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배란에 대한 저반응군환자에 있어서 에스트로젠-프로제스트론 투여후 저용량의 Gond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와 고용량의 hMG 병합투여의 유용성

        이상훈(Sang Hoon Yi),허민(Min Hur),김연희(Yeon hee Kim),김동호(Dong ho Kim),배도환(Do hwan B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목적: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에 불량한 반응을 보이는 불임환자들, 즉 반응저하군에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을 투여후 저용량의 성선자극유리호르몬길항체와 고용량의 hMG를 투여하는 방식이 얼마나 과배란유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지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 1997년 5월에서 1999년 2월까지 중앙대학교 부속 필동병원을 방문한 불임환자중 이전의 2회이상의 과배란 유도에서 불량한 난소반응, 즉 채취된 난자가 2개 이하였던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16명에 속한 환자는 과배란 전주기에 에스트로젠-프로제스테론투여를 한후 저용량의 성선자극유리호르몬길항체와 고용량의 hMG를 투여하는 단기과배란유도를 시행하고, 대조군 10명에서는 통상적인 클로미펜과 hMG를 투여하는 과배란유도를 시행하고 질식 초음파하 난자채취후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과배란유도시 월경주기 5일째와 hCG 투여일 날 혈중 estrogen이 높은 농도를 보였고(304 148ng/ml vs 182 34.9ng/ml, 1324 320ng/ml vs 414ng/ml, p<0.05), 주기취소율이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13.2% vs 84.2%, p<0.05). 배아이식후 임신율은 두군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에스트로젠-프로제스테론 투여후 저용량의 성선자극유리호르몬효능제와 고용량의 hMG을 투여하는 과배란유도법으로 반응저하군의 불임환자들에게 효과적인 난소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가되고, 이 과배란유도법에 의한 임신율의 비교를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ow dose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GnRH-a) therapy combined with high dose human menopausal gonadotrpin(hMG) following estrogen & progesteron therapy for poor responders. Methods: From May 1997 to Feb 1999, 36 patients who were defined as poor responders on previous consecutive two and more superovulation cycles were randomly allocated to lowdose GnRH-a short protocol with high dose hMG protocol pretreated with estrogen & progesterone(E/P therapy)(n=16)(study group) and the clomiphene citrate with hMG(n=20)(control group). All patients were planned to undergone in-vitro- fertilization(IVF) and embryo transfer(ET)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Results: Two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clinical features and basal FSH and E2 levels. The mean level of E2 on day 5, 304.3±148.ng/ml in stud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182±34.9ng/ml. The mean levels of E2 on hCG day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than control group(1324±320ng/ml, vs 414±168ng/ml). The mean day of hCG day in study group, 12.3±0.3 was short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13.8±0.4. The concellation rates of cyc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tudy group than control group(13..2% vs 84.2%). But clinical pregnancy rates did no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a lowdose GnRH-a short protocol with high dose hMG pretreated with estrogen & progesterone can improve the ovarian response in poor responder group.

      • KCI등재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 예측인자로서 기저 및 탈감작후 황체화호르몬 농도

        이국원 ( Lee Gug Won ),서동수 ( Seo Dong Su ),조무성 ( Jo Mu Seong ),정은주 ( Jeong Eun Ju ),김기형 ( Kim Gi Hyeong ),이규섭 ( Lee Gyu Seob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3

        목적 : 기저 LH 혈중농도를 측정한 군과 GnRHa로 뇌하수체를 탈감작시킨후 월경 3일째 LH 혈중농도를 측정한 군에서 과배란유도에 따른 난소반응을 비교분석하여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의 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 유무를 평가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만 3년간 부산대학교병원 불임클리닉에서 체외수정시술을 목적으로 과배란유도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GnRHa를 이용한 뇌하수체의 탈감작후 과배란유도법인 황체기 장기투여법을 이용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과배란유도전 월경 3일째와 탈감작시킨후 월경 3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대상자는 여령이 43세 이하, 생리주기는 26-35일, 월경 3일째의 혈중 FSH와 LH의 농도가 10mIU/㎖ 이하로 제한하였으며, 체외수정시술의 적응증으로는 난관인자, 경증 자궁내막증, 원인불명의 불임증 및 경증의 남성 인자 등이었다. 이들 대상자를 기저 혈중 LH의 농도를 측정한 군과 GnRHa로 뇌하수체의 탈감작후 혈중 LH의 농도를 측정한 군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낮은 기저 LH의 농도를 가진 군에서 FSH:LH 농도비, 전체 사용된 외인성 성선자극호르몬의 투여용량과 투여기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CG 투여 당일의 E2의 농도는 유의하게 낮은 소견을 보였다. 그리고, 회수난자 및 성숙난자의 수와, mean cumulative embryo scores (MCES)도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뇌하수체 탈감작 기간, 난자의 수정률과 임상적 임신률은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임상적 임신률은 뇌하수체의 탈감작후 월경 3일째 혈중 LH 농도를 기준으로 삼았을 경우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 낮은 LH의 농도를 가진 군에서 난소반응이 유의하게 감소되어짐을 알 수 있고, 뇌하수체의 탈감작후 월경 3일째 혈중 LH 농도가 1 mIU/㎖를 기준으로 삼았을 경우 체외수정술의 임신율을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유의한 가치가 있었다. Objective : The effect of basal day 3 luteinizing hormone (LH) and pituitary desensitized day 3 LH level on ovarian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ere investigated.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1, 445 cycles for in vitro fertilization & embryo transfer (IVF-ET) were allocated to this study.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was performed using long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 All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had blood samples drawn on cycle day 3 prior to COH and cycle day 3 after pituitary desensitization with GnRGa for measurement of FSH and LH. Infertile women were younger than 43 years old, and had normal menstrual cycle, normal day 3 FSH &LH level (<10 mIU/㎖), infertility factor caused by tubal factor, mild endometriosis, unexplained infertility or mild male subfertility. The result of COH and IVF-ET were compared between low LH group and high L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basal LH (3 mIU/㎖) & down-regulated LH (1 mIU/㎖). Results : The low LH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FSH:LH ratio, higher dose of exogenous gonadotropin for pituitary desensitization, longer duration of gonadotropin administration. The peak estradiol, number of oocytes retrieved, number of MII oocyte, mean cumulative embryo score (MC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LH group than the high LH group.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ion in the duration of pituitary desensitization, fertilization rate and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er cycle was not correlated with the value of basal LH concentration, but correlated with the value of down-regulated LH concentration. Conclusion : The lower LH activity (basal LH<3 mIU/㎖, down-regulated LH<1 mIU/㎖)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duced ovarian response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after desensitization with GnRHa. These result suggest that down-regulated LH level 1 mIU/㎖ may be a useful predictor of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re cycle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 KCI등재

        불임환자에 있어 과배란유도후 자궁강내 인공수정술시 임신율

        최영민(Young Min Choi),이지영(Ji Young Lee),구승엽(Seung Yup Ku),서창석(Chang Suk Suh),김석현(Seok Hyun Kim),김정구(Jung Gu Kim),문신용(Shin Yong Moon),이진용(Jin Yo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임력 저하인 불임환자에서 과배란유도후 자궁강내 인공수정술후 임신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3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48명의 대상환자에서 총 72주기의 과배란유도후 자궁강내 인공수정술을 시행하였다. 월경주기 제 3일째부터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유도를 시작하였으며, 15주기에서는 과배란유도시 GnRH agonist 사용을 병합하였다. 결과: 시술주기당 임신율은 33.3% (24/72)였고 시술환자당 임신율은 45.8% (22/48)였다. 불임의 원인으로는 배란장애 19명, 원인불명의 불임 19명, 자궁내막증 8명 등이었다. 불임원인별 주기당 임신율은 배란장애인 경우 43.9% (17/41), 원인불명의 불임인 경우 31.6% (6/19), 자궁내막증의 경우 10% (1/10)로서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가장 낮은 임신율을 보였다. 과배란유도시 GnRH agonist를 사용한 환자군의 임신율은 40.0% (6/15)로 사용하지 않은 군의 31.6% (18/57)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hCG 투여일에 시행한 질식 초음파상 16 mm이상인 난포수가 1개일 때 주기당 임신율은 9.1%, 2개일 때 41.7%, 3개일 때 42.9%, 4개 이상일 때 46.2%로서 난포수에 따라 임신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2개 이상일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생존표 분석 (life table analysis)으로 얻어진 누적 임신율은 1주기 시행후 25.0%, 2주기후 46.9%, 3주기후 61.1% 4주기 이상후 74.1%였다. 결론: 과배란유도후 자궁강내 인공수정술은 가임력 저하인 불임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 시도 이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불임치료법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in infertil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two cycles of superovulation with IUI in 48 infertile couples in which gonadotrophins were used for hyperstimulation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sults: Overall clinical pregnancy rate was 33.3% per cycle and 45.8% per patient. By the infertility factor, patients with endometriosis showed the lowest pregnancy rate (10%). Cumulative pregnancy rate (CPR), obtained by life-table analysis, increased as the number of cycles increased: 25.0% for one cycle, 33.3% for two cycle, 40% for three cycle and 50% for more than four cycle. Conclusions: Superovulation with IUI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in patients with subfecundity, and is worth while trying prior to in vitro fertilization procedure in those patients.

      • KCI등재

        클로미펜에 얇은 자궁내막을 보이는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시 클로미펜과 레트로졸의 임상적 효용성

        이은주,박현종,양효인,이경은,서석교,김혜연,조시현,최영식,이병석,박기현,조동제,Lee, Eun-Joo,Park, Hyun-Jong,Yang, Hyo-In,Lee, Kyung-Eun,Seo, Seok-Kyo,Kim, Hye-Yeon,Cho, Si-Hyun,Choi, Young-Sik,Lee, Byung-Seok,Park, Ki-Hyun,Cho, Dong-Ja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2

        목 적: 클로미펜을 사용한 배란유도시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환자들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클로미펜 또는 레트로졸을 병합 투여하는 과배란유도 방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전의 클로미펜을 사용한 배란유도 주기에서 8 mm 미만의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불임 환자들에서 시행된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인공수정 51주기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월경주기 제3일째부터 5일 동안 클로미펜+성선자극호르몬 군은 일일 클로미펜 100 mg을 투여하였고 (n=26) 레트로졸+성선자극호르몬 군은 일일 레트로졸 2.5 mg 또는 5 mg을 투여하였다 (n=25). 양 군에서 월경주기 제5~7일째부터 우성난포의 크기가 18 mm 이상에 도달할 때까지 이틀에 한 번씩 성선자극호르몬은 75~150 IU를 투여하였다. 양 군에서 성선자극호르몬 총 사용량, 자궁내막의 두께, 자궁내막의 형태, hCG 투여일의 14 mm 이상 난포의 수, hCG 투여일, 임신율, 다태 임신율을 비교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Mann-Whitney U test or Fisher's exact test 등을 이용하였다. 결 과: 연령, 불임기간, 이전 인공수정 횟수, 기저 혈중 LH, FSH, $E_2$ 농도, 불임의 원인 등의 임상적 특성은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성선자극호르몬 병합 과배란유도시 배란전 자궁내막의 두께는 이전의 클로미펜을 사용한 주기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성선자극호르몬 총 사용량, hCG 투여일, 자궁내막의 삼중선 비율, 임신율 및 다태 임신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클로미펜+성선자극호르몬 군에 비하여 레트로졸+성선자극호르몬 군에서 14 mm 이상 난포의 개수는 유의하게 적었고 ($3.7{\pm}1.7$ vs. $2.8{\pm}1.7$, p=0.03). 배란 전 자궁내막 두께는 유의하게 두꺼웠다 ($7.7{\pm}1.5\;mm$ vs. $9.1{\pm}1.7\;mm$, p<0.05). 결 론: 배란유도를 위하여 클로미펜 사용시 얇은 자궁내막을 보였던 환자들에서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시클로미펜 또는 레트로졸을 성선자극호르몬과 병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클로미펜의 자궁내막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를 피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적절한 자궁내막의 발달 및 적절한 난포의 성장 측면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레트로졸을 병합하는 과배란유도 방법이 클로미펜을 병합하는 방법에 비하여 더 유용할 수 있으나 추가적인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of clomiphene citrate (CC) and letrozo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in patients with CC-induced thin endometrium Methods: Fifty-one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s performed in patients who previously had a thin endometrium (<8 mm) to ovulation induction using C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CC 100 mg/day (CC+gonadotropin group, n=26) or letrozole 2.5 or 5 mg/day (letrozole+gonadotropin group, n=25) was administered on day 3~7 of the menstrual cyc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at dose 75~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7. We compared total dose of gonadotropin used, endometrial thickness, endometrial pattern, number of follicles ${\geq}14\;mm$ on hCG day, pregnancy rat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ann-Whitney U test or Fisher's exact test, where appropriat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duration of infertility, number of previous IUI cycles, basal serum hormone levels and cause of infertil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groups, the endometrium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previous ovulation induction cycles using CC.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dose of gonadotropin used, day of hCG administration, the rate of triple endometrium and pregnancy rate. The number of follicles ${\geq}14\;mm$ was significantly lower ($3.7{\pm}1.7$ vs. $2.8{\pm}1.7$, p=0.03) and the endometrium on hCG day was significantly thicker ($7.7{\pm}1.5$ vs. $9.1{\pm}1.7$, p=0.001) in letrozole+gonadotropin group compared to CC+gonadotropin group. Conclusion: The clomiphene citrate and letrozole combined with gonadotropins appear to avoid the undesirable effects on the endometrium frequently seen with CC for ovulation induction. However, in terms of adequate endometrial development or optimal follicular growth, letrozole may be more beneficial than CC for gonadotropin-combined COS in patients with CC-induced thin endometrium.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in a larger scale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our findings.

      • KCI등재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의 예후인자로서 기저 혈중 황체화호르몬의 임상적 의의

        김정훈(Chung Hoon Kim),채희동(Hee Dong Chae),강병문(Byung Moon Kang),장윤석(Yoon Seok Chang),강은희(Eun Hee Kang),서미덕(Mi Duk Seo),황보천(Cheon Hwangb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 기저 혈중 난포자극호르몬 농도가 정상인 환자에서 기저 혈중 황체화호르몬 농도가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의 예측인자로서 유용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에서 난관인자를 이유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였던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난관인자 이외의 다른 불임의 원인이 있는 경우, 나이가 40세 이상인 경우, 갑상성기능항진증 및 저하증, 당뇨병 등과 같은 내과적 질환이 동반된 경우, 기저 혈중 난포자극호르몬 농도가 8.5 mIU/ml 이상인 경우, 기저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50 pg/ml 이상인 경우는 본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총 91명의 환자들을 기저 혈중 황체화호르몬치가 3.0 mIU/ml 미만인 저황체화호르몬군 (n=38)과 3.0 mIU/ml 이상인 대조군 (n=53)의 두군으로 분류한 후, 두군간에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과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의 연령, 배우자들의 연령, 불임기간, 원발성 불임의 비율, 내분비학적 특성 및 배우자의 정액검사 소견 등의 비교에 있어 기저 혈중 황체화호르몬 농도를 제외하고는 양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황체화호르몬군의 경우 61주기, 대조군의 경우 78주기의 체외수정시술이 시행되었는데, 과배란유도를 위하여 사용된 외인성 성선자극호르몬의 총 투여용량은 저황체화호르몬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p < 0.001), 투여기간도 저황체화호르몬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p < 0.005). 인간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투여일에 질식초음파로 관찰된 평균직경이 14mm 이상인 우성난포의 수는 저황체화호르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으며 (p < 0.001), 혈중 에스트라디올치도 저황체화호르몬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05). 회수된 난자의 수, 수정된 난자의 수 그리고 동결보존된 수정란의 수에 있어서도 저황체화호르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적었다 (p < 0.001; p < 0.001; p < 0.005). 저황체화호르몬군의 경우 시술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은 26.2%로 대조군의 39.7%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p=0.13). 임상적 임신당 다태임신율과 자연유산율에 있어서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3 mIU/ml 미만의 낮은 기저 혈중 황체화호르몬 농도는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 반응의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라는 것을 보여준다.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the basal serum luteinizing hormone (LH) levels in the presence of normal serum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are useful as a prognostic indicator of ovarian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Methods: From January 1997 to January 1999, 91 infertile women with tubal factor who had undergone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COH was performed using long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All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had blood samples drawn on cycle day 2 or 3 prior to COH for measurement of basal FSH and LH. Women who had other infertility factors or high basal FSH levels (≥ 8.5 mIU/ml)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The results of COH and IVF-ET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basal LH (low LH group [< 3mIU/ml] vs. control group [≥ 3mIU/ml]). Results: Patien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able in both groups except basal LH level. The number of ampules and duration of exogenous gonadotropins require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LH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01; p<0.005, respectively). The number of follicles ≥ 14mm diameter on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njection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low LH group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01). The serum estradiol level on the day of hCG injection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LH group, with 1115.5 ± 380.9 pg/ml compared with 1340.6 ± 403.0 pg/ml in the control group (p<0.005).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numbers in oocytes retrieved, oocytes fertilized and embryos frozen in the low LH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 0.001; < 0.001; <0.005,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ertiliz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er cycle seemed to be lower in the low LH group, but the difference did not achieve significance (26.2% vs 39.7%).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iscarriage rat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low basal LH levels ( < 3 mIU/ml) could be predictive of low ovarian response to COH and poor IVF results.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시 정상 난소 반응 예측 환자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와 agonist 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선미 ( Kim Seon Mi ),김석현 ( Kim Seog Hy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5

        목적 : 체외수정시술을 위해 과배란유도를 시행받는 불임 여성 중 정상 난소 반응이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nRH antagonist 요법을 적용하였을 때 현재 표준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GnRH antagonist 요법과 비교하여 임상적 효용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불임클리닉에서 체외수정 시술을 처음으로 시행 받은 105명의 불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배란유도를 위하여 GnRH antagonist 다회투여요법이 적용된 연구군 (n=51)의 경우 우성 난포가 12-14 mm에 도달하는 날부터 hCG투여일까지 GnRH antagonist인 cetrorelix 또는 ganirelix를 매일 0.25 mg 피하주사 하였다. GnRH antagonist 장기투여법으로 치료받은 대조군(n=54)에서는 이전 주기의 황체기 중기부터 triptorelin 0.1 mg을 투여하여 먼저 뇌하수체 억제를 유도하였고 hCG투여일까지 지속하였다. 두 군간 과배란유도 및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대하여 후향적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각 그룹의 평균치에 대하여 Student`s t-test 및 chi-square test를 시행하고 p<0.05인 경우를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환자의 연령, 분만력, 체질량지수 등의 임상적 특성에 있어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군에서 투여된 성선자극호르몬의 총용량은 1818.1±812.3 IU로 대조군의 2420.2±839.2 IU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선자극호르몬 투여 기간도 연구군에서 8.9±2.1일로 대조군에서의 10.9±1.6일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HCG 투여일의 혈중 E_2 농도와 자궁내막 두께는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이식된 배아의 수와 누적배아지수 (cumulative embryo score, CES)도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회수된 난자의 수, 수정율, 착상율, 임신율 등의 과배란유도 결과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태임신율이나 난소 과자극증후군의 발생빈도에 있어서도 두 군간에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체외수정시술 시 GnRH antagonist를 이용한 과배란유도는 정상 난소반응이 예측되는 환자의 체외 수정시술에 있어 기존의 GnRH antagonist 요법과 비슷한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약물 투여의 기간과 용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으로 선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assess the efficacy of GnRH antagonist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for IVF-ET compared with GnRH agonist in infertile patients who are expected to have normal ovarian response.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105 cycles of 105 women who underwent IVF-ET for the first time in SNUH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3. In the study group (n=51), a daily dose of 0.25 mg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or ganirelix) was administered beginning when leading follicles reached mean diameter of 13-14 mm and continued until the day of hCG injection. In the control group (n=54), patients were first desensitized with GnRH agonist (triptorelin) long protocol, which was continued during the gonadotropins treatment until the day of hCG injection. The outcome parameters of COH and IVF-ET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for the comparison of means, and the chi-square test where 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n respect to age, parity, body mass index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able. In the study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dosages of gonadotropins used (1818.1±812.3 IU vs. 2420.2±839.2 IU)and the duration of COH (8.9±2.1 days vs. 10.9±1.6 days). The mean serum level of estradiol and endometrial thickness on hCG da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udy group.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and CES (cumulative embryo sco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udy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the fertilization, implantation, and clinical pregnancy rates, and the incidence of OH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For patients who are expected to have normal ovarian response, a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in flexible fashion can be used as a protocol of choice inCOH for IVF-ET. This protocol showed comparable pregnancy rate as GnRH agonist long protocol. However, the mean number of gonadotropin ampules administered and the mean number of stimulation days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GnRH antagonist group optimizing the convenience for the patients.

      • SCOPUSKCI등재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evels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s

        김현준,지병철,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Kim, Hyun-Jun,Jee, Byung-Chul,Suh, Chang-Suk,Kim, Seok-Hyun,Choi, Young-Min,Kim, Jung-Gu,Moon, Shin-Yong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1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rum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easured at ovulation triggering day reflect ovarian response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Forty-nine fertile women who undergoing superovulation and IUI were included. Superovulation was performed using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in combination with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Serum samples were obtained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and the levels of VEGF-A and estradiol were measured.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 $\geq$17 mm in diameter were also counted. Results: Serum VEGF-A levels did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s of mature follicle count nor serum estradiol levels. Serum estradiol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ture follicle count. Serum VEGF-A levels tended to be lower in women with mature follicle count less than three or women with more than five.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serum VEGF-A levels do not have an association with superovulation outcome in IUI cycles. However, a tendency of lower VEGF-A level in poor and high responder suggests that those with extreme response to superovulation may be related with abnormal angiogenesis. Further studies should be warranted in larger populations. 목 적: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혈청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농도가 과배란유도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 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은 49 명의 불임여성을 대상으로 hCG 투여 일에 혈청을 얻어 VEGF-A 및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다. 과배란유도는 clomiphene citrate (100 mg/d on day 3$\sim$7) 와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150 IU every other day starting on day 5) 병합요법을 이용하였다. hCG 투여 일에 17mm 이상의 성숙난포 수와 자궁내막 두께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 과: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 estradiol 농도 및 자궁내막 두께와는 무관하였던 반면 성숙난포 수와 estradiol 농도는 양의 비례관계를 보였다. 혈청 VEGF-A 농도는 성숙난포 수가 2 개 이하인 저 반응 군과 6 개 이상인 고 반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 론: 혈청 VEGF-A 농도는 자궁강 내 인공수정 시술 시 과배란유도의 결과와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지만 저 반응 군과 고 반응 군에서 낮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과배란유도에서 난포액내 VEGF 농도와 난소반응 및 연령과의 상관관계

        하충식 ( Choong Sik Ha ),이동형 ( Dong Hyung Lee ),신병섭 ( Byoung Sub Shin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2

        목적: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를 시행 받는 여성에서 난포액내 VEGF 농도와 난소반응 및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창원 한마음병원 및 부산대학교병원 불임클리닉에서 2003년 8월부터 12월까지 체외수정술을 받은 72주기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난자 채취 시 난포의 크기별로 구분하여 난포액을 회수한 후 난포액내 VEGF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를 시행 받는 여성에서 난포액내 VEGF 농도와 Objective: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concentrations in follicular fluid (FF) with the ovarian response as well as the age in women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Methods: This study wa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시 과배란유도후 얻은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능 및 수정률: 두 배양액의 비교

        한상훈 ( Sang Hoon Han ),김현준 ( Hyun Jun Kim ),문정희 ( Jung Hee Moon ),지병철 ( Byung Chul Jee ),구승엽 ( Seung Yup Ku ),서창석 ( Chang Suk Suh ),김석현 ( Seok Hyun Kim ),최영민 ( Yong Min Choi ),김정구 ( Jung Ku Kim ),문신용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인간의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에 대한 최적의 배양조건은 연구 중이다. 과배란 유도를 통한 체외수정시술시 얻은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 배양액의 종류 (pyruvate가 많은 YS 배양액과 glucose가 많은 G2배양액)에 따른 체외성숙능 및 수정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67주기의 과배란유도를 시행하였고, 143개의 미성숙난자 (GV와 metaphase I)를 채취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32.5±3.7세이다. 과배란 유도는 2003년 6월부터 2005년 8월 동안에 hMG또는 rFSH와 GnRH antagonist를 사용하였고, 배란촉발은 rhCG 또는 uhCG를 사용하였다. 채취된 미성숙난자는 YS 또는 G2 배양액에 4-24시간동안 배양되었고, ICSI시술을 통하여 수정을 시도하였다. 두 종류의 배양액 모두 30%의 환자의 난포액이 사용되었고, rFSH (1 IU/mL), rLH (1 IU/mL), rEGF (10 ng/mL)를 사용하였다. 결과: YS와 G2 배양액의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률은 67%와 66%이고, 수정률은 61%와 61%로 두 배양액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과배란 유도 후 얻은 미성숙난자는 pyruvate가 많은 YS 배양액과 glucose가 많은 G2배양액 모두에서 성숙률은 비슷하였다.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을 위한 최적의 배양액을 찾기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human immature oocytes are still investigating. We compared retrospectively the efficacy of two culture media (pyruvate-dominant YS media vs glucose-dominant G2 media) on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rate of immature oocytes obtained from stimulated IVF cycles. Methods: One hundred forty-three immature oocytes (including GV and metaphase I) were obtained from 67 cycles of IVF-ET (52 patients). The mean age of female was 32.5±3.7 years. Ovarian hyperst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hMG or rFSH with GnRH antagonist and then ovulation was triggered by urinary or rhCG. Immature oocytes were cultured for 4-24 hrs and then fertilized by ICSI. We used YS media between July 2003 and September 2004, and G2 media between October 2004 and August 2005. Each media was prepared containing 30% of patients` follicular fluid, rFSH (1 IU/mL), rLH (1 IU/mL) and rEGF (10 ng/mL). Results: The in vitro maturation rate of immature oocytes (67% vs 66%) and their fertilization rate (61% vs 61%) was not different between YS and G2 media. Conclusion: Immature oocytes seem to have a similar developmental competency in each of pyruvate dominant YS and glucose dominant G2 media containing human follicular fluid. Further investigations will be warranted to find the optimal media which can increase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immature oocytes.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에 있어 GnRH Antagonist 다회투여법과 GnRH Agonist 장기요법의 비교연구

        이방현 ( Bang Hyun Lee ),김정훈 ( Chung Hoon Kim ),오영미 ( Young Mi Oh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6

        목적 :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방법으로 GnRH antagonist 다회투여법을 표준화된 GnRH-a 장기요법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방법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및 방법 : 체외수정시술 대상환자들 중 난관인자만이 불임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배란유도를 위하여 GnRH antagonist 다회투여법이 시행되었던 연구군 (n=28)의 경우 가장 큰 난포의 평균직경이 14 mm에 도달한 날부터 hunan cho Objective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MDP)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fo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comparing with the standard GnRH agonist long protocol (GnRH-a LP). 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