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둠살이의 진화

        김기홍(Ki Hong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5 農村社會 Vol.25 No.1

        본 연구는 최근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추세에 맞춰, 그 중심적 개념을 진화적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라는 인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모둠살이 공간을 지나치게 단순화해 이해한 결과다. 사실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는 모둠살이 공간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위이지만, 그 맥락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 차이는 바로 진화적 관점을 접목시킬 때 더욱 분명해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진화적 관점을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나누고, 여기에 모둠살이의 본질을 통합하는 시도를 했다. 모둠살이의 시간성은 전근대·근대·탈근대로 구분된다. 또, 공간성은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로 분류된다. 아울러 모둠살이의 본질은 개체 단위에서의 자발성, 체계 수준에서의 자족성, 복잡계에서의 지속성으로 나뉜다. 그 결과 모둠살이의 기초로서 ‘마을’은 전근대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그 본질은 제한적(restrictive) 자발성·자족성·지속성으로 특징지어 진다. 또 모둠살이의 규모가 확대된 형태로서 ‘공동체’는 근대사회에서 본격적으로 대두되는데, 그 본질은 확장적(extensive) 자발성·자족성·지속성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야 하는 21세기의 모둠살이로서 ‘마을공동체’의 본질은 대안적(alternative) 자발성·자족성·지속성으로 요약된다. 결론적으로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로 등치된 인류의 모둠살이는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로 재구성할 때 그 관계가 한층 명확해지고 풍부한 논의가 가능해진다. This study attempt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to understand how or why the central concepts of village and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are currently highly escalating in public interest. There is an acknowledgement that village and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are used interchangeably to equal one another in the existing discussions. However, this inaccurate perspective results in excessively simplifying the meaning of communal life. In fact, although these all are representative units of communal life,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among village and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The differences get more obvious when combined with evolutionary viewpoints especially because this study divides the evolutionary view points by temporality and spatiality and tries to integrate the essences of communal life into these two axes. Here temporality is classified as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and spatiality is categorized as village,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In addition, the essences of communal life are labeled as the spontaneity of individual level, the self-sufficiency of system level, and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ity level. As a result, in pre-modern society, the village, as the basis of communal life, is a generalized type, and thus, essences are characterized by restrictive spontaneity, self-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However, in modern society, the community, as the extension of communal life, is much more evident, and essences are now regarded as extensive spontaneity, self-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Furthermore, in the post-modern 21st Century, the village community, as a new possibility of communal life, is more common and essences are summarized into alternative spontaneity, self-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In conclusion, when spaces of communal life equalized by ‘village= community=village community’ are reconstituted by ‘village⇒ community⇒ village community’, the discussions of communal life can be much more productive and creative.

      • KCI등재

        마을공동체미디어 생산자의 미디어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용복(Yong Bok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본 연구는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 참여자들이 생산과정에서 경험하는 가치를 조망함으로써 마을공동체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 참여자 12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생성과 생산과정, 이 과정 속에 투영되는 특정한 가치, 이들의 역할을 보다 활성화시키고,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해 주목했다. 분석 결과, 첫째로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 생성에는 원주민이 아닌 이주민이 중심이 됐고, 지극히 개인적인 ‘재미’와 ‘열정’, ‘보람’ 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을공동체미디어에 접근하고 참여하는 것에 대해 완전한 개방체로서 존재하고 있었으며, 미디어 콘텐츠는 마을주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이야기와 기록으로 남겨지지 않은 마을 어르신들의 숨은 이야기들로 채워지고 있었다.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생산과정의 특징으로는 수평적 소통이 이뤄지며, 공동회의라는 형식을 거치지만 미디어 참여자 개인의 의견을 전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마을공동체미디어 참여자들이 생산과정에 적용하는 가치들을 살펴본 결과, 자발적인 참여에 따른 ‘소통의 연결고리’와 ‘소통의 확산체’로서 기능주의적 면에서 소통의 활성화를 통한 마을공동체의 복원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주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본 결과, 마을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마을공동체미디어 공간 확보, 방송장비 부족과 자치단체의 예산 지원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미디어를 위해 자치단체의 안정적 활동을 위한 지원시스템 마련은 시급한 과제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community media in Jeju by looking at the value that it’s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re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village community media, the specific value reflected in this process as well as how to activate and operate it sustainab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2 media participants in Jeju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we were able to see that the migrants who are not the indigenous became the center of village community media creation in Jeju and they felt very personal ‘fun’, ‘enthusiasm’ and ‘satisfaction’. It was also completely open to access and participate in village community media and its contents were filled with stories of everyday life of village residents and hidden stories of old people in the village that were not recorded.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village community media was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it reflected well the opinions of individual media participants even if it had a joint meet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ues applied to the production process by village community media participants, they regarded the connection of communication b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storation of communities through activation of communication in functionalism as an important valu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llenges and development plan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munity media in Jeju, it was requir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illage residents, ensuring space for village community media, providing insufficient broadcasting equipment, and the budget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etc. It was once again confirmed that the provision of a support system for the stable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is an urgent task for sustainable village community media.

      • KCI등재

        학교단위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분산적 지도성 실행: 그 과제와 시사점

        김희규(Kim, Hee Kyu),주영효(Joo, Young Hye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3

        학교공동체는 학교의 발전과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국내에서 논의 중인 학교공동체는 아직 학교공동체 형성 전략을 규범적으로 제시하거나 학교가 공동체로 전환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대안적 관점에서 학교공동체의 구체적인 모델로 “학교단위의 전문가학습공동체(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문헌에 기초한 탐색적 연구로서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학습공동체와 분산적 지도성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본 후, James Spillane이 제시한 분산적 지도성 이론의 주요 요소를 기본적인 분석틀로 하여 학교단위의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 및 실천을 위한 분산적 지도성 실행의 의의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School community has a large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school. However, in Korea, a discussion on school community has suggested strategies for building school community or remained at a level that emphasizes the necessity to be converted into a school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1)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lternative to realize future-oriented school community and 2) practice of distributed leadership as catalysts to facilitate build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as a preliminary study,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theory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distributed leadership, as well as to ruminate school reality. With these research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in school organization through three concepts such as leader-plus, situ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to which distributed leadership theory referred. In addition, the research explore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to build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유럽공동체에 있어서 조약의 직접효력과 직접취소소송

        이성덕 법무부 2008 통상법률 Vol.- No.80

        유럽공동체는 독자적인 법공동체로서 자신의 고유한 권리를 가지고 국제법상 행위를 하는 법주체이다. 이러한 법주체로서 유럽공동체는 다른 국가들과 그 권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조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렇게 체결된 조약의 효력과 관련한 몇 가지 점을 논의하고자 하는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유럽공동체의 최고사법기관인 ECJ는 유럽공동체가 체결한 조약을 포함한 유럽공동체법에 대하여 일정한 요건 충족을 전제로 회원국의 국내법원에서 일반 사인이 공동체법을 원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직접효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직접효력을 부여함에 있어서 ECJ는 유럽공동체의 역내입법과 유럽공동체설립조약의 규정에 대하여서는 일관되게 문언테스트적인 요건만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하여 유럽공동체가 체결한 조약 규정에 대하여 직접효력을 부여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문언테스트에 더하여 성질목적테스트라는 추가적인 잣대를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공동체가 체결한 조약은 유럽공동체법의 본질적인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원국의 국내법원에서 사인에 의하여 직접 원용될 수 있는 기회가 상당히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국내사법제도에서만 문제되는 것이 아니고 유럽공동체 차원의 사법제도에서도 다시 문제가 된다. 유럽공동체설립조약 제230조는 대표적으로 유럽공동체법을 위반하여 채택된 공동체 행위에 대하여 회원국, 특정의 유럽공동체 기관이나 특정의 사인이 동 행위의 취소를 구할 수 있는 직접취소소송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직접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사유로서 유럽공동체법 위반을 판단함에 있어서 유럽공동체설립조약이나 역내입법의 경우와는 달리 유럽공동체가 체결한 조약의 경우에는 그 조약의 규정이 공동체의 역내입법 등에 언급되어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효력을 보유하는 경우에만 직접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일관되게 판시하고 있다. 이러한 ECJ의 입장은 직접효력이라는 개념의 발달 과정이나 그 개념의 등장 이유와도 잘 맞지 않으며, 동시에 직접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사유를 제한함으로써 유럽공동체에서의 법의 지배를 제한하는 측면이 있다고 보여진다. The European Community is an international legal person which has competence to conduct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other international legal entities albeit limited to the competence conferred upon by the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Community. In this capacity, the European Community may exercise power to conclude treaties with other international entities including States.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som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effects of treaties so concluded by the European Community. According to the jurisprudence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ECJ), the Community law, including the founding Treaties of the European Community, secondary legislations and treaties concluded by the European Community, if fulfilling certain requirements, may have the direct effect in a sense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mmunity law may be invoked before the national courts by individuals. Although the ECJ, in conferring the direct effect to the provisions of the Community law, applies only the literal test requirements to the founding Treaties and secondary legislations, it requires that the provisions of treaties concluded by the European Community to be directly effective should meet the literal requirement and also the nature-object test cumulatively. Thus, it is more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invoke the provisions of treaties before the national courts, despite the treaties are the integral parts of the Community law as is the same with the founding Treaties and secondary legislation. The disadvantage of the provisions of treaties to be employed as a basis of judicial remedy also appears in the judicial system of the European Community itself. Article 230 of the Treaty establishing European Community provides that Member States, certain institu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y and certain individuals may ask the ECJ to annul the acts of the European Community if, for instance, they violate the Community law. However, taking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provisions of the founding Treaties and secondary legislations in a direct annulment action before the ECJ, the ECJ, in deciding whether the acts of the European Community violate the Community law, requires the provisions of the treaties to be directly effective or to be referred to in the legisl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y. It is arguable that this jurisprudence of the ECJ is adopted based on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direct effect in the European Community. Arguably, the ECJ's jurisprudence concerning the invocability of the provisions of treaties in the direct annulment action before the ECJ may limit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medies in the European Community.

      • KCI등재후보

        공동체의식 유형과 자원봉사 경험, 자원봉사 참여의향의 관계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백종규,염동문 사단법인 한국자원봉사학회 2024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을 탐색하고,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자원봉사 참여의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의 경상남도 자원봉사 실태조사 자료(202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고,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화에 미치는 영향은 R3STEP을,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에 따른 자원봉사 참여 의향 차이는 DCAT을 적용하는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은 ‘공동체의식 미약집단’, ‘공동체의식 평균집단’, ‘공동체의식 발달집단’의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경우에 공동체의식 미약집단에 비해 공동체의식 발달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또한 공동체의식 평균집단에 비해 공동체의식 발달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의식 미약집단’보다 ‘공동체의식 평균집단’에서 그리고 ‘공동체의식 평균집단’보다 ‘공동체의식 발달집단’에서 자원봉사 참여의향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논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ype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local communitie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analysis, data from the 2022 Volunteer Status Survey by the Gyeongsangnam-do Volunteer Center was utilize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applied to identify the types of community consciousness.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volunteer experience on the categoriz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types was verified using R3STEP, and the differences in volunteer participation intention bas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types were examined using the DCAT in a three-step approach.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ree types of community consciousness: ‘weak community consciousness group,’ ‘average community consciousness group,’ and ‘developed community consciousness group.’ Individuals with volunteer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developed community consciousness group compared to the weak and average groups. Furthermore, the probability of intend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average community consciousness group compared to the weak group, and higher in the developed community consciousness group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영국 공동체라디오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김은규,최성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0 No.-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수단으로 공동체라디오(Community Radio)가 세계 각국에서 운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6년에 법제화가 이루어졌으며, 2009년 정 규사업으로 전환이 이루어졌고, 2013년 현재 7개 공동체라디오가 운영되고 있다. 반 면, 2004년 법제화가 이루어진 영국에서는 2013년 현재 200여개가 넘은 공동체라 디오가 활성화되어 있다. 비슷한 시기에 법제화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영 국의 공동체라디오 운영 현황에서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공동체라디오의 제도화 과정과 규제 및 지원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공동체라디오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는 국내 공동체라디오의 정의와 목표에 대한 개념 재정립, 그리고 방송출력, 면허허가, 편성제한, 공적지원, 준비과정 에 대한 고려, 시민사회단체와의 협조 등 규제와 지원 정책 및 제도화 과정의 개선방 안이 영국의 정책과 비교 검토되어 제시되고 있다. Community radios are operating as a key and common forms for community communication in the world area. In Korea, community radio project which called ‘Low-Power Radio’ introduced in 2004, and this project changed ‘Community Radio’ in 2009. As result, Broadcasting agency licensed seven community radio station and now, in 2013, these groups are operating based on regional community. Around the same time, UK also started community radio project, and now there more than 200 community radio stations are running actively. So, this study aims to better conditions of community radio regulations in Korea via to review of UK Community Radio regul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rt improvement of community radio regulations in Korea; first, reestablishing of community radio's concept and social definition is necessary, second, increase of out-put and it’s flexible application for community radio is need, third, program restriction should ease to allow community news and current events. fourth, public funding must need for stabile and continuable operation of community radio.

      • KCI등재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기독교교육

        김도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7 No.-

        현대는 사회학적으로 볼 때 불확실성, 위험, 소통부재와 고독의 시대이고, 인류문화학적으로 볼 때는 다음세대를 키워내는 마을이 사라진 시대이며, 교회사적으로 볼 때는 교회가 사회로부터 게토화 혹은 분리된 시대이다. 현대 교회는 조직신학적으로 볼 때 모이는 교회, 보이는 교회에 치중하다보니 흩어지는 교회, 보이지 않는 교회의 사명, 즉 하나님의 백성인 교회의 사명 수행은 잘 하지 못했다. 또한 현대 교회는 지역사회의 필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신뢰를 잃었으며 결과적으로 교회의 수적, 질적 침체를 경험하게 되었다. 총체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현대 한국교회가 신앙공동체이면서 동시에 지역공동체로서 존재하는 것은 교회론적으로 볼 때 당위성을 지닌다.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이며 하나님의 백성은 지역사회에서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신앙공동체, 생활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이는 기독교교육이 기존의 교회 건물 안 교육을 넘어서서 지역사회로 나아가 가정, 교회, 마을을 통합하는 학습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다. 선교가 하나님의 선교(미시오 데이)인 것처럼, 교육도 역시 하나님의 교육(에듀카치오 데이)인 것이다. 하나님의 교육이 지역공동체 속에서 실현되려면 기독교교육은 신앙인들로 하여금 신앙공동체의 언어와 지역공동체의 언어를 통합적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이들을 타자화하고 객체화하여 오직 전도나 섬김의 대상으로만 삼지 말고 그들과 함께 존재함을 인지하는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기독교교육이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려면 디아코니아를 책임으로 인지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공정하고 진정한 환대를 실천해야 하며 예수님이 지상에서 사역하실 때 그랬던 것처럼 마을사람들과 함께 하는 코이노니아 정신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한때 개인을 구원하고 가정의 부모를 깨우며 마을을 살리고 나라를 일으키는 교회였다. 그때는 교회가 진정한 신앙공동체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고 지역사회의 자랑이었고 신뢰의 대상이었다. 어느덧 비난의 대상이 되어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교회의 진정한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 하나님의 백성으로 이루어진 교회는 거룩한 신앙공동체이며 동시에 지역 속에 존재하면서 지역사회로 향하는 지역공동체를 이루어나가는 생활공동체가 되어 존재하는 곳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바로 이 하나님의 교육이 실현되는 것을 위하여 기독교교육은 교회로 하여금 지역사회에서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신앙공동체만을 이루는데 주력하는 데에서 벗어나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 속에서 학습, 돌봄, 문화의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교육선교적 사역을 감당하며 공존공생의 정신을 실천하게 하는 구체적인 연구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Educatio Dei" in and with Local Communities Doil Kim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article is a culmination of research on the role/essence of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sociological perspectives our modern era is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perennial danger,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absolute loneliness. It also fails to keep healthy communities (마을: maeul) in which future generations can grow as it incubates according to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In addition, our modern era is one in which churches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come ghettos in recent Korean history. Modern churches which focused on the Ecclesia visibilisand Ecclesia of gathering too much  seemed to have failed to be the Ecclesia invisibilis and Ecclesia of scattering into the communities. How can we take part in healing this modern society? Can the church cure this sick society? With these kinds of quests in mind this research had begun.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and is not a building or the system itself although such are important elements. The church, being the people of God, did not figure out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in general and lost its trust in society. As a result the church is experiencing stagnatio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Churches in Korea need to realize that they are a faith community not apart from communities but coexisting with local communities as well.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church is to let the church (people of God) realize its role and reason for being the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needs to be not only the faith community but to go beyond the boundaries of faith community and become the life community in local areas. It means that Christian education must not be limited to the inside of a church builidng.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go beyond its building and create a learning ecosystem that embraces families, churches, and local communities. If the mission of the church is in essence the mission of God (Missio Dei), then the education of the church is also the education of God (Educatio Dei). This means that although it seems that humans perform all kinds of education for God’s creation, it is God in fact that carries out education. If this education of God is fulfilled in local areas, then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focus on educating the church to be equipped with the language of both the faith and local communities—this is called a bilingual education. The church must not regard people who exist outside of faith community as objects of evangelization. In fact the church exists in local communities and is part of them. Moreover, God so loved the “world” (cosmos) and gave His only begotten Son for all people, not just the people who are inside the faith community. For many years the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felt their responsibility was to only spread the Gospel and serve the community (spirit of diakonia). But the church needs to overcome this attitude of “help” and be able to coexist with people in local areas (spirit of koinonia). There was a time when churches in Korea played the role of saving individuals, awakening parents, and reviving both communities and the nation with the spirit of the Gospe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urch had its healthy identity in balance and was the symbol of pride for the local people. However iteventually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as it lost its trust from society. The church needs its trust back from society which will only be possible when it restores its true essence and identity as the church of Christ. In order to regain society’s trust the church, as God’s people in local communities, must be the life community and be an example of true believers with its words and actions in local communities. ...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분석: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최민석(Choi, Minseok),박수정(Park, S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교 개선을 위한 ‘전문적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가 주목을 받게 되면서, 시·도교육청에서 이와 관련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9학년도 시·도교육청의 주요업무계획에 나타난 전문 적학습공동체 정책의 주요 특징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적학습공동체’와 전문적학습공동체 유사 개념을 주제어로 설정하고, 시·도교육청 누리집에 탑재된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 목표 및 성취기대로 ‘수업’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 관련 명칭은 ‘전문적학습공동체’, ‘교원학습공동체’, ‘교사학습공동체’가 많았고, 그 중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주요업무계획에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정의가 진술된 교육청은 강원, 경기, 광주, 인천이었다. 넷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주체로는 교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고, 다음으로는 교육전문직원, 교육행정직 및 학교관리 자 순이었다. 다섯째,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도교육청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의 일반화와 다변화, 수업변화 목적의 운영, 명칭의 혼재,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용 한 과도한 교육정책 편성,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 연수 등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highlighted as a tool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ty and school improvemen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introducing relate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ing out the key features of the education-office-support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from the major work pla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2019. For this purpose, the main work pla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2019 was analyzed based on the keyword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 other similar terms related to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lass was the highest frequency for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goals and achievement expectations.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terms related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mong thos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Third, Gangwon, Gyeonggi, Gwangju, and Incheon education offices have their own definitions abou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the main work plans. Fourth,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 agents for runn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llowed by education professio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administrators. Fifth, all education offices operat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in school un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eatures such as gener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ies, operation of the purpose of class change, mixed and unestablished terms referring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xcessive educational policies us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 KCI등재

        보편성과 심미적 가상 그리고 공동체-백석과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사랑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조강석 ( Kang Sok Ch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공동체는 당위로 기획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장-뤽 낭시의 설명처럼, 공동체가 보편을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민주주의가 ‘주어진 권리’의 타자라면, 민주주의가 스스로를 발명해야만 하는, ‘부유하는 기표’라면, 그와 꼭 같이 공동체 역시 스스로를 발명해야 하는 부유하는 기표이다. 스스로를 타자의 수단으로 간주하는 도착(倒錯)이 공동체를 그르친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이념과 당위가 아니라 부재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정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가 문학에서 공동체의 전형을 찾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또 그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보편과 당위를 축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보다 주의 깊게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문학 작품 속에 새겨진 정념이다. 그리고 그런 맥락에서 공동체와 문학의 관계를 사유하고자 할 때, 중요한 매개가 되는 것은 문학 작품에 나타난 ‘사랑의 현상학’이다. 왜냐하면 공동체(community)란, 타자와의 소통방식(communication)에 기초해 성립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타자와의 소통방식이 선험적으로 전제된 것이 아니라 무와 신비와의 관계 위에서 정초되어 가는 것이라면 ‘사랑’의 문제가 그 핵심이 된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두 시인의 작품들을 검토한다. 백석과 김수영의 작품이 바로 그 대항이다. 백석은 『사슴』에서 어릴 적 기억들을 가공하여 시의 소재로 삼고 재차, 당대에도 쉽게 읽히지 않는 지방색 강한 사투리를 그 의장으로 삼음으로써 현실에 대한 ‘미학적 방패’를 가공해내었다. 그러나 백석의 후기시에서 공동체는 과거의 기억 속에 한 번 나타났다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부재증명의 형식으로 요청된다. 다시 말하자면 공동체는 이제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절실하게 요청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만 현실의 어긋남들을 조화롭게 해소할 수 있는 해답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유예됨으로써 갈망과 지향의 정념을 북돋는 일종의 조건으로 잠재화된다고 할 수 있다. 김수영이 궁극적으로 철저하게 탐색한 문제는 부정성에 연루된 주체의 자기전복 가능성이다. 부정성이 타자에게 모두 전가될 때 문제의 해결은 오히려 용이하다. 그러나 그러한 부정에 스스로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간파한 주체의 자기전복은 어떻게 가능하며 또 무엇을 의미하겠는가? 「사랑의 변주곡」은 ‘사랑’을 통한 전복 가능성을 말하는 시이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시에 개진되는 언어와 더불어 세계가 속속들이 ‘사랑’을 통해 새롭게 탄생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시에서는 어떤 국면에서도 보편으로 고양되거나 심미적으로 종합됨이 없이 사랑과 세계가 구체적으로 발아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시에서 무위의 공동체가 발아하는 현장이 된다. Making good community is not a matter of social obligation. As Jean- Luc Nancy argued, community can not be constructed by an obligatory demand, rather it needs to be built on common senses and emotion. If community is to exist, it is desirable that community exists as absent form. Desirable community exists as "the missing content," which means that its being is inscribed in the common wishes for better ways of communication and living. Good community needs to be evoked and imagined through constant references to the tragic consequences of its absence. In that sense, it can be strongly argued that we need to examine literature closely to draw the outline of ``absent community.`` If community is to built on common senses and emotion, not on obligatory demand for the universals, it should be constructed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If community is not represented but demanded as an absent form, we need to closely study what kinds of ways of reciprocal contacts are being depicted or alluded in literature, especially concerning ``arts of love.`` This paper maintains Baek Seok`s and Kim Soo-young`s poetry can be good models which suggest a better community by constantly referring the consequences of its absence. This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we can draw the exemplary cases of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in those two poets` poetry.

      • KCI등재

        ‘예배공동체를 상기시키는 퍼포먼스’로서의 예배 : 성찬예배를 위한 연구

        양승아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예배는 그리스도인의 신앙을 형성하고 표현한다. 이를 통해 예배는 예배공동체가 서로 연합하고 봉사할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기독교의 가치를 실천하도록 격려한다. 그런데 오늘 한국교회는 사회와 소통하지 못하고, 신앙적 실천을 이루지 못하다고 한국사회로부터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 가운데,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변화를 위한 하나의 시도로 예배에 대한 재고와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 예배신학에 기반을 두면서 오늘의 한국교회에 요구되는 예배의 정의를 정립하고, 이에 부합하는 예배의 형태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예배는 예배공동체를 상기시키는 퍼포먼스’라고 정의한다. 예배는 예배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고, 하나님의 존재와 활동,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 있는 자신의 정체성과 세상을 상기시킨다. 이를 통해 예배공동체는 새 창조에 참여하도록 격려 받는다. 이런 점에서 ‘예배는 예배공동체를 상기시키는 퍼포먼스’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배공동체를 상기시키는 퍼포먼스’로서의 예배의 신학적 성격을 제시하고, 예배의 요소, 예배의 시간과 장소를 제시한다. 이 예배 정의의 신학적 성격은 ‘새 창조의 참여’이다. 예배의 요소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상기시키기 위해 필요한 보편적 요소를, 예배공동체에게 효율적으로 상기시킬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특수한 퍼포먼스(요소)로 구성된다. 예배의 시간과 장소는 예배공동체가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상기할 수 있도록 상징화된 예배의 시간인 주일 특정한 시간으로, 장소는 예배공동체가 함께 모이는 고정된 장소로 의례화 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예배가 ’예배공동체를 상기시키는 퍼포먼스’가 되기 위해서는 이에 부합하는 예배형태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찬예배를 제시한다. 예전은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로 감각, 감정, 이성 등 전인격적 차원으로 예배공동체를 상기시켜 하나님을 인식하게 한다. 본 연구는 성찬예배는 언어적 차원의 설교와 비언어적 차원의 성찬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건의 의미를 온전히 상기시키며, 예배공동체가 사회적 실천을 통해 새 창조에 참여하도록 돕는 예배임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성찬예배로 인해 새 창조에 참여함으로서 사회적 소통과 사회적 실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defines "worship as a performance reminding the worship community". The worship community shares the memory of events of Jesus Christ. Worship reminds the worship community of this memory. And worship reminds the existence and activity of God, the identity of the worship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the world. Through this, the worship community is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new creation. In this regard, worship can be defined as "Performance Reminding the Worship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theological character of worship as "performance reminding the worship community". And this study suggests the element of worship and time and place of worship in accordance with this worship. The theological character of this definition of worship is "participation in new creation." The elements of worship consist of the universal elements needed to remind the events of Jesus Christ and the special performances according to socio-cultural backgrounds that can effectively remind the worship community of the events of Christ. The time and place of worship should be ritualized to the time and place of worship symbolized so that the worship community can remind the events of Jesus Christ. This study argues that worship should be changed to a form of worship to be a "performance reminding the worship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sacramental worship. Liturgy consists of verbal elements and nonverbal elements. Through this, the liturgy recognizes God by reminding the worship community in whole personality, including sense, emotion, reason. In this study, sacramental worship is a worship in which sermon of verbal level and sacrament of the non-verbal level are organically combined. So sacramental worship fully remind the meaning of the event of the salvation of Jesus Christ and helps the worship community to participate in the new creation through soci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