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어의 공간 활용 연구

        이영재(Lee Youngjae)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본 논문은 한국수어의 공간 활용 방법에 대한 간략한 연구이다. 사실 농인의 언어 사용은 수어사전에 등재돼 있는 수어의 능숙한 사용보다 그 수어를 사용하여 수어공간 내에서 어떻게 활용을 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수어의 동사를 일반동사, 일치동사, 공간동사 등으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일치동사를 더욱 세분하여 수직적, 수평적, 역행적 일치동사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고, 그 중 수직적 일치동사가 한국수어에 있어서 특징인 점을 논의하였다. 공간동사는 의미분류사와 함께 사용을 하는데 한국수어 연구에서 의미분류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논의에 어려움이 있으나 미국수어의 의미분류사에서 참고할 점을 활용하여 한국수어의 공간동사를 간략하게나마 논의하였다. 수어공간을 지형적 공간과 통사적 공간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으나 수어공간이 지형적 공간과 통사적 공간으로 따로 존재하는 논의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임을 밝혔다. 이에 앞으로 수어공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 시선(eye gaze) 처리에 따른 문법의 다양한 면도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a brief study of how to utilize Korean Sign Language space. In fac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se of language by the deaf depends on how to use it in the sign language space rather than on the proficient use of the sign language listed in the sign language dictionary. Verbs in Korean Sign Language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verbs, agreement verbs, and spatial verbs. In particular, the agreement verbs were further divided into vertical, horizontal, and backward agreement verbs, and among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agreement verbs in Korean Sign Language were discussed. Spatial verbs are used with semantic classifiers, but it is difficult to discuss because there is no research on semantic classifiers in Korean Sign Language studies, but the spatial verbs of Korean Sign Language were briefly discussed using references from American Sign Language classifiers. There is no problem with dividing the sign language space into topographical and syntactic spaces, but it is negative opinion about the discussion that sign language space exists separately as topographical and syntactic spaces. This emphasized the need for more research on sign language spaces in the future. We also consider various aspects of grammar according to eye gaze processing.

      • KCI등재

        현대중국어 동사 ‘開’의 의미확장 분석 – 힘 역학 원리에 기반하여

        이운재 한국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文學 Vol.117 No.-

        본 논문에서는 힘 역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동사 ‘开’의 의미확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시각화한 의미도식을 제시하였다. 동사 ‘开’의 원형의미는 ‘开门’으로, 이 동작은 닫혀있던 그릇의 덮개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그릇을 열린 상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가리킨다. 그릇도식의 관점에서 ‘开门’은 그릇, 덮개, 내용물의 3가지 요소를 함축하는데, 이들 간의 힘의 상호작용이 동사 ‘开’의 의미확장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본고에서는 힘 역학적 관점에서 동사 ‘开’는 공간영역과 시간영역의 두 가지 차원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공간영역은 감정·인지영역으로 의미확장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동사 ‘开’의 공간영역에서 열림에서 닫힘으로의 공간적 변화는 분리와 개방의 순차적 경로를 통해 실현되며, 이러한 분리와 개방을 토대로 각각 ‘발급·지급’, ‘(공간적) 확장’과 ‘해제’, ‘확산’으로 의미확장된다. 동사 ‘开’의 시간영역은 그릇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고 활동이 시작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동사 ‘开’는 ‘시작’의 시간개념을 함축하게 된다. 동사 ‘开’의 시간영역은 ‘시작’ 의미에서 ‘개최·개설’과 ‘작동’ 의미로 확장되는데 ‘개최·개설’ 의미는 활동, 행사, 이벤트 등을 개시하거나 시작하는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작동’ 의미의 경우 자동차, 선박, 전자 기기와 같이 엔진 또는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기를 조작하는 언어표현에서 사용된다. 동사 ‘开’의 감정·인지영역은 공간영역의 ‘확산’ 의미에서 전이되었으며, 이 영역에서 동사 ‘开’와 공기를 이루는 신체명사는 경험의 그릇으로 간주되어 비유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힘 역학 원리를 기반으로 동사 ‘開’의 의미확장에 대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논의하였다. 더불어, 의미영역 간의 개념적 연결을 시각화한 의미도식을 제시함으로써 동사 ‘開’의 의미확장에 대한 논의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verb ‘开’(kāi) based on the principles of force dynamics and provides a visual representation of its meaning. The original meaning of ‘kai’ is 'to open a door,' representing the action of opening a door. This action involves applying physical force to a cover or lid to separate it and transform a closed container into an open state. The paper considers Talmy's force dynamics principle as the cognitive mechanism underlying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verb ‘kai’ and discusses this in detail. In the main discussion, the paper divides the spatial and temporal domains of the verb ‘kai’ based on force dynamics. The spatial domain tends to extend into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s. The spatial changes of the verb ‘kai’ are realized through a sequential path of separation and opening, which is explained as a process where actions of separation or opening expand into ‘spatial expansion’ and ‘separation,’ ‘release’' and ‘diffusion’. The temporal domain of the verb ‘kai’ is related to the contents of a container flowing out and the initiation of an activity, hence ‘kai’ implies the concept of ‘beginning’. This temporal domain extends into meanings related to ‘operation’ and ‘hold·open’, such as when operating devices powered by engines or electricity or when initiating activities, ceremonies, or event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 of the verb ‘kai’ extends from the concept of ‘diffusion’ in the spatial domain. In this domain, ‘kai’ metaphorically associates emotions and vision with containers and is used in language expressions. I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 nouns referring to the body are primarily used, and these body nouns are considered as containers of experience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metaphorical meanings. In this paper, the extension of the verb ‘kai’ i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 is discussed based on force dynamic patterns, and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is extension is presented through a semantic diagram.

      • KCI등재

        동사에 접속하는 "도코로다(ところだ)"의 의미와 기능-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방윤형 ( Bahng Yoon-hy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1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도코로다(ところ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시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도코로다(ところだ)"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실제의 예문을 분석하여 공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나 점을 나타내는 경우와의 관계를 언급한 연구는 종래에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점, 시간이라고 하는 3개의 의미 및 기능에 대하여 그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가리키는 구체적인 장소를 나타낸다. 전접동사에는 다양한 타입의 동사가 사용된다. 이 경우의 「ところ だ」는 형식명사 술어문으로 기능한다. 둘째, 공간에서 점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 경우가 있다. ①부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가리키는 추상적 부분을 나타낸다. 언어자료의 특정부분을 가리킨다는 공간성이 남아있다. 이 경우의 「ところ だ」는 형식명사 술어문으로 기능한다. ②점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나타내는 어떤 점, 어떤 것을 나타낸다. 공간성은 없어져 있다. 이 경우의 「ところだ」는 형식명사 술어문으로 기능한다. 셋째, 공간에서 시간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우선 공간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예문이 있다. 그리고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동사의 형태에 따라 "직전", "진행", "직후"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의 「ところ だ」는 이 형태 전체로 아스펙트를 나타내는 형식으로 사용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동사에 접속하는 "도코로다(ところだ)"는 공간이 출발점적인 의미이지만 공간에서 점으로, 공간에서 시간으로 이행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이 이행에는 연속성이 보인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In this paper, the usages of "tokoroda" are described in terms of derivative relations about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space, ten, and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okoroda" represents the concrete place. In this case, the various types of verb are used in the front verb. "V+tokoroda" functions as a predicative sentence of pseudo noun. Second, two different cases can be considered regarding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meaning of space to the meaning of ten. (1) In the case of implying the part, "tokoroda" means an abstract part indicated by the front verb. "V+tokoroda" also operates as a predicative sentence of pseudo noun. (2) In the case of implying the ten, "tokoroda" represents a certain ten or a certain thing associated with the front verb. "V+tokoroda" functions as a predicative sentence of pseudo noun. Third, "tokoroda" represents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meaning of space to the meaning of time. When they are interpreted by the temporal meaning, the three meanings of "just before", "progress", or "immediately after" can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formats of the front verb. In this case, "V+tokoroda" is used to represent an aspect in a whole format. In conclusions, "tokoroda" connected with a verb represents a space as a starting point, but then it transforms from space to ten, and from space to time. This transformation occurs in a continuous way.

      • KCI등재

        翻訳における日本語「-てくるㆍ-ていく」と 韓國語 「아/어 오다ㆍ아/어 가다」について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てくるㆍていく」가 한국어의 소설 안에서 어떻게 번역이 되고 있는지, 공간적 이동과 아스펙트로 나뉘어 번역상의 특징을 고찰 하였다. 3권의 작품에서 총 460개의 용례를 발췌하여, 일본어「-てくるㆍていく」와 한국어「-아/어 오다 ㆍ아/어 가다」가 대응하는 용례와 대응하지 않는 용례로 나뉘었다. 또한 대응하지 않는 용례는 그 이유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는 일본어와는 달리 「-て くるㆍていく」에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아/어 오다ㆍ아/어 가다」가 생략되거나 의역이 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먼저 공간적 이동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대응하지 않았다. (1)선행동사가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우 (2)같은 의미의 단어가 중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3)선행동사가 화자의 시점(視點)과 관련되는 경우 다음으로 아스펙트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대응하지 않았다. (1)선행동사로 “되다”의 의미가 올 경우 (2)선행동사가 심리상태(心理狀態)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3)선행동사가 지각(知覺)이나 감각(感覺)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4)선행동사가 발생(發生)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5)선행동사가 시선(視線)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6)선행동사가 질문(質問)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7)선행동사가 소멸(消滅)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In this study, Japanese ‘-tekuruㆍ-teiku’ were studied in translation to Korean novel, divided by aspect and spatial movement meaning. Investigating a total of 460 examples from the work of three volumes, Japanese ‘-tekuruㆍ-teiku’ and Korean ‘-a/o odaㆍ-a/o gada’ was split into usag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examples. Also been investigated for the reas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examples. As a result, Korean ‘-a/o odaㆍa/o gada' has been paraphrased or omitted in case of such a verb comes after Japanese ‘-tekuruㆍ-teiku’. following example. First, in the spatial movement, followings were not responded. (1) If the preceding verb is showing the direction leading (2) When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word is duplicated (3) If the preceding verb is relevant to the speaker's view Next, in the aspect, followings were not responded. (1) If the preceding verb means “become” (2) If the preceding verb presents emotion (3) If the preceding verb indicate the sensing or perception (4) If the preceding verb means “occurrence” (5) If the preceding verb means “line of sight” (6) If the preceding verb means question (7) If the preceding verb means “extinction”

      • KCI등재

        러시아어 감정표현 메타포의 인지적 개념구조

        김군선(Kim Kun S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3

        본 논문은 러시아어 동사어구로 표현된 감정표현의 메타포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분석의 도구로는 Jackendoff가 원래 개념적 의미론자의 입장에서 개발한 모델을 필자가 러시아어 동사에 맞게 보완한 개념구조의 틀을 이용한다. 감정표현의 메타포는 기본적으로 내면적인 감정의 사건에 외부의 가시적인 공간적 사건의 형상을 상응하게 함으로써 감정 현상을 형상화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 메타포의 성격은 러시아어 동사어구에서 핵을 이룬다고 할 수 있는 PV(P는 접두사, V는 동사어간)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감정 사건의 일반적 행위종류는 V 즉, 동사어간이 결정하고, 이 사건의 구체적 형상은 P즉, 접두사가 결정한다. 이를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개념구조도로 설명하면, 감정 사건의 성격은 V가 나타내고 P는 이 V의 시공간적 진행경로의 궤적을 조망하여 사건전체의 공간적 형상을 제공한다는 것이 된다. 이러한 메타포 분석의 메커니즘을 이용해, ‘에워싸다’, ‘멀리 끌고 가다’ 등과 같은 일반적 공간적 사건 진행의 예에서부터 보다 구체적인 파도의 범람, 무거운 짐의 중압, 고통, 감염의 병리적 형상, 식물의 형상, 자연의 색깔 등과 같은 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메타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taphoric expressions of emotions in Russian verbal phrases. In the investigation is applied a methodology of conceptual structure which, originally developed by the conceptual semanticist Jackendoff, has been adap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n verbal structure by the present author. To elaborate into the theory, to focus on the center piece of Russian verbal phrases, prefixed verbs (from now on P V(P for prefix, V for verbal stem)) are structured to represent a spatial configuration of events where V characterizes a generic category of actional events and P specifies the path of the motion in process, imparting an overall spatial configuration to it. Now to introduce the formal theoretical framework, an event is conceptually represented by [event V ([THING<SUP>α</SUP>; FEELING], [path PREF TO [place P [THING<SUP>β</SUP>; CONTAINER of FEELING]]])] where the head is V(action), the agent THING<SUP>α</SUP>, the goal THING<SUP>β</SUP>, PREF prefix and P preposition. To paraphrase it in prose, an event occurs in a way that the agent takes action with regard to the goal with a spatial perspective of PREF and P. Then to proceed to the metaphoric representation of emotions, a mapping is made to correspond the entities in source domains to the entities in target domains so that in the formalism the former is put on the right in the entity bracket, whereas the latter on the left, e.g. [THING<SUP>α</SUP>; FEELING], [THING<SUP>β</SUP>; CONTAINER of FEELING]. With the methodology, our analysis of the metaphors starts with general actional events, then proceeds to more concrete metaphoric actions, i.e. waves, tooth pains, burden, infection, shapes of plants, and colors.

      • KCI등재

        移動動詞の語彙論研究 -「に格名詞+動詞」を中心に-

        薛根洙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이동동사」의 의미특징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인 대상은 「に격 명사」와 결합하는 구조적인 형태이다, 그 이동동사가 여러 가지 명사와 결합할 경우, 어떠한 의미특징을 나타내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동동사」는 주로 출발(나오는 곳)점으로부터 출발하여, 목적점에 도착이나 도달한다고 하는 의미특징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본 연구는 이동동사를 분류할 경우에는, 각각의 동사가 내포하고 있는 이동성에 의한 이동방식에 주목하여, 의미특징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이동 상태에 따라 ①行き来동사, ②近付き동사, ③出入り동사, ④到着동사, ⑤移動様態동사와ㅣ 같이 다섯 가지로 카테고리화 하였다. 이와 같은 동사가 여러 명사와 결합할 경우, 어떠한 다의적인 의미특징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In this thesis, it is a purpose to research the semantic component of "transference verb". A concrete object is [(Ni)case noun]a type combination structural. Analyzing it is the research the transference verb's what semantic component being shown in case of various noun combination. "transference verb" is a verb that shows the semantic component of chiefly leaving departure origin point, and arriving and reaching a target point. When the transference verb was classified, it classified it paying attention to the method of the movement by mobility that each verb possessed by the semantic component in the present study. It made it to the category as modality of the movement [①YukiKi Verb ②Chikazuki Verb ③Dehairi Verb ④Tochyaku Verb ⑤IdoYotai Verb] Analyzing it is the purpose what polysemy semantic component you cause in of various noun combination these verbs.

      • KCI등재

        폐동사무소를 활용한 보육시설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성형규,이종국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0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9 No.3

        Surplus resources including workforce and space have occurred by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In order to utilize these resources for welfare, culture, employment, and sports for all, the plan for merging closed dong offices is going on. Meanwhile, the demand for childcare facilities is increasing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working couples and small-scale families, but the government has underwent many budget problems in processes such as new construction and purchase of the land. In response,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measures to simultaneously solve the problems of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due to the current increase in demand for them and of closed dong offices due to their reduced role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e-government. As a method of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childcare facilities using closed dong offi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s of the facilities were compared through J-graph based on spatial syntax. Through this method, the types of space generated by the use of the existing dong offices were derived, and th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described. 전자정부의 시행으로 기존 동사무소에서 인력 및 공간에서 잉여분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서울시와 지방정부에서는 복지, 문화, 고용, 생활체육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동 통폐합계획이 진행하고 있다. 한편, 맞벌이 부부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해 보육시설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정부는 신축 및 부지매입 등에 많은 예산상에 문제에 따랐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보육시설 수요자 증가에 따른 보육시설 확충의 문제와 전자정부 시행으로 인해 동사무소의 역할이 축소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동사무소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폐동사무소를 활용한 보육시설의 현황 및 실태 조사를 실행하고 공간구문론을 기초로 한 J-graph를 통해 시설 간 공간구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동사무소를 활용할 시 발생되는 공간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그로인해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학적 공간 인식의 차이와 대학 영어작문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 연구

        박기성 우리말학회 2002 우리말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영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공간 인식에 관한 표현들에 대한 유형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점을 대학 영어 작문 교육에 활용하여 학생들이 영작을 할 때 범하게 되는 오류들의 유형과 빈도를 살펴보고 그 오류 유형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실질적인 영어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생들의 영어 작문 오류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한국어의 장소 조사와 영어의 장소 전치사 사이의 의미적 분류기준이 다르다는 점과, 한국어에서 동작과 상태 모두를 표현하는 많은 경우 영어에서는 상태 표현과 동작 표현 가운데 상태 표현이 보다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으며 이 점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오다' 보다는 영어의 'come'이 직시적 투사 범위가 넓으며, 다양한 사용법을 갖는다는 점을 실제 예를 통해 영어 작문 지도시 학생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동사를 언어와 영어의 위성틀 언어의 차이를 바탕으로 어휘화유형의 차이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 처소 동사의 바탕틀과 전경틀 교체 현상의 차이를 잘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영어보다는 한국어에서 허구이동 표현의 사용이 적고 따라서 허구이동과 관련될 수 있는 영어 작문 표현이 나타났을 때, 영어에서 적극적으로 허구표현의 사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어 공간동사의 유형과 의미 양상

        정수진(Jeong Su-jin)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9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egorize a type of the Korean spatial verbs according to the semantic criteria and to explore the aspects of the meaning of them.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human beings recognize movements of physical entity by spatial perception and then represent the spatial concepts by mens of a various of languages. In other words there are the spatial verbs refer to a change location of referent by motion in all languages. For this reason, I try to explain how to use the Korean spatial verbs for description of spatial movement. For this purpose, I analyze a pattern of the Korean spatial verbs and describe the aspects of the meaning of them on the basis of embodiment in cognitive linguist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