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학 분야 ‘고령화 사회’ 연구동향 : 인식과 대책

        정순둘,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7 No.-

        In order to review research on an aging society mai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literature in that field. Thirteen journ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tudies were selected; they were all published and registered at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m, 117 articles published from 1992 to 2010 were analyz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since 2000, a year that South Korea began to enter into an aging society, in terms of the society of population,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toward aging and further reviewed countermeasures discuss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y on aging conducted since 2000 was on the sharp increase and aging is perceived as a crisis and research focused was only on both senescence and life in old age.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1) mo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ging throughout the entire life is needed, and (2) more balanced perception is needed.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학분야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대책들에 대해 어떠한 주제로 연구하고 있는지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학술지로 등록된 사회복지관련 학술지 13개이며, 1992년에서 2010년 사이에 발간된 총 117편의 학술논문을 분석하였다. 고령화 사회가 가져오는 위기와 기회에 따라 어떤 주제를 다루는 논문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주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주제들을 인구사회학적, 개인, 가족,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논의되고 있는 대책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역별 고령화 현상의 심화, 수명연장으로 인한 연장된 삶에 대한 적응, 가족부양과 노인단독가구, 사회적 보호체계 고령화 사회가 주는 위기와 기회의 주제로 나타났다. 대책과 관련하여서는 부양, 소득보장, 경제활동참여, 건강, 노인복지시설 네트워크, 서비스개발, 노인관련전문가 전문성 향상 등이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령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조세법제의 과제

        許康茂(Kang Moo Heo) 한국세법학회 2005 조세법연구 Vol.11 No.2

        최근 우리사회는 선진국에서도 경험하지 못한 속도로 저출산ㆍ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저출산ㆍ인구 고령화는 노동인구의 감소, 노동생산성 저하,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저축률 하락, 소비위축, 투자위축, 재정수지 악화 등을 초래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전망이다. 반면에 고령자 인구가 증가해 나가는 가운데, 사회보장 등의 공적 서비스에 필요한 비용은 상당한 제도 개혁을 실시해도 증가를 피하지 못할 전망이다. 따라서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복지재정지출 증가와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등으로 인한 장기적인 세입기반의 약화와 같은 재정수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대간의 형평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세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조세법제는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삶의 질이 보장되는 활력 있는 경제 사회를 구축함과 동시에 국민부담률을 억제하고 세대간의 공평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혁할 필요가 있다. 저출산ㆍ고령사회로 인한 재정수지의 문제는 그동안 비과세ㆍ감면 또는 과세대상에서 제외되던 내용을 과세토록 하고, 세원의 발굴과 그 투명성을 제고하여 세입 및 과세기반을 확충하는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조세부담 증가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조세저항을 줄이면서 납세자의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넓은 세원, 낮은 세율’이라는 조세이념에 맞는 조세정책을 유지하되, 사회공통의 비용을 국민 모두가 공평하게 부담하는 세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Recently in our society it is rapid that low child birth and aging progress with speed not to experience in a developed country. Low child birth?aging of population bring about decrease of the labor population, labor productivity lowering, depreciation of savings rate by increase in old age population, decrease of consumption, shrinkage of investment, and aggravation of financial income and expenditure. So, it is prospect that the growth of economy will be blunt.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ged population increases, the expense that is necessary for governmental service such as social security though considerable reform of system enforce, it will not be able to escape increase. The aging of population causes increase of welfare?financial expense and decrease of popul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solve that problem of financial income and expenditure such as weakening of foundation of an annual revenue long period, it needs fundamental change of the policy of taxation to maintain balance of between generations and to make a growth continually. Legislation of tax to confront society of low child birth and an advanced age, to construct economic society to guarantee the quality of life with vital power at the same time, and it needs to reform the way that it suppress a share rate of the people and maintain balance of between generations. A problem of financial income and expenditure occurred by society of low child birth and an advanced age is to impose taxes on tax exemption?tax cut or content to be excluded from a taxation article during that time and is to uplift unearthing of tax sources and the transparency and is to solve through the way how to expand an annual revenue as well as taxable foundation. To decrease resistance of taxation to be able to happen in process of increase of the imposition of taxation and to get a tax payer's understanding, it should maintain policy of taxation that harmonizes with what is called tax idea of 'large tax sources, low tax rates' and construct a tax system that all the people bear public expense impartially.

      • KCI등재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자 고용의 쟁점과 과제

        최홍기(Choi, Hong-Ki)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50 No.-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의 고령자 고용은 노인을 부양하기 위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면서, 초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중요한 방안이 아닐 수 없다. 즉, 앞으로 다가올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고령자 고용은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는 핵심적인 정책영역으로서, 고령화에 따라 발생하는 제반문제를 근본적으로 접근·해결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자가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고, 양질의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고용환경 및 고용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고령자 고용은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고령자 고용정책의 기본방향은 현재 노동시장 내에 있는 고령자가 계속적인 근로를 통해 가능한 한 오래 머물 수 있는 고용환경의 정비를 위한 차원에서의 ‘고용유지’ 정책과 노동시장에 재진입 하려는 고령자의 진입장벽을 제거하는 ‘고용촉진’ 정책을 통해 구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 고령화의 진전정도와 노동시장 상황 등에 따라 고용유지 정책과 고용촉진 정책 간의 비중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포괄하는 정책이 구상되어야 하며, 이것이 현행 고령자고용법제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초고령사회에 있어서 고령자의 고용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될 수 있다면, 고령자의 고용유지 및 고용촉진이 기업에게도 유리하게 비춰질 수 있어야 하며, 종래의 고용경직성에 대한 부담을 덜어내야만, 고령자 고용에 대한 의욕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노동법제의 해석 및 운용도 함께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아야 한다. 그밖에도 고령자 고용은 청년고용에 지나친 간섭을 초래해서는 아니 되며, 고령자 고용정책과 청년 고용정책은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일할 의욕과 능력이 있는 고령자가 활약할 수 있는 장을 만든다는 것은 근로자 개인과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 국가 전체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향후 초고령사회의 진전된 논의를 기대해본다. South Korea is entering into the super-aged society at the fastest speed in the world and employment of aged is the important task for reducing the social burden on elderly care and preparing for the super-aged society effectively. For the approaching super-aged society, the employment of aged is the key policy for responding to the rapid aging and it holds potentials in fundamentally approaching and solving overall issues caused by a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rrange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employment system which help the aged to be involved in labor continuously and find a good job opening. In the super-aged society, employment of aged requires a policy that comprehensively covers employment promo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The basic direction of aged employment policy needs to be devised under the ‘Employment Stability’ policy in the aspect of arrang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aged in the labor market are able to stay longer by continuous work and under ‘Employment Promotion’ policy which removes the aged’s entry barrier for re-entering the labor market. Of course,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stability policy and employment promotion policy may vary depending on actual progressing of aging and labor market situation. However, the policy basically needs to cover both employment stability and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policy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current aged employment law. Meanwhile, if the issue of employing the aged rises seriously in the super-aged society, employment stability and employment promotion for aged may seem advantageous for companies. Al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toward employment inflexibility to enhance the desire for employing the aged. These matters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interpretation and management of related Labor Act need to be reviewed together. Furthermore, aged employment policy should not cause disturbance on job openings for youth and should be in harmony with youth employment policies. In current situation of low birth rate and rapid aging, arranging an opportunity for the aged with desire and ability to work is the important task for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Thus, there should be more advanced discussions on employment of the aged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의 법적 문제 -한·일 비교법적 관점에서-

        함인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1

        This study is executed from a perspective of the comparative law between Korea and Japan in relation with legal issues of the digital divide in a ageing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concepts of the ageing society and digital divide, and status quo in Korea and Japan thereupon(Ⅱ). And the comprehensive screen of the related laws in Korea and Japan(Ⅲ). Lastly, the legal tasks are presented for resolving the digital divide in a ageing society. Japan has reached the ageing society more than 30 years earlier than Korea, but the time gap in the ageing rate between Korea and Japan becomes shorter and shorter. Japanese aged are using internet more frequently than Korean aged. By the way, while the related laws in Korea and Japan are basically very similar,there are many different respects in them as follows. Firstly, as in Korea the issues of the ageing society and the low birthrate trend are regarded as the same character, the same statute is prescribed thereupon. Contrary to it, in Japan the two issues are prescribed separately. Secondly, while the resolution of digital divide is prescribed as one of aging society problems in Korean, it is not in Japan. In relation to information society, while the legal systems of two countries take the “fundamental act” system thereupon, there are many different respects in content. Firstly, while the concept of digital divide is prescribed in detail in Korean act, it is not prescribed in Japanese act. Secondly, while the Korean acts are prescribed in detail with regard to the exercise of the executive powers, the Japanese acts are not. This is because the Gyouseisido is very prevalent in Japan. And this is regarded as the core factor which the rule of law is not executed in strict mode in Japan.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의 법적 문제를 한·일 비교법적 관점에서 수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령화사회 및 정보격차의 개념과 한·일 양국에서의 현황(Ⅱ)과 한·일 양국의 관련법제의 검토(Ⅲ)를 검토한 다음, 고령화사회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법적 과제(Ⅳ)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Ⅱ에서는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30년 앞서 고령화사회에 이르렀지만, 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그 시차가 좁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정보격차는 다른 취약계층보다도 상대적으로 더 열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일본 고령자가 한국의 고령자에 비하여, 인터넷 이용도가 대단히 높음을 알 수 있다. Ⅲ에서는 먼저, 고령사회와 관련한 양국의 법제는 기본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지만, 양자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첫째로, 한국의 경우에는 고령화와 저출산문제를 동일선상에서 파악하여 정책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다. 이에 대해 일본의 경우에는 고령사회문제와 저출산문제를 별개로 접근하고 있다. 둘째로, 한국의 경우에는 고령화문제의 하나로서 정보격차의 해소를 규정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에는 이러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화와 관련한 양국의 법제는 ‘기본법’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그 실질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첫째로, 정보격차와 관련하여, 한국의 경우에는 개념정의를 비롯하여 비교적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비하여, 일본의 경우에는 ‘정보격차’ 라는 용어의 사용을 회피한 채 그것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내용의 규정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한국의 경우에는 국가정보화 추진과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두고, 국무총리와 민간위원장이 공동위원장이 되도록 하고 있는 데 비하여, 일본의 경우에는 고도정보통신네트워크사회의 형성에 관한 시책을 신속하고 중점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내각에 ‘고도정보통신네트워크사회추진전략본부’를 설치하고, 본부장으로서 내각총리대신이 맡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고령화사회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법적 과제로서 융합법제의 요청, 민관협동에 의한 대응, 보다 엄격한 법치행정의 요청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융합법제의 요청과 관련하여서는,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우선, 국가행정기관에 의한 임무 수행이 요청되는데, 행정실제에서 고령화와 정보격차문제를 소관하는 부처가 다르다. 이로 인하여,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라는 문제가 각각 다른 부처에서 이루어지고, 따라서 중복되거나 서로 책임을 미루다가 공백지대로 남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고령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 문제는 사회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새로운 이슈로서 종래의 부처간의 칸막이행정에 의하여 수행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 탄력성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조직을 유연하게 만들 필요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 인력과 예산의 운용에 있어서 무엇보다 탄력적일 필요가 있을 것이며, 그를 위한 이른바 융합법제의 도입이 요청된다. 둘째로, 고령화사회의 정보격차 해소문제는 행정에만 맡겨서는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과제가 아니며, 행정만에...

      • KCI등재

        고령화 과제 해결을 위한 노년학(Gerontology)의 역할

        김형기 ( Hyung Ki Kim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8 리스크 管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접어드는 상황에서 Gerontology(노년학)를 활용해 고령화의 문제점과 과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과제 해결을 위한 실행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고령사회로 본격 진입할 것으로 보여 인생 재설계 및 사회제도나 인프라의 재설계 등의 과제를 안게 된다.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는 고령사회에 비전을 제시하고 국가와 사회적인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기폭제로서 현재 Gerontology가 그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1965년 「고령 미국인에 대한 법률(Older Americans Act)」이 시행되면서 Gerontology가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고령자 의료·간병, 비즈니스, 행정기관 등에서도 Gerontology를 적극 도입하여 성과를 높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사례 검토를 통해 고려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고령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가치관을 양성하는 Gerontology가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고령화가 진전되는 데 따른 과제의 해결 및 실행 방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또한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법률정비 방향성에 대해서도 검토할 수 있었다. 향후 고령사회의 실태와 본모습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미래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Gerontology를 더욱 깊이 있게 배우고 실천해 나가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at not only examining the problems of the aging and the methods for solving, but suggesting the feasible dir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by making use of Gerontology(A study about the aged) under the current Korean situation of coming to the aged society from the aging. Korea is expected to enter the aged society from 2018, where remodeling of not only life for the individuals but also that of social system or infrastructure will become upcoming social issues. In US Japan and Europe, Geront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owing a vision for the aged society as well as being a catalyst for solving national and social problems involved. In particular, the enforcement of Older American Act in 1965 provoked the development of Gerontology in US, enabling not only the medical treatment and long-term care of the aged but a related business and administrative agency to actively introduce Gerontology and to make a decent performance. Thus this research examined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Gerontology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right understanding and values about the aged in Korea's current situation of approaching the aged society by reviewing the foreign examples, through which it tried to not only solve the problems stemming from the propelled aging and also suggest the feasible direction. This research also tried to examine the directionality for legal arrangement in coping with the aged society. It is required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deeply learning and practicing Gerontology in order to not only understand the actual aspect of the aged society, but also create desirable upcoming society.

      • KCI등재

        사회의 고령화와 한국교회의 설교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UN이 사용하는 고령화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에 의하면 우선, ‘고령’이라는 단어가 주는 사회적 단계는 세 단 계 인데 그 첫 번째가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이다’. 고령화 사회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인구 비율이 7%이 상 14% 미만인 사회이다. 두 번째는 ‘고령 사회(aged society)’이다. 고령 사회는 사회를 구성하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인구 비율이 14%이상 에서 20%미만인 사회를 지칭한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이다. 초고령 사회는 사회를 구성하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인구 비륭이 20%이상인 사회를 지칭한다. 통계청이 제시한 인구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은 이미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 고, 얼마 후인 2018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며, 약 10년 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이다. 한국사회가 고령사회로 진행 하는 것은 거부할 수 없다. 문제는 노인인구 비율 7%의 고령화 사회에서 14%이 상의 고령사회로의 진전되는 속도가 너무 급격하다는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의 진전은 약 8년 만에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속도는 현재 세계의 어느 국가보다 빠른 속도이다. 이러한 빠른 속도의 진행은 사회, 경제, 정치 등 모든 분야에 걸쳐서 이전과는 다른 그리고 새로운 도전을 주 게 될 것이다. 한편으로, 이러한 급속한 변화가 제공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제도와 환경을 충분히 준비할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 주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미래에 대해서 준비가 되었을까? 이 논문은 한국교회와 설교가 이러한 급속한 변화에 대해 어떻게 응답하고, 준비하고, 대사회적인 지도력을 회복할 수 있을까 살펴보고 있다. According to the commonly-used UN definition, a country is considered an "ageing society" when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or older reaches 7.0% of its total population. it becomes an "aged society" when the elderly population reaches 14% or more and a "super-aged society" when they account for 20%. Korea already became an "ageing society" in 2000. Korea is rapidly moving into an aged society. According to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8,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when 14.4% of its population will be comprised of the elderly, and, more seriously a "super-abed society" by 2026. The nation cannot avoid becoming an aged society. But Korea's problem is the speed with which it is approaching. It will take Korea 19 years to move from an "ageing" to "aged" society. Futhermore, it will take just 8 years from aged society to super-aged society. Such rapid ageing is rather spectacular among nations. Korea is becoming the most rapidly ageing society in the world. The rapid changes in demography will undoubtedly bring about new and different challenges on the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fronts. In this situation, is Korean Church ready for the future?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how Korean church and preaching responds to this rapidly changing future socio- economic environment of Korea.

      • KCI등재

        高齡化社會와 금융투자거래

        안수현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가천법학 Vol.3 No.2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seniors, to protect senior investors should be top priority in adopting financial policy and settle the financial institution. To compare with other countries, the speed of becoming aged society is very fast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disputes between investors and financial companies are increasing every day. In addition, since 2009 the new financial regulation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Provider Act has been effective and financial investment companies could product and sale all kinds of securities and derivatives without limits. Due to the changes in the capital market and legislation of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Provider Act', protection of investors or financial consumer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and the Act actually enacted a number of clauses for the protection of financial investors. However, it causes some concern and question that the new Act would not prevent and resolve traditional type of financial disputes very effectively.In this article, Section II illustrated on the how to set the financial policy in the aged society very briefly. In addition, this section reviewd the recent financial disputes and the reason why those disputes are raised. It shows the need of enhancing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infrastructure in the aged society. Section III. focused on the how to systemize the future financial regulation to protect the senior investors and proposed to reform the current financial regulation as follows. First, financial supervisory organization should think of ways to remodel their supervisory structures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senior investors. They should conduct senior-focused supervision, surveillance and complinace reviews.Second, financial companies also should remodel their compliance structures and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senior investors. In addition, they should train and educate their employees on senior-specific issues and establish an internal process of ensuing the appropriateness of investments when they sell and advise to senior investors. 향후 우리나라의 저경제성장 움직임을 고려할 때 고령인구의 소득격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따라서 은퇴 이후 생계자금을 유지·확보하는 것이 개인차원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정책목표가 된다. 금융정책과 금융제도를 통해 은퇴자금을 확보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국민 개개인의 재정부담 뿐만 아니라 국가재정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국가들에 비해 고령화의 속도가 매우 빨리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금융정책과 금융제도를 통해 은퇴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투자자와 금융회사간에 집단적 분쟁이 빈번히 제기되고 있음은 우려할만한 상황이라 할 것이다. 더우기 2009년 2월부터 증권등 금융투자상품과 금융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새로운 금융규제법인 이른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으로 약칭)』이 발효되어 현재보다 더욱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금융투자상품들이 대거 출시될 예정이어 분쟁의 가능성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반면, 현행 금융규제법제 특히 자본시장법에 의해 전통적으로 고질화된 금융분쟁들이 사전적으로 예방되고 근절될 수 있을지는 다소 의문이다. 무엇보다 자본시장법이 高齡社會를 대비한 금융소비자보호법제라고 하기는 다소 의문이 있기 때문이다. 수요자의 구조와 규제환경이 변화된 상황에서 전통적으로 투자자보호장치로 기능해 왔던 투자관련 정보의 제공이라는 방식만으로 투자위험에 대한 책임이 금융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행 법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보호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금융투자상품에 대해 그 위험과 구조를 금융소비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해당 위험을 수용할 의지가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상품과 서비스의 복잡·복합화로 인해 이해의 부족과 위험수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금융소비자에게 정보제공을 담보하는 장치를 비중있게 두기보다는 상품의 권유자·판매자로 하여금 신임관계(fiduciary relationship)에 기초하여 투자자에게 良質의 適合한 상품을 제공하게 하는 장치들의 충실화가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적합성원칙 판단시 은퇴 이후 자금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령사회로의 빠른 진전을 고려할 때 최근 전세계적으로 발생한 금융위기 발발과 그에 따른 저경제성장가능성을 예상해볼 때 국민들의 자산운용수요와 구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바 자본시장법 또한 고령사회에 부합하는 법제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으며 금융감독기관 및 금융회사 또한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전개 양상

        최재헌,윤현위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3

        본 논문은 인구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1980년부터 2010년까지의 163개 시군구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인구고령화의 지역적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인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존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고령인구의 분포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인구성장률 등과 관련하여 고령인구의 분포를 해석하였다. 1980년부터 5년 단위로 고령인구의 비율에 따라서 한국의 163개 지역들을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구분하였다. 지역적 차원에서 시기별로 고령인구의 추이를 고찰하면 1980년부터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1995년에 고령사회, 2000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여 2010년에는 80개의 지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고령인구의 비율은 도시규모와 인구증가율과 깊은 관계를 보인다. 즉, 도시의 규모가 작을수록 고령인구비율이 높았고, 인구증가폭이 낮을수록 고령인구의 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010년 기준으로 수도권·대도시와 중소도시의 경우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도시가 대부분인 반면 농어촌지역의 대부분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지역수준에서 합계출산율과 고령인구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spatial patterns and regional variations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based on census data for 163 areas during 1980~2010. It briefly investigat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from previous studies and clarifies spatial patterns of aging process at regional level with reference of population growth rate at different time periods. Citie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several stages including aging society,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according to the percentages of aging population our of total population every five years. At the regional scale, the stage of aging society was revealed from 1980, while the stage of aged society was shown from 1995 and super-aged society was entered from 2000 in Korea. Eighty cities in the analysis were shown ar the stage of super-aged society in 2010. The portions of aging population are highly related to city size and population growth rate. For instance, the cities both in small size and with low population growth rate are revealing high percentage of aging population. As of 2010, most rural areas are staged into super-aged society, while most cities with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mid-sized cities are kept in the stage of aging society. At regional scale, there a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total fertility rate and aging population.

      • KCI등재

        고령자 보호에 관한 사회법적 소고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5 No.-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인구적 변화를 의미한다기 보다는 이로 인한 정치적ㆍ경제적ㆍ문화적 사회변화의 야기와 이에 대한 대처의 충분조건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한편, 고령자는 국민이라는 권리주체로서의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사회적 위험으로서의 특수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고령자는 권리주체로서 국가의 사회보장정책에 보편적으로 편입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고령자의 특수적 지위를 대상으로 한 사회보장정책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고령자의 사회법적 지위를 단순히 국민으로서의 권리주체로만 파악한다면 현행 사회법체계상 사회보험영역, 공공부조영역, 사회복지영역을 기초로 다른 연령계층과의 구분 없이 보편적 법적지위로 다루면 될 것이다. 그러나 고령은 다른 사회적 위험과는 다른 특수한 성질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할 때 고령자를 보호하기 위한 개별적 사회법체계의 형성이 필요하다. 요컨대, 고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현행 사회법체계상 보호법익별 개별 법률의 내용파악을 통하여 그 제도적 보완을 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고령자라고 하는 특수계층을 보호대상으로 하는 단일법체계를 형성하여 현행 개별 법제도의 미비점을 새로운 사회법체계에 맞게 개선해 나가야 한다. Korea faces the aged society. This means a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variation and the sufficient condition of this rather than the simple population change. Meanwhile, the aged has a special position by the social hazard as well as a legal it called a nation by the subject of rights. Therefore, the aged is universally incorporated into the social security policy as the subject of rights, in some cases, into it as a special position called the aged. If the legal status of the aged is simply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rights called the nation, it can treated as a universal status on the basis of social insurance scope, public assistance scope, and social welfare scope on a current social law system regardless of age. But an advanced age can be grasped as a special nature as compared with the other social danger,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 separate system of the social law for the protection of the aged. In one word, for the protection of the aged, it must be made up institutionally for the understanding on the social law system in the short view, at the same time, it must improve the legal system now in use by making a special unity law system in the long view.

      • KCI등재

        고령친화환경 요인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전기, 후기, 초고령 노인집단 비교

        김재희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고령친화환경 요인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노인(65~74세), 후기노인(75~84세), 초고령노인(85세 이상)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의 연령집단별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와 고령친화환경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보건복지부 2020년 노인실태조사의 전기노인 5,977명, 후기노인 3,333명, 초고령노인 610명 자료를 사용하였고, 고령친화환경은 물리적 환경(생활시설, 녹지환경, 안전, 교통, 주택), 사회적 환경(여가활동, 지역관계, 노인존중, 정치참여, 일자리), 서비스 환경(정보이용, 서비스인지, 서비스필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선택한 비율은 전기노인 63.3%, 후기노인 61.4%, 초고령노인 59.0%로, 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지역사회에서 계속해서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고령친화환경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전기노인, 후기노인, 초고령노인 순으로 높게 나타나, 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물리적ㆍ사회적ㆍ서비스 환경에 대한 고령친화인식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영향을 미친 고령친화환경 요인은 연령집단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기노인층은 주택, 정치참여, 서비스필요, 서비스인지 변인이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특히 서비스 환경 영역의 요인이 다른 연령집단보다 영향 정도가 높았다. 후기노인층에서는 안전, 주택, 지역관계, 여가활동, 정치참여, 정보이용 변인이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사회적 환경 영역의 요인이 영향력이 더 높았다. 초고령노인층에서는 주택 요인만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물리적 환경 영역 중 주택 요인은 전 연령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있어 주거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대다수 노인이 원래 살던 집과 지역에서 지속해서 살기를 희망함을 확인하였고,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노인의 연령집단별 고령친화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지원하는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ge-Friendly Environment(AFE) factors influencing the Aging in Place Intention(AIPI) by age group: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Also, it examines the level of AIPI and AF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The study uses data from the 2020 Korea Older Adults Surve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analyses 5,977 young-old, 3,333 old-old, and 610 oldest-old cas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oosing to live in the home(community) proportion is 63.3% in young-old, 61.4% in old-old, and 59.0% in oldest-old. Second, the AFE factors score shows the highest in the young-old group, followed by old-old and oldest-old. Third, the AFE factors influencing AIPI show different results in age groups. In the young-old group, AFE ‘housing,’ ‘civic participation,’ ‘perception of social service,’ and ‘need of social servic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AIPI. In the old-old group, AFE factors of ‘safety,’ ‘housing,’ ‘leisure activity,’ ‘soci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fluence AIPI. In the oldest-old, only the ‘housing’ AFE factor affects the AIPI.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highlights that most older adults prefer to stay in their homes and community during their later life. And it discusses the policy and practice for supporting the AIP in each age group by improving the age-friendly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