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김두환(Kim Doo-Hwan),김지혜(Kim Ji-hye)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4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의 학교에 대한 사회 심리적 적응의 정도를 나타내며, 교육적ㆍ규범적 적응과 더불어 학생의 발달 및 학교생활의 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다시 말해 학교는 지식을 전달하고 인적자본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곳일 뿐만 아니라 학창시절과 그 이후의 삶에 기초가 되는 사회적 관계들이 형성되는 장이라는 점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은 학생의 학업능력 및 행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내용에 따라 학교에 대한 소속감 및 정서적 안정감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학교생활의 만족수준을 높이는데 결정적 기여를 할 것이라 본다. 이러한 가정 위에서 학생들이 가정 및 학교를 중심으로 부모ㆍ친구ㆍ교사와 맺는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추가 표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 2007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등학교 유형의 계층적 분화가 결과하고 있는 학교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기본적 차이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고려한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나 친구관계 변수들과 달리 교사와의 관계 변수는 다른 통제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반고와 비교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했던 특목고의 통계적 유의성을 사라지게 했다. 더구나 특목고의 일반고 대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여는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달려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일반고에 비해 전문계고는 본 연구가 고려하는 사회적 관계 변수와 모든 통제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한 후에도 학교생활만족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생활만족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달리 학생을 둘러싼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들, 즉 부모ㆍ친구ㆍ교사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많은 사회학적 연구들이 검증해온 이들 사회적 관계의 영향이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있다. Research has shown that students satisfied with school life ten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 delinquent behaviors or disciplinary problems. When we consider school as a sphere for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skills and forming social relations which would influence students during their whole lifetime as well as school lif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relations surrounding students in home or school, which shap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e hypothesized that students could be more content with their school life when they have better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o control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 differentiated by horizontal stratifi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we analyzed 2007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on high school seniors from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SPHS), General High Schools (GH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VHS). The findings indicate that better social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re contributing to increas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hen we take into account student-teacher relations only, the advantage of SPHS which shapes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has been disappeared. Interestingly, such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than GHS is depending on student-teacher relations. However, even after we take into account other control variables as well as students’ social relations, VHS lower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The implication of our findings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different types of schools from the soci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신향,임종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우울,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충청남도 D시에 소재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는 기술통계로,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우울,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대인관계만족도의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외모만족도는 2.18점, 우울은 1.81점, 대인관계만족도는 3.00점이었다. 외모만족도, 우울,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우울은 외모만족도(r=-453, p<.001), 대인관계만족도(r=-.370,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외모만족도는 대인관계만족도(r=.482,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대인관계만족도에 외모만족도(β=.395, p<.001)는 긍정적 영향을 우울(β=-.191, p<.001)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지를 통하여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고, 우울을 감소시킬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 수업이 외모 만족도 및 대인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

        권경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이 외모만족도 및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발레수업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연관성을 비교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 전후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발레수업 사전과 사후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0.652, 0.730으로 외모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이 대인관계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전보다 사후의 상관계수 값이 더 높게 나타나 발레수업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성을 더 높게 나타나게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학년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3학년과 4학년에 있어서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785, 0.675로 양의 상관관계로 P값은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5학년과 6학년에서는 상계계수가 0.609, 0.590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레수업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는 고학년보다 저학년에서 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경제상태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경제상태가 좋거나 보통인 학생들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732, 0.708로 양의 상관관계이며 P값은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레수업이 경제상태가 좋은 학생들이 보통인 학생들보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측면(증가의 크기)에서는 보통인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외모관심도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거나 보통인 학생들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837, 0.697로 양의 상관관계로 P값은 .001,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레수업이 외모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이 보통인 학생들보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측면(증가의 크기)에서는 보통인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긍정적인 외모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생들 주변의 부모와 관계, 친구와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발레 수업의 필요성과 심리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compar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ballet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girl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allet classes affect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the elementary school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ballet classes would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girls with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ha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nd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higher correlation values after the class than before the class, which shows appearance satisfac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e ballet class has effects on improvemen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elementary school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ould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and economic conditions, it was found ballet classes by the school year were more effective in the third and forth grade groups that had higher learning depend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than the upper grades that went through the secondary growth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Third, significant results were produced regardless of economic conditions; girls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in the aspect of the effect(size of increase) girls with ‘normal’ conditions showed higher correlation. This could be the result that confidence of girls, who had no economical problems an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was increased in balanced postures, body expression abilit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hich l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the reason the result was bigger in the girls’ group with the ‘normal’ size of increas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considered that girls in the ‘good’ economic conditions already ha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ue to appearance satisfaction so the increase was not bigger any more, while girls in the group with ‘normal’ economic conditions showed higher result than in the group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as they had physical confidence after ballet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appearance satisfaction by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elementary school girls due to ballet classes, it was found that girls with higher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showed bigger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girls with normal interest. This could be the result that confidence of girls who had no economic problems and had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as increased in balanced posture, body expression abilit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hich l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 KCI등재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노현주,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adult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re-marital couples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advice. Survey data from 129 Korean couples was collected. For data analysis, we use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nalysis metho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both men and women, rejection sensi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silencing, but not on their partner’s self-silencing. Both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silencing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the negative direction across genders. Rejection sensi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own and their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self-silenc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jection sensitivity increases self-silencing of individuals and that self-silencing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adult couples.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성관계 내의 상호역동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상대방 효과를 중심으로 구조모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의 현재 이성 교제 중인 성인 미혼 남녀 129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한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거부민감성이 자기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녀 모두 거부민감성이 자신의 자기침묵에 정적 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나 상대방의 자기침묵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상대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자기침묵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자기침묵이 자신의 이성관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쳐 자기효과를 나타냈고, 상대방의 이성관계만족도에도 부적 영향을 미쳐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거부민감성이 자신의 자기침묵을 매개로하여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거부민감성이 자신의 자기침묵을 매개로 자신의 이성관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남녀 모두 거부민감성이 자신의 자기침묵을 매개로 상대방의 이성관계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쳐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상담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을 덧붙였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성인불안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김혜진(Hye Jin, Kim),김미례(Mi Rye,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1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성인불안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광주, 부산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4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과 AMOS 21을 사용하여 성별 변수 간 차이검증을 위한 독립집단 t검증, 상관분석,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간접효과 확인을 위한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불안애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인불안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남학생은 성인불안애착이 회피-분산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부적상관을, 여학생의 성인불안애착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부적상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남학생의 이성관계만족도와 능동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적상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여학생의 이성관계만족도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성인불안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학생의 경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완전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ontrol moda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and a total of 342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 and AMOS 21 to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ootstrapping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anxiety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active emotional control was used by male students mor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Adult attachment anxiety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related to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Mal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xiety showed avoidance-distraction way and positively correlations, support-seeking way and negatively way, and femal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xiety showed active way and misalignment, avoidance-distraction way and negatively correlations. also, Mal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ctive way and support-seeking way showed positively correlated, and avoidance-distraction way showed negatively correlated. Femal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voidance-distraction way showed negatively correlated. Third, 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but in female students, avoidance distributed emotion control style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Finally, we discuss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 further studies.

      • KCI등재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효선(Hyosun Kim),박정윤(Jeong-Yun Park) 한국가족치료학회 2023 가족과 가족치료 Vol.31 No.1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감,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 궤적을 파악하고, 부부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남녀 차이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감,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감의 상승은 부부관계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의 증가는 부부관계만족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남녀 차이에 있어서 중년기 우울감의 변화가 부부관계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의 경우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와의 관계만족도 변화가 부부관계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년기 부부관계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trajectory i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s: Analysis was performed apply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was perform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ddle-aged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decreased over time. Moreover, changes in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For the gender gap,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depression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was only found for women, while the influence of the rate of change i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on the rate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was related to both men and women, although the effect size of the rate of change was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허선영(Sun-Young, Heo),하정화(Jung-Hwa, Ha)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관계 내에서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 종단적 상호관계가 어떠한지 탐색하는 데 있다.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고 부부자료를 하나의 모형에서 분석하기 위해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과 공통운명모형(Common Fat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변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0차 년도(2015년)부터 13차 년도(2018년)까지의 4개년도 자료로 부부자료(dyadic data)를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5년 기준 60세 이상인 부부 1,383쌍(2,766명)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남편 우울, 아내 우울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관계만족도가 남편 우울에 미치는 영향보다 아내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 우울 수준과 아내 우울 수준은 부부 공통의 관계만족도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가 상호순환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관계만족도의 저하와 우울의 증가라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년기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개선을 위해서 부부 단위의 개입과 부부 각자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병행해야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For longitudinal dyadic analysis, this study sets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Common Fate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Data came from four annual waves from the 10th year (2015) to the 13th year (2018)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a total of 1,383 married couples over 60 years of age in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dent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older couples leading to low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th high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inducing low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an lead to a vicious cyc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to intervene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couple level was discuss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부부 비동거의 거주형태와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경선(Min, Kyungsun),진신(Chen, Chen)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최근 한국에서는 부부가 비동거하는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부부의 공동거주를 전제로 하는 전통적 정의와 평가를 기준으로 부부관계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부부의 거주형태, 특히 비동거가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는 거주형태가 한국의 가족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거주형태의 외형적 변화와 함께 부부의 주관적 인식을 함께 고려하고자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2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부관계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순서형 로짓 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남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모두 낮았고, 배우자와 비동거하는 경우 다른 가족원과 함께 사는 것에 비해 혼자 거주할 때 여성의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동거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고, 배우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른 가족원에 대한 돌봄은 개인, 특히 여성에게 큰 부담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배우자와 비동거 시에 경험하는 부부역할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가사노동에 대한 성역할관과 취업여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경제활동과 가사노동이라는 책임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여성에게 가사노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전통적 성역할관을 갖지만 자신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 때 낮은 부부관계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는 근래에 분화되어 온 가족의 거주형태와 전통적인 성역할관이 맞물리며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Family studies tend to approach to marital-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concept which assumes cohabitation of married couples though the number of couples who live separately with various reasons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cor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ried couples' living arrangement on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role perceptions and to argue that the family studies need to consider living arrangement as an important factor. As an empirical demonstration, we conducte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ependent variable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2012 Social Survey' data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lower level of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spouses. Also, women who live alon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cohabitate with other family members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husbands. These mean that cohabiting is still important in maintaining good marital relationship and caring family members could be a burden especially for women when spouses are absent.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n who do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ink that women are responsible for housework showed low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flect that combined effects of recent changes in living arrangement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ffect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family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관계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류신정 ( Ryu Shin Jeong ),강호수 ( Kang Ho S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관계만족도 및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의 의사결정권한과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9차년도 고등학교 교사 3,002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후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관계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고, 교사의 의사결정권한은 관계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교사의 관계만족도는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의 의사결정권한과 교사의 관계만족도는 모두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의 의사결정권한과 관계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해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를 통한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강화가 중요하며,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및 관계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teach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the 3,002 high school teachers'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GEP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then, the dual mediation effect was reaffirmed through bootstrapping of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had a positive impa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cond, both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teach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ird,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a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through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a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KCI등재

        미혼커플의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효경,김은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pre-marital couple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ective advice to couple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128 couples living in Gyeong-gi area, total of 256 male and female, which consisted of covert narcissistic sc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cale. The actor with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was appl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l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ean between the variables, the covert narciss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Second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men and women had the actor effect because their covert narcissism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Although the covert narcissism of the man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female, the covert narcissism of the woma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ale '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ly, as a result of studying on the 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oth men and women had the actor effect. However, the partner effect did not appear in both men and women. Four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rect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men and women did not have actor and partner effects. Last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in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o indirect effects could not be confirmed. Based on the main result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미혼커플의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상담에서 이성교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초기 내담자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커플 128쌍, 총 256명의 현재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와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성교제 상호역동성을 고려하고자 APIM(Actor -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평균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성관계 만족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적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남자의 내현적 자기애는 여자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상대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자의 내현적 자기애는 남자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적상관을 미쳐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자신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정적영향을 미쳐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모두 내현적 자기애가 상대방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대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녀 모두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아 간접효과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