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로컬 크리에이터 관광 상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관광지 이미지, 태도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수연,이승곤,오민재 한국관광연구학회 2024 관광연구저널 Vol.38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관광 시장의 소비 가치가 변화됨에 따라 ‘로컬리티’와 ‘탈물질적 가치 추구’라는 소비 특성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수요에 대응할 로컬 크리에이터 상품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로컬 크리에이터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로컬 크리에이터의 관광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지 이미지, 태도 및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로컬 크리에이터의 관광 상품을 소비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8일부터 11월 14일까지 약 4주간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표본 286부로 최종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품질적 가치, 경제적 가치, 정서적 가치, 사회적 가치)와 관광지 이미지 및 태도와의 모든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관광지 이미지와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경제적 가치가 관광지 이미지에 그리고 품질적 가치가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지 이미지는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관광지 이미지와 태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로컬 크리에이터의 개념에 대한 학술적 이해와 관광 분야에서의 로컬 크리에이터 활용 방안에 대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관광지 선택속성이 경제적 가치, 감정적 가치, 그리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저우산시를 방문한 자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리모위,한승훈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11
저우산시는 중국의 유명 관광도시로 관광산업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저우산시는 선택속성에 대한 노력에 비해 관광객이 지각할 수 있는 가치와 만족도 제고에 대한 고민이 상당히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저우산시가 극심한 관광객 유치 경쟁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혁신 및 강화할 부분에 대한 근거와 이 지역 관광산업의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우산시를 방문한 317명의 자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지 선택속성, 경제적 가치, 감정적 가치 그리고 만족도에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관광지 선택속성은 경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지 선택속성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 간에 있어서 경제적 가치의 매개효과 검정결과를 보면, 주민의 친절함 요인에서는 완전매개 효과, 환경의 편의성, 문화이미지, 음식 품질 요인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 간에 있어서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 검정 결과를 보면, 문화이미지, 주민의 친절함, 음식 품질 요인에서는 완전매개 효과, 환경의 편의성 요인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온천의 서비스품질이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매개로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숙진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 온천의 서비스 품질과 보양온천관광과의 영향관계를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매개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온천의 서비스품질은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온천의 서비스 품질에 포커스를 맞추어 온천관광지가 경유지가 아닌, 체류관광지로서 보건관광구매를 자극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온천의 서비스품질은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온천관광지에서 숙식이 해결되고 휴양과 휴식, 레저 활동이 가능한 복합형 온천지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매개효과로서의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는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유쾌함, 행복감, 즐거움 등 감성에 호소하는 온천관광의 쾌락적 가치를 증가시킬 전략적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용적 가치와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서는 피부병,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위장병 등 치료효과를 중심으로 보양온천관광 구매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천의 실용적 가치를 지식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치료효과의 소통메커니즘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실용적 가치에 쾌락적 가치를 동시적으로 추구하는 최근 소비자의 행동패턴에 부응하여 온천시설의 변화와 온천관광 컨셉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류의료관광’ 및 ‘지역경제활성화’에 대한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일과 생활의 조화, 관광가치지각 및 관광참여의도 간의 영향관계
장태선,윤정헌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tourism value perception(Hypothesis 1), tourism value perception and tourism intention(Hypothesis 2).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and tourism value perception influenced tourism participation(Hypothesi 2). These results ma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need to pursue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through active policy introduction that can realize the harmony between work and life. Second, economic harmony, relationship coordination, psychological harmony and work harmony affect maturity value, therefore, governments and businesses will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radual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home work. Third, living values will need to continue to strengthen the minimum wage system, welfare system, etc,. Fourth, it is understood that when there is an overall harmony between work-related and income and expenditure, the economic value of tourism is fully perceived. Fifth, all components of the tourism value will have an impact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tourism, so the operator of the tourist destination, tourism business such as hotels, and the tour product vendor such as the travel business will need to actively develop tourism products orienting value and marketing strategies emphasizing intangible tourism value. 본 연구는 일과 생활의 조화, 관광가치지각, 관광참여의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개념과 측정도구 및 가설근거 등을 도출하였고, 일과 생활의 조화와 관광가치지각의 영향관계(가설 1), 관광가치지각과 관광참여의도의 영향관계(가설 2)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일과 생활의 조화의 구성요소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관광가치지각에영향을 미쳤고(가설 1), 관광가치지각은 관광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쳤다(가설 2).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정부 및 기업들은 일과 생활의 조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도입을통해 관광산업발전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제적 조화, 관계조화, 심리적 조화, 일의 조화는 성숙가치에 영향을 미침으로 정부 및 기업들은 근무시간의 점진적 축소와 가정 일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빈부격차 해소 및 복지제도의 강화, 심리내지 마음관리법 교육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생활가치는 경제적 조화가 강화될수록 더욱 강하게 지각함으로 지속적으로 최저임금제도, 복지제도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경제적 조화와 일의 조화가 경제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전반적인 일 관련의 조화와 소득 및 지출의 조화가 이루어질 때, 관광의 경제적 가치를 충분히 지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섯째, 관광가치지각의 모든구성요소는 관광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사업자들은 가치지향적 관광자원 및상품개발, 무형의 관광가치를 부각시키고 강조하는 마케팅전략을 적극 전개할 필요가있을 것이다.
서울한양도성의 경관조명이 체험관광가치와 야간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김태헌,박숙진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일부구간에서 시행되고 있는 서울한양도성의 야간경관조명이 야간체험관광가치를 매개로 야간관광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모집단은 서울한양도성을 방문한 관광객들로 제한하였으며, 설문은 2016년 5월부터9월말까지 5개월간 주말 야간에 조사하였다. 유효표본 287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야간경관조명은 야간체험관광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채택된 반면, 야간체험관광의 정체성가치와 활동성가치가 야간관광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또한 야간경관조명이 야간관광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는 야간체험관광의 정체성가치와 활동성가치 그리고 복합성가치를 매개로 한간접효과보다 직접효과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한양도성의 상징성, 역사성, 문화성을 바탕으로 탐방구간 적소에 야간 체험요소 및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야간도심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으며, 관광활동의 시간적-공간적 범위확장과주·야간의 다채로운 분위기 연출 등 복합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차별화된 문화유산프로그램으로 야간관광 가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한양도성의선형과 공간구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야간조명 색상과 조도를 선택하고 계절감각과시간대별 심미성을 고려하여 관광객의 감성에 어필하는 한편, 야간경관조명을 통해 한양도성의 건축학적, 역사학적 중요성을 현시하는 전략적 접근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ssesses the landscape lighting of Seoul City Wall in relation to the value of night tourism. The analysis is based on tourists at Seoul City Wall carried out for five months between May 2016 and September 2016 during weekend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paper questionnaires with a total of 287 respondents and was processed by SPSS/PC 22.0 and AMOS 7.0. The result of the survey has reported that the most memorable aspect of Seoul’s night tourism experience is its appearance, followed by the appreciation of its significance. It interprets that direct experiences play important roles in attracting tourists, which was the most marked finding in this survey. Therefore, this study encouraged us to take experimental activities, historical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aesthetics into consideration. Sustainability, season, and trend, also rank as considerations as we progress into further development in the future.
관광자의 지각된 가치가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 관광객을 대상으로-
최병길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관광자의 지각된 가치 구성이 화폐 및 품질로서 측정되는 인지적 차원의 가치와 소비자로서 관광자가 소비시점에서 갖게 되는 감정적 차원의 가치로 구성되었다는 가정에서 이들 가치가 관광자의 관광만족과 이후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인지적 가치는 금전적 가치와 관광상품의 질로서 설명되어지는 기능적 가치 그리고 시간 및 노력가치로 구분하였고, 감정적 가치는 사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신기성 가치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제주를 방문한 순수여행객을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사회적 가치를 제외한 5개의 가치가 관광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광자의 행동의도에는 사회적 가치를 포함한 모든 지각된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자의 만족 역시 행동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6개의 지각된 가치가 관광자의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즉, 관광만족에는 시간 및 노력가치, 금전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행동의도에는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가 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목적지의 장기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관광자의 만족과 재방문객의 증대를 위한 행동의도 가운데 무엇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하는가에 대한 관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a number of the suggested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a tourism context. It used a multidimensional dimension of perceived value including not only cognitive values known as functional, monetary and time and effort value but also affective values such as social, emotional and novelty value. Data were collected from pleasure travellers in Jeju. The derived implication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values except social value are all affective factors to the tourist satisfaction, Second, behavioral intentions are decided by all the perceived values as well as tourist satisfaction. Finally, the major values affecting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re different. Time and effort value, and monetary value are major factors influencing tourist satisfa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y,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represen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owards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의 고객가치, 기능적 가치, 태도 및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이정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의 고객가치, 기능적 가치, 태도 및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각각의 연구개념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설정은 선행연구로 가설을 설정 뒤 이를 검증하였다.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의 고객가치, 기능적 가치, 태도 및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모형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여 결과를 하였다. 고객가치 기능적 가치간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고객가치와 태도간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기능적 가치과 행동의도간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각각의 연구가설에서 참고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결과로 볼 때 관광객의 소비적 가치, 기능적 가치는 개개인의 목적성, 판단, 기능은 관광객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관광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개별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가 선행적 역활로 각각의 연구개념에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형성되었다. 그러나 태도와 행동의도간의 관계는 유의한 인과관계를 형성하지 않았다. 이같은 결과는 관광객들의 지속성, 안정성 등 소비행동의 예측과 고객들의 인과관계 형성을 하며 있어 시간, 시기, 환경 등 여러 요인이 관광객 행동을 제어하는 불가변적인 변수로 역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 나타난 결과로 볼 때 관광목적지를 선택할 때 관광객은 여러 정보 등을 여러 수단을 통해 선택하며 관광은 많은 지역에서 생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에서는 지역의 특수성, 볼거리, 살거리, 즐길거리 등 지역의 매력을 발산시킬수 있는 자원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ach research concept throug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customer value, functional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 tourist destination.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n verified.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a structural model between tourists' customer value, functional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 tourist dest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and functional value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and attitude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form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pport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ferenced in each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the consumption value and functional value of each tourist's purpose, judgment, and function form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tourist'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t is the value held by each individual that determines tourism behavior. As a result,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as formed for each research concep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did not form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These results predict consumption behavior, such as the sustainability and stability of tourists, and form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A relationship is formed because factors such as time, period, and environment can act as immutable variables controlling tourist behavior. From the results shown, tourists use various information and other means to choose a tourist destination, and tourism is used as a means of survival in many regions. Therefore, each region must develop resources that can reveal the charm of the region, including regional specialties, things to see, things to buy, and things to enjoy.
관광객의 구매행동에 있어서의 지각가치 척도에 관한 연구: 미용관광에서의 안전가치 척도에 대한 검증
배종민 ( Jong-min Ba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4
구매 활동에 있어서 나타나는 고객의 지각 가치는, 구매 과정에서의 만족을 창출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며, 소비자의 구매행태를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다. 따라서 관광 상품을 구매한 관광객의 지각 가치는, 관광 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이자 관광객의 구매행동을 지속시키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관광객의 구매활동은 패키지여행과 같은 관광 상품의 구매를 의미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며, 관광객에 의한 관광지에서의 소비활동도 관광구매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관광의 비율보다 개인관광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관광지에서 이루어지는 소비활동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서비스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분명한 목적과 의지가 있는 미용 관광 관광객에게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소비자의 지각가치는 인간의 보편적인 지각 가치에서 도출되었으나, 두 지각 가치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환경적 요인의 변화는 관광객이 구매 활동에서 느끼는 지각 가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미시적으로는 관광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거시적으로는 국제관계나 사회적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은 후자의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관광객의 지각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광객의 지각 가치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미용관광을 선택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지각 가치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척도 개발의 관점에서, 환경적 변화에 따라 지각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척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객의 지각 가치 척도에는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적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관광객에 대한 지각 가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customer’s perceived value in a purchasing activity is a factor that creates satisfaction in the purchasing process. It is an important criterion in analyzing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u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perceived value by tourists who purchase a tourism product is a determining factor in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tourism product and a factor that sustains the purchasing behavior of tourists. Traditionally, tourist purchases meant purchasing tourism products, such as package tours. However, in recent studies, consumption activities by tourists at tourist destinations are also considered tourist purchas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tourism versus package tourism, the importance of consumption activities in tourist destinations is also increasing. These trends are stronger for tourists in beauty tourism who have a clear purpose regarding purchasing service product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ceived values, despite the customer’s perceived value drawn from the perceived value of human beings. Environmental factors can change the perceived value that tourists feel in purchasing activities. At the micro level of analysis, such changes may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tourist destination. At the macro-level of analysis, these changes can also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hanges arising from international relations or society. The latter context may be considered given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continued from 2020 to the present. Thus, there is necessary to 1) check whether the safety-related perceived value of beauty tourists affects their purchasing behavior, and 2) check whether the perceived value system of beauty tourists has changed, concretely. This study researched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who travel for beauty treatments. Specifically, it was studied whether additional scales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scale development. The study’s results confirmed no change in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In addition,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on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was raised.
문화관광자의 가치체계 -예술관광자의 문화관여도를 중심으로-
장혜원,오상훈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5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Arts tourist's value systems according the level of cultural involvement between low and high cultural tourists group using means-ends chain theory.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is from July to October, 2012 in Jeju island. The procedure, Soft Laddering involves a series of one-on-one deep interviews and APT(Association Pattern Technique) Laddering was employed also by constructed questionnaire. To carry out this study, first of all, contents analysis was employed to interview results. Second, Implication Matrix was made by contents analysis which showed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 Finally, HVM was mapped for value systems according level of cultural involvement whose participate in Arts touris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value systems between level of cultural involvement in their value systems. Especially in arts tourism, high cultural involvement group is more concerned with aesthetic value than low cultural involvement group. While low involvement group is more concerned with recreational value than high cultural involvement group. 본 연구는 예술관광자의 가치체계를 파악하여, 향후 관광목적지의 매력성의 다각화 또는 관광상품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예술관광이 문화예술상품을 대상으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위이기 때문에, 문화예술상품의 소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화관여도에 따라 예술관광자의 가치체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론은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적용하여, 예술관광자가 선택하는 속성, 이의 결과로서 추구하는 혜택, 그리고 최종적인 가치와의 연계성을 통하여 예술관광자의 목표로서 가치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예술관광자의 가치는 문화관여도에 따라 지배적 가치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고 문화관여 집단에서는 미적가치, 저 문화관여 집단에서는 재충전으로 나타나 예술관광자의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로서의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두 집단 간에 공통적으로 도출된 미적가치는 예술관광자들이 관광활동에서 관념적ㆍ미학적 경험을 통하여 정신적ㆍ사회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문화예술상품의 소비가치가 예술관광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예술관광이 하나의 독립된 시장으로 형성되어 보여 주었다. 또한 내적조화의 가치는 최근에 자주 회자되고 있는 힐링과 연관지을 수 있는 것으로, 예술관광자의 가치가 그 시대의 문화적 키워드를 반영하고 있으며, 수단-목적 사슬이론이 그 시대의 관광자의 내적기준을 내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관광지의 선택요인이 관광지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 유동성 관점
전기흥 한국유통경영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4
With the spread of the five-day workweek and the flexible work system, interest in tourism is growing significantly. Tourists are flocking from all parts of the country. There are tourist attractions that have been frequented by tourists since before. It used to be frequented before, but recently there are quiet tourist attractions. It used to be an unknown tourist destination, but recently there is a crowded tourist destination. The attractiveness of tourist attractions changes constantly. Tourists no longer visit tourist attractions that have become less attractive. In order to increase the liquidity of tourists, tourist attractions must constantly increase their attractiveness. In order to enhance tourist attraction,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cognitive and affective value of tourists. In this study, the choice factors of tourist attractions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It is historical value, cultural value, convenience value and leisure value. As a result of the study, historical, cultural and convenience values had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and affective values. Leisure values were not significant to cognitive values. However, it was noted for its affective value. Cognitive and affective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ourist attraction. 주5일 근무, 유연근무제의 확산으로 관광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국 각지에 관광객이 몰리고 있다. 이전부터 관광객이 자주 찾는 관광지가 있다. 이전에는 자주 찾았으나 최근에는 한산한 관광지가 있다.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관광지였으나 최근에 붐비는 관광지가 있다. 관광지의 매력도는 끊임없이 변한다. 매력도가 낮아진 관광지에는 관광객이 더 이상 찾지 않는다. 관광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광지는 끊임없이 매력도를 높여야 한다. 관광지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인지적 가치, 정서적 가치를 높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 선택요인을 4개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역사적 가치, 문화적 가치, 편의적 가치, 여가적 가치이다. 연구결과, 역사적 가치, 문화적 가치, 편의적 가치는 인지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가적 가치는 인지적 가치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서적 가치에는 유의하였다. 인지적 가치, 정서적 가치는 관광지 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