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교육분권화의 쟁점과 발전과제: 관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성회(Sunghoe Lee)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사회학의 ‘관계적 관점’을 개념틀로 삼는다. 이 글은 관계적 관점의 주요 이론적 내용과 관계적 관점에서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교육분권화의 쟁점 및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관계적 관점의 주요 이론적 내용으로 1) 체제와 사회의 단방향적 거래가 아닌 호혜적 관계의 강조, 2) 발현적인 독자적 실재(an emergent sui generis reality)로서개념화되는 사회적 관계, 3) 관계재(關係財)를 창출하는 제4섹터인 ‘가족과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4가지 주요 사회 기관들(국가-시장-시민사회-가족 및 비공식적 네트워크들), 4) 국가 주도보다는, 혼합 조직(hybrid organisation)에 의해 주도되는 ‘관계적 사회를 보조하는 관계적 국가의 배열들’, 5) 지방교육자치에 내재한 자유 대(對) 평등의 경합적 가치를 넘어서는, 적극적 보조성과 연대성의 원리를 논하였다. 관계적 관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교육분권화의 쟁점으로 1) 합의되어야 할 궁극적 목적과 가치의 모호함, 2) 국가 체제 변화만을 논의의 중심에 두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연구는 관계적 관점에서 1) 적극적 보조성과 연대성의 원리에 기반한 궁극적 목적과 대안적 가치의 제시와 합의, 2) 국가 체제 중심의 주도보다는, 가족, 시민사회, 시장, 국가의 다양한 사회 기관들의 호혜적 관계망을 활성화하는 ‘혼합 조직’ 주도 체계의 구축과 이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발전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ain theoretical arguments of relational gaze based on critical realist relational sociology, and to examine the issu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 decentralization for local educational autonomy (hereafter, LEA) based on the relational gaze. The research found that relational gaze argues for 1)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system and society, 2) social relations defined as an emergent sui generis reality, 3) four main social institutions(state, market, civil society and family & informal networks) and relational goods, 4) configurations of relational state subsidiary to relational society, which is led by hybrid organisations, not by the state institutions, 5) the principles of active subsidiarity and solidarity overcoming the conflicting values between liberty and equality. Drawing on the relational gaze, this study identified two issues regarding LEA: 1) the ambiguity of ultimate goals and values concerning LEA, 2) the tendency of focusing solely on the state system-driven solutions.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research suggests 1) the universal principles of active subsidiarity and solidarity with regard to establishing alternative values and goals of LEA, 2) the full support for the systematization of hybrid organisations for the promotion of relational networks amongst diverse social institutions.

      • KCI등재

        관계적 자율성 개념의 일고찰

        임미원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0 No.3

        관념론 철학자 칸트는 주관적 도덕성, 즉 주체의 자율적인 의지결정을 도덕의 본질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규범적 근대성을 상징한다. 이렇게 보편적 실천이성이 주도하는 ‘도덕적 자율성’으로부터 의미 전화된 것이 개체적 자아가 중심이 되는 ‘자유주의적 자율성’인바, 이것은 주어진 상황-조건 속에서 최대한 합리적으로 선택-결정할 가능성 또는 불간섭-비지배적으로 자기결정할 가능성(능력)으로서의 자율성 차원이다. 바로 이런 자유주의적 자율성의 한계를 의식하며 새롭게 제시된 관념이 관계적 자율성이다. 이 관념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를 비판하는 차원에서, 자아의 정체성은 (고립적으로가 아니라) ‘관계적’으로 형성되며, 개인의 자율성 능력은 ‘사회적 관계’에 의해 영향받는다고 설명한다. 결국 핵심은 인간의 자아 및 자율성에 대한 ‘사회적 구성성’이다. 이런 관계적 자율성의 원리는 정의 원리 및 민주주의 원리에도 밀접히 연결된다. 즉, 자율성 원리에 합치되는 삶을 사는 인격체는 동시에 사회적 정의의 원리 및 민주주의적 절차에 충실한 공동체의 구성원일 수 있다. 다양한 자율성의 난제를 해결하려는 관계적 자율성 관념의 지형도를 그려본다면, 절차주의적 관점과 실체주의적 관점 또는 인과적 관점과 구성적 관점 등으로 구별해볼 수 있다. 이 중 상당한 공감을 얻은 것이 자율성에 관한 절차주의적 관점이다. 이 이론은 자율성의 조건으로서 자기동기화나 선호 형성 등에 관한 반성 및 교정이라는 내적인 지적 과정을 핵심으로 여기며, 내용에는 중립적이다. 그러나 억압의 내재화가 행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에 비해 실체주의적 이론은 자율성을 가치관련적으로 해석하여, 행위자의 선택 및 선호의 내용이 일정한 규범성에 합치할 때에만 자율적인 것으로 인정한다. 이 이론은 객관적, 규범적으로 자율성의 조건에 반하는 상태를 교정하려는 후견주의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관점들의 다양성 및 서로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계적 자율성 이론에 공통된 자율성의 실현 계기는 사회관계 및 사회적 성찰이다. 즉, 아무런 사회적 경험적 전제나 맥락도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로소 자율적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 맥락 하에서만 자율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자율성에 관한 관계적 구상의 실천적 의미는 ‘관계로부터 자유로워지기’가 아니라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라고 할 수 있다. Freedom and autonomy are topics of timeless interest on both a cognitive and normative level. As for the concept of autonomy, feminism has recently reconceptualized it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Relational autonomy’ is the conception of a free, self-governing agent who is socially constituted and who defines her basic value commitments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 Critiquing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libertarian individual conception of autonomy, the theories of relational autonomy emphasize the social components of our self-concepts and the role of the social dynamics in the development of autonomy. The various theories view persons as relational and socially constituted in fundamental ways and regard interpersonal and social factors as conceptually necessary for the autonomy of a person. The most advanced accounts of relational autonomy have been provided by the proceduralist views and substantive views. The former argues that autonomy is achieved when the agent undergoes an internal intellectual process of reflecting on her motivations, beliefs, and values.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maintains that the contents of the preferences or values that agents can form or act on autonomously are subject to direct normative constraints. A preference to be enslaved or to be subservient cannot be autonomous. Despite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the overriding concern common to the various theories of relational autonomy is not breaking away from relation, but breaking away from oppression.

      • KCI등재

        페미니스트 관계적 관점에서 본 ‘좋은’ 어머니되기와 산후우울증

        이진희(Lee, Jin-Hee) 한국여성연구소 2015 페미니즘 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한국에서의 페미니스트 산후우울증 연구를 위한 하나의 시론적 연구로서 산후우울증을 전적인 ‘질병’으로 개념화하는 의학적 모델이 지배적인 담론으로 작동한다면 대안적인 설명의 가능성을 주변화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는 첫째, ‘정상적인’ 모성이 과연 행복하고 ‘우울증’이 없는 경험인가를 문제 삼는 것이고, 둘째, 산후우울증이 ‘질병’인가 아닌가로 나눌 수 있는 이분법적 현상인가를 질문하는 것이며, 셋째, 여성들이 ‘어머니되기’의 과정에서 산후우울증을 ‘왜’, ‘어떻게’, ‘무엇으로’ 경험하는가에 대한 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이론적 틀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페미니스트 관계적 관점에서 산후우울증에 대한 여성의 주체적 경험을 질적 연구로 담아낸 마우트너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산후우울증을 연구하고자 할 때 그녀의 논의가 갖는 이론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기존연구들에 대한 마우트너의 비판적 검토를 의학적 모델과 페미니스트 구조적 접근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녀가 대안적인 방법론적, 이론적 틀로 제안한 질적 연구와 페미니스트 관계 이론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마우트너가 페미니스트 관계적 관점에서 어떻게 산후우울증을 이론화하고 있는가를 ‘좋은’ 어머니에 대한 기대와 경험의 모순에서 비롯된 모성갈등에서부터 침묵과 철회, 관계의 단절과 고립으로 인한 산후우울증, 그리고 산후우울증에서 회복할 때 일어나는 변화를 아우르는 과정을 통해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마우트너의 논의가 산후우울증 연구에 갖는 이론적 함의를 세 가지로 제시하고,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for feminist study on postpartum depression(PPD) in Korea. The starting point of this is that medical model which conceptualizes PPD as a complete illness or disease marginalize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xplanations when it operates as a dominant discourse.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s whether ‘normal’ motherhood is a happy and non-depressing experience, and whether PPD is a dichotomous phenomenon divided into what is pathological and non-pathological. Also,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frame uncover ‘truths’ about the what’s, how’s and why’s of postnatal depression by focusing on women’s own subjective, personal accounts of their experiences.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feminist relational perspective on PPD proposed by Mauthner, who theorizes it as a relational problem involved in personal, interpersonal and cultural disconnections in women’s trying to become a ‘good’ mother and then analyz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it. Firstly, this study explores Mauthner’s critical reviews on existing studies, which are medical model and feminist structural approach, and then examines what feminist relational theory is. Next, this study analyzes how Mauthner theorizes PPD from feminist relational perspective.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Mauthner’s theory.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limitations of it an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이인칭 관점과 법이론적 변용 가능성

        이현경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3

        This paper aims to seek a new approach of theorizing the nature of law. I will attempt to examine the implication to construct legal model from moral theory explaining the nature of morality via Second-Person Standpoint. There are three standpoints from which most philosophers try to account for the nature of morality: the First-Personal Standpoint, the Second-Personal Standpoint, and the Third-Personal Standpoint.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systems of Second-Personal Standpoint, especially by focusing on Stephen Darwall’s The Second-Person Standpoint theory(SPS), and explore possible ways to adapt his theory into legal theory. In the first section, I will provide a summary of Darwall’s second-personal standpoint theory. I will review his basic background premises including research intention, purpose and theoretical origin. And then I will look into his core concepts, main thesis. Lastly I will suggest three ways of interpretation and examine each. In the second section, I will flesh out Darwall’s theory on reason-giving as it relates to the Second-Personal Standpoint and provide several criticisms. In the third section, I will examine his account of moral obligation and his criticisms of the First-Personal Standpoint relating to moral obligation. And then I will take his claim into the legal context and evaluate the validity and desirability of it. In the fourth section, I will consider the scope of the Second-Personal Standpoint and look at arguments which might show that the Second-Personal Standpoint is weaker than Darwall presumed. Finally, I will discuss overal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admitting and adapting his second-personal Standpoint into legal theory in both perspective of moral and legal theory. This is a critical study on Darwall’s SPS, and I ultimately seek to design criterion to construct a model of second-personal jurisprudence. 이 글에서 필자는 법본성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이인칭 관점을 통해 도덕의 본성 해명을 시도한 도덕이론에 대한 법적 변환을 시도하고 그 함의를 검토한다. 도덕의 본성에 관한 설명에는 세 가지 관점-1인칭 관점, 2인칭 관점, 3인칭 관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특히 다월의 이인칭 관점과 규범 이론을 중심으로 이인칭 관점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의 법이론적 변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다월의 이인칭론의 기획 의도와 목표, 그리고 사상적 원천 등의 전반적인 배경적 전제들을 논하고(Ⅱ) 다월이 이인칭 관점에서 제시한 핵심 개념들과 주요 논변들을 살펴본 후, 그에 대한 세 가지 해석 모델을 제안하고 평가한다(Ⅲ). 그리고 이인칭론을 법적으로 수용하고 변용할 가능성을 가늠하면서 ‘법이론으로서 이인칭론’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논한다(Ⅳ). 마지막으로 관계론적 접근이라는 더 큰 맥락에서 다월의 이인칭 관점론을 재조명해본다. 이러한 다차원적인 탐구를 통해 필자는 ‘이인칭 법학’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하고 이론 정립을 위한 중요한 기준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이인칭 법학을 넘어 관계적 법이론으로의 발전 방향과 개발을 제안하면서 글을 맺는다(Ⅴ).

      • KCI등재

        경쟁상황에서의 선택가능성 제고방안

        유현미(Hyeon Mi Yoo),김재욱(Jae Wook Kim) 한국유통학회 2016 流通硏究 Vol.21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거래 상대방의 거래비중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치(Value)의 역할 및 가치의 향상을 위해 갖춰야 할 요건이 무엇인가에 대해 자원기반 관점(Resource-based View)과 관계적 관점(Relational View)에서 규명하고 있다. 연구 결과, 우선 가치의 두 가지 영역인 편익과 비용은 거래 상대방의 거래비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편익이 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실제 기업들은 거래비중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얻는 것’을 ‘잃는 것’보다 더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편익과 비용은 단순히 거래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을 넘어, 협력업체가 보유한 내적, 관계적 자원과 거래비중 간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적 자원인 품질, 가격, 전문성 및 명성의 경우, 그 자체로 거래비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지만 궁극에는 편익과 비용에 대한 인식을 거쳐 거래비중으로 연결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가치의 선행요소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이 내부적으로 보유한 자원 중 품질과 비용 및 전문성과 편익 간 관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 가격 등 유형적 자원에 비해 전문성, 명성 등 무형적 자원이 거래 상대방의 편익과 비용에 더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계적 자원인 협력업체의 유연성, 거래특유 투자 및 정보공유 활동의 경우, 어떤 것도 거래 상대방의 비용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반면, 유연성과 거래특유투자는 상대의 편익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협력업체의 유연성은 거래특유 투자에 비해 편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기업이 가진 자원에 초점을 맞춘 자원기반 관점을 기반으로 한 요인들이 다른 기업과의 관계에 주목한 관계적 관점에 관련된 요인들에 비해 고객가치 창출에 더 큰 영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거래 기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거래 기간에 따라 2개의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품질, 전문성 및 명성이 편익 또는 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거래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협력업체의 품질과 전문성은 거래 기간이 긴 상황에서 비용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반면, 명성의 경우 오히려 거래 기간이 짧을 때 편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탈식민 국가형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통합적 시각의 모색

        강진연(Jin-Yeon Kang)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이 글은 탈식민 국가형성 문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하며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반부에서는 기존 연구의 내용을 검토하고 여기서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기존 연구의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식민지배자와 피식민지민의 구분으로 대변되는 이분화된 분석틀, 둘째 특정 식민지시기와 탈식민시기를 선택적으로 분석하여 양자 사이의 상관성을 직접적 인과관계와 동일시하는 문제, 셋째 제국과 식민의 관계에 대해 배타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이것이 위치지워진 국제적 맥락과 지정학적 요인의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다. 후반부에서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특히 이제까지 식민주의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진 시민권 문제를 기존 연구의 내용에 접목시키고 이를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적용하여 탈식민 국가형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관계적 분석, 과정중심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 시각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사회문화적 관점은 식민지배의 경험을 통해 식민지민들 사이에 형성된 긴장과 갈등이 탈식민 국가형성 과정에서 사회적 소속권의 재구성으로 발현되는 기제와 연관된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어온 식민과 탈식민시기 정치제도의 유사성을 식민지배 과정을 거치면서 구성되고 재배열된 식민지민들 내부의 동학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제도적 분석과 사회문화적 접근의 결합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을 발전시키기 위해 이 글에서 제안하는 두 가지 방법론은 관계적 분석과 과정중심적 접근이다. 전자는 식민지시기 다양한 집단들이 경험하는 관계적 변화와 그 결과에 주목하는 것이고, 후자는 식민과 탈식민시기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과 단절이 나타나는 원인을 특정한 시점 사이의 선택적 상관성이 아닌 역사적 과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existing studies of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especially studies concerning issues of postcolonial state formation, and focuses on what theoretical issues they have produced and how these problems could be resolved. The article highlights three theoretical problems in the previous studies: first, a largely bifurcated conceptual frame such as between colonizer and colonized; second, an overemphasis on the institutional similarities between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periods that results in insufficient attention to processes of decolonization; third, an exclusiv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colony, which leads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effec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geopolitical factors on postcolonial state formation. In an attempt to unravel these problems, the article advances an integrative view of the formation of the postcolonial state by incorporating a socio-cultural perspective, relational analysis, and a process-centered approach. Theoretically,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can be developed by examining how internal conflicts among indigenous people, which were produced through colonial rule, shape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membership in the process of postcolonial state formati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can be furthered by two methodological strategies: relational analysis and process-centered approach. The former is utilized to focus on the diverse forms of relational shifts among various groups of the colonized people and the repercussions of these shifts on postcolonial social changes, and the latter stresses that the ways in which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colonial rule influences postcolonial transformation are conditioned by a particular historical process.

      • KCI등재

        친환경 공급사슬관리와 기업의 지속적 경쟁우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주혜영(Joo, Hye Young),이용근(Lee, Yong Keun) 한국물류학회 2012 물류학회지 Vol.22 No.3

        최근 글로벌 시장의 소비자들은 자신이 소비하는 제품의 환경적 문제에 대해서 민감해 할 뿐 아니라 제품의 환경성에 대한 각국 정부의 규제적 조치가 강화됨에 따라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제조활동에 있어 환경문제는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제조활동에 대한 환경변화를 일종의 시장기회로 인식하고 친환경 공급사슬(Green SCM)을 통해 이러한 환경적 압력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장기회를 얻고자 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의 글로벌 시장에서 환경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장상황에 주목하고 기업이 지속적 경쟁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유용한 관점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즉, 기업이 지속적 경쟁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의 노력과 함께 보다 비중 있게 주목해야 할 점을 조직내부의 경쟁력 있는 무형자원의 개발과 이러한 자원의 효율적 배치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관련 이론에서 제시되는바와 같이, 유사한 환경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기업들에게는 다른 기업과는 다른 이질적이고 가치 있는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시장에서 보다 높은 경쟁력을 구축할 가능성이 훨씬 높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자원기반이론(RBT), 관계적 관점(RV), 및 자연자원기반관점(NRBV) 등 환경의 변화 및 내부자원이 가지는 경쟁력을 논의하고 있는 다수의 이론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추후의 실증언구에서 활용 가능한 개념적 프레임웍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련분야의 이론적 확대와 실증적 토대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As the consumer perceptions of global products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each government’s move enforcing a more strict control over the environmental products augment, global companies have been under pressured to consider environmental concerns in their manufacturing activities. Looking for opportunities in the market, a lot of firms are also struggling in order to come into line with the current environment with green SCM. This study propose that it can be better way to take notes its internal resources for a firm to survive and prosper in highly competitive markets. This is because if a firm possess heterogeneous resources in the internal organization, it is more like1y that it should achieve superior performance in the market. In this study, we regard green SCM as a heterogeneous intangible resource that can be distinguished other companies in the market. In this point of view, the authors overview the related theories such as the resource-based theory(RBT), the relational view(RV), and the natural-resource-based view(NRBV). The study also propose the conceptual model from these theories, which can be helpful to the researchers in this area.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창원공단 설립 전사(前史)

        최영진(Young Jin Choi)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2

        본 논문은 창원공단이 1973년 ‘중화학공업화정책추진선언’에 따라 중앙정부 주도로 ‘공업기지’로 일사분란하게 건설되었다는 기존 설명을 지리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1960-70년대 마산, 창원의 기계공단조성 과정을 새로이 해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960년대 기계공업육성안의 변천과 창원공단의 전사前史를 분석하는데 촛점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60년대 마산 창원지역 공단 조성 계획안의 변화를 추적한다. 둘째, 60년대 제출된 기계공업 육성안들의 내용과 이를 둘러싼 여러 사회세력들의 경합 과정을 살펴보고 그 결과가 73년 창원공단설립에 끼친 영향을 살펴본다. 세째, ‘4대핵공장사업’의 실패과정을 현대조선의 성공과 대비해 살펴보고 이것이 기계공업 육성에 끼친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중앙정부의 역할에 방점이 주어진 기존 연구를 비판하고 다양한 스케일의 행위자들의 주도성을 복원하고 한국 발전주의 시기 공업단지 개발의 계급적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Changwon Industrial Complex is commonly framed as the best example of strong initiative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And this explanation has been given in the theoretical frame of ‘neo- Weberian accounts’ i.e., strongly ‘national-territorial’ and state-centric terms of the predominant. I argue that a geopolitical economy approach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Changwon Industrial Complex will shed light on crucial sociospatial dimension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s industrial complex success. I examine, in particular, the multi-scalar processes through which the changes of the industrial complex building plans for the promotion of machine industry in 1960’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mplex and dynamic interactions among social actors acting at diverse geographical scales. I show that the form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was more heavily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contestations, and collaborations among social actors, acting in and through the state, rather than by the state initiative.

      •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경모(Kyungmo Kim)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이 글은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결망 분석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사유와 방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연구의 기본 내용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연결망 분석의 기저에 담긴 관계적 관점과 구조적 분석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결망 관점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 지닌 한계를 연결망 관점에서 비판한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고찰한 뒤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 연구를 개관할 수 있는 메타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해 본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focus on theoretic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guid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has been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mbining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tructural analysis. A body of existing models of communication(e.g., linear mood, interactional model) also has been criticized in comparison with the network mcx:lel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expansion of transactional model. Finally, a meta-theoretical framework is suggested for the overview of research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