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 경험

        정찬미 ( Chan Mi Jung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연구 기반 ‘실제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맥락적으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을 촉진함을 밝히고자 한 사례 연구다. 이에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7학년 6명에게 8개월간 적용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과학 교육 연구자인 멘토가스캐폴딩과 코칭을 제공하며, 멘티 학생들은 연구 문제 선정, 연구설계, 자료 수집과 분석, 논문 작성 및 학회 발표에 이르기까지 과학연구의 전체 과정을 수행한다. 연구 문제는 1)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연구 단계별 학습 상황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2)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각 학습 상황에서 ‘과정으로서 NOS’에 대해 어떤 관점을 구성하는가? 등이다. 수업 관찰, 사후 면담, 멘토의 성찰 보고서, 학생 산출물 등이 수집 및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들은 1) 연구 문제 망각과 혼란, 2) 자료 오류의 처리와 파기, 3) 연구자 입장에 따른 자료 해석, 4) 전반적 연구 경험과 논문 작성, 5) 학술대회 발표장에서의 경험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연구문제의 역할, 측정값의 유효성, 자료 해석에서의 주관성, 과학 지식의 생성과 동료 심사, 학술 대회의 의의 등 과정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학습했다. 참여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학습한 NOS 관점은 현대적 인식론에 가까웠다. 본 연구는 과학 연구의 구체적 상황과 과정으로서 NOS 학습을 관련지어 보여줌으로써 NOS의 맥락적 학습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가 하는 일과의 유사성이 아닌 학습자의 주체성 및 의미와 관련지어 ‘실제성’을 정의했고, 이렇듯 상황학습론적 가정에 입각한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NOS 학습을 촉진했다. 본 연구의 가정과 결과는 과학 교육에서 실제성의 의미와 실제적 과학 학습 환경의 구현 방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공적인 NOS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과 같이 1) 과학자가 하는 일의 주요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풍부한 맥락을 제공하고, 2) 반구조화된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학생이 연구의 주도권을 소유하도록 하며, 3) 과학 연구 내용이 연구자에게 관련되고 의미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examining how research-based ‘authentic’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textually facilitates students’ learning on NOS as a process. We develop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and applied it to six Korean 7th graders for 8 months. A mentor, who is also a researcher, provided scaffolding and coaching, and her mentees were to perform the whole process of science research, including selecting the research subject and questions, planning research design, doing experiments,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writing research paper, and experiencing poster presentation at an academic confere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would the students experience at every step of their research process?, and 2) Which perceptions would they construct NOS as a process? Data include classroom observations, interview, mentor’s journal, and students’ learning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mentees have experienced their views of NOS as a process in various ways such as role of research question and purpose, validity of measured value, researcher’s subjectivity in interpreting data, experience of making public and peer review, and significance of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has shown that students’ actual experience in scientific research enhanced their views about NOS as process without explicit and reflective approaches. We defined ‘authenticity’ associated with not only with its similarity to what scientists do but to learner’s identity as scientific researcher.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about the meaning of authenticity and embodying authentic context in science education for better NOS learning.

      • KCI등재후보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 기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근재(Ahn, Keunjae),강경희(Kang, Kyunghe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초·중등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지질공원 등 제주 지역의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J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중등 과학영재 79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초·중등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태도와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학적 태도에 대한 t-test 결과 사전 사후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개방성, 계속성, 비판성, 객관성, 협동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t-tes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과학적 태도 함양에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xperience-based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using local resources. It is also to examine the impact of this program o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an experience-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at utilizes local resources in the Jeju region such as World Geopark. In addition, the program was applied to 79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J University s Institute of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ingl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Pre-test and post-test of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was conduct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The t-test results for scientific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the sub-area of scientific attitud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nness, continuousness criticalness, objectivity and coopera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test on science related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xperience-based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students utilizing local resources is effective in cultivating scientific attitudes of the gifted.

      • KCI등재

        한국 법과학의 영역 간 통섭에 관한 연구

        박행렬(Park Haeng Ryeol)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1

        법과학(forensic science)은 '범죄수사 또는 재판에서의 법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이 응용되는 총체적 과학'이며, 이질성 · 응용성 · 총체성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지닌 분야이다. 통섭(consilience)은 영역 간에 경계를 허물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아야만 사물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새로운 영역도 창출해 낼 수 있다는 이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섭의 관점은 법과학 분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법과학은 그 개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사 · 재판 등 법의 영역에 속하는 기관과 과학수사 · 감정 · 연구 등 과학의 영역에 속하는 기관들이 상호 관계되는 분야이고, 또한 학문적으로는 법의학, 법생물학, 법화학 등 다양한 영역들이 들어와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법과학에 통섭의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범죄에 대한 통할적 이해를 통하여실체적 진실에 보다 쉽게 도달하고자 하는 것과 새로운 기술 및 영역 개발에 동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실천적 제안으로는 첫째, 관련 종사자들의 자기분야 외적 지식의 확장이 필요함을 들 수 있다. 즉 범죄수사관은 현장수사 및 증거분석 영역에 관한 일반 이론적 지식을 갖출 것, 현장감식요원 중 자연과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은 자연과학의 원리에 대한 학문적 기반을 갖추기 위해 관련 학위과정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이수할 것, 감정 및 연구인력 등은 범죄현장을 되도록 많이 경험할 것, 특히 국과수의 경우 신임감정연구원 때부터 인문사회과학적 · 경영학적 지식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들이 전략적 리더십을 갖춘 조직의 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것, 또한 현장감식요원 · 감정 및 연구인력 등은 공히 법, 특히 증거법에 관한 지식을 갖출 것 등이 요구된다. 둘째는 법과학 연구 및 기술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전국적으로 파악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한 상시적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는 기존에 같은 분야의 종사자들 위주로 하는 학술대회를 발전시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법과학에 대하여 생각하는 바를 들어볼 수 있도록 하는 통섭학술대회를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수사기관, 국과수, 대학, 관련 기술개발연구소가 하나의 공간 내에서 상호 융합하여 업무를 할 수 있는 통합공간을 건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천적 과제가 이루어진다면 한국 법과학은 현재의 수준을 뛰어넘어 세계 법과학 분야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Forensic science can be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a broad spectrum of sciences to the laws". It is characterized as application, multidiscipline and heterogeneity overlapping between law and science. Consilience plays a pivotal role in breaking down walls between realms and being able to look objectives with a whole viewpoint and opening up new realms. This point of consilience can be applied to forensic science. Because forensic science includes the legal realms such as investigation, prosecution and trial and the scientific realms such as crime scene investigation, the analysis of physical evidence and forensic research. Also because forensic science includes various disciplines such as biology, chemistry, medicine and so on. The purposes of applying the viewpoint of consilience to forensic science are in approaching substantial truth more easily through the whole viewpoint and developing new technology and opening up new realms. The practical proposals for consilience of forensic science is the following. First, the expansion of knowledge of forensic science personnel is needed. Crime investigators should enlarge their knowledge up to the realm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processing and the analysing processing of physical evidence. Crime scene investigators should enlarge their knowledge up to the realm of theory of natural science. The criminalists should enlarge their knowledge up to the realm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processing and have strategic thinking. The crime scene investigators and the criminalists also should enlarge their knowledge up to the realm of law of evidence. Second, construction of all time human networks between experts in forensic science is needed. Third, holding the regular forum to take professional advices of different realms is needed. Finally, building the space of integration is needed. The integration-building houses crime scene investigators, criminalists, forensic scientists, and professors. If this proposals are performed, Korean forensic science can leap up to the world-leading standard.

      • KCI등재

        과학에서 예술로의 이행(移行): 지구과학과 무용의 융합수업 모델

        임수진 ( Sujin Lim )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이 지향하는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융합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무용융합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마이크로티칭 수업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내용분석, 마이크로티칭 수업 구현,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념 이해 단계(Concept), 모델 구성 단계(Generation), 창작 단계(Creation), 시연 단계(Performance), 발표 단계(Announcement) 등으로 구성된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을 적용한 마이크로티칭의 융합수업을 통해 과학소양(scientific literacy)과 무용소양(dance literacy)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에서는 범교과의 학습주제를 통해 과학, 논리, 문학, 언어, 무용, 음악, 창의, 소통 등 다양한 학습방법과 인문적 교육활동이 융합된 교육의 통합성을 실천할 수 있다. 과학적 내용을 움직임으로, 음악적으로, 서사적으로, 그리고 문학적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고, 삶에서의 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안목과 융합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과 예술, 두 분야의 문헌을 바탕으로 융합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마이크로티칭에서 구현하여 실현가능성을 확인한 과학과 무용의 융합수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ance convergence class model that can cultivate convergent knowledge such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etc. which STEAM is aiming for and apply it to micro-teaching classes to seek its educational effect. For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micro-teaching class implementation,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u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was developed, consisting of Concept, Generation, Creation, Performance, and Announce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class of micro-teaching applied th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can foster both scientific literacy and dance literacy at the same time. Third, th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was able to practice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with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science, logic, literature, language, dance, music,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subject of learning in the pan-school department. By expressing scientific content musically, narratives, and literature, one can enhance the learn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and foster the insight and convergence thinking necessary to understand scientific phenomena in lif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cience and dance convergence class that has developed a convergence class model based on literature in two fields, science and art, and has been implemented in microteaching to confirm feasibility.

      • KCI등재

        스크래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노희진 ( Hee Jin Noh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수업에서 이루어졌으며,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과학 수업이 실행되었고, 이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의 자연계열을 희망하는 남학생이며, 4학급이다. 학생들이 수업과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 수업저널을 작성하였고, 이 수업저널을 분석하여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로 이루어진 학습과정, 스크래치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인식을 찾고 그에 대한시사점을 얻었다. 수업은 2단계로 진행되어졌다. 첫 단계는 과학적 문제를 스크래치로 해결해 보는 경험의 단계로,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비주얼 프로그래밍인 스크래치라는 도구를 활용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학생들이 자신의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산출물을 생성하게 된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흥미가 높았다. 학생들은 높아진 흥미로 수업에 참여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산출물을 얻는 과정에서 뿌듯함을 느꼈다. 둘째 이 수업에서 실제 학생들은 3단계를 거치며 학습하고 있었다. 이 3단계는 문제 인식, 문제 해결, 산출물 생성이었으며, 특히 문제 해결과정은 반복적이었으며 학생들에게 이 과정은 복잡하고 어려운 단계이다. 이 문제해결과정은 스크래치 측면(설계, 적용)과 과학 측면(자료 수집, 자료 해석)으로 구성되어지며, 설계, 자료 수집, 자료 해석, 적용의 단계가 순서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반복적인 과정에서 설계에 따라 과학적 지식을 조사하고 이해하여 프로그래밍에 적용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설계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적 지식을 더 오랫동안 기억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스크래치라는 프로그래밍 사용의 어려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처음 사용해보는 것이라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해석되어지며, 이것은 학생들이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을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에서 시작해 보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학생들은 이경험을 통해 자신의 미래의 직업과 관련 지었고, 컴퓨터공학 관련 직업을 갖지 않더라도 다양한 직업분야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결론적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은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제안 되어질 수 있고,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적 소양, 정보적 소양이 신장될 것이다. 스크래치와 같은 프로그래밍은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해석해볼 수 있고,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문제들을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디지털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며, 기술과 공학적 설계를 포함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실행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갖춘 인재를 키울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of high school science classes. These science classes progressed by using Scratch, and surveyed students` perception after finishing each cl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f male students who want to choos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in the next grade. Those classes are consisted of four classes. This study produced a journal, and contained expressions of their thinking and feeling based on experiences during attending classes and projects. Consequently, that journal was analyzed in view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cratch using science classes, and it was also included of utilizing Scratch program. Research shows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students preferred Scratch using class to general one. They attend more active with high interest, and they felt senses of accomplishment while they make output by themselves. Second, their studies passed through three stages. These are problem perception, problem solving, and producing. Problem solving stage is especially complicated and difficult stage to students. This stage is consisted of Scratch side and Science side. Scratch side has Design and applying process, and Science side has data gathering and analyzing. Students` comprehension of scientific knowledge is increased and is preserved long time through this stage. Last, students had a hard time using Scratch.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to them to use that program. Therefore, we deemed that they needed to start this kind of experience at lower grade than they are now, such as middle school stage. It is expected that this type of classes are getting more expanded and more populated as a part of students` core ability.

      • KCI등재후보

        남북 과학기술 기본법제 비교

        윤종민(Yoon Chong-Min)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 기술혁신학회지 Vol.9 No.3

        최근 과학기술이 국가발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커짐에 따라 각 국가들은 그에 대한 정책과 관련제도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남북한 역시 1990년대 후반부터 과학기술을 국가의 중요정책으로 취급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개편과 관련법령에 대한 정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논문은 남북 과학기술정책의 제도적 기반이 되는 과학기술 기본법제의 운영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남북 과학기술 협력 활성화 및 향후의 관련법제의 통일화에 대비한 양 법제간의 정합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남북 헌법상의 과학기술 관련규정과 과학기술에 관한 총괄규범으로서 기능하는 남한의 과학기술기본법과 북한의 과학기술법에 대하여 그 규정체계와 내용을 개관하고 상호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Recently, according as the weigh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national development has been more increased, each nation have consolidated policies and legal system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South and north korea have also treated science and technology as an important matter, and have continuously conducted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framework and related law and regulation since the latter of 1990's.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policy-making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application state of the fundamental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after review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not only of the provision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stitutional law but also the general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and north korea,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m.

      • KCI등재후보

        유아 교육 기관의 과학 영역 구성 실태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요구

        김영실,김정주,김미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과학영역 구성 실태 및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 한 유아교육기관 20곳의 만3, 4, 5세 반의 60개 교실과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영역을 관찰하고, 교사 면담을 하였다. 과학 영역 구성 실태파악을 위해서는 문헌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한 관찰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역이 설치되지 않은 곳도 상당수 있었으며, 다루고 있는 영역은 주로 생물학, 물리학이 대부분 이었다. 사용된 과학적 기술은 관찰이 가장 많았고, 기록방식으로는 글과 그림을 병행한 개인별 기록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활동들은 단시간에 결과 확인이 가능한 활동이 많았다. 또한 생활주제와 연관되지 않는 활동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 평가는 대부분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과학 영역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사의 요구에 대한 면담 결과, 유아교사들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실생활과 관련된 활동을 할 수 있는 자료보급과 실제 활동 중심의 연수를 희망하고 있었다.

      • KCI등재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 Eunju Jeong ),손정우 ( Jeongwoo S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2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S시의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실험집단, 3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하였고, 실험집단은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을 하였다. 수업 후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탐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환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scientific inquiry class using data measured with digital inquiry tools. To this end, three classe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s in S-city, Gyeongnam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three classes as control groups. The control group conducted traditional lecture-style classe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scientific inquiry classes using scientific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fter class. First, science inquiry classes using scientific data help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Second, scientific inquiry classes using scientific data impro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inquiry classes using scientific data are needed to improve the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coope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activate scientific inquiry class using data measured with digital inquiry t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통합과학은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까?: 적절한 통합과학 운영 방식과 교과 역량 함양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변태진,안유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implementing integrated science on how to properly operate integrated science and how 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mpetenci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all high school that need to organize and operate integrated science,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sh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integrated science based on their majors, but responded that it was most appropriate for a group of teachers with only general science qualification. Second, a group of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career, a group of teachers who have integrated science in 6 units, or a group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ing in a non-major field through an operation method dedicated to one person were agreed at a high rat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perceived that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students’ subject competenc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teachers who operated the integrated science in 8 units and experienced a method of sharing in their major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at it was necessary to encourage the organization of 8 units of integrated science, the programs for each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to teach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and that a gradual and diverse model of integrated science operation should be applied.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과학의 적절한 운영 방식과 과학과 교과 역량을 함양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통합과학의 실행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교사의 인식 규명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을 편성‧운영하여야 하는 전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과학 교사 1인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들은 전공 분야 위주로 통합과학의 성취기준을 분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공통과학 자격증만을 소지한 교사 집단은 1명이 전담하는 것을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10년 이상 경력 교사 집단과 통합과학을 6단위로 편성하거나 1명이 전담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비전공 분야의 교수를 경험한 교사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1명이 전담하는 방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동의하였다. 셋째, 통합과학을 8단위로 운영하고, 전공 분야 위주로 분담하는 방식을 경험한 교사 집단에서 학생들의 교과 역량 함양 정도가 유의하게 높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을 8단위의 기준 단위로 편성‧운영하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으며, 자연 현상의 통합적 이해를 교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각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점진적이고 다양한 통합과학 운영 모델이 적용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