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외 고등학교 공업기술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한규,진의남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etween foreign curriculum and our high school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curriculum, to review trend and stream of curriculum revision, and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subject-mat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research reference, journal, book, and Web materials. in this study, comparative target country was restricted to Japan, U. S. A., U. K., and N. Z., Australia that administer to similar subject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imilar subject-matter with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0matter was Japan' 'found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and etc, U. K.' 'design and technology', and N. Z.' 'technology',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design and technology'. 2. The result of analysis to purpose and strength of subject-matter, our'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was oriented to knowledge, understanding and career search in industrial area. but, the other was emphasize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by process-based method with thinking and action. 3. In the curriculum content, our country was treat to content area of a broad industrial world. on the other hand, Japa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environment, process technology and product technology, project research. U. S. A.; technology content standards by knowledge, process and context, U. K., N. Z., and Australia were focused 'design process'. Based on above results, the recommendation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1.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curriculum. 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expert and stakeholder about purpose and content system. of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matt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 성격과 내용이 유사한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방향, 그리고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들이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일본, 미국, 영국, 그리고 뉴질랜드와 호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공업기술교과와 유사한 과목으로는 일본의 ‘공업기술기초’와 ‘과제연구’, 미국의 ‘기술’, 영국의 ‘설계와 기술’, 그리고 뉴질랜드의 ‘기술’,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설계와 기술’ 등이 있었다. 둘째, 교과의 목표와 강조점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공업기술은 공업에 대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진로탐색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일본, 미국, 영국, 뉴질랜드, 호주의 경우에는 과정적 접근 방법에 의한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었다.셋째,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반적인 공업 세계의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나, 일본은 인간과 기술 및 환경의 관계, 가공기술과 생산기술, 과제연구를 다루고 있었으며, 미국은 지식과 과정, 그리고 맥락에 의한 내용표준을 제시하고 있었고, 영국, 뉴질랜드, 그리고 호주의 경우에는 설계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공업기술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분석이 필요하다.둘째, 공업기술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 기술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분석

        박창언,Jin-ling Wang,주동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of Chinese artisan high school curriculum and present some matters for improving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For achieving the purpose,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of China and status of artisan high school were examined. And change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style, educational objectives, subjects, and curriculum formation and time allocation were analyzed. Finally, some matter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m China,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style of artisan high school was changed to endow local area and school with autonomy to some degree, but there was no basic change and the leading autonomy still belonged to the nation. Second, regarding educational objectives, the presentation of them was simplified and the complexity of them was reduced. The main contents of them emphasized socialist ideological education and political education and ignored the specific goals of artisan education. Third, about curriculum formation and time allocation, the characteristic of current curriculum was the connection of them with continuing and life-long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of them with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real change in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reexamined overall. 본 연구는 중국 기술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할 점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중국의 교육과정 관리 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1949년 사회주의 중국이 확립된 이후, 교육과정은 중앙집권적 관리 체제를 유지하였으나, 1960년대와 1980년대 중반에 분권형 관리체제로의 이행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본격적인 분권적 관리체제를 지향한 것은 1999년 국무원에서 공포한 ‘기초교육과정 개혁강요’에서 국가, 지역, 학교의 역할분담 체제가 정비되었다. 다음으로 직업교육에서 기술공업계 고등학교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고등학교는 일반계와 실업계로 구분이 되고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는 다시 중등전문학교, 기술공업계열 고등학교, 직업고등학교, 성인중등전문학교로 구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기술공업계열 고등학교는 실업계 고등학교에 해당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논의된 사항은 교육과정 결정방식의 변화, 교육목표의 변화, 교과목의 변화, 편제와 시간배당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논의 결과 교육과정 결정방식에서는 지역과 학교에 어느 정도의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나, 이는 형식적인 것에 해당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아직까지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결정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교육목표에서는 구체적 내용에서 변화의 양상을 뚜렷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진술방식에서는 기존의 총괄목표와 하위목표로 구분하던 것을 통일적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교과목개설에서는 기존에 비해 산업체와의 긴밀도를 높이고 있으며, 평생교육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편제와 시간배당에서는 기본적으로 큰 변화의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었다. 이들 논의 결과에 기초해 볼 때, 교육과정 결정 체제의 실질적 분권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직업교육과정의 특성을 감안한 시간배당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 교과서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의 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

        강종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1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5년에 처음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된 6 종류의 초등 실과 6 교과서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에서 동일한 전기・전자 관련 부품 및 기구의 명칭이나 기능, 내용을 기술할 때, 서로 다르게 사용된 용어나 표현에 대하여 통일된 용어와 표현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서별로 서로 다른 용어나 표현에 대하여 통일된 용어와 표현으로 정리하고, 이를 전국 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및 실과 관련 심화과정 소속의 공업・기술 영역 담당 교수들에게 제시하여 통일된 용어와 표현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견을 물었으며, 교수들이 제안하는 의견을 반영하여 용어와 표현을 수정 정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및 실과 관련 심화과정 소속의 공업・기술 담당 교수와 교육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교사들도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의 전기・전자 부품 및 기구의 명칭과 기능에 대한 설명, 로봇과 관련된 용어와 표현에서 교과서별로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전기・전자 부품의 명칭이나 기능에 대한 기술에서 정확한 학술적 용어나 표현으로 나타내지 않고 교과서 집필자 개인이 학습하거나 참고하였던 자료에서 보았던 용어나 표현으로 나타내었다고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용어와 표현의 통일을 위하여 교과서를 집필할 때 용어 사용에 대한 지침이나 표준화된 용어 사전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로봇의 이해’ 중단원에 대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로봇 및 센서의 종류에 대하여 그 범위를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것이 필요가 있다. 넷째, 검인정 교과서를 개발할 때는 동일한 단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내용의 표현에서 표준화가 이루어지면, 단원의 교수・학습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거나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생겨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해소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unified terms and expressions for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differently in each textbook for the 'Life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s' sec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6 textbook.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6 textbooks published six kinds was first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 in 2015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irst, by analyzing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differently in each textbook and unified terms and expressions. Next, asked the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zones professor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tensify the proces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opinion on unified terms and expressions. The researcher was organized the proposed unified terms and expressions and modified the opinions of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of every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ose are in charge of technology and industry which belongs to the advanced course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future teachers feel the needs for unification of terminologies and expressions for types of robots, apparatus required for teaching and learning study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chapter of 'Life and electricity and electronics' Second, as types or robots and sensors are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long the educational course on 'Understanding of the robots' chapter, each text book shows different kinds of robots and sensor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range of the robots and sensors. Lastly, if it is standardized in the content-related representation, and unified of the names of various tools and components that are used from the same chapter when developing the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not only efficient of teaching and learning, but also resolute of many problems arouse by differently used of expressed terms can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