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정공시제도 도입으로 인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변화에 대한 연구

        이세용 ( Se Yong Lee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1

        우리나라에서 2002년 11월에 도입된 공정공시제도는 경영자가 기업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재무분석가나 기관투자자 등 특정인에게 선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시장참가자들이 동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증권시장을 통해 이를 사전적으로 공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공정공시제도의 효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공정공시일의 주가변동성이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의 정확성 등을 검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들에서는 공정공시제도에 따라 회계이익의 유용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의 유용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의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공정공시제도 도입을 전후하여 일정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정공시제도의 도입 이후, 전체 기업에 대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공정공시 미시행기업의 경우,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기간에 증가하지 않는 반면, 공정공시 시행기업의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전 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 정보의 선별적 제공이 제한됨으로써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고 결과적으로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Korea, Regulation Fair Disclosure(RFD, hereafter) was adopted in November, 2002. The purpose of RFD is to prevent the selectiv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firms to selected interested parties, and to urge firms to announce the same information to the public that they want to give to the selected parties such as analysts or institutional investors. By blocking selective disclosure through the RFD, regulators` intention was to eliminate any informational advantages that had benefited the selected parties only. Prior studies in Korea show that the enforcement of RFD reduced the leakage of advanced information (Lee & Choi, 2004), which implies that information asymmetry among market participants was mitigated after the adoption of RFD. For example, volatility of abnormal returns or variation of stock trading volume has been decreased on the disclosure day in the concerned industries (Kim et al, 2005). And Oh & Sohn (2006)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analysts` forecasting performance and their optimistic bias after the enforcement of RFD. Foreign prior studies also show that RFD reduces volatility of abnormal return in the earings announcement day, the leakage of advanced information, and the trading expense. Many studies also show that the forecasting accuracy has not been declined even if relative uncertainty in the forecasting of earnings has become large (Shane et al., 2001; Heflin et al., 2003; Gadarowski and Sinha., 2007; Eleswarapu et al., 2004). Although many prior studies, domestic or foreign, showed that (the 생략) RFD has positive effects as mentioned above, however, it might have negative effects as well. RFD can restrict the communication between analysts (or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 managers, which leads to the result that analysts might have difficulty in gathering private information needed to forecast future earnings from managers. In addition, there could be a loss in available information for investors, because it is likely that managers are reluctant to announce information due to both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RFD and penalties against unfair disclosure. Additionally, whether to disclose or not is subject to managers` arbitrary decision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related regulations concerned with the requirement which the firms should disclose to satisfy the RFD. In the stream of research that we have seen in the above, we could not find any studies as to whethe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earnings ha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RFD.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adoption of the RFD has increased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or not. By doing so, we hope that we could answer the question, whether RFD has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Value relevance as a summary indicator of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numbers is related with the question, "how well the accounting information summaries every information that affects stock price ex post facto at least". However, the most prominent problem about the value relevance is that current stock price is a noisy proxy about true firm value. So we can measure the value relevance by estimating how much the accounting information include distinct information independent with current stock price about true firm value. (Kwon et al, 2010. p.569) In this respect, by blocking selective disclosure, the earnings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faster. In this case, we can expect that the relation of earnings and returns would be improved. If this expectation is appropriate, we can believe that earnings information would be transferred to the market participants more quickly by RFD. And then RFD might increase value relevance in the capital market. In this context we can find the validity of the RFD in the accounting perspective. To achieve our purpose, we selected the sample for the period from 1999 to 2006, and analyzed the changes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g RFD. The results showed 1)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ntire firms after the adoption of RFD, 2) for the firms that did not practice fair disclosure, increase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not been observed, and 3) however, for the firms that did practice fair disclosure,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more after the adoption of RFD compared with before the adoption of RFD. These results imply that with the adoption of RFD, selective provis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restricted, information asymmetry in capital markets is also mitigated, and, as their results, the usefulness in accounting informa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prior studies, this paper has two distincti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most of prior studies have analyzed the changes in information asymmetry driven from RFD. Concretely they examined the market response around the event day, which was mainly the date when regulators announced that they would enforce fair disclosure, or measured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accuracy of earnings forecasts by analysts after RFD, However, the prior studies have not worked on the concrete analysis about how RFD has affected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In this kind of research stream,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FD on the value relevance which is an important measure of accounting earnings` usefulness. So we expect that our paper would tell how RFD improves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hanges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RFD. Secondly, most Korean prior studies have made short-term analyses such as the effect of the RFD by event study or immediate effect after the adoption of the system. Our study, however, analyzed the long-term effect of RFD by seeing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for eight years, each four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respectively. Nevertheless, our study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firms not practicing fair disclosures, firms practicing fair disclosures show value relevance significantly high after RED, but the significance level is about 10 percent, which means that our results is not robust. So we are hoping for studies that would back up our conclusion. The way of backing up could be adding more samples, rearranging samples used in this paper and so on. Secondly, it is risky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of our study to every firms because we could not observe the effect of RFD on small firms. We guess that the reason is not the ineffectiveness of RFD but the prejudiced market response toward the small firms. Even if a small firms disclose well, market may not trust the announcement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are small ones. This kind of facts would be a subject studied afterward.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adoption of RFD improves informational environment in capital market and then strengthens value relevance. But in the cases of firms not practicing fair disclosure and small firms, there exist no effect of RFD. Therefore, we believe that we need to make some improvements to RFD to help it function properly.

      • KCI등재

        공정공시 수준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김도연,박서윤,신흥권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회계정보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공정공시 수준과 투자효율성 간의 관련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공정공시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과 정보이용자들 간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고 기업정보의 질이 투명해짐으로써 기업의 자본조달비용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공정공시제도도 경영자가 예측공시를 할 경우에는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이익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질은 낮아진다는 결과 또한 나타나고 있어 혼재된 결과를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더하여 공정공시 수준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정공시 수준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과소투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소투자 확률이 높을 때 공정공시 수준이 높으면 투자가 증진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과잉투자 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투자가 증가하는 정도는 공정공시 수준이 높은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대투자 가능성이 높을 때는 공정공시 수준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투자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 통해 공정공시 수준은 투자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투자효율성과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공정공시 수준이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즉, 공정공시제도로 인해 정보비대칭이 완화됨으로써 자본조달이 용이하며 자본비용이 낮아 기업의 과소투자를 감소시키는데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We examine the effect of fair disclosure level on inves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prior studies, firms with more expansive disclosures are associated with lower costs of capital. Moreover, it is argued that greater disclosure enhances stock market liquidity by reducing cost of capital through reduction of transaction costs and information risks. However, the fair disclosure system, which is evaluated positively, also shows mixed results becaus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lowered by performing profit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profit when the manager makes predictive disclosure. Therefore, We examine the effect of fair disclosure level on investment efficiency 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fair disclosure levels have an positive effect on investment efficiency. We find a conditional negative(positive) association between fair disclosure level and investment firms operating in settings more prone to over-investment(under-inve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the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the fair disclosures and firms’ investment efficiency.

      • KCI등재후보

        공정공시가 주식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과 대기업 비교

        심호식 ( Hoshik Sh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한국의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의 공시자료를 이용하여 기업별로 공정공시 빈도가 주식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공시이론에서는 공시의 빈도가 높을수록 해당기업의 정보비대칭 현상이 해소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고, 그 결과 자기자본 비용이 감소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 같은 신흥시장에서는 공시 이전의 정보 유출현상 때문에 공시의 효과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한국의 상장회사들은 해당되는 항목에 대하여 모든 시장참여자에게 동시에 그정보를 공개하도록 의무화되었다. 따라서 공정공시제도의 시행은 과거 사전적인 정보 유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한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공정공시제도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 주식유동성과의 관련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시빈도가 많을수록 주식의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공시빈도가 많을수록 해당기업주식의 거래량 및 변동성이 증가하였으며, 거래비용이 감소하여 무수익(zero-return) 거래일의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공시효과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에서 모두 발견되지만, 개별 유동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건성 분석으로 도구변수를 이용하여 내생성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이러한 결과는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시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특히 공시와 자기자본비용 간의 관계를 연구할 때 시장유동성의 영향과 기업규모에 따른 정보환경의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disclosure activity on the stock market liquidity under the Regulation Fair Disclosure in Korea. Economic theories generally support that more disclosures reduce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e stock liquidity, and thus decrease the costs of equity capital. A series of empirical studies examine the impact of disclosure policy, however, they mainl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losure and costs of equity capital,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losure and liquidity especially in Korea. Since the disclosure theory is driven with a joint hypotheses,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y stage. Using various measures of market liquidity, this study finds that disclosure activ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market liquidity.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both SMEs and large firms have disclosure impacts, but they affect this relation differently. Various sensitivity tests show that the relation is robust. The findings of this paper have an implication that the impact of liquidity and also the impact of information environment (i.e., SMEs vs. large firms) should be considered i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disclosure and costs of equity capital.

      • KCI등재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진수,황규영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5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if the‘fair disclosure system’affects positively on the earningsmanagement by analyzing difference of earnings management pattern between the forecastsdisclosure firms and the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The sample consists of firms listed onKorean Stock Exchange from 2002 to 2011. And the fair disclosure system was taken effect inthis period. We divided the sample into forecast disclosure firms(issuing annual earnings forecast disclosureat least once for 10 years) and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And we also tested if there is anydifference between forecasts disclosure firms and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in the level ofearnings management. Earnings management was measured by Real Activity EarningsManagement(RM) and Accruals based Earnings Management(AM). Furthermore, this paperinvestigates the effect of forecasts disclosure year and forecasts disclosure frequency on theearnings management pattern(RM and AM).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forecasts disclosure firms exhibit lower RM than the nonforecastsdisclosure firms significantl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AM level between the twogroups. And the results show that RM is relatively low and AM is high in both case of forecasts-disclosure-year and high-disclosure-frequency firm.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M affects negatively on the long-term value of firms. Consideringthis point of view about RM, it seems that our results support the fair disclosure system. Becausethe fair disclosure system induces firms disclose information voluntarily and minimize RM whichis negative device about earnings management. And that system induces forecasts disclosure firmsprefer to use AM(less negative device about earnings management) when they want to manageearnings.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가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공정공시제도를 통한 공시)를 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에 이익조정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가 이익조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유가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한 기업이며 분석대상기간은 공정공시제도가 시행된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으로 하였다. 분석대상기간 10년 동안 한번이라도 이익예측공시를 한 기업(공시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비공시기업)을 구분하고 이들 그룹 간에 이익조정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익조정 행태는 실물활동이익조정과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나아가 공시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여 공시연도 여부와 공시빈도가 실물활동이익조정과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이익조정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시기업은 비공시기업에 비하여 실물활동이익조정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시기업만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분석을 행한 결과 공시연도이거나 공시빈도가 높을수록 실물활동이익조정이 유의하게낮게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물활동이익조정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성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면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를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물활동이익조정은 억제하는 경향이 있어서 공정공시제도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를 하는 기업들은 이익조정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적은 조정수단인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공정공시제도 하에서 경영자 예측이익의 정보효과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이규진 ( Kyu Jin Lee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0 세무회계연구 Vol.0 No.26

        우리나라에서 2002년 11월 1일부터 시행된 공정공시제도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 및 코스닥 상장기업에게 회사의 경영정보, 재무에 관한 사항 및 미래 사업계획 등 중요한 투자 정보를 기관투자자, 재무 분석가, 개인투자자 등에게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공시제도를 통해 공시되는 매출액과 영업손익에 대한 예측은 경영자의 추정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신뢰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영자의 이익예측공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규제 및 감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영자는 낙관적인 정보만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유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공정공시제도 시행이후 코스닥시장에서 정보이용자들이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이용하여 투자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는 사후적으로 입증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과대예측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시장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시장의 자율적인 감시 기능이 존재하는지 검증한다. 연구결과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공시한 시점의 비기대이익은 누적초과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산일 이후 당기 영업이익이 공시된 시점에서 당기 영업이익과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의 차이는 누적초과수익률과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사후적으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과대예측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음(-)의 주가반응이 나타났다.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사후적으로 부정확한 경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시장의 자율적인 감시기능이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공시정책감독기관에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conten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using a sample of fair disclosure reported on the DART system from 2004 to 2008. I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In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s, first, I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forecasting date, so this stock reac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users us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has information usefulness. second, I find i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earnings announcement date. third, I fi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earnings announcement date. it means that market has autonomous monitoring system.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s suggest supervisory office institutional assistance.

      • KCI등재

        사적정보 규제 강화가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이석원(Suc-Won Lee),김용식(Yong-Shik Kim),홍용식(Yong-Sik Ho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18 관리회계연구 Vol.1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3년 공정공시제도의 개정을 통한 금융당국의 사적정보 규제 강화가 기업과 시장참여자들간 정보비대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정보비대칭 대용치로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오차 및 이익예측분산, 주가수익률 변동성, 그리고 매수-매도 호가스프레드를 사용하여 사적정보 규제 강화 전․후 기업과 시장참여자들간 정보비대칭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적정보 규제가 강화된 이후(2014~2015) 이전(2012~2013)에 비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와 이익예측분산이 증가하고 주가수익률 변동성과 매도-매수 호가스프레드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제도의 개정 및 사적정보 규제강화로 인하여 재무분석가들과 투자자들은 이전보다 낮아진 정보환경에서 공적정보만을 제한적으로 취득함으로써 정보비대칭이 심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공정공시제도 도입의 목적에 부합된 환경이 구현된 사적정보 규제강화 이후에 기업과 시장참여자들간 정보비대칭의 변화를 최초로 실증분석하고, 이를 통해 재무분석가와 투자자, 감독기관 등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Private Information Regulations on information asymmetry after the Capital Market Act revised and regulatory bodies strengthened the regu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in 2013. [Methodology] We use analyst earnings forecast error and dispersion, stock return volatility, and ask-bid spread as information asymmetry proxies. [Findings] After the analysis, w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error and dispersion of analyst earnings forecast significantly increase, which means that analytical capability of research analysts decreased after the regu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became strengthened. Secondly, stock return volatility and ask-bid spread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the regu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became strengthened, which suggests that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companies and market participants increased after the regu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became strengthened. [Implications] This research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market participants and regulatory bodies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that examines the change of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companies and market participants after the regulation of private information became strengthened.

      • KCI등재

        공시행태에 따른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오상희(Sang-hui Oh)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감독원이 2002년 공정공시제도를 도입한 이후, 공정공시의 공시행태에 따라 회계이익이 가치관련성이 있는지와 기업 규모에 따라 공시행태가 회계이익과 가치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공시행태는 실적예측공시항목과 비실적예측공시항목으로 나누어지고 표본기간은 5년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공시제도 중 실적예측공시항목은 회계이익이 기업가치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실적예측공시항목 또한 회계이익과 기업가치관련성이 유의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가설 1과 2 모두에서 공시수준이 높을수록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과 소기업으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대기업일수록 실적예측공시항목과 비실적예측공시항목 모두에서 회계이익과 기업가치관련성이 유의적인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설 3과 4에서 대기업에서 공시수준이 높을수록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시행태를 실적예측공시항목뿐만 아니라, 비실적공시예측항목까지 포함하여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전의 연구와는 달리 공정공시라는 정보환경의 변화를 회계이익과 가치관련성의 입장에서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기간을 공시제도 도입 이후부터로 확장하지 않은 것이 한계점이다. Regulation Fair Disclosure was adopted in 2002,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ntire firms. And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eparation by size of firms. In the this study, types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was classified in two sub items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and non-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For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selected the data for the period from 2010 to 2015 from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non-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i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Therefore hypothesis 1, 2 was proved that higher level of disclosure was increased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Second, this study was classified the sample by the big firms and the small firms. The result of study, the big firm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in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and non-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This study has two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two types disclosure in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and non-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unlike prior studies. Second, in Changed accounting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study had in the view point that Regulation Fair Disclosure will have relation value-relevance and accounting earnings. Last, this study of limitation is that period of study is too short.

      • KCI등재

        기업 이익정보에 대한 전자공시의 정보효과

        이장건,정용기 한국회계정보학회 2008 회계정보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s of some disclosures using a sample of KSE(Korean Stock Exchange) firm's income information reported on the DART(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s of the FSS(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from 2000 through 2006. Concretely, when quarterly reports and semi annual reports were released by KSE firm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come information is useful to capital market. And when timely disclosure regarding income structural changes, notice of annual meeting of stockholders, audit report, annual meeting of stockholders and annual report were released by KSE firm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come information is useful to capital market. Also, with the adoption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on November 200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formation asymmetry was reduced among market participants.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s is as follows. First, for the sample of KSE firms without analyst' forecast, regression results between the unexpected earnings and cumulative abnormal returns over the quarterly reports and semi annual reports show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earnings on quarterly reports and semi annual reports are informative. Second, for the sample of KSE firms without analyst' forecast, unexpected earnings in timely disclosure regarding income structural changes were associated with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annual earnings in timely disclosure are informative. Finally, when firms issue earnings information in fair disclosure, abnormal returns are not significant before disclosure date. But, when firms issue earnings information in fair disclosure, abnormal returns are significant after disclosure date. It indicates that Regulation Fair Disclosure executes effectively. 우리나라의 전자공시시스템(DART) 적용은 2000년 이후부터 본격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 제도가 실무에 적용된 지 7년여 지난 현 시점에서 자본시장에서의 의도된 역할이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즉 전자공시시스템 적용으로 인해 기존에 서면제출로 이루어졌던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등 각종 기업 이익정보의 제공이 전자공시시스템에 의한 온라인제출로 대신하게 되었고, 사회 전반적인 인터넷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이러한 온라인정보를 실시간으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고 본다면, 이제 전자공시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적용하기로 한 원래의 의도대로 기업의 이익정보가 자본시장에 실시간으로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2002년부터 시행된 공정공시제도 역시 시장에서 올바르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이익정보를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전자공시 또는 공정공시로 인한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분기 및 반기보고서를 공시한 기업들 중에서도 재무분석가 예측치가 없는 기업의 경우에 이익정보의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결산과 관련된 공시일정(손익구조변경 수시공시, 주주총회 소집통지공시, 감사보고서 제출공시, 주주총회 결과공시, 사업보고서 제출공시의 순) 중에서도 결산일 이후 가장 빠른 공시시점인 손익구조변경 수시공시에서 역시 재무분석가 예측치가 없는 기업의 경우에만 정보효과가 있으며, 나머지 공시시점에서는 이익정보에 대한 정보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마지막으로, 영업실적에 대한 공시는 공시일 이후 시점에야 비로소 유의적인 시장반응을 확인할 수 있어 정보의 사전유출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소한 영업실적공시와 관련하여 공정공시제도가 시장에 올바르게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공정공시를 통하여 이익예측치를 발표한 기업의 이익조정

        전영순,천미림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3

        Prior to Regulation Fair Disclosure (Reg FD), many firms disclosed important nonpublic information to securities analysts or selected institutional investors, before making public disclosure of the same information. Where this has happened, those who were privy to the information beforehand were able to make a profit at the expense of the general public. Thus, Reg FD was introduced in 2002 to level the playing field and thereby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among market participants. Reg FD requires that when corporate management discloses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to a few privileged market participants, he must make public disclosure of that information. Reg FD specifies types of material information that trigger Reg FD obligations. One of them is forward-looking information about forthcoming earnings. Prior research conducted in the US suggests that firms beating earnings benchmarks enjoy higher returns than those missing the benchmarks.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can serve as earnings benchmarks. In addition, managers may face legal actions by shareholders and lose their reputation if they miss their earnings forecasts. Thus, managers in the US have incentives to manage earnings upward to achieve their earnings forecasts. The capital market and legal environment in Korea differ from those in the US. That is, there is no evidence that investors either penalize or take any legal action against managers who miss their forecasts in Korea. Thus, it is an empirical question whether managers who issue earnings forecasts manage earnings upward to meet or beat their forecast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managers who issue earnings forecasts through fair disclosures manage earnings upward to meet or beat their forecast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in general discretionary accruals of the forecast year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years. However, when pre-managed earnings fall shor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irms use income-increasing discretionary accruals. Furthermore, discretionary accrual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forecasts and pre-managed earn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in Korea managers manage earnings upward when pre-managed earnings fall short of their forecasts. Prior research also suggests that strong corporate governance deters managers' income-increasing accounting decision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earnings management acitivity for our sample firms. 공정공시제도란 기업이 애널리스트나 기관투자가 등 특정인에게 선별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시장참가자들이 동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그 특정인에게 제공하기 전에 증권시장을 통해 공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공정공시의 대상이 되는 정보 중 하나가 매출액, 영업손익, 경상손익 또는 당기순손익 등에 대한 전망치 또는 예측치이다. 미국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발적으로 이익예측치를 발표한 경영자는 해당 예측치가 사후적으로 실현되는 이익에 비해 과대 공시된 것으로 밝혀지면 주식시장에서의 부정적인 주가반응뿐만 아니라 경영자의 평판이 손상될 위험과 법적인 책임까지도 부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익예측치를 공시한 경영자는 보고이익이 해당 예측치에 미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이익을 상향 조정할 유인을 갖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 환경과 법적 환경이 미국과 달라 경영자가 자신이 과거에 발표한 이익예측치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불이익을 받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자발적으로 이익예측치를 공시한 경영자가 보고이익이 해당 예측치에 미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이익을 상향 조정하는지는 실증분석의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정공시를 통해 이익예측치를 발표한 경영자가 사후적으로 실현되는 이익이 이미 발표된 이익예측치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이익을 상향 조정하는지를 검토한다. 실증분석 결과, 공정공시를 통하여 발표한 전망치가 실현되는 연도의 재량적발생액 자체는 기타 연도의 재량적발생액과 유의하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전망치가 실현되는 연도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익을 조정하기 전의 이익이 이미 발표된 예측치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을 상향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익조정 전의 이익이 경영자가 이미 발표한 이익예측치에 미달하는 정도가 클수록 재량적발생액은 커진다. 이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경제 환경이나 법적 환경이 다르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경영자 또한 자신이 이미 발표한 이익예측치를 달성하고자 하는 유인을 가짐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의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가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의 상향 조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Intraday Stock Returns and Investors’ Trading Reactions to Fair Disclosure : An Analysis of the Korean Stock Market

        Byung Hee Lee,Meeok Cho,Sehee Kim 한국정부회계학회 2020 정부회계연구 Vol.18 No.3

        공정공시 제도(Regulation Fair Disclosure; Reg FD)가 2002년 11월부터 국내에 도입 됨에 따라 기업들은 중요한 정보를 모든 투자자들에게 동시에 공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일중(intraday) 주식거래자료를 이용하여 공정공시 발표를 전후로 시장반응을 분석하였 다. 2002년 1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주가반응은 공정공시 발표직후 1~2분 사이에 발생하고, 거 래량은 긍정(부정)적인 뉴스에 대해서 약 80(40)분 가량 평소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발생한 다. 둘째, 개인투자자들은 대체로 공정공시 뉴스의 성격에 관계없이 주식을 순매수하는 경 향을 보이는 반면, 그 외 투자자들은 거래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공정 공시 발표이후 주식을 매수하는 경우 수익을 거두기 어려움을 발견하였다. 종합하건대, 공 정공시 제도 도입이후 주가의 효율성이 높음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공정공시가 발표된 전 후의 일중 주가 또는 거래량 반응을 투자자 유형에 따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sing intraday stock market data from 2002 to 2004, we explore investors’ market responses to corporate disclosure subject to Regulation Fair Disclosure (Reg FD) in Korean stock market. We present three findings. First, stock prices jump up for two minutes right after the release of FD and investors’ abnormal turnover to positive (negative) FDs lasts for about 80 (40) minutes after FD. Second, individual investors’ trading reactions to FDs are stronger than those of institutional investors. Lastly, we find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profits by using a short-term trading strategy based on positive FD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intraday market responses to corporate discl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