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도시 갤러리 프로젝트의 외부공간 공공미술 실태 분석 연구

        김정주(Jeong Joo Kim),김신원(Shin W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공공미술은 그 특성상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의 특수성을 반영하며, 장소의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도시생활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한다. 그러나 현재 도시의 공공미술은 도시나 지역의 특성보다는 양적인 결과에 치우쳐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시각적 공해를 유발하는 골칫덩어리로 전락해버리거나 개성을 상실하고 획일화된 점들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미술 작품과 주변 공간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작품과 공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미술 연구의 일부로서,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도시환경 및 외부공간과 공공미술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현장조사를 통해 대상지 공공미술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각 프로젝트의 작품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 작품의 특성별, 입지형태별, 주변 환경 요소별로 분류하여 실태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공공미술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조사의 방법으로는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만들고 현장조사를 통해 공공미술품의 특성과 입지 형태, 주변 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적절하지 않은 작품의 위치 선정과 야간경관에 대한 배려 부족, 작품의 안내 및 설명의 부재, 계획적이지 않은 주변 환경 조성, 단발성에 그친 현상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엇보다도 작품과 공간, 감상자, 작가와의 관계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한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공간과 조화로운 공공미술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인 공공미술의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작품이 일시적인 이벤트 형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공공미술 작품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관리와 지원, 유지체계 역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도시 갤러리 프로젝트는 지역의 특성을 어떻게 담아내느냐와 주민들과의 소통, 주민들의 참여에 중점을 두어 주변과 도시 전체의 조화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서울시가 추진 중인 대형 디자인사업과 긴밀히 연계하여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이 도시의 외부공간에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될 수 있도록 예술작품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도시공간, 주변 환경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조경, 건축, 도시설계 등의 관련 분야와의 유기적인 관계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Public art, by its peculiar character, is reflected the uniqueness of where the work is installed, and enriches urban life by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place. The display of public art, however, is sometimes determined by using quantifiable results rather than an attempt to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city. As a result, the art is not always well harmonized with its surroundings. Moreover, the art comes to be regarded as visual pollution when it loses its artistic value or its function. Effective public art is the relationship of the art work itself with its surrounding spac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nd its appreciators. As part of public art studies aimed at improving the city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art through on-site examin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nd its environment, specifically those projects that are part of the Seoul City Gallery Project. The project is analyzed by the character, location, and environment of each displa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 Problems concerning public art were determined in this way. The research i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location type, and surroundings with a check-list based on the analysis tool, and through a field study. Unsuitable location, lack of care for a night scape, absence of information and description of a work, and non-recurrent event, as a result of analysis, are checked as problems. They seem to be due to non-organic link of relationship among the work, space, appreciator, and artist.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underpinning of the independent public art should be prepared for harmonious public art with space. Also management, support, and maintenance system should be prepared in order not to complete a work as a temporary event but to develop continuously. The City Gallery Project in the future should give priority to how to incorporate the loc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advance in harmonization with surrounds and city overall. Also the project should be progress as a continuous project with close connection with large design projects which Seoul is promoting. For public art to be recognized as the important factor that it is to the outdoor space of a city,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be displayed for its own sake but also to be used as an important means to utilize city space.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identifying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nd landscaping, architecture, and city planning is necessary.

      • KCI등재

        일반 공중 없는 공공미술의 두 흐름

        장민한(Min-Han Jang) 현대미술학회 2014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8 No.1

        이 논문에서는 오늘날 공공미술은 일반 공중이 아니라 특정집단이나 공동체를 목표로 삼아 제작된다는 입장에서 공공미술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분석하면 더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오늘날의 공공미술은 그 목표에 따라 ‘공공장소의 미화를 위한 미술’과 ‘공적 관심의 미술’로 나눌 수 있고, 양자 모두 특정 공중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공중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공중을 목표로 설치되고 진행된다는 점을 제시했다. 공중 일반이 아니라 특정한 공중을 목표로 삼아 공공미술이 제작된다는 입장에서 공공미술에 대한 논쟁에 접근한다면, 공공미술에서 발생하는 충돌에 대한 적절한 해법을 좀 더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그리고 공공미술의 성과를 일반 공중이 어떻게 경험했는지에 따라 해당 공공미술을 평가하는 것보다 그 공공미술이 실제로 목표로 삼았던 특정 공중들이 그 의도를 얼마나 만족스럽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여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을 주장했다.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we can settle the dispute of public arts today effectively if we analyze public Arts of our time not from the general public"s point of view, but from the particular public"s point of view. We can divide public arts today into ‘the beautification of public place’ and ‘the enhancement of public interest’ according to its goals. I argue that both of two types of public arts today don"t work for general public, but work for various particular public in fact. And I argue that it is not right to evaluate public arts from the general public"s point of view, but it is proper to evaluate public arts from basis of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particular public"s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의 문화론적 비판

        김효영(Kim, Hyo-Yo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3

        공공미술의 역사적 실천 아래, 미술을 공공재로 전환하려고 했던 시도들은 미술을 공적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오히려 미술을 공적인 것을 사적 소유의 형식으로 전환하는 매개체로 전유하려 했고, 공공재의 가치보다는 권력의 네트워크로 치환하려는 방식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시도들은 특권적 지위에 있던 미술을 공공재로 전환하려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하지만, 최근 변화한 조건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비판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공적인 것을 사적 점유하려는 신자유적인 접근을 통해 도시를 ‘디자인’하고, 지역의 개체들의 삶과 무관한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지역성은 잠식되어버리고 만다. 이 논문에서는 공공미술의 공적인 것으로 구성하려 했던 역사적 실천들과 오늘날의 ‘창조도시론’의 맥락까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공미술의 가능성을 검토해보려고 한다. 이러한 비판적 개입은 로컬이 겪는 위기들을 진단하고 극복과 과제를 다른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토대라고 할 수 있다. 미술이 공적인 특성을 취하는 것은 미술을 글로벌의 차원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로컬’의(아래로부터의 시각)차원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도록 만든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공미술은 다중의 다양한 특이성들과 예술가의 창조적 역량이 상호하는 지점에서 로컬의 생명력을 가질 수 있다. 다중은 로컬의 현재에 대한 판단과 갈등을 사회적으로 이끌 수 있어야 하며, 권력 지배 구조에서 벗어난, 저항으로써 공공미술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예술가와 로컬의 다양한 방향성들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상호관계 속에서 하나의 지역공동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로컬’로써의 공공미술은 로컬이 갖는 특이성이나 다중들의 창조적 활력을 자본으로부터 지켜낼 수 있는 문화적 시각이 필요한 것이다. Under the historical action of public art, trying to change the art to public goods established the art is the official, but they monopolized that the art is a medium for changing the form of official to the private one, they strengthen to substitute authority network for the value of public. Those things have the positive-side meaning due to changing the privilege status to the public goods, under the changed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he negative-side. Through Neoliberal approach as occupy the public for the private, they "design" the city, because of the way without the region individual life, the regionality is encroache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 critically from the historical actions to construct the art for public to the context "the theory of creative city" on today and the possibility of the public art. This critical intervention diagnoses the local-crisis, overcoming and assignment is substructure to provide another way. To take for art public characteristic makes to understand with dimension not global but "local" (from the bottom). So, the public art holds on local life at the mutual point both multiplex various uniqueness and artist"s creative ability. Multitude must lead from "local" judgement and conflict at present to socially. It can suggest the direction for artist and the "local", which means that the local community is reached in this interrelation. In other words, the public art as "local" needs the cultural view to protect the uniqueness the "local" have had and multiplex creative energy against capital.

      • KCI등재

        공공미술에서 공공윤리와 시민의식

        서희주 새한철학회 2024 哲學論叢 Vol.117 No.3

        Public art began as part of the New De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30s and aimed to enhance the aesthetic value of buildings and the urban landscape. In Korea, the installation of public art has been mandated by law since 1972, and the ‘Installation of Art Works on Buildings’ law was revised in 2011. In addition, it was carried out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purposes such as urban regeneration or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districts. Public art,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government policies or specific objectives rather than spontaneous creative activities by artists, makes public ethics and publicness important factors i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process. The reason is that the works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accessible to the public, so unlike traditional art exhibition methods, they are encountered by the general public in public places. Therefore, it becomes an important task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work, installation purpose, location,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Publicness, which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ctions in the public sphere, and the nature of social cooperation, operates as a key concept in public art along with public ethics. Additionally, artworks installed in public spaces face problems such as lack of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nd problems with the aesthetic aspects of the work. The case of Richard Serra's work, where various controversies arose after public art was installed, and incidents that occurred at public art project sites draw attention to citizens' lack of awareness of public ethics and the need for cultural awareness. Public art is a public good and an asset to all, so systematic management is necessary after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ublic art work, selection of the work, agreement and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and installation of the work. Public art serves as a space for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and through this, it can increase aesthetic value. 공공미술은 1930년대 미국의 뉴딜 정책 일환으로 시작되어, 건축물의 미적 가치와 도시 미관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한국에서는 1972년부터 공공미술 설치를 법으로 의무화하여 진행해 왔고, 2011년에는 ‘건축물에 대한 미술작품의 설치’ 법이 개정되었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도심 재생이나 상권 활성화 등의 목적으로 공공미술을 추진해 왔다. 공공미술이 예술가의 자발적인 창작활동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이나 일정한 목적에 의해 계획되고 시행된다는 점에서, 공공미술의 설치와 운영 과정에서 공공윤리와 공공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 그 이유는 공공미술 작품들이 일상적인 공공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미술작품 전시 방식과 달리 생활 속에서 대중과 직접 만나게 된다. 따라서 작품의 내용, 설치 목적, 장소, 감상 및 소통 등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런 점에서 공공미술은 필연적으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공공 영역에서의 행위, 그리고 사회적 협력의 본질과 관련된 공공성(Publicness), 공공윤리가 주요 개념으로 작동한다. 한편, 공적인 공간에 설치되는 작품이 시민들과의 소통 부재와 미학적 측면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리차드 세라(Richard Serra)의 작품이 있다. 또한, 공공미술 프로젝트 현장에서 발생하는 몇몇 문제는 시민들의 공공윤리에 대한 인식 결여와 문화 의식 부족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공공미술은 공공재로서 모두의 자산이므로, 작품 설치 장소, 작품 선정, 지역 주민의 합의와 소통, 설치 이후 지속적인 관리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공미술이 진정으로 공공의 자산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윤리 의식을 토대로 설치되고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 KCI등재후보

        마을미술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관주도형 공공미술의 비판적 고찰

        홍현철 ( Hyun Cheol H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국내 공공미술은 공공성이라는 보다 거시적인 안목과 전략으로 공공미술담론을 정립시키지 못하고 ``관주도형 공공미술 전략``이 담론으로 자리 잡아 다양한 공공미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관주도형 공공미술사업은 성격상 대규모적이고 전국적이며 단기적인 결과 중심적이다. 사업예산의 지원과 심의의 주체가 정부나 지자체 혹은 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비영리단체가 주도하다 보니 예술가와 수용자에게 공신력과 반강제적 참여 등의 방식으로 다양한 요구를 하며 실행 주체자의 자의적 해석으로 과정보다는 결과에 주안점을 둔다. 마을미술프로젝트와 같은 관주도형 공공미술사업은 중앙정부나 지자체의 지나친 ``개입``으로 공공미술이 가지는 ``사회적 참여`` 성격은 망각되고 경제적 시각과 정책적 시각만 강조되는 정책적 전략으로 만들어 놓았다. 이러한 전략은 사회통합, 지역개발, 문화복지 등을 근거로 들면서 정부의 문화정책을 통하여 예술을 국가발전 및 통합의 주요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관리적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 정치 문화적 정책전략이다. 이처럼 ``참여와 소통``의 원칙을 저버린 편협한 공공성 개념으로는 공공미술이 가지는 다양성과 개방성, 투명성, 자율성 등의 특성이 배제된 채 특정 정책과 특정 가치관으로 무장한 공동체적 집단을 양산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음에도 지속적인 개혁을 통한 공공성 확보는 고사하고 공공미술을 미화적 치장이나 예술가들의 복지정책의 수단으로만 악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동안 지속적인 개혁의 외침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아직 공공미술의 제도적 변환을 인정하지 있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정책적으로 편협한 공공미술을 수용하고 민간뿐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관주도형 공공미술사업``으로 전국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관주도형 공공미술의 지나친 개입은 관리적 측면의 확장된 부정적 견해를 더욱 돌출시킨다. 관주도형 공공미술의 한계는 공공미술이 가지고 있는 현실 사회적 기능을 제약할 수 있으며 공적 영역에서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원칙적으로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공공미술에서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소통과 다양한 참여 중심의 공공성이 확보되어야만 그 동안 ``미학의 플라시보`` 혹은 ``정치의 미학화``란 용어로 평가 절하되어 왔던 공공미술의 장을 회복할 수 있다. The national public art isn`t set up for public art discourse with publicness. In my opinion that is a macro view and strategy. So the strategy of public art led by government is established as discourse and proceeds various public businesses. Public art works are led by government on a large scale, nationwide, short-term, and result-centere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which supports and deliberates the business budget, or nonprofit organizations run by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lead these works, So various demands are presented by the way of the public confidence and half-compulsory participation to artists and audiences, And in their arbitrary decisions, the emphasis are placed on the results than the processes of the work. Public art works led by government like Maeul-misul project get rid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they have and make the public art a political strategy that is seen as the economic view and political approach because of the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This is a typical political & cultural strategy which shows managerial features utilizing the cultural policy of the government like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development and cultural welfare as the main measures of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using art. The narrow-minded publicness which abandons the principal of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excluded diversity, openness, clarity and autonomy that public art has. As a result, it made certain policies and community group which has certain values. In spite of appearance of these problems, it avoids its continuous reform and publicness acquisition and is abused as beautified decoration or measurs of welfare policy related to artists. In my country, despite demand of continuous reform, the institutional change of the public art isn`t approved yet,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ccept narrow-minded public arts politically. The public art businesses led by them is developed centeri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s. In this reality, the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public art led by government is being magnified to the extended negative views of administrated aspects. The public art led by government can constrict actual social functions that public art has and mak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members in public area difficult in general, Only if public art obtains publicness which has autonomous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various participation, public art devaluated as ``the placebo of the esthetics`` or ``esthetics of the politics`` can be purified.

      • KCI등재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 크리스토의 공공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기영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8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the communication in public art through Christo's public project. The works of Christo have been executed in public places and natural environment out from ‘the white cube', in that they are more a kind of projects in what the whole process is itself a part of art. His public projects use a peculiar method of wrapping. It raised the problem of the publicity of the place, and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s/participants. Here the artist secured finances for himself and the wrappings were removed after a short periods. It was a new way of doing art, where the general public participated in and collaborated in a collective project. with this, the key concept of Christo's project, the expansion of participant, interactivity and collaboration that take place of the concept of artist as a private creator. In short, it is significant that the public art project of Christo not only changed the environment of the sites but extended the meaning of work of art into a social and public realm. 현대의 공공미술은 모더니즘의 제도적 장치인 미술관에서 벗어나 확장되고 다중적인 장의 역할을 함으로써 장소성에 대한 풍부한 담론들을 재생산해 내고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지형도를 그려내고 있다. 공공미술에서의 확장된 장과 다중적인 공간은 장소 특정성의 한계를 벗어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맥과 연결되면서 보다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관점에서 논자는 크리스토의 공공프로젝트에서 나타난 특징들과 개념들이 최근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공공미술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고,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를 크리스토의 공공프로젝트의 실현방식을 통해 궁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을 통해 지금까지의 이론적 배경과 문맥을 토대로 각 프로젝트의 사례들을 분석하였고, 그의 작업이 하나의 작품이라기보다는 제한된 미술관의 공간으로부터 나와 공공장소, 자연환경 그 자체에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계획부터 완성까지가 예술의 ‘과정’이라 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살폈다. 또한 ‘포장’이라는 독특한 작업 구현 방식을 통해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의 공공성 문제뿐 아니라 미술가와 관람자/작품 참여자 간의 소통의 문제를 재고하게 하였으며, 일반대중의 집단적인 프로젝트 참여와 협업이라는 새로운 방식의 미술을 제시하였음을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크리스토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공적 장소의 주변 환경을 변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 미술가 개인의 영역을 넘어 사회적이고 공적 개념으로서, 미술작품의 의미와 미술관제도의 문제, 제도적 생산 기구 속에 존재하고 있는 권력관계에 대한 사유를 확장시킨 사회적, 문화적 실천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프로젝트 작업 전 과정에 걸쳐 대중의 다각적인 참여와 협력 작업의 방식은 그간 전통적인 미술 생산의 범주에서 소외 또는 배제될 수밖에 없었던 광범위한 대중/공중과 소통하는 방식으로서 작가와 관람자가 함께 미술을 경험하고 공유하는 공적 미술의 개념과 함께 앞으로 공공미술이 전개되어야할 바람직한 방향성과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공공 미술의 새로운 기능에 관한 논의에서 강조되어온 문제는 공공미술이 공적인 외부공간에 놓인 장소적 특징만으로 규정될 수 없고 가장 중요한 관객 또는 대중이 함께 만들어가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앞서 리처드 세라의 <기울어진 호>와 우리나라 포스코 건물 앞의 <아마벨>의 예에서처럼, 작품이 놓인 장소와 그것을 향유하고 상호작용해야할 대중/공중과의 소통부재에 관한 예들은 빈번하게 볼 수 있으며 향후 공공미술이 해결해야할 필수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크리스토의 공공프로젝트의 경우 시작 단계부터 대중의 적극적인 참여와 행위가 수반되어왔음을 살펴보았다. 프로젝트 실행의 첫 단계부터 그는 일반대중과 언론, 행정 공무원, 학생들과 만나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강연을 열고 교육하였는데, 공공미술을 향유할 대중이 공감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교육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열린 공간에서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공공미술의 홍수 속에서, 이제 대중이 문화생산자로서 작품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교육은 진정한...

      • KCI등재

        지역사회 공공미술과 학교교육의 연계 방안 : ‘안양공공미술 프로젝트’(APAP)를 중심으로

        장현주(Hyonjoo JANG),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안양공공미술 프로젝트(Anyang Public Art Project, APAP)는 미술을 매개로 지역 공동체의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APAP에 의한 지역 공공미술의 성과와 미래의 교육적 가치를 가늠해 볼 때 보다 적극적으로 학교와 연계 되어야 할 필요성과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APAP가 관 주도의 운영으로 인한 한계를 넘어 지역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동체의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지역 공공미술 사례를 분석 및 진단하고 APAP의 전개 과정과 현주소,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지역 공공미술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로서 지역 공공미술과 학교와의 협력적 연계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에서의 협력 방안으로는 유관 기관의 교육적 활용, 공공미술 상설 프로그램 마련, 프로젝트 종료 후 지역민과 지역미술가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제안 하였으며, 학교에서의 협력 방안으로는 학교-지역사회 협력을 위한 교육 정책 실시, 공공미술 주제의 수업 방안 모색, ‘공공 미술 교육연구회’(가제) 조직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PAP(공공미술)-지역사회-학교가 유기적 연계를 맺어 APAP가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공공미술로서 당위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고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PAP showed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f local communit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APAP should be continu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s, achievements, and educational value of local public art shown in APAP. It analyzed and diagnosed cases of local and international public art and investigated the history, present state and direction of APAP. Based on these surveys and analyze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plan for cooperative connection between local public art and schools. As a way to coope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educational utilization of related institutions, provision of permanent programs. As a way of cooperation in schools, it proposed an educational policy for school-community cooperation, possibility of classes on public art, and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Public Art Education research group’.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PAP(public art)-community-school would be organically linked, and APAP would be able to ensure continuity and vitalize as public art.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의 공공성에 대한 의미지평 재구성

        김태준(Kim, Tae Ju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3

        이 글의 목적은 공공미술의 이론 및 실천에 있어 공공성의 의미지평을 하버마스(J.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공공미술의 규범적 척도와 개념적 확장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필자는 기존의 공공미술 담론들이 제시하는 공공성의 분석적 기준들을 수용하면서도, 이 기준들이 지니는 내용을 미리 규정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이 기준들의 상호작용과 이 작용을 가능케 하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공공성의 규범적 토대로 설정한다. 다시 말해 공공 공간 및 공적 관심에 개입하고 참여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상호이해에 기반을 둔 생활세계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에 있어야 함을 밝힌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공공미술에 대한 미술사적 담론들을 정리하고, 공공미술이 국가 문화정책과의 관련 속에서 구체적 삶의 영역에 참여 · 개입하는 의사소통적 실천임을 확인한다.(2) 다음으로 공공성의 지반을 생활세계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에 두는 하버마스의 논의를 살펴보면서, 일상의 의사소통적 실천을 왜곡하는 현상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버마스의 대안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3) 이를 통해 필자는 공공미술을 체계의 명령이 생활세계에 침투하는 것을 민주적으로 저지하는 예술, 전문화된 예술적 자율성을 생활세계로의 지향성을 통해 일상적 삶과 매개하는 예술로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공공미술은 배제된 자들의 저항 잠재력을 의사소통적 역량으로 만들기 위한 예술실천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4) This paper aims to reconstitute the publicness in the current discourse of public art concerning Habermas" communicative rationality. This trial of reconstruction would enable to suggest the normative criterion of public art and extend its concept in the perspective of critical social theory, which Habermas goes for. This project begins from setting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as a normative ground of public character in public art, however at the same time accepting the existing criterions of current discourse in public art. This reconstructed concept would explain that the participation of art into the public sphere and the public interest should proceed in condition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of life-world grounded on mutual understanding. From this aspect (1) it confirms the public art as a communicative praxis in relation of cultural policy of government which influences on concrete daily life in the life-world. (2) This analyzation of publicness based o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leads to the alternative which Habermas suggested to overcome the distorted praxis of communication. (3)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would show that Habermas" alternative facilitate to reconstruct publicness in public art, which makes possible to resist in democratic way to prevent the system from intervening and repressing the life-world. (4) Moreover this concept would be developed to the new concept of praxis of public art, which changes the potential of resistance into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of the excluded in the society.

      • KCI등재

        미적소통을 위한 공공미술 사례연구 : 공공미술의 역할과 미술교육의 방향

        김성숙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미술 사례를 통해 미적소통매체로서 공공미술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 향후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미술에 대한 기초적 고찰을 행하고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과 초등미술교과서에서 공공미술과 관련된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산의 ‘산복도로 1번지 프로젝트’와 광주의 ‘시화가 있는 문화마을’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례 조사를 통해 미적소통매체로서 공공미술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미술의 역할은 1) 지역의 예술문화환경을 개선하고, 2) 대중에게 공동체간 소통공간의 활성화를 극대화하며, 3) 대중에게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자긍심과 문화자원을 재발견․개발해 갈 수 있는 예술적․창의적 영감을 부여하며, 4)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문화적 삶의 질적 향상과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임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방향은 첫째, 대중과의 교감과 창의성을 고양시키는 유쾌한 발상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정신, 둘째, 인종과 편견을 뛰어 넘는 글로벌 예술사고 및 다양한 표현방식, 셋째, 박애정신에 기초한 모든 생명과의 조화와 균형, 그리고 넷째, 미술문화를 주위와 함께 즐기고 향유하는 공감대 형성과 미래지향적 변화에의 포용력 등을 교수․학습(teaching & learning)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vestigating the role of public art through a case study on the public art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For this research, the basic study on the public art is activated with scoping members of public art on the art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 Also the role of public art as an aesthetic communication tool through a case study of 'Sanbok road project' in Busan and 'cultural village with poetry and painting' in Gwangju.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role of public art are, 1) to improve an artistic cultural environment of each community 2) to maximize an activation of communicating space for public, 3) to feel pride and rediscover regional resources of culture to public, to contribute the artistic, creative inspiration, 4) to investigate a positive change and growing participation with ascent of qualification for resident's cultural life. Therefor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based on the public should be preceded , 1) pleasant idea boosting communion and creativity, challenging for newness, 2) global artistic thinking beyond race and any prejudice, 3) harmony and balance of every life rooted in benevolent spirit, 4) teaching and learning bond of sympathy for sharing culture of art with pleasure and broad-mindedness towards the forward-looking change.

      • KCI등재

        시대적 변화로 살펴본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의 향후 방향성 연구

        주미옥(Mi Ok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20세기 후반 이후는 ‘공공성의 시대’1)라고 할 만큼공공성이 사회적 정의의 흐름을 정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19세기 후반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가 생겨나면서, 이에 맞는 공간과 편의 시설들에 대해 ‘공공’의 개념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이 공공의 개념에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을 매개체로 사용하면서 ‘공공미술(Public Art)’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미술’이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었던 것은 삶의 외형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변화시켜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공공미술과정과 결과에서 이루어지는 직·간접적인 행위들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집단, 집단과 집단과의 극단적 행위들을 어떤 다른 유형의 행위보다도 ‘유연’하게 해결하는 모습들을 보아왔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후 ‘공공미술’은 공동체간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공동체 미술(Community Art)”이라고 한다. 공동체간의 소통과 공동의 목적, 예를 들어 환경개선(Recycling), 생태(Eco), 방범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안전(Safe) 등의 여러 가지 목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전에도 비슷한 유형의 행위는 있었으나 이를 명명하며 표면화하는 시점으로 논하는 것이다. 이 공동체미술은 여러 사람이 속한 공동체에서 행해지는 미술로 ‘유연한 소통’이 성공과 발전을 좌우한다. 공동체미술은 실물적작품의 수준보다도 공동체구성원의 참여와 소통행위가 관념적 가치로 높이 평가되어지는 분야이다. 연구범위는 국내·외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의 정책과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내용별·시대별 특 장점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미술과 공동체 미술의 전개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정책과 사례를 논문과 단행본, 기관 및 연구소 보고서, 보도자료,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와 인터넷을 통한 국내외 정보 D/B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공공성의 시대와 1930년대에 이후 도시재건과 실업자 구제차원에서 시작 되었던 공공미술이 여러 시대를 거쳐 어떻게 다양하게 변화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 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주요목적이다. 이는 국내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쓰여 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은 미술이 주도적으로 추구해 왔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뿐만이 아니라,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특수한 목적’이 ‘구체적’으로 포함된 사업으로 심화되어 전개될 것이다. 미술전문가 중심이었던 대부분의 사업들이 비전문가와 관계공무원, 주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조’, ‘참여’의 형태로 넓은 범위의 관계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넓어지고 비전문가 집단이 참여하게 됨으로써 미술의 ‘범위’에 대한 논란도 가중되어질 것이나, 이 논란은 대중과 공동체의 공동 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되어진 다면 크게 문제화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공미술의 표현방법에서도 특정장소뿐만이 아니라 온라인, 온라인과 특정장소와의 연계, 공동체와 온라인과의 관계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Publicness became the criteria to prescribe flow of social justice as the latter part of 20th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publicness’. As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due to the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created, concept of ‘public’ was strengthened for appropriate spa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s ‘art’ is used as media affecting living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concept of ‘public art’ was generated. The reason why the ‘art’ could be used as a media is because it not only changed the appearance of life beautifully but also solved the extreme activities between people, between people and group and between groups in a ‘flexible’ way more than any other types of behaviors. Since 1980s, the ‘public art’ began to be used as a media of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It is called as ‘Community Art’. It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common purpose between communities for example recycling, eco,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safety. Of course, there are various similar behaviors before, but it began to name and express it apparently. This community art is an art performed within the community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termines success and development. The community art is the area wher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community member are highly evaluated as conceptual value. The scope of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domestic and overseas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policy and examples to figure out features by contents and period and to discuss the progress of the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in Korea. As for the methodology, the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and examples by means of articles, monography, reports of institutions and research centers, press release, book and publications, and examination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information DB through internet. The study examined how the public art, which began at the level of city reconstruction and unemployment relief at the age of publicness and after 1930s, has been diversly changed, and how the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are changed in terms of its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ould be a reference for the pursuit of the direction of domestic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The public art will be deepened and progressed as a project including ‘special purpose’ of the public place and community ‘specifically’ as well as the desire of ‘beauty’ which the art has pursuit actively. Most projects that were mainly centered with the art experts, will expand its scope of relation in the form of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non expert, related public officers, resident and experts in various areas. While the wide participation with non-expert group will intensify the controversy of the ‘scope’ of art, as long as the common target of the public and community is achieved successfully, it will not be much problematic. As for the expression method of public art, it will be performed in various methods such as online, connection between online and specific place and relatioin between community and online as well as specific p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