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직장 수용성 적응도

        문원 ( Won Moon ),이오영 ( Oh Young Lee ),김정미 ( Jung Mi Kim ),고동희 ( Dong Hee Koh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민호 ( Min Ho Lee ),이동후 ( Dong Ho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2

        목적 :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태 생리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아형에 따라 같은 병태 생리를 공유하는지 각각 다른 병태생리를 갖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최근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내장 과민성이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인과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의 차이 및 과민성 장 증후군 증상과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의 상관관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기질적 질환이 배제된 로마 II 기준에 합당한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 23명(여자 11명, 남자 12명, 평균연령 35.9세)과 소화기 증상이 없고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9명(여자 2명, 남자 7명, 평균연령 33.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장에 풍선을 삽입하고 바로스타트를 이용하여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를 측정하였고,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지난 3개월 동안 전반적인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23명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 중 남자 12명, 여자 11명이었다. 이 중 변비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12명(남자 2명, 여자 10명),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11명(남자 9명, 여자 2명)이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군의 직장 수용성 적응도는 평균 1.1 mL/s로 측정되었으며, 정상 대조군의 직장 수용성 적응도는 1.4 mL/s로 측정되어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직장 수용성 적응도가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13).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아형에 따른 직장 수용성 적응도는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1.0 mL/s로 정상 대조군 1.4 mL/s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와 환자가 호소하는 전반적인 증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직장 확장 동안 복부 불편감이나 통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r=-0.3, p=0.08). 결론 :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Background/Aims: Visceral hypersensitivity has been proposed as a biologic marker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atients with IBS have lower threshold for perception and increased sensation of discomfort. Our aim was to investigate if IBS patients have different rectal accommodation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or if the differences exist in rectal accommodation according to the IBS subtypes. Methods: Twenty three Rome II positive IBS patients and 9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 rectal bag catheter was placed, and then bag inflation was performed via a barostat.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ctal accommodation between IBS patients (1.1 mL/s) and the normal controls (1.4 mL/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tal accommodation between diarrhea predominant IBS patients (1.0 mL/s) and the normal controls (1.4 mL/s)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ectal accommodation and the severity of overall gastrointestinal symptoms, but the severity of abdominal discomfort or pain during rectal distension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rectal accommodation (p=0.08). Conclusion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IBS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n rectal accommodation. But, lowered rectal accommodation was significant in diarrhea predominant-IBS patinet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32-137)

      • SCIESCOPUSKCI등재

        과민성 장 증후군 아형에 따른 구불창자 수용성 적응도의 차이

        전대원 ( Dae Won Jun ),이오영 ( Oh Young Lee ),양선영 ( Sun Young Yang ),한성희 ( Sung Hee Han ),노병주 ( Byung Joo Roh ),윤창옥 ( Chang Ok Yoon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태 생리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도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는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구불창자의 수용성 적응도(accommodation)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지만 아직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아형에 따른 수용성 적응도의 차이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위장 증상이 없는 7명의 건강한 대조군(평균연령 36.7세, 남자 4명, 여자 3명)과 로마 II 기준에 의한 15명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평균연령 36.8세, 남자 8명, 여자 7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불창자에 풍선을 삽입하고 바로스타트(barostat) 를 이용하여 구불창자의 수용성 적응도를 측정 하였다.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지난 3개월 동안 증상 정도와 주당 평균 배변 횟수를 측정였다. 결과: 15명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 중 변비형이 8명(남자 2명, 여자6명), 설사형이 7명(남자 6명, 여자 1명)이었다. 구불창자의 수용성 적응도는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정상대조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정상 대조군 1.3 ml/s, 과민성 장 증후군 1.0 ml/s, p=0.024). 구불창자 수용성 조절능은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정상 대조군 1.3 ml/s,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0.9 ml/s, p=0.051). 변비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경우 정상대조군(정상 대조군 1.3 ml/s, 변비형 과민성 장 증후군 1.1 ml/s, p=0.08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불창자 수용성 조절능은 환자가 호소하는 소화기 증상과 배변횟수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변비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는 배변 횟수와 연관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r=0.7, p=0.052). 결론: 구불창자의 수용성 적응도는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정상대조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특히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구불창자의 수용성 적응도가 낮았다. Background/Aims: A contentious issue in medicine is whether or not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have abnormal motor physiology, and also whether the sensory and motor physiologies are different between the patients suffering with the various subtypes of IBS. Our aim was to investigate if IBS patients have different sigmoid accommodation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or if the differences exist in sigmoid accommodation according to the IBS subtype. Methods: Fifteen Rome II positive IBS patients and 7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 sigmoid bag catheter was endoscopically placed, and then bag inflation was performed via a barostat. Sigmoid accommoda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rapid phasic distention method. Results: In the IBS patients, sigmoid accommodation (1.0 ml/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s (1.3 ml/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gmoid accommodation according to the IBS subtype, but the IBS patients with predominate symptoms of diarrhea had a tendency for lower sigmoid accommodation (p=0.051).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stool frequency did not seem to have any correlation with sigmoid accommodation. However, for the IBS patients with predominate symptoms of constipation, the stool frequency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the sigmoid accommodation (p=0.052). Conclusions: Sigmoid accommod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BS patients. The result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finding that the IBS patients with predominate symptoms of diarrhea exhibit a tendency for lower sigmoid accommodat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29-134)

      • KCI등재

        성인의 과민성방광증후군의 관련 요인 및 삶의 질

        김선아,도현진,임열리,최재경,조희경,권혁중,조동영,김동욱,김은해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1

        Background: Overactive bladder syndrome (OAB) is a common disorder in primary care that affects nega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of outpatient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related factors and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overactive blad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 nd related factors of overactive bladder an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overactive bladder. Methods: Among the people who visited a hospital in Seoul and Chung-ju for a health examination or primary care between October 1 and December 31, 2008, we selected 327 participants over 20 years old. We measured their Overactive Bladder Questionnaire (OAB-q), took medical history and reviewed their demographic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OAB, other independent variabl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L) were analyzed. Results: Of 327 respondents, the prevalence of OAB in adults was 38 (11.6%). The factors related to OAB were age (P = 0.007), history of prescription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P = 0.023),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P = 0.002), and depression (P = 0.008). OAB was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BPH medication (P = 0.042; OR = 8.757) and depression medication (P = 0.005; OR = 9.977)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each T-test analysis, OAB decreased in HRQL. Conclusion: OAB is a common disorder in adults, history of BPH medication and depression medication is more common in OAB. The symptoms that were suggestive of OAB were affected nega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Effective health care polices and prompt management of OAB should be implemented. 연구배경: 과민성방광증후군(overactive bladder syndrome)은 일차 의료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이며 과민성방광증 후군의 증상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성인에서의 과민성방광증후군과 관련된 인자 및 삶의 질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에 서의 과민성방광증후군의 관련 인자를 찾고, 과민성방광증후 군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한다. 방법: 2008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서울 및 충주 일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환자 396명을 대상으로 인구 학적 특성을 묻는 설문지와 Overactive Bladder Questionnaire (OAB-q)를 시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설문 누락이나 통계 불가 한 69명(17.4%)을 제외한 327명을 대상으로 과민성방광증후 군의 관련 인자 및 삶의 질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통계 분석하 였다. 결과: 총 327명 중, 과민성방광증후군으로 진단된 수는 38 (11.6%)명이었다. 과민성방광증후군은 연령대(P=0.007), 심 부전증 약제 복용력(P=0.023), 전립선비대증 약제 복용력 (P=0.002) 및 우울증 약제 복용력(P=0.008) 등과 관련 있는 것 으로 나왔으며, 이를 연관 변수로 보정한 결과 전립선비대 증 약제 복용력(P=0.042; OR=8.757) 및 우울증 약제 복용력 (P=0.005; OR=9.977)과 연관성 있는 것으로 나왔다. 과민성방 광증후군으로 진단된 군에서 정상인 군에 비하여 삶의 질이 확실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성인에서 과민성방광증후군은 일반적으로 흔하게 접 할 수 있는 질병이며, 전립선비대증 약제 복용력 및 우울증 약 제 복용력이 있는 경우 더 흔하게 관찰되었고, 과민성방광증 후군과 관련된 증상들로 인하여 삶의 질의 감소가 나타났다. 과민성방광증후군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을 적절히 파악하고, 관련인자를 분석하여 예방책과 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이다.

      • SCIESCOPUSKCI등재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장 점막 비만세포

        최재홍 ( Jae Hong Choi ),나병규 ( Byung Kyu Nah ),임정묵 ( Jung Muk Leem ),배상석 ( Sang Seok Bae ),최기원 ( Ki Won Choi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성노현 ( Ro Hyun Su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과민성 장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아직까지 그 원인이나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한 상황이다. 비만세포는 장관 신경과 평활근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매개체를 가지며 장관 신경과 근육과도 상호작용을 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인에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세포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의 대장 점막에서 정상 및 염증성 질환 환자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충북대학교 병원 내과에서 진료 받은 환자들 중 Rome II 진단 기준에 합당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는 16명, 정상 대조군 8명, 염증성 대조군은 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맹장, 상행, 하행 결장과 직장 부위에서 생검을 하였다. 비만세포는 트립타제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 염색법으로 관찰하였고, H&E 염색을 통하여 중성구, 림프구, 형질세포와 호산구의 수를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만세포수는 하행 결장에서만 과민성 장 증후군(15.2±4.0)에서 정상 대조군(10.9±2.7)과 염증성 대조군(11.0±2.9)보다 유의하게( p=0.02) 높았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세포를 제외하고는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다른 염증세포의 침윤이 증가해 있지는 않았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의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 맹장 부위에서의 비만세포수가 변비형(21.3±3.4)과 통증형(22.7±2.5)이 설사형(14.6±4.2)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결론: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다른 염증성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행 결장의 점막에서 비만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별 아형에 따른 비교에서는 변비형과 통증형이 설사형 보다 맹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비만세포가 병인에 관여하며 증상의 아형별에 따라서 그 관여정도가 차이가 존재할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 ound/Aims: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ubiquitous but the pathophysiology remains poorly established.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ole of mast cells (MC) as they release variable mediators and have receptors for neurotransmitt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C were increased in the colonic mucosa of IBS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Methods: Biopsy was done from the cecum, ascending colon, descending colon and rectum of 29 patients: 16 IBS, 8 normal, and 5 inflammatory controls. Tissue was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a monoclonal antibody for human mast cell tryptase for MC, and H&E stain for other inflammatory cells. Results: MC count of IBS patients at the descending colon (15.2±4.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ither normal controls (10.9±2.7) or inflammatory controls (11.0±2.9). In a group of patients with IBS, MC count at the cec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predominant subtype (21.3±3.4) and the pain-predominant subtype (22.7±2.5) than the diarrheapredominant subtype (14.7±4.2). Conclusions: Patients with IBS have higher MC count than controls, and MC count in constipation-predominant IB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iarrhea-predominant IBS pat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IBS.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57-62)

      • SCIESCOPUSKCI등재

        급성 설사환자에서 생긴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와 내시경적 소견의 비교분석

        이종수 ( Jong Soo Lee ),정성애 ( Sung Ae Jung ),김성은 ( Seong Eun Kim ),심기남 ( Ki Nam Shim ),김도영 ( Do Young Kim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급성 장염으로 병원에 내원하였던 적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의 유무를 조사하고 대장내시경소견을 포함한 임상소견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의 발생과 이에 관련되는 인자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9월까지 본원에서 급성 설사로 내원한 236명의 환자에서 대장내시경검사가 시행되었다. 이중 다른 기질적 원인이 있었던 환자와 내원 당시 이미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었던 환자는 제외하였고, 3개월 이상 경과한 후 전화를 통하여 설문조사가 가능했던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은 로마 II 기준에 근거하여 진단하였고, 과민성 장 증후군에 만족하지는 않지만 로마 II 기준에 속하는 증상 중 한 가지라도 증상이 있었던 군을 배변습관 변화군으로 정의하였다.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각 대장의 부위를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 및 직장으로 구분한 병변의 범위와 중증도로 분류하였다. 가장 심한 대장의 병변부위에서 획득한 장액과 생검조직으로 배양검사를 시행한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29명중 로마 II 기준에 의거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경우는 14명으로 11%의 빈도를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경우는 14명으로 11%의 빈도를 보였다. 배변습관 변화만 있었던 경우도 14명으로 11%였다. 급성 설사로 내원하였을 당시의 대장내시경을 포함한 임상소견을 비교분석하였을 때 세균배양결과 양성(오즈비 2.7,95% 신뢰구간 2.5~3.3), 내시경적 점막병변의 존재(오즈비2.9, 95% 신뢰구간 2.3~3.2), 점막병변의 범위(오즈비 1.8,95% 신뢰구간 1.1~3.2) 및 중증도(오즈비 1.7, 95% 신뢰구간 1.2~2.5)는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과 관련이 있었으며 반면에 연령, 성별, 혈액내 백혈구수, C 반응단백치와는 관련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급성설사환자에서 생긴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의 빈도는 11%이었고, 점막병변의 범위와 정도가 심할수록 과민성 장 증후군의 발생률이 높아 장염에 의한 점막방어벽의 소실은 이후 장관내 자극에 대한 감각과 운동기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 ound/Aims: This study measured the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n persons who had previously visited our hospital for acute diarrhea and had undergone a colonoscopy, and evaluated the clinical and colon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ost-infectious IBS (PI-IBS). Methods: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9 patients (54%), selected from 236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who had colonoscopy from January, 2001 to September, 2002. The diagnosis of IBS was based on Rome II criteria. The clinical and colonoscopic findings at the time of acute diarrhea were analyzed from the patients` charts. Results: The frequencies of IBS and of changed bowel habit in the interviewed patients were both 11% (14/12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bacterial culture (odds ratio, 2.7; 95% CI, 2.5 to 3.3), presence of endoscopic colitis (odds ratio, 2.9; 95% CI, 2.3 to 3.2), wider extent (odds ratio, 1.8; 95% CI, 1.1 to 3.2) and more severe colitis (odds ratio, 1.7; 95% I, 1.2 to 2.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f increased prevalence of IBS, while age, gender, leukocytosis, and elevated CRP were not.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future PI-IBS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when it is coupled with positive bacterial culture or colonoscopic findings of severe endoscopic colitis.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43-48)

      • KCI등재

        교대 근무를 하는 여성 간호사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신체 활동도의 연관성

        최진,송윤미,김선영,박영미,조명숙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7

        Background: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a chronic recurrent gastrointestinal disorder that may deteriorate life quality significantly. There is no specific way of curing IBS but to rely on symptomatic and supportive treatment as well as changes in lifestyl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physical exercise might be effective for improving IBS symptoms. However, evidence does not exist for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with IBS. Methods: A total of 706 women nurses with shift work in a university affiliated tertiary hospital were survey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sking IBS symptoms (Rome III criteria), depression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nxiety (Goldberg's Short Screening Scale for Anxiety, GAS), stress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The association between IBS and physical activity was examined using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revalence of IBS was 37.5% and the most common subtype of IBS was mixed constipation and diarrhea (70.6%). Neither physical activity nor regular exercise was not associated with IBS. IBS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anxiety (GAS score ≥ 5), tolerable dysmenorrhea, and troublesome dysmenorrhea with odds ratios (95%confidence intervals) of 2.10 (1.37-3.22), 2.83 (1.39-5.75), and 2.56 (1.21-5.40), respectively. Conclusion: In Korean women nurses with shift work, IBS was not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 higher level of anxiety and dysmenorrhea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IBS. 연구배경: 과민성 장 증후군은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만성 재발성 질환으로, 뚜렷한 치료법이 없이 주로 증상 관리를 위한 약물이나 생활 습관 변화 등이 권고된다. 기존의 연구에서 운동은 다른 질환과 유사하게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한국인에서 그연관성을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교대 근무여성 간호사에서 과민성 장 증후군과 신체 활동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한 3차 병원에서 교대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706명에서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를 통해 과민성 장 증후군(로마기준III 진단기준), 신체 활동도(단축형 국제 신체 활동 설문), 우울(Zung의 Self-rating Depression Scale), 불안(Goldberg 불안 척도),스트레스(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인구학적 특성, 건강 행태를 평가하였다. 과민성 장 증후군과 신체 활동도간의 연관성은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짓 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교대 근무 여성 간호사의 과민성 장 증후군의 유병률은37.5%이었고, 과민성 장 증후군 아형 분포는 혼합형이 70.6%로 가장 흔했다. 단변수 분석과 다중 로짓 회귀분석에서 모두과민성 장 증후군과 규칙적 운동이나 신체 활동도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다중 로짓 회귀분석 결과 높은 불안(Goldberg 불안 척도5점), 참을만한 생리통,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통의 과민성 장 증후군에 대한 교차비(95% 신뢰 구간)는 각각 2.10 (1.37-3.22), 2.83 (1.39-5.75), 2.56 (1.21-5.40) 이었다. 결론: 교대 근무 여성 간호사에서 과민성 장 증후군은 신체활동도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높은 불안 ·생리 전 또는 생리 중 통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 KCI등재

        과민성장증후군 증상군의 증상 심각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치심 경험의 매개효과

        최이진(I-Jin Choe),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20 스트레스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과민성장증후군을 대상으로 증상 심각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치심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민성장증후군 진단 기준을 충족시킨 122명의 참가자에게 설문을 통해 수치심 경험과 과민성장증후군 증상 심각도와 삶의 질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변인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증상 심각도는 수치심 경험과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β=.603, p<.001; β=.689, p<.001), 증상 심각도와 수치심 경험 모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β=.427, p<.001). 수치심 경험은 과민성장증후군 증상 심각도와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여(β=.262), 과민성장증후군의 증상 심각도가 부정적 삶의 질로 이어지는 과정에 수치심 경험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 과민성장증후군의 수치심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me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QOL) in individual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Methods: A total of 122 subjects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IB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measuring shame experience, symptom severity, and QOL. Results: Study results revealed that shame experience, symptom severity, and QOL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IBS. Further, shame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th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mong individual’s suffering with IB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shame experience influences the process linking severity of IBS symptoms to low QO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sensitivity to the shame experience among IBS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This paper includ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여대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스트레스 지각정도,식습관 및 과민성 장 증후군관련 삶의 질

        박선영,신수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1

        연구배경 과민성 장 증후군은 그 자체가 생명을 위협하는 것은 아니지만 생활에서 극심한 불편감을 주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므로 예방관리를 위한 식이요법 및 스트레스 관리를 위주로 한 생활습관 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유병률과 스트레스 및 식습관과의 관련성, 과민성 장 증후군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8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1,456명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과민성 장 증후군 진단기준은 ROME II를 이용하였고, 스트레스 측정도구로는 A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GARS) 한국어판, 식습관은 대한영양사회(1991)의 설문지를 이용하고 과민성 장 증후군 관련 삶의 질은 Irritable Bowel Syndrome Quality of Life(IBSQOL) 한국어판을 이용하였다. 결 과 ROME II 에 의해 분류된 과민성 장 증후군은 25.7%였다. 총 과민성 장 증후군 대상자 중 유형별로는 설사형이 32.3%, 변비형이 42.0%, 교대형이 25.7%로 나타났다. 과민성 장 증후군(IBS)군은 정상군에 비해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IBS군과 정상군에 있어 식습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OME II에 의해 IBS를 진단 받은 대상자의 IBS관련 삶의 질은 세부항목 중 신체적 기능과 관련된 삶의 질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유형에 따른 에너지 관련 삶의 질에서 변비형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 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과민성 장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의 경우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으므로 이와 관련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신체적 기능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우선적임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associated with various uncomfortable abdominal symptoms,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continuous diarrhea and constipation. Although not fatal, IBS causes serious inconveniences an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life. To prevent and control symptoms, it is critical to improve habits of daily life focusing on diet and reducing stress. Methods Subjects included 1,456 female college students. ROME II was used to diagnose IBS and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Korean Version. A questionnaire put out by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1) was used to measure eating habits.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Quality of Life (IBSQOL) was used to measure QOL related to IBS. Results The prevalence of IBS in this study was 25.7%. More specifically, diarrhea-type occupied 32.3%, constipation-type 42.0%, and non-specific 25.7%.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IBS group scored higher stress (t=5.645, p<.000)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between the two. The lowest score in the IBSQOL was in physical function, and the diarrhea-type ranked energy-related QOL the lowest.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female students with IBS were highly perceptive to stress. Thus, appropriate health improvement programs are needed. Specifically, priority should be given to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physical function-related QOL.

      • KCI등재

        성인 남성에서 과민성 장증후군과 하부 요로 증상과의 연관성 -인터넷 설문 조사-

        임종필 ( Jong Pil Im ),김병관 ( Byeong Gwan Kim ),김지원 ( Ji Won Kim ),이국래 ( Kook Lae Lee ),손환철 ( Hwan Cheol Son ),김주성 ( Joo Sung Kim ),정현채 ( Hyun Chae Jung ),송인성 ( In Sung S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6

        목적: 이번 연구는 젊은 성인 남성에서 과민성 장증후군과 하부 요로 증상과의 연관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터넷 전문 설문업체에 등록된 총 23,594명의 20-59세까지의 남성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여 성실히 설문에 응답한 601명을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로마 기준 II, 하부 요로 증상은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표(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5.5세였으며, 118명(19.6%)이 로마 기준 II에 근거한 과민성장증후군에 해당하였다. 과민성 장증후군에서 총 IPSS를 이용한 배뇨 증상 점수는 평균 9.6으로 대조군의 7.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과민성 장증후군에서 `중등증`과 `중증`의 요로 증상을 호소한 분율이 각각 33.9%와 13.6%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26.9%와 5.2%) (p<0.01).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과민성 장증후군만이 중등증 이상의 하부 요로 증상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OR, 1.91; 95% CI, 1.27-2.88). 또한, 과민성 장증후군에서 대조군보다 요로 증상에 의한 삶의 질 점수가 더욱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과민성 장증후군을 가진 젊은 성인 남성에서 더욱 심한 하부 요로 증상을 호소하며, 이로 인하여 삶의 질 저하가 동반되었다.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certain urinary symptom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nd IBS, and to determine their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Methods: E-mails were sent to 23,594 men who were registered at an internet survey company. Subjects were request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IBS and LUTS assessed by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Results: Among 601 subjects (mean age, 35.5±8.4)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118 (19.6%) fulfilled the Rome II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IBS. The total mean IPSS of IBS subjects was 9.6,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7.0 of non-IBS subjects (p<0.01). When IPSS was subcategorized into mild, moderate, and severe symptom categories, the proportions with the moderate and severe symptoms among IBS subjects were 33.9% and 13.6%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IBS subjects; (26.9 and 5.2%) (p<0.01). In multivariate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IBS and moderate to severe LUTS (OR, 1.91; 95% CI, 1.27-2.88). IBS subjects also showed a poorer quality of life score than non-IBS subjects (2.24 vs. 1.65, p<0.001). Conclusions: LUTS in adult men with IBS are more severe and have a more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than in non-IBS subject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348-354)

      • SCIESCOPUSKCI등재

        한국인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의 유병률

        백창렬 ( Chang Nyol Paik ),최명규 ( Myung Gyu Choi ),남관우 ( Kwan Woo Nam ),권정현 ( Jung Hyun Kwon ),장재혁 ( Jae Hyuck Chang ),서정필 ( Jung Pil Suh ),이인석 ( In Seok Lee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이 중요한 병태생리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호기검사를 이용한 SIBO 유병율과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 증상에 따른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성인 45명 (남자 19명, 평균 나이 40.8세)과 IBS 환자 37명(남자 19명, 평균 나이 42.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참여자는 락툴로오스10 g을 복용한 후 180분 동안 15분마다 호기에서 수소와 메탄 농도를 측정하였다(락툴로오스 호기검사, LBT). 이들 중 33명(대조군 20명, 환자군 13명)은 최소한 7일 간격 이후 포도당 호기 검사(glucose breath test, GBT)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락툴로오스 투여 후 45분과 120분 사이에 측정된 수소 농도는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LBT에 의한 SIBO의 유병율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48.7%와 26.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과민성 장 증후군 아형에 따른 SIBO 유병율은 설사형 44.4%, 변비형 66.7%, 혼합형 33.3%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GBT 양성율은 IBS 환자에서 7.1%, 대조군에서 20%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락툴로오스 호기검사를 이용한 SIBO의 유병율은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건강성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한국인에서 SIBO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중요기전이라고 추정되었다. Background/Aims: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pathophysiologic findings in IB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IBO by using a breath test (BT) in Korean patients with IBS. Methods: Forty nine controls and 39 IBS patients underwent a lactulose BT (LBT) every 15 minute for 180 minutes. At least 7 days later, the glucose BT (GBT) was performed every 10 minute for 120 minutes in 33 (patients: n=13, control: n=20) who had undergone the LBT. Results: 1) The H2 detected from 45 to 120 minutes in the L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IBS than that for the controls. 2) The prevalence of SIBO with LBT in the IB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s (48.7% vs. 26.5%, respectively p<0.05). 3) The prevalence of SIBO with LBT in the subgroups of the IBS patients was 44.4% for the IBS-D, 66.7% for the IBS-C and 33.3% for the IBS-A (p=ns). 4) The positive rates of GBT in the control and IBS patients were 20% and 7.1%, respectively (p=n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SIBO as diagnosed with using L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patients with IBS, suggesting that SIBO was an important etiologic factor of IB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38-4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