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서로,오지현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과보호 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과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다 확장하여 부모성찰의 역할을 동시에 검증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아동기 과보호 경험이 현재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에 어떻게, 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을 임의로 선정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회수된 374개의 설문자료를 SPSS 20.0과 SPSS Macro version 3.5(Hayes, 2018)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 과보호는 정은영(2008)의 ‘자녀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를 권정숙(2019)이 수정한 척도, 자기분화는 정혜정과 조은경(2007)이 개발한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를 조성희(2011)가 수정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주희(2001)의 척도, 부모성찰은 신효미(201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매개모형, 조절모형, 조절된 매개모형의 유의성 검증은 SPSS PROCESS Macro의 모델4, 모델1, 모델 14를 활용하여 확인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와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는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가 자기분화를 통해 부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여 부모성찰 수준에 따라 자기분화와 부정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부모성찰 수준은 자기분화 수준과 부정적 양육행동 관계에서 완충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가 자기분화를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어머니가 과보호를 받아 자기분화 수준이 낮더라도 부모성찰 수준이 높으면 부정적 양육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뜻한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과보호로 인한 어머니의 낮은 자기분화 수준과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부모성찰의 역할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전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고 부모성찰을 돕는 부모교육 및 상담현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권정숙,조용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며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기혼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의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부 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부모화 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비합리적 신념을 통한 간접 적인 영향을 동시에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정적 양육행동에는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 과보호 경험과 부정적 양 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은 긍정 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 모두에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o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overprotective experience on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430 mothers who liv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 and parenting behavior. Second, in the path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rrational belief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irrational beliefs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through irrational beliefs. The pathway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rrational beliefs in path between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indirectly influ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 양육수준과 자녀의 도덕성 간 관계

        윤성연,정경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al overprotection on Korean college students’ moral behaviors. To test the prediction that overprotected participants will show more immoral behaviors in moral dilemma situations, we measured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veness and morality. Participants were 113 college freshmen. Two types of modified experimental paradigms were used to assess participants on their levels of justice-oriented and prosocial morality. Based on whether they displayed moral behavior (i.e., honest or helping behavior) or not,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either moral or immoral group. Second, the levels of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veness and paternal overprotectiveness were assessed using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 and were compared between moral and immoral group. For justice-oriented mor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mor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on compared to the moral group (t = 2.16, p < .05). On the contrast, paternal overprotection was not related to participants’ honesty.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overprotective parental care are more likely to act immorally in moral dilemma situations dealing with justice. Meanwhile, for prosocial morality, both maternal and paternal overprotection levels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Mo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과보호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생을 대상으로 도덕성을 대표하는 정의 위주 도덕성과 친사회적 도덕성을 행동 실험적 방법으로 측정하고 행동결과에 따라 도덕 집단을 분류하였다.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를 사용하여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과보호 수준이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참가자들은 대학교 1학년생 113명이었으며, 도덕적 딜레마가 제시된 실제와 유사한 실험상황에서 정의 위주 도덕성을 대표하는 정직행동과, 친사회적 도덕성을 대표하는 친사회적 도움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시험부정행위 실험과 무보상 실험참가 실험을 차용하였다. 연구 결과, 정의 위주 도덕성의 경우, 부정직 집단이 정직 집단에 비해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가 체면중시적이거나 부모-자녀 동일시 경향을 특징으로 하는 과보호 양육태도를 가졌다고 보고한 자녀가 부정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아버지의 과보호 양육태도는 자녀의 부정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친사회적 도덕성의 경우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태도는 자녀의 친사회적 도움행동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의의에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 과보호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김승아,김리진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과보호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J시와 W군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3~5세 유아의 어머니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rogram(ver. 23.0)과 Macro process(ver.4.2)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과보호 양육행동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아기취급 행동’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적 행동’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기취급 행동’관련 과보호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시 불안감을 느끼는 심리적 어려움이 자녀의 내재화된 문제행동을 높일 수 있음을 주목하며, 자녀의 연령에 맞지 않는 행동을 대신해주는 도움인 아기취급 행동보다 발달에 맞는 도움인 연령에 알맞은 도움을 주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보다 세분화하여 구분해서 살펴보아야 하는 필요성이 시사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others’-overprotective-parenting-behavio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parenting-anxiety and preschoolers’-internalizing- problematic-behavio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71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5 who were enrolled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J City and W County, Jeollabuk-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3.0) and the Macro process (ver.4.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een that the mother’s parenting-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child’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baby-behavior’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and ‘protective-behavior’ did not appear to have a mediating effect.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her’s parenting-anxiety and overprotection related to ‘baby behavior’ were mechanisms that influence the child’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 mother experiences when raising her child can increase the child’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Additionally, it is believed that rather than ‘baby behavior’, which is behavior that is not appropriate for the child’s age, parents’ ‘parenting behaviors’ that provide age-appropriate help that are appropriate for their child’s development should be examined in a more detailed manner.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양육수준에 따른 협력행동 및 갈등관리전략의 차이

        김혜성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high school students’ cooperation behaviors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al over-prot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K-POS was administered to a total number of 637 students (consisted of 281 first grade students and 356 second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in Seoul. Out of these students, 2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overprotected group, and another 2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Targeting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a public goods game task in social dilemma situations was carried out and the differences in cooperative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same time, tasks related to possible conflicts that may occur between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ers, or other adult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i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s we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cooperation behavior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the overprotected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relation to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s correlated with how overprotective their parents’ we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oper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effect was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 in other words, cooperative behavior increased with the grad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과보호 양육 수준에 따라 자녀의 협력행동 및 갈등관리전략에 차이가 있 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637명(1학년: 281명, 2학년: 356명)에게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를 실시하여, 과보호 집단 25명과 비과보호 집단 25명 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공공재 게임 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협력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동시에 부모, 또래, 기타 성인 간의 갈등과제를 제시하여 두 집 단 간 갈등관리전략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보호 집단과 비과보호 집단 간의 협력행동 및 갈 등관리전략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년에 따른 갈등관리전략의 차이는 부모의 과보 호적 양육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보호 집단과는 다르게 비과보호 집단에서만 학년이 높을수록 더 다양한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또, 협력행동의 경우, 학년에 따른 주효과 가 확인되었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협력행동이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의의에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용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경미,윤성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부모의 자녀에 대한 과보호적 양육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Korean- 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1에서는 다양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 과보호 양육태도의 특성을 파악하고 86문항을 작성하여 교육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만 15-17세의 학생(N=331)을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5개의 잠재 하위요인을 추출, 문항을 수정하여 33문항의 과보호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서울 소재의 6개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N= 458), 최종적으로 한국 과보호특성이 4요인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들은 성취지향, 체면문화, 통제, 동일시로 명명되었으며 문항변별도 확인 후, 각각 4문항, 4문항, 4문항, 3문항으로 총 15문항이 도출되었다. 추가적인 확인적 요인분석(N= 458)을 실시한 결과, 척도의 추출된 4요인 구조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연구 3을 통해 한국 과보호 척도(K-POS)의 유의한 수준의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기존 과보호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들의 하위 문항간의 상관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는 한국의 문화특수적 과보호 양육태도를 측정하기에 심리측정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 In study 1, several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of parental overprotection in Korea and the initial pool of items was constr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331) was conducted and yielded 5 factors with 33 items. The revised 33 items were administered to 956 adolescents whose data was split into two data sets. In Study 2, additional EFA and a CFA were conducted to finalize the instrument. An exploratory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n= 478) with promax rotation was conducted for mothers and fathers separately. Four factors-Identification (three items), Control (four items), Goal achieving (four items) and Face culture (four items)-were extracted, resulting in a 15-item scale. To validate the four-factor mode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n= 478) and good/moderate fit indices were found for both mothers and fathers. In study 3, evidence of K-POS’s moder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provid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김원영(Kim Wonyoung),김경식(Kim Kyung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부모의 청소년이 지각한 과보호 양육과 자아존중감, 우울이 공격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조절변수로 성별을 투입하여 남녀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4패널 중 2015년 조사된 6차 데이터(중학교 3학년) 총 2,06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과보호적이라 지각하는 청소년은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과보호 양육은 낮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공격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보호 양육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이것은 우울을 경험하게 하며, 이를 통해 공격성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변인관계에 대한 남녀 차이를 추가적으로 살펴 본 결과, 과보호 양육이 우울로 가는 경로와 자아존중감이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남녀학생 사이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청소년의 공격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요인인 과보호 양육과 우울 요인을 줄이고,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 높이는데 있어 남녀 간 차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Using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Youth as a basis for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aggression among Korean youth. More specific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analyzed the sixth wave data of the KYPS which included 2,061 middle first grad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dolescents who feel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a low level of self-esteem and a high level of depression.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ggression mediat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t is, students who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self-esteem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overprotective parenting appears to have a gender-differentiated effect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Males had effect than females had not effect. Self-esteem appears to have a gender-differentiated effect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Males had bigger effect size than fema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ing should be designed to address students’ internal problems by developing their self-esteem.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과보호양육, 자아탄력성, 우울, 공격성과 학교폭력가해의 구조적 관계

        김원영,윤하나,김경식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4

        본 연구는 KCYPS 제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모의 과보호양육이 자아탄력성, 우울,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살펴보고, 학교급별 차이를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확인하였다. 부모의 양육형태를 과보호적이라 지각한 학생은 자아탄력성이 낮으며 우울과 공격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가해행동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은 낮고 우울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이 높을수록 학교폭력가해행동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보호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경로와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급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대한 예방과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of parents perceived by domestic adolescents on school violence through self-resili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KCYPS 7th year data, and confirmed differences by school level as regulatory variables. Students who perceived overprotective in parents' parenting style have low self-resilience, and high levels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school violence. The higher the self-resilience,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aggression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school violence behavior.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in the path of overprotection on school violence and the path of self-resilience on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education of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buse behavior were explored.

      • KCI우수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 양육 태도에 따른 도덕적 행동의 차이

        김혜정,정경미,이승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protec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moral behavior, and also identified how morality priming influences their behavior.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 was administered to 1,035 high school students. 33 students who reported high K-POS score (1.5 SD above the mean) were assigned to overprotected group and non-overprotected group of 33 students was randomly selected from the students reporting scores within the average rang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ovide consultation to a partner under conflict of interest sit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overprotect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ursue private profits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 pursuit of private profits in overprotecte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morality priming. These results implied that parental overprotection negatively affect adolescents’ moral behavior and priming has an effect on promoting moral behavio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부모의 과보호를 지각한 고등학생과 아닌 학생들의 도덕적 행동의 차이를 탐색하고, 도덕성 점화 메시지가 도덕적 행동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1,035명에게 한국 과보호 양육 척도(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를 실시하고, 과보호 수준이 평균에서 1.5SD 이상인 학생(과보호 집단)과 평균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비과보호 집단)을 각각 33명씩 선발하였다. 그런 다음, 컴퓨터 과제를 통해 가상의 파트너에게 동전 개수를 자문해 줄 때 정확한 정보를 줄수록 자신의 이익이 줄어드는 이익 충돌 상황을 설정하고 두 집단의 도덕적 행동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보호 집단이 비과보호 집단에 비해 상대방에게 속인 동전의 개수가 유의미하게 많았으며, 이와 같은 과보호 집단의 사익 추구 행동은 도덕성 점화 메시지 제시 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과보호 양육 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도덕적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시사되었으며, 도덕성 점화 메시지가 도덕적 행동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단서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방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김원영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1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to reveal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mpathy,emotional contro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in the path ofoverprotective parenting leading to school violenc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13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verified through SPSS 21.0 and AMOS 21.0. The analysisresults showed that, first,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lowered empathy and communityconsciousness, and increased school viol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violence bystander, each variable of empathy,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influence as simple parameters. Third, it was found that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had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by sequentially mediating empathy, emotional control,and community consciousne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presented. 본 연구는 과보호 양육이 학교폭력방관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그 관계를 매개하는 공감능력,정서조절능력, 공동체의식의 상호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소재 중학생을313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후 SPSS 21.0과 AMOS 21.0 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과보호 양육태도는 공감능력과 공동체의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방관을 높이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보호양육태도와 학교폭력방관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공동체의식 각각의 변수는 단순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보호양육태도는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 공동체의식을 순차적으로 매개해 학교폭력방관에 유의한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