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 치료를 통한 목회자 아내의 전인적 안녕 제고: <대화저널기법>을 중심으로

        김계명,유재성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therapy of writing for enhancing well-being of a pastor’s wife. Much of the discussion on well-being has been on explaining what kind of life is good for people in general. However, the writers of this paper focus on a therapeutic model of writing for pastor’s wives. A writing is to switch perspectives and find a voice of pastor’s wif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 tend to see and understand it through their own frame of reference. Indeed, when a pastor’s wife begins to write about a trauma,she first describes what she saw, felt, and experienced. A writing,however, helps her view the traumatic event in different perspectives. An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she is to express herself openly and honestly. Wanting to get benefits from writing, she has to be able to find a voice that reflects who she really is. 본 논문의 목적은 목회자 아내의 전인의 안녕을 고양하기 위하여 글쓰기 치료를 고찰하는 데 있다. 대화저널기법은 목회자 아내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목회자 아내로 하여금 대화저널을 통해 내면의 안정감과 그룹원에 대한 신뢰를 느끼면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깊은 부분까지 나누며 상호적인 공감을 나눌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치유와 회복을 향한 새로운 변화와 성장의 역동이 있기 위해서는 그룹원들 사이에서 자신을 솔직하게 나누고 서로 공감하는 의사소통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글쓰기는 목회자 아내와 공동체 간의 공동의 변화와 성장에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목회자 아내는 못 볼 수도 있는 여러 가지 변화 상황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더 확대하여 내면의 창조성을 도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목회자 아내의 갈등과 문제는 많은 경우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 해결책도 대개 개인만의 변화보다는 공동체의 수용과 변화가 따를 때 좀 더 효과적인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게 된다. 대화저널기법은 글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목회자 아내로 하여금 자신의 글쓰기 과정에서의 경험이 현재의 자기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어 새로운 존재로 창조하는 데 효과적이며 궁극적으로는 전인적 안녕을 증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융복합적 연구 방법

        서기자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융복합적 교육 방법과 실제에 대하여 다룸으로써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자기 성찰적 글쓰기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우선 자기 성찰적 글쓰기와 글쓰기 교육의 융복합적 시도에 대한 선행 연구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 방법과 글쓰기에 대한 예를 제시함으로써 인문학, 정신의학, 예술의 학제적 운영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실제적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 KCI등재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이혜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eacher’s role in the AI era. Methods For this, reflective writing was used for 101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Results Pre-service teachers predicated that AI’s influence on school education would increase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they concerned about excessive dependence on AI, fairness in evaluation and individualism while there were positive asp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learners, reducing teachers’ work and reducing the academic gap between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s were who guide students to the human life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for them with a sense of duty in education and that AI could never replace them. They thought that teachers in future society should play the role of class planners, AI administrators, sympathetic leaders, guides to community life, and persons wh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Conclusions Frist, Pre-service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 the need for school change due to social change and show their’s subjective appearance as subjects for school change. Second, focusing on the ambivalence of AI influence on education, they define the role of teacher in terms of ethics aspect, focusing on humanity. Third, it can be seen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a self-reflection aspect, in that they define the identity of teachers through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th, Pre-service teachers suggest what the educational direction schools should be by defining the desirable human life is communit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