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용성 ( Kim Yong-seong ),김남진 ( Kim Nam-jin ),이학준 ( Lee Hak-jun ),김용욱 ( Kim Yong-w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1

        이 연구는 중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강의식 중등과학수업을 위하여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이하 UDL) 기반 과학수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UDL 원리와 수업설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UDL은 모든 학생의 교육과정 참여를 보장하기 목적으로 표상의 원리, 행동과 표현의 원리, 참여의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UDL 적용절차 이론(PAL)을 한국의 교육 상황을 고려하여 수정한 한국형 UDL 기반 수업설계 모형(K-PAL Model)은 목표설정 → 학습자 및 상황분석 → 목표설정 → UDL 적용 → UDL 수업지도 → 반성적 사고의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UDL 이론에 근거하여 UDL 기반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UDL 기반 과학수업 프로그램에 의한 강의식 과학수업은 수업도입 단계(선 개념 확인, 학습 목표 및 학습일정 확인, 배경지식 만들기), 수업전개 단계(사고실험, 선행조직자 활용 개념학습, 생활 속 개념적용), 수업정리 단계(학습 과정 점검, 형성평가, 차시예고 절차로 구성된 정리단계)의 3가지 절차로 구성되었다. UDL 기반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강의식 과학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과학긍정 경험의 하위 영역인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포부, 과학 관련 태도의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강의식 중등과학수업에 적용한 UDL 기반 과학수업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UDL 기반 강의식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 strategi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meaningful secondary science lecture-centered class. To do this, we discussed the principles of UDL and lesson design model based UDL. The UDL consists of principles of representation, principles of behavior and expression, and principles of participation, with the aim of ensuring al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The process of K-PAL, which modified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based classroom design theory (PAL) to take into account the educational situation in Korea, consists of 6 steps as follows: goal identification, student and situation analysis, goal setting, UDL application, UDL lesson, and reflection thinking. Based on these UDL theory, the UDL-based instruction strategies were developed. The science class based on the UDL-based instruction strategies is composed of class introduction phase(identification of prior concept, confirmation of the learning goal and learning schedule, and cre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class development phase(thinking experiment, concept learning using advance organizers, and applying concepts in life), and class conclusion phase(reviewing the learning process, formative evaluation, and announcement of clas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cience class using UDL-based instructional strategy, th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the areas of science-related self-concep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which are sub-areas of science positive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DL- based instruction strategy applied to lecture-centered secondary science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science positive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UDL-based science instruc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과학 교실 수업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주형주,이지애,김영민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cienc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recognize science classroom activity. For the study, 32 science teachers and their 1,074 students were sampled, and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assess their perceptions of activities in the science clas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0 items on the Likert scale about the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bout the world, learning about science, learning to speak out, learning to learn, learning to communicate, interest in learning science, and teacher support for science learn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s of the teachers scored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in all the seven categories, and the scores between th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ategories of the learning to speak out, teacher support in learning science.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female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were taught by the male teacher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of teachers who taught them. Third, the responses of the male students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cored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The middle school students’ mean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cience teachers try to understand how their students recognize their instruction, and to reduc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them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실 수업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교사 특성 및 학생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과 울산 지역의 중ㆍ고등학교 과학교사 32명과 각 교사가 수업하는 학급의 학생 1,074명이었으며, 과학 수업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과학 수업 활동과 학생들의 수업 태도를 상호 비교하였다. 검사 도구는 교사용과 학생용의 2종으로,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 4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상생활에 대한 학습, 과학에 대한 학습, 수업의 개방성, 학생의 수업참여도, 다른 학생과의 의사소통, 교사의 지원적 활동, 과학에 대한 흥미 등 7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 결과, 교사는 모든 영역에서 학생에 비해 과학 수업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업의 개방성’과 ‘교사의 지원적 활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 특성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여교사가 지도한 학생들의 인식이 남교사가 지도한 학생의 인식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교사의 전공별 인식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그리고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과학 수업 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종합하면,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과학 교실 환경에는 차이가 있으며 학생들은 교실에서 과학 활동이나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결과는 교사 위주의 과학 수업이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으로 변화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과학 교실 환경을 조성하는 다른 변인들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 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B초등학교에서 5학 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반, 비교반 선정을 위해 담임 교사에게 동의를 구하였으며, 학생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연구자가 직접 내방하여 연구반 학생 24명과 비교반 학생 2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반에 대해서는 담임교사 를 실험처치자로 선정하여 Thinking Maps을 활용한 과 학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40분 단위 수업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수업 후에는 사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정리하는 단계로 진행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긍정 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Thinking Maps 수업 후 연 구집단의 학습자들 인식 반응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논의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후 속 연구에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hinking Maps 기법을 다양한 과학 수업에 적용시켜 효과를 알아보는 것도 새로운 수업방법의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둘째, Thinking Maps 기법으 로 초등학생들의 학년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효과 를 검정해 보는 것도 과학수업에 대한 또 다른 수업방 법의 하나로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by utilizing ‘Thinking Maps’ in a science class. This particular study was proceeded to 5th grader at B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mutual agreement with a teacher about assigning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and it was agreed by students and explain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visited the school and selected 24 students in the research class and 24 students in the comparative class. For a research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omeroom teacher, proceeded a science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set up as a 40 minutes class unit for 12 weeks. After an experimental grou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were examined,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proceeded by ord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method in the class was effectiv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method in the class was effective i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ird,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method in the class had a positive cognition from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in the follow - 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Thinking Maps technique to various science classes to see the effects can also be suggested as one of the new teaching methods. Second, testing the effects of applying different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Thinking Maps technique could also be highlighted as another way of teaching science classes.

      • KCI등재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현장 과학수업 분석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과학수업 계획 ·실행 ·평가 역량을 중심으로

        안부금 ( An Bu Geu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들 간의 협력적인 현장 과학수업 분석경험을 통하여 이들의 과학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우선 대학에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3~4명 조별 협력적으로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을 실시하였고 이후 유치원 현장의 과학수업을 실제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해 서로 논의 및 협의하는 경험을 각각 총 4회 가졌다. 그 결과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현장 과학수업 분석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능력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과학수업 계획의 중요성 깨닫기, 과학수업 실행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자신의 과학수업 평가 반성하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구체적인 수업분석도구를 가지고 현장의 과학수업을 들여다보고 그 결과에 대해 동료들과 논의 및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수업 역량의 향상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의 효과적인 과학교수 이미지의 정립과 미래 교수학습 지도의 방향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competencies by having them encounter cooperative experience in analysis about field science class. For this purpose, forty(40)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participated in a program in which they cooperatively engaged, utilizing science class analysis tool, in a group of three or four, followed by analyzing science class of kindergarten setting and discussing the results together; the routine was repeated four times. As results, cooperative analysis experience on science class in kindergarten setting positively affect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science teaching competency as well as ability to perform. Its detailed contents includ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class plan,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 deeply, evaluating of science class reflectively. The present found its significance on the fact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cience class competencies had improved by having them analyze science class in kindergarten setting, using specific class analyzing tool, and cooperatively have discussion on its results. Further, these outcomes would be helpful for pre-service teachers establish a role model of an effective science teacher, as well as for teacher educators to determine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개발된 수업 콘텐츠의 특징 분석

        신정윤 ( Jung Yun Shin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6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사들이 개발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직접 제작한 10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의 제작 과정과 어려움,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이 제작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분석하여 온라인 과학수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은 교사가 수업 연구, 각본 작성, 수업 동영상 촬영 및 편집의 전 과정을 구상하고 수업 및 실험과정을 직접 촬영하는 형태로 제작되었거나 전자저작물이나 디지털교과서 등에 음성을 녹음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제작 시간 부족, 촬영과 편집의 어려움, 오개념 전달에 대한 우려, 기존 자료에 대한 저작권 해결 문제, 외부 공개에 대한 부담 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한 경험이 있는 교사였지만 온라인 과학 수업의 장점에 관해 적극적으로 대답한 연구 참여자는 없었다. 다만 온라인 수업의 특징인 반복 학습의 가능, 수업 시간과 장소의 자유로움, 교사의 수업계획이나 통제의 용이, 시각적 매체 활용으로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 등에서 면대면 수업보다 유리함이 있을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에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과학 수업의 단점으로 학생들의 탐구기회가 줄어들고,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부족해지는 것을 꼽았다. 특히 이러한 단점들은 온라인 과학 수업의 질 특히 탐구 수업을 어렵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했다. 온라인 과학 수업이 면대면 수업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견해를 취하는 교사들도 있었지만 여러 교사가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수업 방식을 보완하는 보조적 수업 활동이 제시된다면 온라인 과학 수업과 면대면 수업을 병행하는 방식은 가능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온라인 과학 수업의 도입 단계나 정리 단계에서는 면대면 과학 수업의 과정과 유사하였지만, 탐구 단계와 개념 설명 단계에서는 면대면 과학 수업과 큰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여러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학생의 실험 참여를 유도하지 않는 시범 실험이나 실험결과를 획일적으로 정리하였고 교과서 본문 내용과 개념을 교사가 정리하고 설명함으로써 교사 주도 개념 설명식 수업의 형태를 띠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online science class videos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ir perception of online science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content developed by teachers.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made online science class videos themselve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online science class video produced by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 lack of production time, difficulty in filming and editing, concerns over misconceptions, the problem of solving copyrights for existing materials, and the burden of external disclosure. Although it was a teacher who had experience producing online science class video contents, no research participants actively answered the merits of online science cla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participants cited that the shortcomings of online science classes were that students had fewer opportunities for inquiry and lack of communication or interaction. In particular, these shortcomings were thought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online science classes, especially in making inquiry classes difficult. Some teachers took a negative view that online science classes could not completely replace face-to-face classes. However, if multiple teachers are presented with supplementary teaching activities that complement the content-based online teaching method, the method of combining online scienc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is no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the introduction and arrangement step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were similar to the process of the face-to-face science class, but the inquiry step and the conceptual explanation step showed a big difference from the face-to-face science class.

      • KCI등재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맹희주,손연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수업 적용 현황 을 조사하고,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과학교사들의 수업능력을 진단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통합과학교육은 과학지식과 학생들의 일상 경험을 연결시켜 일상생활을 과학적으로 해결 하는 태도를 함양시키는 것에 가장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이 교 육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컨설팅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체 응답자의 43.5% 정도가 통합과학 수업을 적용해 본 경험 있으며, 대부분 생물영역 중심의 통합을 적용하고 있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에 따라 통합이 취약한 과학영역과 접근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수 업컨설팅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 전영역이 통합 중심영역으로 고르게 적용되고, 수업의 전 과정에서 통합과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에 대한 컨설팅이 요구되어졌다. 셋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지율(52.1%)에 비해 대부분(83.0%)의 교사들은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 해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 개발을 위 해 지식습득 보다 교사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교사모임을 통한 수업자료의 공유가 필요하며,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통합과학 수업내용 선정에 대해 수업컨설팅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과 고등학교 과학교 사들은 물리영역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지식 확보가 컨설팅을 통해 필 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수업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수업목표에 따라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수업 설계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방안이 수업컨설팅의 내용에 포함되어 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결과에 따라 학교급의 특성에 맞는 수업컨설팅을 수행함으로 편중된 통합 과학교육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능력의 함양 을 위해 차별화된 연수 프로그램과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수정,배진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J초등학교 1개의 학급 22명을 실험집단, 다른 1개의 학급 22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뇌 기반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따른 일반적인 설명식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양일호 ( Il Ho Yang ),최현 ( Hyun Choi ),임성만 ( Sung Man L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1

        이 연구는 교육지원 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 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 한상호 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 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in a science class for the gifted. In order to explore the research problem, students and teachers answered a writte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participated in interviews regarding the gifted science class.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science class, especially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y. First, they suggested promoting inquiry skills, presenting a challenging task in atypical topic selection, student-centered curriculum, and controlling the pace of learning to recognize individual differences. Second, in terms of the science class skills and attitudes category, teachers recommended raising mutual satisfaction through vigorous interaction within a permissible atmosphere. Finally, science teachers need to strive for continued professional growth. Gifted children, meanwhile, want to investigate a wide range of topics without time constraints. Additionally, they may have to explore challenging topics further. They prefer to act like scientists in that they enjoy group activitie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particular, they want to be evaluated by others in a totally embedded assessment. Gifted children also expect teachers to understand the life circumstances and need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y asked for teachers to respect individual experiments and to show them how to safely use new equipment or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gifted children and science teachers have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of opinion concerning a good science class for the gifted. This study can help formulate strategies to establish quality management of materials in gifted science classes.

      • 과학적 태도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 과학수업과 학원 과학수업에 대한 만족도 비교

        김수연,정진수,김상호,윤성규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09 學校敎育硏究 Vol.5 No.1

        본 연구는 학교 과학 교육과 학원 과학 교육의 활성화와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따른 학교 과학 수업과 학원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학교 과학 교사보다 학원 과학 강사를 더 친근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에게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수업목표 제시나 수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자료 제시는 학원보다 학교에서 더 잘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학 현상이나 개념에 대한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 역시 학교 과학 수업이 더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학교 과학 수업보다 학원 과학 수업에 더 집중하며 모르는 내용에 대해 질문을 더 많이 한다고 답하였고 학습평가의 경우 학교 과학 수업과 학원 과학 수업 모두 진단평가 보다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에 치중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과학적 태도 점수를 상․중․하로 나누어 학교 과학 수업과 학원 과학 수업 중 어디에 더 만족하는지를 조사해 본 결과 과학적 태도 점수가 우수한 학생들은 학원 과학 수업에 더 만족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태도 점수가 중․하인 학생들에 비해 그 만족도가 낮은 편인 걸 봐서 학원의 경우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나 태도를 촉진하는 수업보다는 주입식 수업으로 인해 과학적 태도가 높은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을 것이며 학교의 경우 실험이 학생들의 호기심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자유로운 실험이 되기보다는 수행평가와 같은 성적을 측정하는 도구로 밖에 이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ience attitude of middle schooler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science lessons provided by school and academy in an effort to bolster public and private science education and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middle schoolers who attended five different private cram schools in Dalseo-gu, Daegu.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randomly selected 25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teaching methods, learner class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and their science attitude scores were compar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e students found themselves to be on more friendly terms with the cram school science teachers than with their school science teachers. They considered the former to be more interested in themselves, and put their schools above the academies in terms of presen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relevant materials. They also believed that the schools gave them more opportunities to think of scientific phenomena or conception on their own. They stayed focused better in the academies than in the schools, and asked more questions in the academies. As to evaluation, both of their schools and academies leaned toward formative or summative evaluation rather than diagnostic evaluatio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science attitude scores, and how much each group was satisfied with science instruction offered by the schools and academies was checked.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got higher scores in science attitude were more gratified with the academies. The others who got intermediate or low scor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academies as well, which taught them to grasp the point of instruction and solve past examination questions so that they could boost their scores in science. As a study established that younger graders fell behind in science attitude, both schools and academies should try to teach students to improve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 science without letting them remain indifferent to that

      • KCI등재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안부금 ( Bu Geum 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This study presents the preliminary steps taken to develop an instrument to be used in evaluating science lessons by checking to be sure all of the elements deemed necessary for good early childhood science lessons are present. First, the elements of a good science lesson were gathered after much research in the field. These consisted of twenty-seven elements for planning design and twenty-nine elements for the science lesson. Second, these elements were evaluated by 5 expert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serve as science class consultants. Third, finally after evaluating the validity by the 10 teacher consultants, an analysis tool of science clas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fifty-six elements. The resulting validity by 5 experts and 10 teachers was above average. The test was also showed 3.6-4.7 highly.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 analysis Instruments to kindergarten science class was evaluated useful tool. In the future, study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analysis Instruments to kindergarten science class is needed. 본 연구는 유치원 과학수업 컨설팅 시 활용할 수 있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계획(안)과 실행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 개발을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과학내용, 유아이해, 수업설계 측면에서 관련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다시 실제 계획안 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단계, 즉 활동선정, 활동목표, 활동내용, 교육과정 관련요소, 교수방법, 수업자료 및 매체, 평가의 7개 절차별로 총 25개의 요소를 개발하였다. 또한 과학수업 실행 분석도구 개발을 위해, 역시 문헌 분석을 통해 과학수업 실행 순서인 도입, 전개, 마무리 측면에서 관련요소를 추출하고 3개 절차별로 총 29개의 요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분석도구는 교육과정 및 과학수업 전문가, 수업설계 전문가 5인과 유아과학수업 컨설턴트 교사 10인에 의한 1차 검토와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실제 컨설팅에 적용한 후 사용성 평가 및 심층면담을 통한 2차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과학수업 분석도구의 각 문항별 타당도는 3.7∼4.6으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사용성 평가에서도 4.36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과학수업 분석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근거와 기준, 수업진행순서와 수업분석 순서의 일치로 인한 수월성, 컨설턴트로서의 수업분석 능력 및 안목을 길러줄 수 있는 역할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과학수업 분석도구는 과학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컨설팅 방안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