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황장애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

        이경규,최은영,Lee, Kyung-Kyu,Choi, Eun-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1

        연구목적: 공황장애 환자들은 공황발작 중에 나타나는 극단적 불안을 즉각 해소하기 위하여 공격적 행동의 문제, 공존하는 성격장애로 인한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우울증과 관련된 자살시도 및 물질남용과 관련된 물질추구행동으로 인한 문제 등 매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러한 공황장애 환자들이 보이는 행동이나 심리적 문제의 기저에 있는 성격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치료진과 환자간의 관계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여 많은 갈등을 야기할 수 있고 치료 중단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의 불안과 우울의 정도 및 성격특성을 잘 이해함으로써 좀더 나은 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체형장애 환자 및 정상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단국대학교 부속병원 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 20명과 신체형장애 환자 21명 그리고 정상대조군으로 단국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Beck의 우울검사(BDI), Spielberg의 상태-특성불안 검사(STAI) 및 Cattell의 16 성격요인검사(16PF)를 이용한 양군간의 불안, 우울 및 성격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BDI 점수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상태-특성불안 검사 모두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유의하게 불안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16PF 요인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점수를 보이는 요인은 없었다. 그러나 일차요인 중 O요인(p<0.01)과 Q4요인(p<0.001)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16PF 이차요인 중 TOU요인(p<0.05) 낮게 나왔으며, ANX요인에서는 높게 나타났다(p<0.05). 4) 환자군내에서 성별에 따라 그리고 BDI 점수 18점, STAI-T 점수 54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두 군간에서의 16PF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환자군내에서 STAI-S 점수 52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양군간의 비교에서는 16PF의 일차요인에서는 G요인(p<0.001) 및 Q3요인(p<0.05) 그리고 이차요인 중 SUP요인(p<0.001)에서 52점 이상군이 52점 미만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차요인 중 L요인(p<0.05)에서는 52점 이상군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공황장애 환자들은 신체형장애 환자들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우울과 불안의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성격 특성은 좀더 죄책감이 많고 불안해하며 정서적으로 유약한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황장애 환자들 중에서는 상태불안이 높은 군이 더욱 도덕적이고 강한 통제력과 초자아를 지니면서 높은 신뢰감을 보이는 것 같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공황장애 환자의 이러한 심리적 그리고 성격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의 빠른 회복과 일상생활에서의 적절한 적응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21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20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studied.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Korean standardized edition of Cat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Statistically,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were used by SPSS/PC for windows. Results: 1) Total score of BDI was higher in the panic group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01). 2) Total score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01). 3) In 16 PF, there were no definitely abnormal range of scores. But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and normal healthy group in O-factor (p<0.01) and Q4-factor(p<0.001).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the panic group was higher than the somatoform group in ANX-factor(p<0.05), but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TOUfactor(p<0.05). 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anic subgroup according to sex and cutoff points of BDI score 16 and STAI-T score 54. 5) According to cutoff point of STAI-S score 52, the panic subgroup above 52 was higher than the panic subgroup under 52 in G-factor(p<0.001), Q3-factor(p<0.05) and SUP-factor(p<0.001), but lower in L-factor(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te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re depressive and anxious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normal controls.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did not show any abnorm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ut were more guilt-prone, anxious, emotionally sensitive. We propose that the understanding of panic patients'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ill helpful to treat and manage in patient with panic disorder.

      • KCI등재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과정 연구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양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과정을 확인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로 진단받은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기독교인지행동치 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맥락에서 공황장애 경험과 변화과정 그리고 결과를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 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인 MAP(Mastery of Your Anxiety and Panic)을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해석하여 수용하고, 기독교적 변화기제 5가지를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이어서 12주간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집단상담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 여한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회기별 녹취록과 연구 자의 관찰기록지, 프로그램 종료 후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원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는 맥락을 나눈 후 분석하였고, 의미단위, 요약개념, 범주를 구성한 후 이를 경험, 변화과정, 결과로 배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황장애 경험은 일상생활의 어려움, 요동치는 감정의 기복,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부정적 생각, 벗어나려는 몸부림, 치료의 시행착오이다. 변 화과정은 하나님과 함께하는 치료의 시작, 인격적인 하나님 체험, 부정적 사고를 성경 적 사고로, 새로워진 하나님 이미지, 달라진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결과는 변화를 향 한 도전, 변화된 일상, 새 삶을 향한 소망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공황 장애 변화과정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xperience, process of change and results of panic disorder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context of participating in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for Christians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composed of five Christian change mechanisms, interpreting and accepting MA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as a Christian world view. Th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12 weeks to treat Christian cognitive behavior with panic disorder, and nin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source materials were compos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including recordings of each session, observational records of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the context, organizing the semantics, summary concepts, and categories, and arranging them into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process of change, and out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panic disorder is the difficulties of everyday life, fluctuating emotions, negative thoughts that fall into the abyss, struggle to escape, and trial and error of treatment. The process of change is the beginning of treatment with God, personal experience of God, converting negative thoughts into bible thinking, renewed image of God, and changed relationship with God. The outcome was a challenge to change, a changed routine and a desire for a new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process of changing panic disorder were made.

      •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 질

        김세주,김영신,유상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공황장애는 많은 환자들에게서 잘 회복되지 않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공황장애가 환자들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공황장애 환자에서 공황발작의 심각도와 빈도, 유병기간, 광장공포증의 정도, 동반된 우울증상의 정도 등, 여러요인들의 삶의 질과 어떤 관련이 있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관계 영역, 환경 영역 등을 평가하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질을 정상인의 삶의 질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의 여러 임상적 특성들과 삶의 질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64명의 공황장애 환자들과 27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여, 각 영역과 총점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나이, 교육수준, 공황발작 시 증상의 개수, 공황발작의 빈도, 광장공포증의 정도, 우울증상의 정도와 삶의 질과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서 공황장애 환자군의 삶의 질은 정상군에 비해 환경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삶의 질 및 일반적 건강 항목,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모두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광장공포증의 정도, 우울증상의 정도, 공황발작 시 나타나는 증상의 개수, 공황발작의 빈도 등이 전체적인 삶의 질을 비롯한 대부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증상의 정도, 공황발작 시 증상의 개수, 동반자가 있을 때 광장공포증의 정도 등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추출되었다. 결 론 ; 공황장애 환자의 삶의 질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으며, 이에는 우울증상, 공황발작 시 증상의 개수, 동반자가 있을 때 광장공포증의 정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Panic Disorder is a chronic condition that may carr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in panic patients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has not been investigated.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quality of life in panic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by using WHO Quality of Life(QOL) Scale that evaluates the domains of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Additionally,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were explored. Method : 64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27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WHO QOL Scales were completed. Total scores and scores of domains of WHO QOL Scale in two groups were compar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Results : Total scores and scores of all domains except environmental domain of WHO QOL scal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healthy control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everity of agoraphobia and depression, number of symptoms during panic attacks and the frequency of panic attack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in general and most of subscales of QOL.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e number of symptoms during panic attacks and the severity of agoraphobia in the presence of accompanied persons were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nclusion :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as poorer than that of healthy controls.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e number of symptoms during panic attacks and the severity of agoraphobia in the presence of accompany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KCI등재

        공황 장애 환자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

        임기영,김창기,노재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공황 장애가 새로운 질병으로 분류된지 16년이 경과하였으나 공황 발작과 공황장애의 본질과 특성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현재의 DSM-IV 진단 기준 역시 공황 발작과 공황 장애의 정의 및 진단에 대해 상호 모순되는 기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공황 발작의 각 증상에 대해서도 나열에 그치고 있을 뿐 어떤 것이 더 중요하고, 어떤 것이 최초 증상인지 등을 밝혀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공황 장애 환자들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아주대학교 병원 정신과 외래 및 응급실로 내원한 40명의 공황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공황 발작 설문지, 불안 민감도 검사, 상태-특성 불안 검사, Beck의 불안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황 장애 환자들이 공황 발작시 최초로 경험하는 증상들은 대부분 신체 증상(90%)이었으며, 공황 발작의 인지 증상과 신체 증상은 높은 상관관계(0.741, P<0.01)가 있었다. 2) 인지 증상(0.695, P<0.01)과 신체증상(0.599, P<0.01) 모두는 임소공포증적 회피의 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 증상을 통제 변인으로 하여 인지 증상과 임소공포증적 회피와의 부분상관을 구한 결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0.467, P=0.003), 반대로 인지 증상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신체 증상과 임소공포증적 회피의 부분 상관을 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0.173, P=0.291). 3) 인지 증상은 ASI상의 불안 민감도 (0.563, P<0.01), STAI상 상태(0.324, P<0.05) 및 특성 불안(0.484, P<0.01), BAI상의 불안(0.456,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신체 증상은 ASI 상의 불안 민감도(0.528, P<0.01), STAI 중 특성불안(0.411, P<0.01), 그리고 BAI 상의 불안(0.348, P<0.05)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나, STAI 중 상태 불안(0.171)과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인지 증상과 신체 증상과 신체 증상 각각에 대해 상대 증상을 통제 변인으로 하여 부분 상관을 구해 본 결과, 신체증상은 각종 불안 검사상의 불안 및 민감도와 통제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 증상은 의미 있는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공황 발작이 본질적으로 신체증상이 선행되고, 인지 증상이 부수되는 복합현상이며, 인지증상의 정도에 따라 심리적 불안의 정도와 불안 민간도가 높아져서 공황 증세로 진행되고, 역시 인지 증상의 정도에 따라 임소공포증적 회피가 결정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황 발작의 13가지 진단 기준 항목은11가지 신체 증상만으로 줄이고, 2가지 인지 증상(죽을 것 같은 공포 및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게 될 것 같은 공포)은 공황 장애의 진단 기준에 포함시키며 이때 공황이 일어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생각을 공황 장애의 인지 증상에 추가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진단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t has been 16 years since panic disorder was first classified as a psychiatric disease entity. Howeve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are not fully understood yet.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urth Edition(DSM-IV) carries conflicting statements regarding the defini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of the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Moreover, the DSM-IV only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symptom, while failing to clarify which of each panic symptom are the earlier or more important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nic attack symptoms. Forty outpatients diagnosed with DSM-IV panic disorder criteria were the subjects. All the subjects completed Panic Attack Questionnaire, Anxiety Sensitivity Index,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Becks Anxiety Inventory.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jority(90%)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omatic symptoms as the first symptom of their panic attack,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0.741, P<0.01) between the somatic symptoms and the cognitive symptoms of panic attack. 2) Both cognitive symptoms(0.695, P<0.01) and somatic symptoms(0.599, P<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oraphobic avoidance. However, in partial correlation using somatic and cognitive symptoms as control variables for each other, only cognitiv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oraphobic avoidance(0.467, P=0.003). 3) Cognitiv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0.563, P<0.001), state anxiety(0.324, P<0.05), trait anxiety(0.484, P<0.01), and Becks anxiety(0.456, P<0.01). Somatic symptom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0.528, P<0.01), trait anxiety(0.411, P<0.01), Becks anxiety(0.348, P<0.05), but not with the state anxiety(0.171). 4) In partial correlation using somatic and cognitive symptoms as control variables for each other, cognitive sympt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xiety sensitivity and anxiety levels, while the somatic symptoms did not show such cor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nic attack is a complex phenomenon in which the somatic symptoms are "triggers", and the cognitive symptoms are secondary reactions to the somatic symptoms. Psychological anxiety and anxiety sensitivit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cognitive symptoms of the panic attack, which are important in the clinical process of panic disorder. The severity of cognitive symptoms also determines the development of agoraphobic avoidance. The authors propose to revise the diagnostic criteria of panic attack by the somatic symptoms only, and include cognitive symptoms, such as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scene of panic attack, as necessary diagnostic criteria for panic disorder.

      • KCI등재

        공황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조광현,정애자,박태원,황익근,Chung, Sang-Keun,Cho, Kwang-Hyun,Jung, Ae-Ja,Park, Tae-Won,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목 적 : 정상 대조군보다 공황장애환자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고 생리적 유연성이 더 적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공황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사이의 정신생리반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환자군은 DSM-Ⅳ의 공황장애 진단기준에 맞는 외래 및 입원 환자 10명(남성 9명, 여성 1명;연령 $47.5{\pm}14.3$세), 정상 대조군(남성 9명, 여성 1명 ; 연령 $47.3{\pm}10.1$세)은 전북의대 학생 및 전북대학교병원직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심리적 평가항목으로서, 불안, 우울 수준은 상태특성불안척도, Beck 우울 척도, Hamilton 불안 및 우울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리적 평가항목으로서 자율신경계의 정신생리반응을 측정하였는데, 맥박, 호흡속도, 피부전도반응, 근전도 등은 J & J I-330모델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작업은 4가지로서 암산, 비디오게임, 과호흡, 스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을 이용하였다. 정신생리반응의 측정순서는 생리반응 측정전 약 15분간의 휴식후 각각 3분씩의 '기저기간-암산작업 기간-휴식기간(3분)-비디오게임 기간-휴식기간-과호흡 기간-휴식기간-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 기간'으로 하였다. 두 군사이의 스트레스작업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평가 항목들의 차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우울, 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생리반응 중 피부전도반응(p=.017), 근전도(p=.047), 맥박(p=.049)의 기저치가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과호흡시 놀람반응이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p=.001). 맥박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이 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각각 p=.007, p=.002). 환자군내에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p=.0001) 및 비디오게임(p=.021) 작업시 놀람반응이 회복반응보다 유의하게 더 컸다. 또한 호흡반응의 경우, 환자군내에서 과호흡시(p=.035) 놀람반응보다 회복반응이 유의하게 더 컸다. 결 론 : 상기 결과로 미루어보아, 공황장애환자는 정상 대조군보다 기저기에서 대부분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았으나, 측정항목에 따라 생리적 유연성의 기복이 있었다. 따라서, 공황장애환자의 치료시 자율신경계의 각성수준을 감소시키고, 일부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유연성 회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An Increased level of psychophysiologic arousal and diminished physiologic flexibility would be observed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mpared with a normal control group.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sychophysiologic response betwee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normal control to examine this hypothesis. Methods: Ten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IV were compared with 10 normal healthy subjects. In psychological assessment,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and Depression. Heart rate, respiration rate, electrodermal response,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were measured by biofeedback system (J & J I-330 model) to determine psychophysiologic response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Stressful tasks included mental arithmetic, video game, hyperventilation, and talking about a stressful event. Psychophysiologic respons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 baseline(3 min)-mental arithmetic (3 min)-rest (3 min)-video game (3 min)-rest (3 min)-hyperventilation (3 min)-rest (3 min)-talking about a stressful event (3 min). Results: The baselin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electrodermal response (p=.017), electromyographic activity (p=.047) and heart rate (p=.049)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 group. In electrodermal response, pati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tartle response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hyperventilation (p=.001). Startle and recovery responses of heart rate in the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responses in the control group during mental arithmetic (p=.007, p=.002). In electrodermal response of the patient group, startle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covery response during mental arithmetic (p=.000) and video game task (p=.021). Recovery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rtle response in respiratory response during hyperventi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had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physiologic flexibility was variable. We suggest that it is helpful for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o decrease the level of autonomic arousal and to recover the physiologic flexibility in certain stressful event.

      • 공황장애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연구

        최영희,장혁진,김민숙,Choi, Young-Hee,Jang, Hyuck-Jin,Kim, Min-So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표준화된 한국판 20항목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을 이용하여 공황장애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영향을 주는 불안과 우울 수준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아 이들 환자군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이 정상군에서와 어떤 다른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공황장애 클리닉에 방문하여 두 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DSM-IV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진단한 공황장애 환자 167명, 일 대학 병원 직원 및 직장인, 대학원생 등을 포함하는 11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공황장애 환자군 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감정표현불능증과 그 하위 척도,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 및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나머지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감정표현 불능증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를 찾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공황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해서 감정표현불능증,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감정표현불능증의 총점(p<0.001) 및 하위척도의 요인 1(p<0.001)과 요인 2(p=0.001)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요인 3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변수는 특성불안$({\Delta}R^2=0.255)$과 불안 민감도$({\Delta}R^2=0.062)$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우울$({\Delta}R^2=0.144)$과 불안 민감도$({\Delta}R^2=0.033)$였다. 결론: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감각이 위험한 결과를 일으킨다고 믿는 정도를 측정하는 불안 민감도가 높으며 이러한 불안 민감도는 특성 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점을 고려할 때 불안 민감도와 특성 불안이 공황장애 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적합한 변수가 됨을 알 수가 있었다. 반면, 정상 대조군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 민감도보다는 우울이 좀 더 많은 설명 변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와 기존 연구간의 대상군의 균질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로 반복 확인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difference of the alexithymia betwee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by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alexithymia construct and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7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110 normal controls. They drew up symptom checklists and self-rating scales, and were measured by Anxiety Disorders Interview Schedule-Panic attack & Agoraphobia(ADIS-P & A), Korean version of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te & Trait (STAI-S & 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Revised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R). For statistical analysis, we performed t-test to compar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cores of self reported scales betwee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Pearson correlation was performed between TAS-20K and it's subfactors, STAI-S & T, ASI-R and BDI i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reformed to explain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or alexithymia. Results: The panic patients reported more significant alexithymic (p<0.001), more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 (p<0.001) and describing feeling (p=0.001) than normal controls. Futhermore, panic patients were more significant anxious, sensitive to anxious feeling and depressive than normal controls. Moreover, the alexithymia of panic patients was explained by trait-anxiety $({\Delta}R^2=0.255)$ and anxiety sensitivity $({\Delta}R^2=0.062)$, that of normal controls was predicted by depression $({\Delta}R^2=0.144)$ and anxiety sensitivity $({\Delta}R^2=0.033)$ Conclusion: The panic patients reported more anxious and sensitive to anxious feeling, and these symptoms predict alexithymia in panic patients. However, the alexithymia of normal controls was explained by depression more than anxiety sensitivity, and such a result isn'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this may be mainly due to difference of the homogeneity in object of the studies.

      • 공황장애에서의 COMT 유전자 다형성 예비연구

        장용이,윤경식,우종민,이영식,나철,유범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본 공황장애의 병인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는 카테콜아민은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데, COMT의 활성을 결정하는 유전인자는 COMTL(L)과 COMTH(H)의 두 가 지 대립 유전자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와 정상인에서의 COMT 유전적 다형성의 분포에 차이가 있 는 지와 공황장애 환자에서 유전적 다형성과 임상변인들과의 관련성을 통해 COMT 유전자가 공황장애의 발 병 및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광고를 통해 모집한 정상인 45명과 현재 치료를 진행 중인 공황장애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 하여 DNA를 추출하고 이를 PCR 기법을 이용하여 증폭한 뒤에 제한효소 Nla Ⅲ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분석 하였다. 그리고 치료 반응도 및 발병연령, 공황장애의 가족력이나 광장공포증의 유무 등의 임상변인들을 조 사하였다. 임상적 증상의 중증도와 치료에 대한 반응도 측정은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척도를 이 용하였다. 결 과: COMT 유전자형 중 LL형의 발현 빈도는 정상군(2.2%)에서보다 환자군(19.6%)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 타났다(χ2=8.45, p=0.015). 공황장애 환자 중 치료에 대한 반응도 역시 LL형이 다른 유전자 아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4.98, p=0.011). 환자군 내에서 COMT 유전자형에 따라 발병연령 및 성별, 공황장애 의 가족력이나 광장공포증의 유무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 론: 정상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저활성 COMT 유전자(LL형)의 빈도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군 내에 서도 LL형이 다른 유전자형에 비해 치료 반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LL형이 공황장애의 발병 및 임 상경과에 있어 중요한 유전적 아형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Objectives:Catecholamine metabolism has been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pathophysiology of panic disorder. There are two human COMT alleles, coding for a low activity enzyme, COMTL(L), and a high activity enzyme, COMTH(H), respectively.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COMT geno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T genetic polymorphism and som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We recruited 51 patients who met the DSM-Ⅳ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45 normal control subjects who had neither medical nor psychiatric illnesses. Genetic polymorphism of COMT was identified in all subjects using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analysis. We assessed some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treatment responses in panic patients and measured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in normal control subjects using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ult:The frequency of the homozygous LL genotype was higher in panic patients than that in control subjects(19.6% vs. 2.2%). We found that panic disord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 allele(χ2=8.66, p=0.003) and LL genotype(χ2=8.45, p=0.015). Panic patients with LL genotype showed poorer treatment response than those with other genotypes(F=4.98, p=0.011).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LL genotype of the COMT gene may be related to the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courses in som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KCI등재

        공황장애 약물치료의 최근 경향

        김찬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4

        현재 공황장애의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 구분되며, 두가지 치료를 함께 병행했을 때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1960년대에 imipramine의 독특한 항공황효과가 알려진 이후, 항우울제는 공황장애의 1차치료약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임상연구결과 항우울제인 SSRIs가 공황발작의 빈도와 강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항공황효과면에서 고전적항우울제에 필적할만하다. 또한 SSRIs가 다른 삼환계항우울제, 단가아민 산화효소억제제, 벤조다이아제핀에 비해 전체적으로 안전성, 부작용, 의존성의 위험 면에서 상대적 장점을 지니고 있어 공황장애 환자에서 1차선택약물로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SSRIs도 삼환계 항우울제와 같이 공황장애 환자에서 자극증상을 유발할수 있기 때문에 초기용량선정 및 약물증량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아직 공황장애 환자에서 SSRIs의 임상연구와 경험이 축적되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1980년대 중반이후 고역가 벤조다이아제핀인 alprazolam의 항공황효과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alprazolam은 고전적 항우울제에 비해 내약성이 뛰어나고 치료효과가 빠르다는 장점은 있는 반면, 의존성과 중단시 금단증상등의 한계가 있어 제한된 목적하에 제한된 기간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현재 공황장애에서의 약물치료 전략을 요약하면 1차 선택약물로는 SSRIs계 약물과 TCA계 약물이 권장되며, 이들 약물로 치료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즉각적인 증상완화가 요구되는 경우는 alprazolam이나 clonazepam 같은 벤조다이아제핀로 제한된 기간동안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상의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는 단가아민 산화효소억제제를 2차선택약물로 선택할 수 있다. 최근 임상에 소개된 venlafaxine, nefazodone과 같은 새로운 항우울제도 항공황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harmacologic and cognitive-behaviral treatments are currently employed in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 Several studies have found that a combination of the two treatment modalities may be superior to either treatment alone. Antidepressants has been considered as the first line of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ince 1960s. Although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such as imipramine and clomipramine are well established in treating panic disorder, today many clinicians choos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as the first-line drug because of their efficacy, safety, and favorable side effect profile. While many clinicians have chosen the SSRIs as the antipanic drug of choice, research support for this preference is just starting to emerge. Since a substantial number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re quite sensitive to the unpleasent activating effects of antidepressants including TCAs and SSRIs, it is prudent to start the patients on a low dose. Monoamine oxidase inhibitors(MAOIs) have established efficacy as antipanic drugs. These medications may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treatment-resistant patients. Also, it is expected that new antidepressants, such as nefazodone and venlafaxine, have antipanic properties. With the advent of high-potency benzodiazepines(e g, alprazolam, clonazepam), these drugs have been major antipanic drugs. However, the major limitations related to benzodiazepine use are dependency and withdrawal symptoms. Generally, if a benzodiazepine is used for more than about 1 month of treatment, the drug should be discontinued at a slow rate and the patient should receive support for any distressing withdrawal symptoms.

      • KCI등재

        공황장애 파국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기독교상담적 접근

        양정선 ( Yang Jung Sun ),황영아 ( Hwang Yeung Ah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8 복음과 상담 Vol.26 No.2

        본 연구는 공황장애에 관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으로서 공황장애의 주요 인지적 특징인 파국적 사고에 대한 기독교 인지행동치료를 기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황장애의 핵심증상인 공황발작이 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사고의 결과임을 고찰한 후, Barlow와 Craske에 의해 개발된 PCT(Panic Control Program)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서 기독교적 사고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단일사례를 통해서 기독교적 인지행동치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Powlison의 나무 모델과 김준이 체계화시킨 성경적 변화모델을 기초로 하여 삶의 다섯 가지 영역인 동기, 생각, 감정, 반응, 열매를 분석한다. 진정한 변화는 다른 네 가지 영역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만들어지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동기의 관계적 변화에서 기인한다. 연구결과는 공황장애의 원인과 발전과정, Clark의 공황장애 인지모형에 따른 본 사례의 신체감각의 파국적 사고과정을 분석한다. 공황장애 파국적 사고의성경적변화는‘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사고 끊어내기’,‘ 신앙적 모순발견하기, 객관적 신앙적 사고 증가시키기’,‘ 파국적 사고의 동기 파악하기’,‘ 말씀으로 논박하기’,‘ 파국적 사고의 인지재구조화하기’ 과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hristia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y investigating catastrophic thought proces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a panic attack cli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employs a single case qualitative study and explains how catastrophic thought process changes in the client’s cognitive process in Christian perspective. First, it explains that panic attach is the result of catastrophic thoughts, and introduce Barlow & Craske’s Panic Control Programs. Then, it provides the necessity of Christian intervention, and investigates how Christian CBT works by using a single case study. Based on Powlison’s tree model and Kim’s Biblical cognitive approach, the study analyses the five areas of motives, thought, emotion, response, and fruits of life. It concludes that real change comes by changing motive through relationship with Christ, which can effectively don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other four areas of pers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investigates cognitive process of the client following Clark’s cognitive model, and then evaluates cognitive process, motives in Christian perspective. Biblical changes in the client includes “cutting catastrophic thought”, “finding discrepancy in personal faith”, “increasing objective view on faith”, “finding motives of catastrophic thought”, “refuting using God’s words”, “cognitive restructuring of catastrophic thoughts”.

      • KCI등재

        공황장애 환자의 방어기제

        김영철,우행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공황장애의 치료와 이해에 정신역동적 요소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양 집단간의 방어기제 척도와 주요 방어기제를 비교하여 공황장애 환자들이 정상인과는 다른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공황장애 환자들의 방어기제의 성숙도가 과연 낮은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과를 공황장애환자들에 대한 정신치료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DSM-IV의 진단기준에 적합한 공황장애 환자 22명(환자군)과 정상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20개의 방어기제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자기측정 기구인 이화방어기제검사(Ewha Defense Mechanism Test)를 연구대상에 주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전치와 행동화 척도가 높았고(p〈0.05) 통제만이 이들이 흔히 사용하는 주요 방어기제였다(p〈0.05), 또한 성숙도 면에서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주요 방어기제로 사용하였다(p〈0.05). 이러한 방어기제에 대한 지식은 공황장애 환자에 대한 정신역동적 가설을 세우고 정신치료적 접근을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Despite the indications that psychodynamic factors may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ese have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this report, self-rating Ewha Defense Mechanism Test(EDMT)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at 1) panic patients would use different defense mechanism from normal controls, 2) panic patients would use lower-maturity defenses than normal controls. Twenty-two subjects meeting the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22 normal controls were given self-rating EDMT, and were compared about the use and maturity level of defenses between the two groups. Panic subjects scored significantly much higher than normal controls on the defenses of displacement and acting out, and on the controlling as a major defense mechanism. Also, the use of neurotic defense mechanisms was more frequent in panic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