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생주의로 본 공정무역에 관한 연구 : 일본 NGO 공정무역을 중심으로

        이시이 사이키 한국평화NGO학회 2022 평화NGO연구 Vol.2 No.-

        본 연구는‘NGO들이 공생주의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될까?’라는 질 문에서 시작했다. 공생주의는 이상사회의 경제적 측면을 다룬 개념인 동시에 특히 소유의 측면을 다룬 개념이다. 지금까지 공생주의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 정립 되어 있지만, 실천적인 운동 사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상세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운동을 모색하여 사상을 실천으로 옮기는 활발한 연구가 필요 하다. 그리하여 저자는 실천적인 공생주의 연구로 공정무역에 주목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일사상의 경제이념인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공정무역을 고 찰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참사랑이 흐르는 공생주의 사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경제운동으로 공정무역이 유의미한 가치를 지님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문헌조사를 통해 공생주의와 공정무역의 이론을 정리했으며, 일본 NGO 공정무역 의 사례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했다. 공정무역이란 개발도상국에서 만든 농작물이나 제품을 적정한 가격으로 계속적 으로 거래함으로써 생산자의 생활을 지탱하는 무역이다. 국제협력이나 자금원조는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의존하는 관계성을 형성하고 원조하는 측의 사정에 따라 좌우되어 계속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그에 비해 공정무역은 소비자가 일상생 활에서 커피나 바나나, 초콜릿 등 상품을 구입하는 데서부터 생산자의 생활을 지탱 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빈곤 문제 해결책의 하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공정무역을 볼 때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긍정적인 검토를 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공정무역 제품의 유통과정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자립을 위하여 생산부터 소비까지 모든 관계자들의 정성과 사랑이 함께 흐르는 공생주의 의 물심일여(物心一如)의 통일적 과정과 상통하다. 둘째, 공정무역은 공생주의의 특징인 통일산업 중 개별상을 지닌 지역적 특수산업을 중요시한다. 셋째, 공정무역 은 공정무역 원칙 중 양호한 노동조건 지원을 준수하여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생주의의 특징과도 상통하다. 넷째, 공정무역은 근본적으로 기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의 역량 강화나 자립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식량문제 해결 을 지향하는 공생주의의 이념과 유사하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How can NGOs put Co-Livingism into practice? Research on Co-Livingism has been established theoretically, but research on practical examples of movements has been insufficient. To realize the ideal world, we need to seek out concrete movements and conduct active research to put our ideas into practice. Therefore the author focused on fair trade in this study of practical Co-Living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fair trade from the perspective of Co-Livingism, the economic philosophy of Unification Thought. Through this, I will try to show that fair trade has a meaningful value as an economic movement for realizing the Co-Living ideology through which God's true love flows. This thesis summarizes the theor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Livingism and fair trade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case studies of NGO fair trade in Japan. Finally, the case studies are analyzed, and suggestions are drawn, and a proposal for NGO Fair Trade is presented. Fair Trade is a trade that supports the livelihood of producers by continuously trading crops and products made in developing countries at a fair pric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financial aid form a relationship in which developing countries depend on developed countries, and there is a problem of lack of continuity as it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of developed countries. In contrast, fair trade is a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support the livelihoods of producers through the purchase of products such as coffee, bananas, and chocolate in their daily lives,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solutions to poverty issues. Looking at Fairtrade from the perspective of Co-Livingism, the following points can be considered positively. First, the distribution process of Fairtrade products is in line with the unified process of Co-Livingism, where the sincerity and love of all parties involved,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live together for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developing countries. Second, fair trad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gional special industries that transcend individual images among the unified industries that are characteristic of Co-Livingism. Thirdly, Fairtrade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ivingism, which adheres to the support of good working conditions and aims to promote welfare among the principles of Fairtrade. Fourth, fair trade is similar to the Co-Livingism principle, which aims to solve the food problem by implementing programs that help producers strengthen their capacity and become self-reliant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hunger problem. In this thesis, I will define communal ownership as the benefits that are distributed to all producers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until the goods produced are delivered to consumer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ree suggestions are presented: revitalizing Co-Livingism, improving civil society's awareness of poverty issues, and public relations for NGO fair trade.

      • 통일사상 공생주의에 기반을 둔 공동소유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타니우치 마사히로 통일사상학회 2019 통일사상연구 Vol.16 No.-

        통일사상에서는 이윤이 동기가 되는 경제사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공생주의를 기 반으로 한 경제사상을 제시한다. 공생주의에서는 사적 소유에 대하여 공동소유를 제 안한다. 공동소유사상을 바탕으로 한 경제주체들의 경제 참여가 공생주의에 기반을 둔 경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통일사상 공생주의 중에서 말하는 공동소유에 관한 사상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경제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공생주의에 기반을 둔 공동소유사상은 현대 경제를 하나님의 심정을 중심으로 운 영하는 사상이며 인간이 하나님을 대신하여 만물세계를 공동관리 하고자 하는 사상 이다. 시장경제를 지탱하는 사적 소유를 인정하되 통일사상에 입각한 사적 소유를 통한 공동소유를 실현하는 사상이 공동소유사상이다. 필자는 공동소유사상을 통일사 상의 참사랑, 수수작용, 신생체의 원리에 따라서 무조건적 조건부, 쌍방향성, 발전성 으로 구성했다. 참사랑으로 자기 소유물을 다른 사람과 주고받게 되는 공동소유사상 을 바탕으로 경제에 참여할 때 공생주의에 기반을 둔 공동소유 경제사상이 형성된다. 공동소유 경제사상을 바탕으로 한 정부는 공동소유를 이루기 위해서 시장경제제도 를 설계하여 정책을 수행한다. 오늘날 경제에 있어서 빈부격차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유층을 중심한 시장경제를 공동소유사상에 입각해서 시장경제의 틀을 설계할 필요 가 있다. 그것은 경제적 성과를 모든 경제주체가 향유(享有)할 수 있는 사회이며 모두 가 공평하게 살 수 있는 선순환의 사회이다. 바꿔 말하면 현대 주주자본주의를 모든 이해 당사자를 위한 자본주의로 전환하는 것이다. 공동소유 경제사상을 실현하는 것 은 공생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심정을 현실 세계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Unification thought presents the economic thou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as an alternative to profit-motivated economic thought. In contrast to private ownership, the principle of mutual economic thought argues for joint ownership. Additionally, in the ideal economic society, all economic activities are based on the thought of joint ownership. This paper proposes the economic thought based on joint ownership in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The joint ownership thou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can be defined as the management of the economy centered on the heart of God and the co-management of the created universe by human beings on behalf of God. Joint ownership thought recognizes the necessity of the private ownership which constitute the market economy for fundamental economic activities, however it also demands that the private ownership be based on unification thought. The joint ownership thought is composed of three main aspects: unconditional conditionality, interactivity, and character of development. Each of these aspects is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true love, give and take action, and new being of unification thought. Therefore, the economic society is achieved by practicing the giving and receiving with others centered on True Love. The government which is based on the joint ownership economic thought designs and implement market economy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joint ownership. This implies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odays’ economic society, it is necessary to design a market economy based on the ideology of joint ownership. That society is the society in which all economic entities can enjoy the economic fruit appropriately and produces the virtuous cycle society where all members can live fairy. In other words, it transforms modern shareholder capitalism into. I will discuss the way of the practice of the joint ownership for the practice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and the heart of God in today’s world.

      • 공생주의에 기초한 적정소비 철학에 관한 연구

        임현진 통일사상학회 2022 통일사상연구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공생주의에 기초한 적정소비의 개념과 철학을 밝히는 것이다. 『통일사상요강』은 이상사회의 경제이념으로 공생주의를 제시하고 있다. 공생주의는 하늘부모님과 인간의 공동소유를 바탕으로 한 경제이념이며, 개인의 적정소유를 조 화롭게 고려하는 철학이다. 공생주의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교환‧분배‧소비 등에 전반에 걸쳐 이상사회 경제활동의 새로운 체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소비는 현 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문화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 인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소비문화가 먼저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 통 일사상의 공동소유와 적정소유 개념을 소비현상에 대응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 이다. 과소비와 사치소비 등 잘못된 소비문화를 극복하고 공생주의에 따른 소비문화 와 제도를 제시해야 한다. 공생주의에 따라 국가는 공동소유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공동소비를 지원해야 한다. 또한 진선미성의 가치적 욕구를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의식주성의 생리적 욕구를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의 균형 을 맞춘 소비문화와 제도를 만들어가야 한다. 하늘부모님의 자녀로 창조된 인류는 서로 형제자매의 입장에서 균등하고 평등하게 재화와 서비스를 사랑과 정성으로 소 비하고 그 기능과 소구에 감사와 행복을 느끼면서 물심일여의 가치를 느끼며 살 때 까지 경제개혁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cept and philosophy of Reasonable Consump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Unification Thought presents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as the economic ideology of an ideal society.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is the economic ideology based on the joint ownership between Heavenly parent and humans, and the philosophy that harmoniously considers the reasonable ownership of individuals.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seeks to present a new system of ideal social economic activities throughout the production, exchang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Among them, consumption can be an activity that shows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apitalism. In order to realize an ideal economy, the consumption culture must change in the right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Unification Thought's concepts of the joint ownership and the reasonable ownership in response to consumption phenomena of the modern capitalism.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wrong consumption culture such as excessive consumption and luxury consumption and present the consumption culture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utu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perience, the state should support the Joint Consumption, which improves the minimum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Joint Ownership between Heavenly Parent, God and huma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new consumption culture and system that balances the lifestyle between aims for the value desire of truth, goodness, beauty, and holiness and the physiological need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Created as children of Heavenly parent, God, mankind must consume goods and services equally from the standpoint of siblings to each other with love and sincerity. In addition, mankind should strive for economic reform while being grateful and happy for the functions and demands of them.

      • KCI등재

        마굴리스 공생진화론과 가이아로의 확장성에 대한 소고 - 유전자 중심 신다윈주의 진화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손향구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9 No.-

        Although Margulis’s theory of symbiotic evolution and synthesis theory of neo-Darwinism are representative scientific theories that explain evolution, they have been in conflict with each oth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basic assumptions about the mechanism by which the life lineage is formed. Whereas Margulis presupposes symbiotic cell fusion as a major factor in the formation of a life lineage, Neo-Darwinism attaches greater significance to genetic variation within a single species.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two theories take the position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ymbiotic evolution theory, and it is regarded as a theory in opposition to neo-Darwinism.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rationale on the premise that the theory of symbiotic evolution has the same level of explanatory power as neo-Darwinism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evolution.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superiority of explanatory power differs by period, speciation develops in various ways in the long history of life, and it is suggested that evolution can be properly explained only when both explanatory methods are accepted. Furthermore, I tried to show the fact that the theory of symbiotic evolution could go one step further from Neo- Darwinism by explaining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extended to Gaia, an organic explanation for the Earth's ecosystem. To this end, it was explained that autopoiesis, which regulates interactions between cells and individuals in the process of symbiotic evolution, has been extended to a level that encompasses the control system between various organisms/ environments constituting the entire global ecology and is presented as a universal principle. This discuss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symbiotic evolution theory and Gaia can contribute to evoking the ontological fact that we human beings are just one member of Gaia, looking at the earth as an organic unity. 마굴리스의 공생진화론과 신다윈주의의 종합설은 진화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과학이론 임에도 불구하고 생명계통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기본 가정이 다르기 때문에 계속 해서 대립해왔다. 마굴리스는 공생적 세포융합을 생명계통 형성의 주요 요인을 전제하는 데 반해 신다윈주의는 단일종내 유전자 변이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한다. 두 이론을 다루 는 대부분의 연구는 공생진화론의 설명력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보이며 신다윈주의와 대립하는 이론으로 간주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진화를 설명하는 과정에 공생진 화론이 신다윈주의와 대등한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한 후 그 근거를 제시하 고자 하였다. 시기별로 설명력의 우위는 다르다 할지라도 장구한 생명의 역사에서 종 분화 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두 설명방식을 모두 수용해야 진화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나아가 공생진화론이 지구 생태계에 대한 유기체적 설명인 가이아로 확장될 가 능성을 배태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여 신다윈주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 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생진화과정에서 세포 간, 개체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 는 자기생성이 지구 생태 전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생물/환경 간 조절체계를 포괄하는 수준 으로 확장되어 보편원리로 제시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공생진화론과 가이아의 연결성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지구를 유기적 통합체로 바라보고 우리 인간 또한 가이아에 배태된 하 나의 구성원에 불과하다는 존재론적 사실을 환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공생주의로 본 협동조합 경제 운동에 관한 고찰

        강화명 통일사상학회 2018 통일사상연구 Vol.14 No.-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이상경제론인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협동조합 경제운동이 가지는 이론적 함의에 대해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참사랑에 기반 한 연대의 경제를 꿈꾸는 공생주의를 현실화하기 위한 경제조직으로 협동조합이 유 의미한 가치를 지님을 밝히고자 한다. 협동조합은 자유로운 시민들이 생활에서 느끼 는 공동의 필요를 협동으로 해결하고자 만든 자발적인 결사체이다. 협동조합 경제운 동은 구체적인 삶의 터전인 지역을 중심으로 시민 주체들이 공동의 목적과 관심을 위해 모이고, 공동소유와 민주적 운영에 기초하여 일상생활의 문제들을 함께 극복해 나가는 호혜의 경제를 지향한다. 자본보다는 사람이, 경쟁보다는 협동과 공동체의 가치가 더욱 강조되는 협동조합 경제운동은 인류한가족의 관점에서 만민의 복지에 기여하는 참사랑의 경제를 실현하고자 하는 공생주의와 상통하는 면이 많다고 생각 된다. 이에 공생주의의 현실화를 위해 협동조합 경제운동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implications of the economic movement of coope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 the theory of an ideal economy in Unification Thought, and seeks to reveal the substantial value of cooperatives as an economic organization needed in realizing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which dreams of solidarity economy based on true love. A cooperative is an association voluntarily formed by free citizens to jointly tackle and resolve the common needs of life. The economic movement of cooperatives aims for reciprocity wherein the main citizen agents gather for the common needs and interests of citizens, and try to jointly overcome daily life problems based on joint ownership and a democratic management. This economic movement, which emphasizes people more than capital, cooperation and communal value more than economy, has a lot in common with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which seeks to realize a true love-based economy that contributes to the welfare of all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one big family under God. Therefore, an economic movement of cooperatives is an essential that needs to be positively consider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 공생주의로 보는 인공지능의 역할과 가치

        이동헌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의 발달과 더불어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우려와 불안에 대해 통일사상의 공생주의적 관점에서 제4차 산업혁명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인공지능을 통해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고 사회의 많은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통일사상의 공생주의가 주장하는 적정소유과 공동소유, 범역적 보편산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인공지능의 역할이 중요하며 나아가 인간이 그동안 기계적, 반복적, 논리적, 분석적, 이성적인 일을 인공지능이 대신하며 인공 지능이 발달되면 많은 여가시간을 보장하여 취미산업을 발달시킨다. 또한 인공지능 이 발달하면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우려가 있으므로 기본소득이 필요하다. 공생주의 가 지향하는 이상적 복지국가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세수 마련이 필수적이므로 인공 지능에게 세금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in Unification Thought in light of the concerns and anxiety about job disappear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social changes are being brought 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creation of new jobs.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important for reasonable ownership and public ownership, and trans-regional universal industry argued by Unification Thought’s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to be realized. Furthermor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perform the mechanical, repetitive, logical, analytical and rational tasks that humans have been performing, which will guarantee greater leisure time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isure industry as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s. Moreover, since the provision of stable tax revenue is essential for the ideal welfare state pursued by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introduce tax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천일국 공생공영공의주의 국가론에 관한 연구

        황진수 통일사상학회 2018 통일사상연구 Vol.15 No.-

        본 논문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지향하는 이상 국가, 즉 ‘천일국’의 국가론에 관한 시론적 논의를 공생공영공의주의의 관점에서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현대 국가론 중에서 ‘문화적 국가론’은 국민이 투영하는 국가의 전체적 관념이 국가의 실 재로 재현되고, 그렇게 재현된 실재 속에서 다시금 국가의 표상이 국민의 마음속에 서 더 구체적으로 공유되어 갈 때 국가가 동적인 생명력을 지니고 유지, 발전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논리는 천일국에 대한 개념 설정을 지속적으로 고민하는 가운 데, 그러한 고민 속에 투영된 천일국의 관념을 실질적인 삶의 양식으로 만들어가려 고 하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현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통일사상이 제시하는 공생공영공의주의는 천일국 국민들이 삶의 현장에서 천일 국의 전체 관념을 마음속에 명확히 그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인도하는 이념적 푯대 의 역할을 한다. 공생공영공의주의는 이상사회의 경제, 정치, 윤리 사상으로서, 하나 님의 심정을 닮아 전체목적을 더 우선시하는 사랑의 마음을 가진 인간들이 이루는 사회가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될 지를 먼저 투영해보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여 현 자 본주의와 민주주의 제도를 운영하는 방식의 질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방식을 취한다. 공생공영공의주의 정신이 실제 천일국을 살아가는 국민의 삶의 자리에서 반복적으 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경험되어 갈수록 천일국의 비전은 그저 이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삶 그 자체로서 드러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생공영공의주의 가 천일국 국가론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introductory discussions of the theory of Cheon Il Guk, the ideal world proclaimed by FFWPU, based on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ighteousness. Among recent theories of the state, cultural theory of the state sees that when the holistic image of the state grasped by people is realized in the actual moments of the state and experiencing those moments in turn induce a more concrete representation of the state, then the dynamic life of the state can be maintained and developed. This theory is related closely to today’s FFWPU that keeps refining the concept of Cheon Il Guk and trying to substantiate it to the extent of forming the mode of life. Unification Thought talks about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ighteousness as an ideology for the ideal world. This paper regards this principle as a key perspective that is able to lead the citizens of Cheon Il Guk to grasp the whole image of Cheon Il Guk and to actualize it. Dealing with the economic, political, and ethical aspects of the ideal society, this principle first proposes what kind of world would be realized if it is operated by people who have the altruistic mind that prioritizes the purpose for the whole, and then invites us to apply it to the current society, thus urging us to qualitatively change the ways of operating the existing capitalistic and democratic social system. If the spirit of this principle is practiced and experienced repeatedly and continuously by Cheon Il Guk citizens, the vision of Cheon Il Guk will actually be revealed in their lives. In this regard, the theory of Cheon Il Guk is deeply rooted in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ighteousness.

      • KCI등재

        양극화 극복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에 대한 다층적 접근의교육역할과 방향

        정시구 한국종교교육학회 2016 宗敎敎育學硏究 Vol.5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양극화 현상의 극복을 위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에 대한다층적 접근으로 교육적 역할과 방향을 탐색하고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현재 우리사회의양극화 현상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사회경제적 양극화에서 윤리적⋅정치적 양극화로의 복합적으로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자들은 사회복지비의 확대가 경제를 침체시키고 국민의 자립정신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한다. 만약에 신자유적 시장자본주의 만을 용인한다면 정부의 최종적 역할은매우 한정된 실패자의 구제만을 보장할 뿐 양극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종교교육에서도 양극화문제를 사회공동체의 윤리적⋅정치적 문제로 인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양극화 현상 극복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의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생주의는 하나님의 개체(개성)완성의 교육을 통하여모든 소유가 하나님의 참사랑을 터로 한 공동소유와 평화의식을 담고 있으므로 경제적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기여하는 사상이다. 둘째, 공영주의는 주관성완성 교육으로 전 인류가 하나님의 창조성을 닮은 천재가 되고, 만인이 참여하여 양심주권시대를 열어가는 공동정치를 실현함으로써 정치적 양극화 현상을 본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사상이다. 셋째, 공의주의는 하나님의 가정완성 교육을 통한 선민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하나님을 중심한 사랑의 질서를 바로 세우고 ‘인류대가족’이라는 전 인류의 공동목표를 추구하여 윤리적 양극화 현상을 극복하는 사상이다. 끝으로 공생공영공의주의를 통하여 양극화 현상 극복에 있어서 교육학적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

      • ESG에 대한 공생주의적 고찰

        이준석 통일사상학회 2022 통일사상연구 Vol.22 No.-

        기업의 ESG에 대한 관심이 최근 전례 없이 뜨겁다. 선한 경제를 지향하는 ESG 의 열풍은 선한 경제를 지향하는 공생주의적 관점에서도 긍정적인 현상임에 틀림없 다. 본 논문은 ESG를 통해 사회로부터 선한 기업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경제인의 욕 구를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러한 욕구를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공생주의적 관점에서 ESG는 첫째, 만물과 인간 상호 간의 공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초국가적 공통 지표로서, 둘째, 공익을 위한 기업의 이타적 행동을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공신력 있는 제도라는 점에 서, 셋째, 선한 기업이 되고자하는 기업 상호 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필자가 제시하는 ESG의 공생주의적 실천 방향은 참부모가 제시한 인류 공동의 복지 프로젝트와 ESG를 연계시키는 것이다. 인류 공동의 복지 프로젝트는 ESG가 강조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적인 요소 뿐 아니라 UN SDGs와 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업이 ESG의 장기적 비전으로 설정하여 연계 하기에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하여 공생주의를 지향하는 글로벌 기업-학계 -NGO 간의 긴밀한 협업과, 공생적 경제 지도자를 지속적으로 육성하는 기업의 인재 육성 시스템, 기업의 수익을 목적 사업에 연결하고, 목적 사업에서 다시 시너지를 얻는 비영리재단의 지배구조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인류 공동의 복지 프로젝트는 기업의 ESG를 통해 더욱 빠른 진전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shown unprecedented interest in ESG. The ESG craze towards a good economy is undoubtedly a positiv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ce towards a good economy.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on how to reinterpret the desire of businessmen to be recognized as a good company by society through ES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ce, and how to develop this desire in a better direction. The meaning of ES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ce is first, as a supranational common indicator of a company's public responsibility of all things and human beings. Secondly, it is a public-trusted system that can be recognized by members of society for its altruistic actions for the public interest. Third, it has a positive meaning in that it induces good competition among companies to become a good company. The direction of ESG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ce is to link ESG with the common welfare project for humanity proposed by True Parents. Since the common welfare project for humanity is already closely connected with the UN SDGs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factors emphasized by ESG,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linking it with ESG. In addition, if the close collaboration among global companies, academia, and NGOs that pursues ‘Interdependence ideology’, if the company establishes a system that continuously nurtures interdependent entrepreneurs, and if the good governance structure of the non-profit foundation is effectively utilized, the common human welfare project for humanity is expected to progress more rapidly through corporate ESG.

      • 공생주의로 본 생활임금 담론

        김민지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심화되는 경제적 불평등이 또 다른 재난불평등으로 이어져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공생주의의 관점에서 미국과 영국 등에서 이루어진 생활임금제 담론을 분석하여 경제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담론의 방향을 제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생주의로 볼 때 생활임금의 핵심 담론은 인간을 노동과 이윤 추구의 관점이 아닌 존엄과 가치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전제하고 있으며 가족이 임금의 설정단위로 반영되도록 하고, 지 역공동체가 생활임금운동을 전개하고 제도로 도입되도록 노력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인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생활임금 담론은 경제불평등 완화를 위해서는 담론의 중 심이 경제성장의 패러다임이 아닌 인간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부유 층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공감대 형성이 요청되고, 본심의 회복 과 나눔과 사랑의 실천을 위해 종교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청됨을 시사하고 있 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noted that economic inequality that intensifies after the pandemic can lead to another disaster inequality, deepening social conflict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ance, I tri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discourse to alleviate economic inequality by analyzing the discourse on the living wag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s a result of the study, in view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ance, the core discourse of living wage has the following positive meaning. First, the living wage presupposes a paradigm shift from the viewpoint of labor and pursuit of profit to the viewpoint of dignity and value. Second, the family is reflected as a set unit of wages. Third, the local community worked hard to introduce the living wage system while developing the living wage movement. Furthermore, the living wage discourse informed that the center of discussion should be shifted to a human-centered paradigm rather than an economic growth paradig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tinuous consensus so that the wealthy can voluntarily participate, and it suggests that active particip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is required to restore their original mind and practice sharing and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