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조규 시의 현실과 시적 대응

        김은철 ( Kim Eun-cheol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4

        본고는 광복 이전까지의 김조규의 시를 대상으로 하여 현실인식의 측면에서 그 변모양상을 살핀 것이다. 광복 이전의 그의 문학경력은 『단층』 동인으로 활동하던 시기를 전후로 하여 3기로 나누어지는데 여기에서는 각 시기 작품상의 변화를 현실주의와 관념주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등단기의 작품들에서는 김조규의 시문학을 이해할 몇 가지 근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상실감에서 오는 비극적 세계관을 감상적으로 토로한 것은 1920년대 관념주의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었다. 적극적이고 외향적이며 울분에 찬 경향문학적 성향의 현실주의 작품은 당대 카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되나 현실인식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이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 하나는 그의 내면에 민족의식 내지는 역사의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후 전개되는 그의 작품들은 등단 초기의 이러한 경향들이 자신이 처한 환경에 따라 적극적으로 반응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김조규에게 있어서 고향은 20년대의 시들처럼 막연한 그리움의 대상으로서, 퇴행의 공간으로 자리하고 있었고 당대 농촌현실의 구조적인 모순을 구체적으로 인식하지는 못 하였다. 즉 현실을 피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인식한 결과, 비극적 현실을 슬퍼하며 연민의 정을 토로하는 감상성에서 벗어나지 못 하였던 것이다. 이는 그 자신이 삶의 현장의 일부가 되지 못 하였기 때문이었으며 이것은 간도 시절에 쓴 작품들과 크게 변별되는 것이다. 그러한 세계 인식의 결과, 감정이 선행되고 울분에 찬 큰 목소리가 나온 것이며 논리적 근거가 허약하였기 때문에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 하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필연적으로 좌절이 수반되며 그 좌절과 절망은 자폐적 공간이라는 극심한 퇴행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1934년 말부터 김조규의 시 경향은 사회적인 문제보다는 개인적 세계 또는 자폐적 내면세계로 빠져드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식민지의 나약한 지식인으로서의 한계에서 오는 절망감, 인간에 대한 회의, 연인과의 이별, 고향에서 느끼는 배신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짐작된다. 이 시기에 자주 등장하는 `창`, `벽`, `실내` 등의 이미지는 밀폐된 공간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 결과이다. 식민지 현실에서 느끼는 지식인으로서의 자괴감과 무력감, 좌절에서 오는 정신적 공황은 결국 시인을 철저하게 파괴된 내면의 자폐적 관념세계로 빠져들게 하였던 것이다. 1939년 말 이후 유이민들의 비극적 삶의 현장에서 쓴 간도시절의 작품들은 다시 현실주의의 모습을 보인다. 이 시기 작품들은 초기의 고향시편과 달리 비극적 현실을 슬픔의 대상이 아니라 자기의 것으로 동일시하여 민족적 일체감을 형성하고 있다. 그것은 간도라는 척박한 삶의 현장에서 자신도 추방당한 유이민이라는 동질성을 회복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식민지 현실에 대한 무기력한 자신의 죄의식은 비극적 현실에 마주서서 강인한 극복의지를 내포함으로써 극적으로 극복될 수 있었다. 이 시기의 작품들이 감상주의에 매몰되지 않고 견실한 현실주의의 자세를 잃지 않은 것은 민족의식 내지는 역사 의식이 저변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결국 김조규 시의 전개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관념적 인식에서 출발하여 그것을 구체적으로 인식해 나가는 과정이었던 셈이다. 그는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의 바탕 위에 그 자신이 비극적 현장의 주인공이 되어 현실의 구조적 모순을 이해하면서 저항과 비판, 항일투쟁이라는 현실주의로 나아갔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the writer watched his poetry to three parts ago Kim Jo-Kyu`s glorious restoration. At the beginning works, he expressed several trends such as sentimentalism of the tragic view, tendency of KAPF(카프), historical consciousness etc. This three trends appear various aspects in his whole poetic works. A volume of poetry of his hometown was remained sentimental level by surficial and ideal perception. Because he could not understand the real and structural inconseq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e reason of his frustration, anger, autism, and self-flagellation was caused by the poorness of the logical basis to the reality. He trapped himself in the closure room and the `Wall` and the `Window` were the main symbols at that time. He came out again to the real ground experiencing the drifting and migrating people`s gruesome life and face nation`s life suffering after do Gando(간도) wandering. As he saw the people`s miserable life and recognized structural inconsequence of the colonial policy, he could recover the national homogeneity. After that time, he wrote the poems based on the realism. The poems at that time got out of the sentimentalism, and accomplished the strong realism, because there wa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his mind. Kim Jo-kyu`s poems, although show strong uncommunicated self-confinement one time, have meaning that is fixed in our history of idealism poetry in terms of contain strong social and ethnicardent wish unlike this.

      • KCI등재

        맑스와 칸트 - 마부르크의 관념론적 사회주의자들

        이충진 ( Lee Choong Jin ) 한국칸트학회 2018 칸트연구 Vol.42 No.-

        신칸트학파의 한 부류인 마부르크 학파는 - 학문이론적 연구 외에도 - 칸트철학과 맑스철학을 종합하여 ‘관념론적 사회주의’라는 독특한 이론체계를 구축했다. 마부르크 학파는 사회주의에 내재한 유물주의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관념주의를 놓고자 시도했으며, 그를 위해 특히 칸트의 목적의 왕국 개념을 맑스주의적으로 재해석하고자 노력했다. 이 연구는 마부르크 학파에 속한 철학자들(코헨, 나토르프, 슈타우딩어, 슈탐믈러, 포어랜더)의 연구를 요약 · 소개한다. 150여 년 전 등장했던 칸트 윤리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에 주목함으로써 이 연구는 칸트철학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금 환기시키고자 한다. Die Marburger Schule, ein Zweig der Neu- Kantianer im 19. Jh., bietet ein einzigartiges theoretisches System , das als “der idealistische Sozialism us” bezeichnet wird, indem sie Kants Philosophie und Marxs Philosophie zusammenbringen. Die Marburger Schule versuchte im Sozialism us an Stelle des Materialism us den Idealism us von Kant hinein zu setzen, insbesondere dadurch, indem sie den kantischen Begriff ‘das Reich der Zw ecke’ m arxistisch interpretierte. - D iese Studie stellt die Arbeiten der Marburger Schule (von C ohen, N atorp, Staudinger, S tam m ler, Vorlaender) zusammenfassend vor. Zielsetzung der Studie ist die Bedeutung der Kantforschung nochm al zu betonen.

      • KCI등재

        칸트의 초월철학에서 기호와 규정능력의 문제

        전동열 ( Jeon Dong-youl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獨逸文學 Vol.59 No.3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답하는 글에서 칸트는 “오성을 사용할 용기를 가지라!”고 말한다. 오성의 사용에 용기가 필요한 것은 한편으로 인간들이 쉽게 권력과 권위의 결정을 따르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들이 스스로 오성을 통해 세계를 파악하고 판단할 수 있음을 아직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성의 사용은 어떤 것을 규정하는 기호 사용의 능력만이 아니라, 규정능력을 수행하는 자아의 특별한 정신적 태도를 필요로 한다. 그것은 도덕 법칙에 부합하는 행위의 조건인 순수 오성 개념의 선험적 실재성을 확신하는 “초월적 이상주의” 내지 “경험적 실재주의”의 태도이다. 기호가 규정의 수단에 불과하다 해도, 그것은 초월적 이성과 개념의 실재성을 구체화하며 주체를 자아로 규정해 인간을 존엄한 개인으로 고양시키는 수단이다. 자유의 이념은 자아가 욕망에 종속되지 않고 선험적 도덕 법칙을 따름으로 실현되며, 선험적 개념은 규정능력과 감각적 경험에 의해서만 구체화된다. 이런 맥락에서 자아 규정의 능력으로서의 개인의 경험의 중요성은 그것이 초월적 관념주의의 확인 가능성이라는 데 있다. In der Schrift “Beantwortung der Frage: Was ist Aufklarung?” fordert Kant: “Habe Mut dich deines eigenen Verstandes zu bedienen!.” Dazu ist Mut notig, weil es einerseits fur jeden einzelnen Menschen schwer ist, sich aus der ihm beinahe zur Natur gewordenen Unmundigkeit herauszuarbeiten, und man andererseits seine Urteile aus Begriffe bilden muss, von denen man nicht weiß, ob die Begriffe als apriorische Bedingungen fur die Erkenntnisse moglich sind, oder nicht vielmehr nur Worter sind, die als Zeichen fur etwas stehen. Kant unterscheidet zwischen komparativer und strenger Allgemeinheit. Die strenge Allgemeinheit der apriorischen Grundsatze ist eine Voraussetzung der Moglichkeit der Erfahrung, die in ihren Urteilen nur “angenommene oder komparative Allgemeinheit” kennt. Die praktische Vernunft gibt dem Menschen auf, in eine Gemeinschaft mit den anderen als Vernunftwesen zu treten, und gesellschaftliche relative Allgemeinheit im Zusammenhang mit der absoluten Allgemeinheit, also einerseits passiv diese als Voraussetzung fur jene, anderseits aktiv jene als Moglichkeit zur Verwirklichung dieser absoluten Allgemeinheit anzusehen. Diese Einstellung beruht auf Kants tranzendentalem Idealimus, der zugleich als empirischer Realismus “die Existenz der Materie einraumt, ohne aus dem bloßen Selbstbewusstsein hinauszugehen”. In diesem Zusammenhang gewinnen die Forderung nach dem Mut, sich seines Verstandes zu bedienen, und zugleich die “Idee der Freiheit” ihre praktische Bedeutungen. Indem man sich zum Gegenstand seiner Gedanken machte, reflektierte man schon uber die Vermogen, die in der Seele liegen. So ist Reflexion bei Kant immer Selbst-Reflexion, die in der unbewussten Gegenuberstellung von tranzendentalen und empirischen Begriffen, Allgemeinheiten, Ichs usw. verlauft.

      • KCI등재

        칸딘스키의 ‘회화적 화성학’과 독일 관념주의 미학

        장미영(Chang, Mi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2 외국문학연구 Vol.- No.85

        칸딘스키의 추상회화가 지니는 의미는 비단 새로운 예술의 출현이라는 결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더 본질적인 것은, 칸딘스키가 음악과 문학 등 상이한 예술적 표현방식을 모범으로 하여 미메시스를 극복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사실이다. 이 인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독일 고전주의 및 낭만주의문학과 추상회화의 미학적 유기성을 추적한다. 칸딘스키의 혁신적 해법은 두 차원, 즉 표현의 방법과 대상에서 확인된다. 우선 방법에 있어 추상은 서양회화의 오랜 전통인 미메시스의 포기를 의미한다. 이 관점은 점진적 보편문학 의 개념을 빌어 안티미메시스의 미학을 처음 제시했던 혁명적 낭만주의 문학이론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추상회화는 외부 현식이 아닌 내적 내용, 즉 정신의 표현을 모토로 한다. 현실과 정신의 이분법에서 현실을 배척하고 정신의 중요성을 재발견한다는 점에서 추상은 바이마르 고전주의로의 사상적 회귀를 뜻한다. 정신과 형태, 이성과 자연 등 이원론적 시스템을 공유하는 동시에, 이 대립을 극복하는 변증법적 해결에서도 고전주의와의 유기적 관계를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track the aesthetic parallelism between abstract abandons mimesis, the long tradition of Western painting. According to Kandinsky, the ultimate goal of abstract painting is not the reproduction of external objects, but the expression of spirit through form. This is in relation to the literary theory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that first presented the aesthetics of anti-mimesis by borrowing the concept of ‘progressive Universalpoesie.’ Abstract painting is also connected to the aesthetics of German idealism, especially the ideological return to classicism, because it rediscovers the importance of spirit. Kandinsky’s painting shares dualistic systems (spirit and form; reason and nature) and with its dialectical solutions to overcome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shows similarity with German classicism.

      • 인간 존엄성과 인권을 근거 짓는 작업에서의 문제들

        김용해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3 사회와 철학 Vol.0 No.6

        인간 존엄성과 인권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인정받아가고 있는 가운데 인간 존엄성의 근거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주로 서구 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인간 존엄성의 근거에 대한 현대 서구의 논변들, 즉 실체주의, 스패만의 초월적 인격주의, 싱어의 실용주의, 해프너의 존재론적 관념주의, 루만의 기능주의, 몰트만의 신 모상설 들은 결국 서구 철학사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험론, 실체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신학적 입장에서 더 나아가지 않았다. 세계화의 시대에 다양한 문화가 서로 만나는 상황에서 인간 존엄성의 근거 지음이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그것은 문화 간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인간 존엄성을 근거 짓는다는 것은 합리적이고 따라서 호소력 있는 명제를 만든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종교 문화 간의 개방적 담론을 통해 계속해서 재구성해나가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이 개방적 담론에서는 실체적 개념들을 단순 비교해서는 안 되고 신-인간-자연 이라는 관계의 맥락 안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존엄성을 근거 지어야 한다. 종교는 전체의 의미 체계에서 기초 코드로 이해되며, 따라서 한 사회 안에서 공동체와 문화들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위기가 발생하는 것은 결국 종교의 위기라 할 수 있다. 다원주의 사회의 종교의 위기는, 종교 간의 개방적 담론을 통해 인간의 종교성, 즉 종교적 실존의 현의를 내용적으로 수렴해낸다면. 인간의 존엄성을 보편적으로 근거 짓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하타노 세이이치의 ‘생’의 종교 철학 —‘자멸하는 주체’에서 ‘상징의 비유’로서의 천황까지—

        이경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3 개념과 소통 Vol.- No.31

        Hatano Seiichi (波多野精一, 1877~1950), a member of the Kyoto School, is well known for establishing the study of Christian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modern Japan. This article examines how his scholarship explored the problem of the “self-destructive subject,” thus developing his philosophy of religion into a “philosophy of life.” In this sense, Hatano’s work i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llectual history, but this article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purely academic analysis. Hatano’s philosophy of religion is revealed to be a modern Japanese discussion of religion which was informed by the backdrop of contemporary Western philosophy. In particular,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philosophy of Inoue Tetsujiro, who developed an argument which rejected Christianity as an Other, the value of Hatano’s “personalism” in his philosophy of religion is explained. This laid the foundations for a critique of “positivism, rationalism, and idealism,”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mysticism”. Finally,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way in which, after the defeat of Japan, Hatano’s religious philosophy, which is implicitly a kind of “modern criticism,” led him to interpret the Japanese Emperor as a “symbol” containing “divinity.” 하타노 세이이치(波多野精一, 1877~1950)는 교토 학파의 일인으로 근대 일본에서 기독교를 학문으로서 성립시킨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그의 학문이 ‘자멸하는주체’에대한문제의식을 정교화하면서 ‘생’의 종교철학을구축해 나간과정을살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하타노의 학문을 ‘지식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지만, 그동안순학문적인관점에서만정리되어온한계를극복하기위해,하타노의학문이서양의 철학 논의를 배경으로 전개된 근대 일본의 종교 논의와 어떠한 접점을 지니고 있었는지밝힐것이다.특히기독교를타자로서배척하는논의를전개한이노우에데쓰지로(井上哲次郞)와의비교를통해, ‘실증주의-합리주의-관념주의’비판으로발전하면서도 ‘신비주의’와도 거리를 유지한 하타노의 ‘인격주의’가 갖는 의의를 밝힐 것이다. 마지막결론에서는일종의 ‘근대 비판’을 함축했던하타노의종교 철학이패전후천황의존재를 ‘신격성’이담긴 ‘상징의비유’로서해석하게된 사실을비판적인시각에서 밝힐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D. H. 로렌스 교육론의 의의와 현재성

        윤영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 H. Lawrence’s thinking on modern education, focusing on his long essay, “Education of the People.” As a representative 20th century English novelist, he probes into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modern education as well as the role of educators in his own peculiar way. Criticizing the dilemmas of modern education and prevalent idealism, he argues that the first requisite for true education is the freedom from the fear of existence. Also he emphasizes that the ultimate aim of education is to help each student fully realize his own “wholeness” or “singleness” of being, which is by its very nature incomparable and incommutable, precluding any idea of ‘equality’. Exploring the crucial problems of education in the context of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his thinking on education still maintains its validity and appealing power in our age.

      • KCI등재

        헤겔 미학을 통해본 음악교육의 방향 설정

        주대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6

        본 연구는 헤겔의 미학 강의에 나타난 음악 이해의 구조를 그의 철학 체계에 대입하여 음악교육의 철학적 조망에 기여하고자 한다. 헤겔은 관념론의 입장에서 음악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집중적으로 시도한 최초의 사람이다. 그에 따르면 예술은 관념을 감각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예술로서의 음악은 관념을 구현하는 아름다움을 추구하여야 하며 나아가 정신적인 것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그 정신적인 것은 참됨과 아름다움의 합일이다. 이 합일의 지향성은 절대정신을 향한 인간 사고의 성향을 나타낸다. 하지만 음악적 활동은 종교와 철학에 이르는 하위 단계의 정신 활동에 해당한다. 따라서 음악교육에서 음악만으로 교육의 가치를 구축하기는 어렵다. 음악 미의 자율성을 체험시키거나 사회 속의 음악 활동을 지원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음악 매개의 활동이 인간의 보편적 가치와 연결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즉, 음악은 인간 정신의 고상함을 지향하는 예술로, 음악교육은 인간이 지향하는 이상적 삶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educational value of music education in terms of philosophical thinking. This paper is limited to consideration of the idealism, especially Hegel’s aesthetics which has led aesthetic approach to musical reception until today. Drawing on the viewpoints of his aesthetic system in his philosophy, this paper proposes an aesthetic structure that enables music education to play a significant role for human beings. The author then considers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philosophical direction following Hegel’s dialectic. This discussion consequently provides points of observation showing that critical assumptions about the aesthetic concept of music in relation to education sprang from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aesthetic approach in the philosophical idealism insofar as music as a social praxis should be an essential factor in the orientation to the absolute idea proceeding to human well-be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