye Yun,Na Ra Jeong,Soo Jin You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도심지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초화류의 일조부족에 따른 관상성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장 특성에 따라 수직형, 부채꼴형, 반구형 식물 6종을 대상으로 7개월간의 차광처리 후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후 각 생장 유형에 따라 형태, 밀도, 색상 등의 관상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차광처리 전, 후 식물 생육을 측정 한 후 산출식에 따라 관상가치를 평가한 결과 가우라는 자생 지 환경에서의 관상가치를 5점으로 하였을 때 50% 차광에서 0.66점 낮았고, 돌단풍은 80%에서 0.99점 부족한 관상성을 나타냈다.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식물들의 생장 패턴을 유형화하는 등의 지속적인 경관식물의 가치 정량화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도심지 녹지의 질을 높이는데 다양한 식물이 활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관상식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With the aim of evaluating the ornamental quality of herbaceous flowering plants planted to improve the landscape in urban areas, this study established evaluation standards based on their growth and ornamental characteristics, measured differences in their growth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alculated their score based on the standards. Herbaceous flowering plants were divided, based on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into four types - vertical, fan-shaped, semi-spherical and covering types. Measurement items that can express the orna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such as shape, density and color were selected and an equation for calculation was obtained. Three species of each type were selected and changes in their ornamental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shading conditions were measured for 7 months. The growth status of plants before and after treating shading was measured and their ornamental value was evaluated using the obtained equation. When the score of the ornamental value of Gaura lindheimeri in its natural habitat is 5points, its ornamental value in the 50% shading environment increased by 2.53 points, and that of Physostegia virginiana in the 80% shading environment decreased by 2.46 points. As such,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green spaces based on the quantified ornamental value of plants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differentiating the value of green spaces in different urban spaces.

      • KCI등재후보

        숲정원 조성을 위한 음지식물의 생태 특성 분석

        이문규,이두리,진혜영,배준규,송수정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4

        Due to increasing environmental awareness of the public and diminishing resources for maintenance of gardens and green spaces, naturalistic planting designs, which often rely on ecological processes for their maintenance, are beginning to attract attention in Korea. Among different subdivisions of naturalistic planting designs and garden styles, woodland garden, a style of naturalistic garden that mimics forest or woodland plant community, may provide greater ecosystem services in urban area compared to other types of gardens or green spaces. However, for successful designing and planting of woodland gardens, an understanding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plant community is necessary. In this study, literature on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occur within temperate forests and the ecological traits of plants that evolve under such conditions were reviewed, and implications of such ecological traits for woodland garden design and management were discussed. In general, environment within forests are spatially and temporally heterogeneous and limited in resources. Sciophytes evolved various adaptive traits under such environment,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stress tolerance and stress avoidance. Stress tolerance was achieved by enhancing capacity of resource capture and conservation, while stress avoidance was achieved by finishing life cycle within the short period of time between the spring thaw and the leafing out of canopy when resource availability is high. The adaptive traits of the sciophytes confer unique ornamental value to them, including unusual leaf shape, color, and texture. However, for effective use of sciophytes in urban landscape, adequate environment must be provided by modifying light, soil, and other microclimatic el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needs of sciophytes. 근래 대중의 환경 의식이 향상되고 정원 및 녹지의 유지 및 관리에 드는 각종 자원들의 부족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생태 프로세스에 의지하여 관리될 수 있는 자연주의 식재 디자인에 대한 국내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주의 식재 디자인의 여러 하위유형 중 숲정원은 산림이나 소림의 식물군집을 모방하는 양식으로서, 도심지에서 타 유형의 정원이나 녹지에 비해 더욱 큰 환경 서비스 및 생태적 기능을 수행할 여지가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숲정원의 설계 및 조성을 위해서는 산림식물군집의 생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대림 내부에서 형성되는 환경과 이러한 환경하에서 진화한 식물종들의 생태적 특성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 이들이 숲정원의 디자인 및 관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일반적으로 산림 내부에는 공간적, 시간적으로 이질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자원이 부족하다. 이러한 환경 아래에서 음지식물은 다양한 적응적 특성을 갖추도록 진화하였고, 이러한 특성은 크게 스트레스 내성과 스트레스 회피의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스트레스 내성은 자원 포집과 보존 능력의 향상을 통해 달성되었으며, 스트레스 회피는 해빙기와 개엽에 따른 수관 폐쇄 사이의 자원공급이 풍부한 짧은 기간 동안 생활환을 마침으로써 달성되었다. 음지식물의 적응적 특성들은 독특한 잎의 형태나 색상, 질감 등 특유의 관상가치를 부여한다. 그러나 도시녹지에서 음지식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음지식물의 생태적 특징과 이에 따른 생육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광환경과 토양환경, 기타 미기후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후보

        아파트 베란다 화단용 용기재배에 이용할 수 있는 자생식물 선발

        류병열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7 No.2

        우리 정서와 친숙한 우수한 자생식물 중 아파트 베란다 화단에 활용 가능한 초종선발을 목적으로 화분형으로 식재하여 생육과 관상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산호수, 애란, 바위취, 풍란은 베란다 용기화단에 식재 시 생육이 안정되고 관상가치가 높아 실내식물로 이용하기 적합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바위솔, 좀비비추, 무늬둥굴레, 나도풍란, 우산나물은 생육이 조금 불안정하였으나 베란다 화단용 식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동의나물은 생육이 불량하여 실내식물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ative landscape plants for the use of veranda container garden at apartment house. The shade native landscape plants were good for veranda container garden such as Ardisia pusilla, Ophiopogon japoniClls, Saxifraga stolonifera, Neoftnetia folcata, because these have shade tolerance , high visual value and stable growth. Orostachys japonic11s, Hosta minor, Polygonahan odoratum 'Variegatum', Aerides japonicum, Syneilesis palmata was also use of veranda container garden. But Caltha palustris var. membrabcea was unfit of use indoor plant because of weak shade tolerance.

      • KCI등재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의 관상식물로서 자생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의 적용성 평가

        주진희,윤용한,Ju, Jin-Hee,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5

        본 연구는 토양 내 중금속(카드뮴, 납, 아연) 처리 농도에 따른 자생 맥문동의 외형적인 생장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의 관상효과 증진을 위한 수종탐색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중금속은 카드뮴, 납, 아연등 3종류이고, 처리 농도는 Control, 100, 250, $500mg{\cdot}kg^{-1}$ 등 4가지로서, 총 12가지 처리구로 구성하였다. 2009년 3월에 각각의 실험구에 10개씩 3반복으로 각 처리구에 정식하여, 같은 해 9월까지 약 7개월간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생장이 가장 활발한 시기라 볼 수 있는 5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엽장, 엽폭, 총엽수, 고사엽수, 신엽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을 중심으로 생장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카드뮴(Cd) 처리구의 경우, 엽장과 엽폭의 상대생장률이 식재 후 4개월이 경과된 시점에서 급속히 감소하였다. 총엽수, 신엽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의 형태적 항목에서도 Control> $Cd_{100}$ > $Cd_{250}$ > $Cd_{500}$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Pb) 처리구에서 엽장의 상대생장률은 $Pb_{250}$과 $Pb_{500}$ 처리구에서만 변화율이 감소한 반면, 엽폭은 납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의 감소양상이 뚜렷하였다. 총엽수, 신엽수, 고사엽수등은 대조구와 $Pb_{100}$ 처리구에서 비교적 유사하였으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은 납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양상이 매우 뚜렷했다. 아연(Zn) 처리구는 카드뮴와 납 처리구와는 달리 식재 후 4개월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변화율의 차이가 있을 뿐, 엽장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폭 상대성장율 또한 $Zn_{500}$ 처리구를 제외하고, 비교적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총엽수, 신엽수, 고사엽수, 관상가치는 $Zn_{5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Control, $Zn_{100}$, $Zn_{250}$ 처리구간에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맥문동의 관상가치적 관점에서 생장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현장적용의 기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하지만, 중금속에 대한 식물의 내성은 중금속 자체의 특이성과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개연성을 가지므로, 실내연구와 현장적용성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Heavy metal pollution is a widespread global problem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concern. Heavy metals such as Cd, Pb, and Zn can induce toxicity in all organisms if the soil levels of contaminants reach critical valu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Liriope platyphylla, an ornamental Korean native plant with great potential for contaminated soil in urban areas, to determine tolerance for Cd, Pb, and Zn. Plants were grown in amended artificial soil with Cd, Pb, and Zn at 0, 100, 250, and $500mg{\cdot}kg^{-1}$ for 7 months. The length of leaf, width of leaf, total leaf number, dead leaf number, new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s, and ornamental value were monitored from May to August, during growth the period. The relative leaf length and leaf width displayed rapidly decreasing tendencies with an increasing Cd concentration beginning from 4 months after planting. The same decreasing tendency was observed in total leaf number, new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s, and ornamental values showed a trend of Control> $Cd_{100}$ > $Cd_{250}$ > $Cd_{500}$. In Pb concentration treatments, the relative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lants grown at $250mg{\cdot}kg^{-1}$ and $500mg{\cdot}kg^{-1}$ as compared to the Control, $100mg{\cdot}kg^{-1}$. The total leaf number, new leaf number, and dead leaf numb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Control and $Pb_{100}$ but chlorophyll contents and ornamental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Pb supply concentration treatments. However, in Zn supply treatments, the relative leaf length was higher at $100mg{\cdot}kg^{-1}$ than the Control, $250mg{\cdot}kg^{-1}$, $500mg{\cdot}kg^{-1}$, but the relative leaf width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Zn_{100}$, $Zn_{250}$, and $Zn_{500}$. The total leaf number, dead leaf number, new leaf number, and ornamental value showed the lowest value in plants grown in $Zn_{500}$ treatm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other treatments.

      • 식물재배 초보자를 위한 관상식물 식물도감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에 관한 연구

        김경배(Kim, Gyoung-Bae),김민지(Kim, Min-Ji)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원 2013 과학과 문화 Vol.9 No.2

        In this paper we design a smart-phone based application for new growers of ornamental plants. The proposed application provides various illustrated information useful for cultivating ornamental plants. The representative and popular 40 ornamental plants are stored in application database. Users can easily identify a ornamental plant although they do not know the name of the plant. In addition, we can simulate cultivating ornamental plants using virtual reality menu.

      • KCI등재

        실외 화분용 자생식물 선발

        손관화,김훈식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2

        국내에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는 식물 중 실외 정원의 화분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잘 견뎌낼 수 있는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30여 지역을 탐사하였다. 일반적인 화분(직경 27.5 cm x높이 27.5 cm) 과 걸이용 화분(직경 27.5 cm x높이 13 cm)에 식물을 채 취하여 심거나 파종하여 충남 성환(북위 36´´56´ 동경 127´´09´)의 정원에서 재배하여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파 악된 자생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용으로는 13과 29속 38종 (초본식물 37종류, 목본식물 1종류)이었으며, 걸이용 화 분용으로는 28과 43속 46종(초본식물 29종류, 목본식물 17종류)이었다. 이 중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에는 박주가리과의 박 주가리, 도라지과의 염아자, 국화과의 인진쑥·사자발쑥· 물쑥, 사초과의 가는그늘사초, 화본과의 수크령·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긴병꽃풀·꽃향유·산박하·들깨풀, 콩 과의 털갈퀴나물, 후추과의 후추등, 장미과의 분홍찔레의 16종이었고,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 리, 국화과의 좀씀바귀, 메꽃과의 메꽃·둥근잎유홍초, 마과의 마, 꿀풀과의 긴병꽃풀·백리향, 콩과의 제주달구 지풀·털갈퀴나물, 방기과의 새모래덩굴, 후추과의 후추 등, 미나리아재비과의 긴잎으아리, 장미과의 분홍찔레, 양 지꽃, 꼭두서니과의 계요등, 꼭두서니, 포도과의 담쟁이 덩굴 18종이었다. 78 Korean native plants, which have not been used in general, were selected to be used as outdoor pot plants for three seasons, from spring to autumn. Plants, which were explored in about 30 places of Korea from 2007 to 2009, were transplanted to or sown in white plastic general pots (27.5 cm (Φ) x 27.5 cm (H)) and hanging pots(28 cm (Φ) x 13 cm (H)) and grown in the garden of 36´´56´ latitude(N) and 127´´09´ longitude( E). 38 species(13 families and 29 genus) were suitable for outdoor general pots, and 46 species(28 families and 43 genus) for outdoor hanging pots. Among 38 plants for outdoor general pots, the principal species, which were easy to grow and have not been used in general, were 16 species, Metaplexis japonica in Asclepiadaceae, Phyteuma japonicum in Campanulaceae,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princeps, and Artemisia selengensis in Compositae, Carex humilis in Cyperaceae,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Setaria viridis in Gramineae, Agastache rugosa, Glechoma hederacea, Elsholtzia splendens, Isodon inflexus, and Mosla punctulata in Labiatae, Vicia villosa in Leguminosae, Piper kadzura in Piperaceae, and Rosa multiflora var. multiflora in Rosaceae. Among 46 plants for outdoor hanging pots, the principal species, which were easy to grow and have not been used in general, were 17 species, Metaplexis japonica in Asclepiadaceae, Ixeris stonlonifera in Compositae, Calystegia japonica and Quamoclit angulata in Convolvulaceae, Dioscorea batatas in Dioscoreaceae, Glechoma hederacea and Thymus quinquecostatus in Labiatae, Trifolium lupinaster for. alpinus and Vicia villosa in Leguminosae, Menispermum dauricum in Menispermaceae, Piper kadzura in Piperaceae, Clematis mandshurica for. lancifolia in Ranunculoideae, Rosa multiflora var. multiflora and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in Rosaceae, Paederia scandens and Rubia akane in Rubiaceae,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n Vitaceae.

      • KCI등재

        한반도 희귀 및 특산식물 삼수개미자리의 자생지와 종자발아 특성

        이승연,정재민 한국화훼학회 2022 화훼연구 Vol.3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tive vegetation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s for the purpose of the conservation and horticultural use of Minuartia verna var. coreana, which is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pecies grows naturally on sand dunes that have been weathered over a long time in the limestone zone. A total of 60 species of plants were growing wild in the native habitat. Among the 60 species, three were endangered (Prunus choreiana, Iris ruthenica, and Pulsatilla tongkangensis), three were vulnerable (Thymus quinquecostatus, Bupleurum komarovianum,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and three were least concerned (Lithospermum erythrorhizon, Salvia chanryoenica, and Patrinia saniculaefolia) according to the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category. Five species, i.e., M. verna var. coreana, P. choreiana, Sillaphyton podagraria, C. heracleifolia var. bifida, and P. tongkangensis are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The seeds of M. verna var. coreana had fully developed embryos, and 53.7% and 95.6% germination rates were observed at 20/10°C (day/night temperatures) and 25/15°C, respectively. Since 41% of the seeds germinated at 31 days of incubation at 20/10°C, approximately 60% had “conditional dormancy.” In the case of seeds buried in the ground, 90.6% and 38.9% of the seeds germinated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respectively, which suggests the formation of soil seed banks.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삼수개미자리(Minuartia verna var. coreana)의 자생지 보존 및 신관상식물로서 원예적 활용을 목적으로 자생지 식생조사 및 종자의 발아특성을조사하였다. 삼수개미자리는 석회암지대가 오랜 시간에 걸쳐서 풍화된 모래 언덕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지주변에는 총 60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었다. 출현한 60종 중에서 IUCN categoty 기준으로 EN(endangered) 종은 복사앵도(Prunus choreiana), 솔붓꽃(Iris ruthenica),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3종이었고, VU(Vulnerable)은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과 시호(Bupleurum komarovianum),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3종, LC(Least concerned)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참배암차즈기(Salvia chanryoenica), 금마타리(Patrinia saniculaefolia) 3종이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삼수개미자리를 포함하여 복사앵도(P. choreiana)와 덕우기름나물(Sillaphyton podagraria), 세잎승마(C. heracleifolia var. bifida), 동강할미꽃(P. tongkangensis) 5종이었다. 삼수개미자리 종자는 완전히 발달된 배를 가지고있었고, 20/10, 25/15℃에서 각각 53.7, 95.6%의 발아율이 나타났다. 20/10℃에서 31일차에 41%가 발아하였기 때문에 약60% 정도는 ‘conditional dormancy’를 가지고 있었다.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90.6, 38.9%가 발아하였기 때문에 땅속에매몰된 종자의 경우 ‘soil seed bank’를 형성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