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강백·공영달의 현학적 역학사상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이난숙(Lee, Nan Sook)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6 No.-

        본 논문은 정약용의 『역학서언(易學緖言)』 중 「한강백현담고(韓康伯玄談考)」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내용은 첫째 정약용이 한강백(韓康伯)?공영달(孔穎達) 역학에서 현학적인 『주역』 주해를 비판한 철학적 근거와 원인 및 구체적인 비판내용에 대한 정리이다. 둘째 현학적 의리역학과 정약용 역학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정약용 역학의 독창적인 사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역학서언』은 2천년 중국역학사를 주도한 대학자들을 대상으로 역학문헌, 역학이론, 역학사상, 역학인물을 비판한 전문적인 역학비평론서이다. 그 중 「한강백현담고」는 한강백 『계사주(繫辭注)』와 공영달 『주역정의(周易正義)』 「계사전(繫辭傳)」 가운데 정약용이 현학적인 해석오류가 있는 9조목의 명제를 발췌하여 그 모순과 한계를 집중적으로 비판한 중국역학비평론이다. 정약용은 한강백·공영달 역학이 귀무론(貴無論)과 허무론(虛無論)에 빠진 현학적인 『주역』 해석을 하였다는 비판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강백·공영달이 도가의 현학적인 개념을 인용하고, 『주역』의 중요한 역학개념과 동일성만을 강조한 것은 삼교일치를 하고자 하는 의도라는 뜻이다. 또한 상(象)·수(數)를 초월해 『주역』을 해석하면 역도(易道)를 정확히 밝힐 수 없다는 것이 정약용의 논리이다. 중요한 점은 9조목의 명제가 모두 『주역심전(周易心箋)』의 주해서에서 해석하지 않은 명제라는 점이다. 따라서 「한강백현담고」 연구를 통해 『주역심전』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한강백과 공영달 역학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을 구체적이며 상세하게 파악하고, 또한 중국의 현학적 의리역학과 차별성을 지닌 독창적인 정약용 역학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The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ching』 philosophy of three scholars namely-Han Gang-bo(韓康伯), Gong Yeong-do(孔穎達) and Jeong Yag-yong(丁若鏞). It seek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ontents of 『I-ching』 philosophy and focuses on ?Han Gang-bo Xuan Tan Kao(韓康伯玄談考)?. ?Han Gang-bo Xuan Tan Kao [The criticism of Han Gang-bo and Kong Ying-da’s metaphysics by Jeong Yag-yong]」 records the sixth theory on 『Yixue Xu Yan(易學緖言)』. It’s a scholarly criticism of Chinese 『Yi Jing(周易)』 philosophy. 「Han Gang-bo Xuan Tan Kao? was criticized through the excerpts of nine articles entitled in Hangangbo’s 「Xicizhu(繫辭注)」 and Kong Ying-da’s 「Zhouyizhengyi(周易正義)」? 「Xicizhuan(繫辭傳)」.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highlight Jeong Yag-yong’s critical philosophy and thoughts about Chinese 『Yi Jing』 philosophy. Especially, among all the nine selected articles nine propositions were not annotated by Jeog Yag-yong in 『Zhouyi Xin Jian(周易心箋)』. Therefore, the critics of Jeong Yag-yong’s 『Yi Jing』 philosophy seems not revealed in the 『Zhouyi Xin Jian』’s study which can be clearly observed. To study the 「Han Gang-bo Xuan Tan Kao」 has important academic significance which emphasizes on 『Yi Jing』 philosophy and Jeong Yag-yong’s vision of the universe. It distinctly varies in comparison to the analysis of Chinese metaphysical thoughts.

      • KCI등재

        정약용의 「한위유의론」 연구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3 다산학 Vol.- No.23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asan Cheong Yagyong’s view on the Zhouyi by examining Hanweiyiyilun(漢魏遺議論: Treatise on the Remaining Discourses of the Han and Wei Period), a part of Yeokhakseoeon(易學緖言: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Some Major Theories about the Classic of Change). Before Kong Yingda(孔穎達)’s Zhouyi Zhengyi(周易正義, Correct Meaning of the Zhouyi) ap-peared, it had been Zhouyi Jijie(周易集解, Collected Annotations of the Zhouyi) ed-ited by Li Dingzuo(李鼎祚) regarded as an authoritative work in the field of the Zhouyi studies during the Han period. However, there are some omitted or missing parts in the Zhouyi Jijie. Therefore, Tasan’s motivation of writing the Hanweiyiyilun lies in supplementing the deficient part in Li Dingzuo’s Zhouyi Jijie by gathering the remaining commentaries from the Zhouyi Zhengyi. The scholars who specialized the Hanyi(漢易, Yijing Study of the Han Period) are divided into Hanweisanshiliujia(漢魏三十六家, Thirtysix scholars of Han-Wei Period) and scholars belonging to Jiangnanyishu(江南義疏, Annotated Commentaries of the South of the Yangzi River). While the former refers to the scholars of the Han-Wei Period mentioned in the Zhouyi Jijie, the latter refers to the scholars of the southern Yangzi river who interpreted the Zhouyi following the philosophical doctrine of Wangbi(王弼). In his appraisal on them, Tasan showed his theoretical stanpoint clearly, in that he severely criticized Wangbi or Wangbi’s followers, while he took a mostly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Nine Scholar’s explanations including Xunshuang(荀爽)who depended on he exegetic skill handed down by the Xiangshu(象數, image and number)school. In my article, I dealt with Tasan’s criticism about two phrases caught up in controversy by the commentators of the Han-Wei period, which include the “quirilaifu(七日來復; After seven days comes a return.)” of the Fu(復)hexagram and “xianjiasanri, houjiasanri(先甲三日, 後甲三日; Before the Jia(甲), three days. After the Jia, three days.)” of the Gu(蠱) hexagram. In addition, I made a review of Tasan’s criticism about the theories of the Yiwei(易緯, Apocrypha of the Yi)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having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e Zhouyi interpretation.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한위유의론」에 나타난 정약용의 역학사상을밝히는데 있다. 「한위유의론」은 한漢·위魏 시대의 여러 역설易說에 대한 정약용의 논평이다. 종래에 한역漢易에 관한 연구자료로 가장 중시되어 온 것은 이정조李鼎祚의 주역집해였다. 그러나 이정조의 주역집해에는 선유先儒들의 역주易注가 간혹 누락된 부분이 있으므로 공영달의 주역정의 등에서 그 누락된 부분을 채록採錄하여 집록輯錄함으로써 그 결핍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 「한위유의론」의 저술 동기이다. 한·위 시대의 역학자들은 크게 한위삼십육가漢魏三十六家와 강남의소江南義疏로 나뉜다. ‘한위삼십육가’란 바로 이정조의 주역집해에 수록되어 있는 한漢·위魏의 역학가易學家를 가리키는 명칭이며, ‘강남의소’란 공영달이 주역정의를 저술하였을 무렵에 왕필王弼의 현학玄學에 의거하여 주역을 해석한 강좌江左 학파의 의소義疏를 가리킨다. 정약용은 한위삼십육가와 강남의소에 대한 평가에서 자신의 역학적 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는데, 왕필의 역학에 대해서는 혹독하게 비판하는데 반해서, 상수학적 전통을 계승한 순구가荀九家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호의적이다. 필자는 한漢·위魏 시대의 역주易注 중에서 그 해석을 둘러싸고 논란이 많았던 부분인 복괘復卦의 “칠일래복七日來復”, 고괘蠱卦의 “선갑삼일先甲三日, 후갑삼일後甲三日” 등에 대한 정약용의 비평을 고찰하였고, 아울러 역학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는 역위易緯의 학설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특집 1: 백운 심대윤의 문학과 사상 : 심대윤의 『례기정해(禮記正解)』에 대한 연구 -19세기 양명학적(陽明學的) 례학론(禮學論)의 한 특징(特徵) 파악(把握)을 中心으로-

        장병한 ( Beoung Han Jang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심대윤(1806∼1872)은 당시 19세기 전·중반의 시기를 위기적 국면으로 진단하고, 그와 같은 위기의 원인처로서 이전 관학의 보호아래 정치와 사상의 중심에 있었던 鄭玄·孔穎達·朱熹·陳澔의 예설을 주목하였다. 요컨대 심대윤은 이들의 예설이 선왕의 禮와 道를 奇異한 것으로 變貌하게 함에 따라, 그만 예가 인간의 常情과 常理에서 멀어지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이에 선왕의 예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기존의 예설에 대한 變通의 필요성을 자각하게 된다. 그는 공자의 禮觀에 基準하여 오직 옛 것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大同의 정치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君子에 의한 禮學의 變通政策이 요망됨을 先唱하였다. 심대윤은 이에 스스로 시대의 군자로 자처한다. 그래서 당시의 위기적 국면의 현실 타개책으로 기존의 禮經으로 崇仰視되어 온 『禮記』와 전통적 관학의 중심에 있었던 한·당·송의 예학 체계에 대한 변통을 試圖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그는 기존의 정주학적 예학론에 대한 비판과 해체를 통해 새로운 예학적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즉 첫째, 禮는 人禮이며 人道이다. 둘째, 예는 實文이며 實利이다. 셋째, 禮制는 때에 따라 편리함을 선택한다. 위에서 본 바, 심대윤의 예학적 특징들은 기존의 한국 통치 이념과 예학의 중심에 있었던 정주학 계열의 游氏와 李氏, 주희 그리고 진호의 예설과는 많은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 한편 특히 심대윤 예학에 있어 實利와 文飾 및 便利의 강조, 仁의 조절성을 중요시 하는 등은 기존 하곡의 양명학적 예론의 특징 즉, 仁의 精神根幹, 從簡主義, 奢侈와 文飾의 拒絶, 實用과 實利의 重視등에 많은 부분 접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해 19세기 심대윤의 학적 체계가 17~18세기 하곡의 학맥을 계승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있다. 그리고 심대윤의 예학 특징 가운데, 人民(農·工·商人)의 禮重視, 人情과 事理및 公利와 公益의 강조, 實文과 實利및 便利·常情·常理·多衆·公利·大同의 제시 등은 한국의 실학성과 근대성의 가치 지향에도 일면 편입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의 예학사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m Dae-yun saw the first and middle periods of then 19th century as a crisis situa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 rite theories - as the cause of such crisis - of Jeong Hyeon, Gong Yeong-dal, Ju Hwi and Jinho which took the center of politics and thoughts under the previous government schools. He indicated that the existing theories of rites by Jeong Hyeon in Han and by Gong Yeong-dal in Tang misled the earlier-time kings`` rites into being queer and strange, thereby leading rites to be distanced from people``s ordinary sensibilities. Also, SimDae-yun reported that the theories of rites by Ju Hwi in Song and by Jin Ho in Yuan misled the earlier-time kings`` way (rites) into being absurd, thereby leading rites to being distanced from people``s ordinary sensibilities. He thus diagnosed such distorted theories of rites as the cause of the then state crisis, and criticized and interpreted the rite theories in the Book of Rites and the Three Ritual Classics, as well as the Rite Learning of Han, Tang and Song, and proposed the then right new rite paradigm. He positioned people (farmers, engineers, and merchants) in the place of Heaven (sacredness), and positioned emotions (works) and profits in the place of nature and reasoning. He also boldly shed the position of falsehood and rhetorical embellishments, and instead embraced the spiritual world of practical literature and practical profits. Moreover, words, including convenience, ordinary sensibilities, ordinary theories, populace, public interests, and grand unity are appealing as the new rite paradigm of Sim Dae-yun. In such new rite paradigm, we can find a series of lead to Yangming``s practical thoughts, and certain characteristics of Korea``s modernity.

      • KCI등재

        ≪예기(禮記) ≫의 ≪ 오경(五經)≫ 편입과 그 의의

        이세동 ( Se Dong Lee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9 중국어문학 Vol.0 No.53

        現存禮學的儒家經典共有≪儀禮≫·≪周禮≫·≪小戴禮記≫·≪大戴禮記≫四種. 但其中唯有≪禮記≫被納入≪五經≫, 從而영得獨一無二的地位. 可是就漢代言之, ≪儀禮≫和≪周禮≫却是經; ≪禮記≫不過是解經的`記`. 東漢末鄭玄所註≪儀禮≫·≪周禮≫·≪小戴禮記≫三種, 由是獲≪三禮≫之名. 從此≪大戴禮記≫失勢, 到唐代八十五篇中僅存三十九篇. 唐太宗爲統一經學詔顔師古考定≪五經≫正文, 幷詔孔穎達與諸儒撰定≪五經≫義疏. 此義疏正是≪五經正義≫, 而≪三禮≫之中僅有≪禮記≫被納入禮經. 從此≪儀記≫成爲≪五經≫之一, ≪儀禮≫和≪周禮≫的地位不如≪禮記≫. 顔師古和孔穎達采納≪禮記≫的原因不明確. 依筆者考究, 孔穎達關注≪禮記≫的涵蓋整個朝代的節文義理及體履兼備的綜合性, 認爲比記錄周朝規範和職制的≪儀禮≫·≪周禮≫更有用於世, 從而意圖以≪禮記≫包羅≪三禮≫來撰定≪禮記正義≫. 故此, 孔穎達撰定≪禮記正義≫的結果, 形成`禮`不是規範節次和職官制度, 是囊括一切古代文化的觀念, ≪禮記≫被納入≪五經≫的意義就在於此.

      • KCI등재

        『춘추(春秋)』의 예제(禮制)에 대한 『춘추고징(春秋考徵)』의 분석과 고증 - 상례(喪禮)의 ‘유년칭작(踰年稱爵)’ 원칙을 중심으로 -

        김동민 ( Kim Dong-min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9 No.-

        본 논문에서는 다산의 『춘추고징』에서 다루고 있는 다양한 禮制 중에서 喪禮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후계자의 관작 부여 시기와 호칭 문제를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전대의 임금이 죽은 이후 후계자가 정식 관작의 호칭을 사용할 수 있는 시점과 상례 전후 사용하는 호칭의 내용은 매우 중대한 문제이다. 『춘추고징』을 통해서 경전에 기초한 예제의 확립을 기획했던 다산의 입장에서도 이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제시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과제였다. 다산이 제시한 원칙은 ‘한 해를 넘겨야 관작을 호칭할 수 있다’[踰年稱爵]는 것이다. 그는 『춘추』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이 원칙의 타당성을 논증하고,그 과정에서 ‘장례를 치르고 나서 바로 임금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旣葬可稱君] 는 杜預와 孔穎達 등의 이론이 지닌 오류를 찾아 철저히 분석하여 비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산의 이러한 논의를 통해 그가 추구했던 경전 연구의 방향성과 자기 논리에 대한 학문적 확신을 발견할 수 있다. 나아가 고대의 예제 분야에서 경전에 기초한 정확한 義例와 표준을 확립하고자 한 다산의 학문적 목적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issues of the time for conferring the title or king to the heir and of appellations, which make the core of Funeral Rites (喪禮)in Dasan's Chunchugojing among other various ritual systems. After a preceding king passed away, when people should start using the appellation of the heir and how the appellation is used before and after funeral rites are critical issues. For Dasan who intended to establish ritual systems based on scriptures through Chunchugojing, it was an essential task to present clear principles on this topic. Dasan suggested a principle of conferring the title of king a year later [踰年稱爵]. He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is principle with various cases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hile he found errors in theories of Du-yu and Gong Yeong-dal which argued that the title of king could be used right after the funeral [旣葬可稱君] and he thoroughly analyzed and criticized them. This study finds out Dasan's directivity toward his study on scriptures and scholarly confidence in his logic through discussions on him. His scholarly purposes to establish exact formality and standard based on scriptures in the field of ancient ritual systems are also clearly confirmed. * Chunchugojing(春秋考徵):A book written by Jeong, Yak-yong about ancestral rituals based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 KCI등재

        한국철학 : 다산(茶山)『춘추고징(春秋考徵)』의 두예(杜預)에 대한 비판과 변론

        김동민 ( Dong Mi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Dasan`s Chunchugojing aims to establish ancient ritual system in funerals and mainly deals with auspicious and portentous ceremonies. Because these two fields especially arouse various theories and arguments and endless discussions, they should be examined to exactly define the ritual system. Among three biographies in Chunchu, The Zuo Commentary has the most expansive contents about various ancient civilization, institutions, culture and ritual system and it was Du-yu that made detailed annotations to it. Du-yu`s annotations play a major role in studying historical evidences of ancient ritual system but they could also have negative impact when even errors in it are unconditionally admitted. Therefore, it was an important academic task for Dasan to find Du-yu`s errors and defend them. This study looks into Dasan`s criticism and argument on an idea saying ``no mourning after a funeral [旣葬除服].`` Dasan took this issue very seriously to call Du-yu a sinner of Confucianism. Dasan`s methods and features of research on scriptures could be found by examining his reasoning process with systematic demonstration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Du-yu`s argument was a groundless conjecture.

      • KCI등재

        茶山 『春秋考徵』의 杜預에 대한 비판과 변론

        김동민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Dasan's Chunchugojing aims to establish ancient ritual system in funerals and mainly deals with auspicious and portentous ceremonies. Because these two fields especially arouse various theories and arguments and endless discussions, they should be examined to exactly define the ritual system. Among three biographies in Chunchu, The Zuo Commentary has the most expansive contents about various ancient civilization, institutions, culture and ritual system and it was Du-yu that made detailed annotations to it. Du-yu's annotations play a major role in studying historical evidences of ancient ritual system but they could also have negative impact when even errors in it are unconditionally admitted. Therefore, it was an important academic task for Dasan to find Du-yu's errors and defend them. This study looks into Dasan's criticism and argument on an idea saying 'no mourning after a funeral [旣葬除服].' Dasan took this issue very seriously to call Du-yu a sinner of Confucianism. Dasan's methods and features of research on scriptures could be found by examining his reasoning process with systematic demonstration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Du-yu's argument was a groundless conjecture. 다산(茶山)의 『춘추고징(春秋考徵)』에서는 고대의 예제(禮制)의 확립을 목표로 설정하고, 길례(吉禮)와 흉례(凶禮)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이 두 분야는 다양한 이론과 주장, 그리고 논쟁이 끊이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예제의 정확한 규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다루어야 할 부분이다. 『춘추』 삼전(三傳) 중에서도 『좌씨전』은 고대의 다양한 문물제도와 문화, 예제(禮制)를 가장 풍부하게 담고 있으며. 여기에 상세한 주석을 단 인물이 바로 두예(杜預)이다. 고대의 예제 고증에 두예의 주석(註釋)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속에 포함된 오류까지도 무비판적으로 답습할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력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산의 입장에서 두예의 오류를 찾아서 변론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학문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예의 이론 중에서 ‘장례를 치르면 바로 상복을 벗는다[旣葬除服]’는 주장에 대한 다산의 비판과 변론에 대해 살펴본다. 두예를 ‘명교(名敎)의 죄인(罪人)’이라고까지 극언할 정도로, 다산에게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었다. 다산이 체계적인 논증을 통해 두예의 주장이 근거 없는 억단임을 추론해나가는 과정을 통해서 그의 경전 연구의 방법과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春秋』의 禮制에 대한 『春秋考徵』의 분석과 고증 - 喪禮의 ‘踰年稱爵’ 원칙을 중심으로 -

        김동민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is thesis deals with issues of the time for conferring the title of king to the heir and of appellations, which make the core of Funeral Rites (喪禮) in Dasan's Chunchugojing among other various ritual systems. After a preceding king passed away, when people should start using the appellation of the heir and how the appellation is used before and after funeral rites are critical issues. For Dasan who intended to establish ritual systems based on scriptures through Chunchugojing, it was an essential task to present clear principles on this topic. Dasan suggested a principle of conferring the title of king a year later [踰年稱爵]. He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is principle with various cases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hile he found errors in theories of Du-yu and Gong Yeong-dal which argued that the title of king could be used right after the funeral [旣葬可稱君] and he thoroughly analyzed and criticized them. This study finds out Dasan's directivity toward his study on scriptures and scholarly confidence in his logic through discussions on him. His scholarly purposes to establish exact formality and standard based on scriptures in the field of ancient ritual systems are also clearly confirmed. *Chunchugojing (春秋考徵) : A book written by Jeong, Yak-yong about ancestral rituals based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본 논문에서는 다산의 『춘추고징』에서 다루고 있는 다양한 禮制 중에서 喪禮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후계자의 관작 부여 시기와 호칭 문제를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전대의 임금이 죽은 이후 후계자가 정식 관작의 호칭을 사용할 수 있는 시점과 상례 전후 사용하는 호칭의 내용은 매우 중대한 문제이다. 『춘추고징』을 통해서 경전에 기초한 예제의 확립을 기획했던 다산의 입장에서도 이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제시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과제였다. 다산이 제시한 원칙은 ‘한 해를 넘겨야 관작을 호칭할 수 있다’[踰年稱爵]는 것이다. 그는 『춘추』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이 원칙의 타당성을 논증하고, 그 과정에서 ‘장례를 치르고 나서 바로 임금이라고 호칭할 수 있다’[旣葬可稱君]는 杜預와 孔穎達 등의 이론이 지닌 오류를 찾아 철저히 분석하여 비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산의 이러한 논의를 통해 그가 추구했던 경전 연구의 방향성과 자기 논리에 대한 학문적 확신을 발견할 수 있다. 나아가 고대의 예제 분야에서 경전에 기초한 정확한 義例와 표준을 확립하고자 한 다산의 학문적 목적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정치적 실천의 의미로 본 신독: 대학장구(大學章句) 전6장을 중심으로

        길민규 인문예술학회 2022 인문과 예술 Vol.- No.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shendu愼獨 in Daxue大學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rather than an idealistic perspective. shendu愼獨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concept in Confucianism, and since ZhengXuan, it has been explained as a foster concept mainly focused on internal reflection. However, Kong Yingda tried to interpret shendu愼獨 in Daxue大學 from a Political Practice point of view. However, his attempt had a limitation in that he lost its consistency by following some of the ideas of ZhengXuan. Therefore, considering the scalability of various meanings of the shen愼 and du獨, if shen愼 and du獨 are considered from a Political Practice point of view, the possibility of other meanings of the shendu愼獨 can be examined.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shendu愼獨 can be expanded to mean that leaders who want to achieve the good of the community are not patiently enduring and overcoming the good of the community, bu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and reveal what the community wants to be and become non-hypocritical leaders. This practical interpretation of shendu愼獨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in presenting solutions to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modern era.

      • KCI등재

        新注疏 [尙書]([書集傳]) 번역을 위한 선결과제에 관한 일고

        김유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1

        In order to make the precise translation of New Type of Commentaries of 『 尙書』 』, three kinds of prior studies should be needed. First, the translation of the New Type of Commentaries based on the Old Type of Commentaries should be preceded. Second, the translation of the New Type of Commentaries based on bibliographical research, should be preceded. The third, the translation of translation of the New Type of Commentaries based on identifying the relevant literature between New Type of Commentaries and the Old Type of Commentaries should be preceded. Through this research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se prior studies will be carried out to make more precise and meaningful translation and study of 『 尙書』 . 新注疏 『尙書』의 정밀한 번역을 위하여, 선행연구로서 3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古注疏를 근간으로 하는 新注疏 『尙書』 번역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현재 국내의 『尙書』를 비롯한 經學 연구에서 古注疏와 新注疏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오직 단일체제인 新注疏로만 번역․연구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둘째는 서지학적 연구를 토대로 하는 新注疏 『尙書』 번역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新注疏 번역․연구에 있어서 宋代 『書集傳』과 明代 『書傳大全』간의 정확한 구분없이 底本을 사용하고 있는 한계와, 더불어 한국본 『書傳大全』 刊印本들과 중국본 善本인 宋代 『書集傳』과의 문자의 異同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셋째는 동아시아 문헌연구를 판별해서 참고하는 新注疏 『尙書』 번역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尙書』에 관한 문헌들을 참고하는데 있어서 古注疏 계열과 新注疏 계열의 2체제 중에, 어떠한 계열의 底本으로 연구가 되었는지 분별없이 참고해서 활용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尙書』를 비롯한 經學의 번역․연구에 있어서 이러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져서,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번역․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