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사회 :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 Jung Sub Yu ),( Jae Dal Lee )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오늘날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국내여행 관광객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은 관광활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처럼 관광활동에 있어서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평가수단과 방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새로 정의한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는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도로망 접근성을 평가하는  지수에 관광목적지의 매력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이렇게 정의한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를 적용하여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 11곳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두 곳은 비교적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고, 나머지는 평균미만으로 평가되었다. 평균미만의 관광목적지는 도로망 개선보다는 오히려 관광 매력성 제고에 더욱 집중해야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을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관광목적지의 발전과 경쟁력 제고 및 관광개발계획의 수립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광목적지로 관광객을 유인하게 하는 매력성 향상 및 물리적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담당자나 의사 결정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oday, domestic tourists visiting major tourist destinations nationwide are rapidly growing, and these phenomena continue to show travel trends all around the country. The accessibility of tourist destinations is the key role of tourism activities. Despite of its importance, there are but few researches on assessment metho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cording to these tourism trends, therefore, the researchers newly defined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TDAI) to present the assessment model for objectively measuring the accessibility of major tourist destinations. Accessibility index, the newly defined tourism destination, was applied by introducing the weighting valu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tourists` destination attractions to  (Gamma) index having been assessed the existing road network accessibil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By applying newly developed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 11 domestic major tourist destinations in nationwide were taken assessment in respective. The results showed that 2 destinations were competitive and had a relatively high competitiveness, and the rest were assessed to less than the average.

      • KCI등재후보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이 방문객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임명재(Lim, Myoung-Jae),정강환(Jeong, Gang-Ho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오늘날 관광축제는 중요한 문화관광자원의 한축으로 이해되고 있다. 관광축제는 특정한 장소에서 특정한 주제를 갖고 진행되며, 장소가 갖고 있는 의미를 특별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축제가 갖고 있는 주요특성인 장소성 및 주제성과 연계한 활성화전략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다. 특히, 기존의 재화 및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온 모브랜드와 확장제품 간의 일치성과 관련된 모델을 축제가 진행되는 관광목적지에 적용하여,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에 따른 효과를 방문객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서는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백제문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세계대백제전과 보령시의 대천해수욕장에서 진행된 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방문객이 느끼는 일치성 수준에 따른 태도 및 충성도에 대한 차이검증과 더불어 일치성이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태도와 충성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은 방문객의 태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치성은 태도를 매개로 충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광목적지가 갖고 있는 실제이미지, 이상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이상적-사회적 이미지를 축제에 효과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향후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확장된 브랜드의 개념을 축제에 적용한 사례로 향후 관련연구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실무차원에서도 축제와 관광목적지의 연계에서 목적지가 갖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the Tourism Festival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because festival can help to develop the tourism resources and local development based on the area that have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study as for the main purpose that a tourist destination and as festival review the connectivity. In this studies have examined on the Effects of the Congruence between tourism destination and festival on Attitude and Loyalty focused on the Boryeong Mud Festival which goes on in Boryeong city, and The Great Baekja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which goes on in Gong-Ju C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at the visitor"s attitude and loyalty increased by the tourist destination and festival congruence based on those two case stud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flect strategically for planning and operations of the future festival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in this study has laid the research continues opportunity for the existing common services or goods which applied the tourism industry correspondence model. 오늘날 관광축제는 중요한 문화관광자원의 한축으로 이해되고 있다. 관광축제는 특정한 장소에서 특정한 주제를 갖고 진행되며, 장소가 갖고 있는 의미를 특별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축제가 갖고 있는 주요특성인 장소성 및 주제성과 연계한 활성화전략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다. 특히, 기존의 재화 및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온 모브랜드와 확장제품 간의 일치성과 관련된 모델을 축제가 진행되는 관광목적지에 적용하여,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에 따른 효과를 방문객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서는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백제문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세계대백제전과 보령시의 대천해수욕장에서 진행된 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방문객이 느끼는 일치성 수준에 따른 태도 및 충성도에 대한 차이검증과 더불어 일치성이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태도와 충성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목적지와 축제의 일치성은 방문객의 태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치성은 태도를 매개로 충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광목적지가 갖고 있는 실제이미지, 이상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이상적-사회적 이미지를 축제에 효과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향후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확장된 브랜드의 개념을 축제에 적용한 사례로 향후 관련연구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실무차원에서도 축제와 관광목적지의 연계에서 목적지가 갖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the Tourism Festival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because festival can help to develop the tourism resources and local development based on the area that have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study as for the main purpose that a tourist destination and as festival review the connectivity. In this studies have examined on the Effects of the Congruence between tourism destination and festival on Attitude and Loyalty focused on the Boryeong Mud Festival which goes on in Boryeong city, and The Great Baekja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which goes on in Gong-Ju C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at the visitor"s attitude and loyalty increased by the tourist destination and festival congruence based on those two case stud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flect strategically for planning and operations of the future festival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in this study has laid the research continues opportunity for the existing common services or goods which applied the tourism industry correspondence model.

      • KCI등재

        관광목적지 브랜드개성이 관광목적지 애착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경환 ( Kyeong Hwan J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관광목적지로서 경주를 방문했던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첫째, 관광목적지 브랜드개성의 구성요인인 성실함, 생기발랄, 유능함, 세련됨, 강인함이 관광목적지 애착에, 둘째, 관광목적지 애착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 방문 외국인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관광목적지 경주의 브랜드개성 구성요인 중 세련됨, 성실함, 강인함이 관광목적지 애착에 정(+)의 영향을, 둘째, 관광목적지 애착은 관광목적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관광목적지로서의 경주는 외국인 관광객 입장에서 도시 외관미가 매혹적이고, 서비스 종사원의 태도가 성실하며, 지역주민들은 순수하고, 지역의 스토리텔링이 강한 인상을 남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시는 외국인 유치 관광정책에 있어, 도시 외관미를 현재와 같이 고도보존 방식을 유지하고, 외국인 관광객 접촉 종사원의 서비스품질을 제고하며, 지역주민으로부터 많은 협조를 이끌어 내고, 스토리텔링을 강화하여 외국인 관광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필요가 있다. 동시에 외국인 관광객의 애착을 이끌어낼 수있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외국인 관광객에게 경주가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how foreign tourist`s perceived Gyeongju personality affected their perceived attachment of Gyeongju as tourist destination and how their perceived attachment of Gyeongju affected their perceived loyalty of Gyeongju.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sophistication, sincerity and ruggedness of Gyeongju personality affected their perceived attachment of Gyeongju. This research findings implies that exterior of Gyeongju, polite services of employees and real hospitality of residents are important factors of attracting foreign tourists. Secondly, their perceived attachment of Gyeongju affected their perceived loyalty of Gyeongju. Based on these findings, tourism marketer of Gyeongju should keep or strengthen sophistication, sincerity and ruggedness of destination personality. Also tourism marketer of Gyeongju-si should introduce or strengthen factors that increase foreign tourist`s attachment, in addition to destination personality. These factors can be experiences. Although excitement and competence of Gyeongjui personality did not influence foreign tourist`s perceived attachment, this ci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se dimensions of destination personality.

      • 학술세션Ⅳ : 지식경영과 서비스산업 ; 단체 관광객과 개별 관광객 간 관광목적지 선택 차이 비교 연구: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박득희,김혜선,이계희 한국지식경영학회 2014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Vol.2014 No.-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여행행태에 따른 단체 관광객(Group tourist)과 개별 관광객 (Free Independent Tourist)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의 패턴과 특징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 외래관광객 실태 조사를 위해 사용된 2차 데이터(Secondary Data)를 활용하여, Pajek, UCINET을 활용하여 밀도, 집중도, 중심성, 키플레이어 등의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체 관광객 및 개별 관광객 네트워크 내의 관광목적지는 연결이 유기적으로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단체 관광객 및 개별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중심성이 높은 관광목적지들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키플레이어 분석결과, 단체 관광객 및 개별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관광목적지는 관광행태에 영향을 받는 관광목적지로 나타났다. 위의 다양한 분석결과는, 정부의 관광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및 기관·관광 기업, 관광목적지 마케터들에게 관광 행태에 따른 관광목적지들 간의 관계 및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관광 행태에 의한 관광목적지의 운영 및 관리, 홍보 등을 통해 경쟁력을 지닌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관광목적지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체류기간에 따른 중국유학생들의 한국 관광목적지 이미지 차이

        진평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3

        한국정부는 2001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 종합방안(안)’을 발표했고 2003년부터 2010년까지 50,000명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1999년에 604명에 불구하였던 재한 중국유학생은 2010년 기준으로 6.3만명으로 집계되었고 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 유학 오는 중국유학생들은 양적·질적인 면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으로 유학을 결정한 중국유학생들은 한국문화와 한국관광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직접 한국 관광목적지를 체험해 보고 한국 관광목적지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된다면 경제적인 면과 해외에 한국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홍보하는 중요한 사업이 될 것이다. 하지만 중국유학생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에 따라 관광목적지에 대한 관심을 끈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유학생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체류기간과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아직 그 깊이나 너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에 체류기간과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주한 중국유학생들이 한국 관광목적지 이미지에 대하여 어떤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주한 중국유학생들은 한국 관광목적지의 인지적 이미지를 오해와 편견 없이 효과적으로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공중으로서 실제적으로 이들은 자국으로 돌아가서 한국과 관련된 중요 여러 가지 방면의 정책 사안을 기획·결정하는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고 타인에게 한국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긍정적이나 부정적으로 얘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기존 또는 앞으로 행해지게 될 중국유학생을 유치하는 관광정책의 수립 및 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관광목적지 수명주기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최정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역동적인 관광목적지의 진화·발달과정을 일반화하는 여러 이론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이론으로 관광목적지 수명주기를 들 수 있으며, 관광목적지 수명주기는 관광목적지에 대한 마케팅과 전략수립을 위한 지침 및 예측도구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관광목적지 수명주기를 적용한 연구들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연구대상지역이 주로 해변리조트나 섬에 한정되어 관광목적지 수명주기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관광목적이 수명주기는 관광객수에 대한 장기간 역사적 자료의 회귀성, 관광객수 증감이라는 하나의 변수로 설명을 하고 있는 점, 관광자원이나 관광상품, 숙박, 지역에 따라 수명주기는 상이하게 나타나는 점, 단계별 특성 규명에만 치중하여 결과론적이고 정태적이라는 점, 관광목적지의 성격 변화를 간과한 점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광목적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축적, 관광목적지 수명주기 단계를 구분하는 측정지표의 보완, 연대기적 자료 분석 및 각 단계의 공급 및 수요 측면의 요인에 대한 질적 접근,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었던 원동력 규명, 관광목적지의 공간성 변화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다양한 관광자원과 성격을 지닌 기타 관광목적지에 대한 연구의 축적이 전제된다. The tourism destination life cycle is the most widely accepted theory of various ones which try to general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ourism destinations. In addition, it can be a guide and a tool for marketing and other strategies to develop the tourism destinations. Many studies have been done using the tourism destination life cycle but most of the subjects of studies are limited to seaside resorts or islands, which means they have some limits to generalize the tourism destination life cycle. The tourism destination life cycle may have some problems: the lack of the data in the number of tourists over the long years; defining the development stages only by the number of tourists; different levels of the cycle in tourism resources, commodities, accomodations, and location; focusing on just result with examining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stage; ignoring the transi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tourism destin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it is prerequisite that there be the accumulation of studies on tourism destination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check out the stage of the cycle, the analysis of the data gathered over the long period, qualitative approach to supply and demand side in each stage, and discovering the driving force moving a stage to another phase and the change of the space in the tourism destination. But above all, the accumulation of the wide range of studies on various resources and traits of the tourism destination is needed.

      • KCI등재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유정섭,이재달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Today, domestic tourists visiting major tourist destinations nationwide are rapidly growing, and these phenomena continue to show travel trends all around the country. The accessibility of tourist destinations is the key role of tourism activities. Despite of its importance, there are but few researches on assessment metho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cording to these tourism trends, therefore, the researchers newly defined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TDAI) to present the assessment model for objectively measuring the accessibility of major tourist destinations. Accessibility index, the newly defined tourism destination, was applied by introducing the weighting valu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tourists’ destination attractions to (Gamma) index having been assessed the existing road network accessibil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By applying newly developed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 11 domestic major tourist destinations in nationwide were taken assessment in respective. The results showed that 2 destinations were competitive and had a relatively high competitiveness, and the rest were assessed to less than the average. 오늘날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국내여행 관광객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은 관광활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처럼 관광활동에 있어서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수단과 방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새로 정의한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는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도로망 접근성을 평가하는 지수에 관광목적지의 매력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이렇게 정의한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를 적용하여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 11곳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두 곳은 비교적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고, 나머지는 평균미만으로 평가되었다. 평균미만의 관광목적지는 도로망 개선보다는 오히려 관광 매력성 제고에 더욱 집중해야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을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관광목적지의 발전과 경쟁력 제고 및 관광개발계획의 수립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광목적지로 관광객을 유인하게 하는 매력성 향상 및 물리적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담당자나 의사 결정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전남관광목적지 이미지가 지각된 가치, 태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민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변화하는 국내관광 활성화의 흐름에 따라 전남관광목적지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 전남관광목적지로서의 이미지가 지각된 가치, 태도와 행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정지역 전남의 관광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전남관광 마케팅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남관광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50부의 응답을 수집하여 실증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목적지로서의 전남의 환경적, 정서적 이미지는 지각된가치, 태도,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인지적 이미지는 지각된 가치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관광태도와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남관광목적지의 환경적, 정서적 이미지와 여행태도 및 행동 의도와의 사이에서 지각된 가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 이미지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전남이 보유한 관광목적지로서의 이미지를 알아보고, 방문 후 목적지로서 지각되는 가치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전남관광목적지 이미지와 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전남관광의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남관광목적지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고 전남관광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소셜 네크워크 분석을 적용한 내국인 관광객들의교통수단에 따른 네트워크 비교 연구: 부산 지역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박득희,전재균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3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위치한 관광목적지를 방문한 내국인 개별관광객들의 다목적지 여행 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는 2곳 또는 그 이상의 관광목적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관광 시 이용한 교통 별로(자가용, 대중교통) 다목적지 여행 행동의 매트릭스를 구성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 6.0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 중 네트워크의 밀도, 정규화된 중심성(내향⋅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내향⋅외향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키플레이어 분석 등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밀도 지수는 유사 하였다. 둘째, 표준화된 중심성 분석 결과,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중심성 지수가 높은 관광목적지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키플레이어 분석결과, 자가용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핵심 관광목적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방문한 관광목적지들의 연결관계는 관광객들이 관광 시 이용한 교통편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에 관련한 실무자들에게 부산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목적지 개발 및 관리, 홍보 및 마케팅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다목적지 여행 행동에 대한 후속연구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생태관광의 브랜드 가치가 관광목적지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승필 ( Yang Seung-pil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8

        본 연구는 제주지역을 방문하여 생태관광지를 체험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이 갖고 있는 브랜드 가치가 목적지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이러한 생태관광의 브랜드 가치와 관광목적지 이미지가 관광객의 행동의도에도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증적 분석 결과는 첫째, 생태 관광객이 인식하는 브랜드 가치에서 독특성, 내용성, 선호도의 요인이 목적지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생태관광의 독특한 속성, 내용적 충실성, 선호도의 관리가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생태관광의 브랜드 가치와 행동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생태관광의 브랜드 가치가 갖고 있는 편의성과 선호도가 생태관광객의 긍정적인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태 관광객이 평가하는 생태 관광지나 생태프로그램의 이용 편의성과 선호도가 높으면 향후 미래의 긍정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생태 관광객이 인지하는 목적지 이미지는 생태 관광객의 향후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긍정적으로 형성되는 목적지 이미지가 생태관광에 참여하는 관광객의 우호적이고 적극적인 미래 행동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생태 관광객이 인식하는 브랜드 가치는 수요자 중심으로 관리되고 제공되어야 하며, 이러한 브랜드 가치가 관광목적지의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 생태관광객의 미래 긍정적인 행동의도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brand equity in eco-tourism to destination image and intention of tourist behavior. The main hypotheses were as follows: 1)Brand equity in eco-tourism will influence destination image positively; 2)Brand equity in eco-tourism will influence intention of tourist behavior positively; and 3)Destination image will influence intention of tourist behavior positivel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31th and April 4th, 2016 for tourists visiting eco-tourist sites and participating in eco-tourism programs in eco-tourism related area including Olle 10th course, Sareani forest trail, Mulyoungari Orem, Geomun Oreum World Natural Heritage Center, and Suweolbong geo-park. The total of 251 valid samples were finally analyzed by SPSS 17.0 for Window. The followings were main results. First, the factors of brand equity, including uniqueness, contents, and preference, perceived by eco-tourists positively influenced destination image, which implied that managerial activities on the factors of brand equity improve destination image.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ies of eco-tourism and intentions of visitors, convenience and preference on brand equity of eco-tourism significantly influenced positive intentions of travelers. This implied that higher convenience and preference on eco-programs or eco-tourist sites directly connect to more positive intentions such as recommendation and re-visit. Finally, destination image perceived by eco-tourists positively influenced future behavioral intentions of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