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高麗 小鍾〉 考察

        이광배(李光培)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0 佛敎美術 Vol.21 No.-

        〈동국대박물관 소장 고려소종(No.629)〉은 높이 약 35㎝의 소형(小形)종이지만 고려후기 범종의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그 작품성 또한 우수하여 고려후기 소종을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국 범종 연구가 중대형의 범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시각에서 폭을 넓혀 소형범종에 대한 양식규명은 고려시대 범종의 정확한 이해를 위한 중요한 시도라 판단된다. 그것은 고려후기 범종의 제작양상에서 개인적인 발원 성격이 강한 소종들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러한 상황에서 소형 범종의 제작에 있어 당시 중대형의 범종 양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라 할 수 있다. 고려시대 범종의 현황을 통해 보면 이 시기 범종의 양식규명에 있어 소형 범종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것으로, 본고에서 다루는 〈동국대박물관 소장 고려소종(13세기중반)〉이 고려후기 소종을 대표할만한 작품성을 간직하고 있기에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고려후기라는 시기는 그 어느 시기보다 외래양식의 전래가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이다. 그것은 지속적인 대외교섭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범종의 제작에서는 기존의 왕실발원의 대형범종이 줄어들고 개인적인 발원성격이 강한 중소형의 범종이 많이 제작되었다. 그러한 양상에서 범종의 양식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그 대표적인 특징들이 입상화문대의 장식과, 용뉴의 형태변화, 범자문과 새로운 장식문양의 등장이다. 〈동국대박물관소장 고려소종〉 역시 이러한 고려후기 범종의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작품의 분석을 통해 밝혔다. 〈동국대박물관소장 고려소종〉은 고려후기 범종의 전형인 입상화문대로 대표되는 상부장식과 용뉴 및 종신의 표현에서 고려후기 범종이 형식화되기 이전인 13세기 중반에 제작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함에 있어 적당한 크기 조절로 넓지 않은 종신에서 여백을 강조할 수 있었던 점과 딩좌내에 새 문양을 표현한 독창성 등을 통해 〈동국대박물관소장 고려소종〉의 작품의 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고찰에서는 모든 수의 고려후기 범종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양식비교는 지면과 시간관계상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기존의 중대형범종에 집중된 고려 범종 연구의 범위를 넓혀 고려시대 소종에 대한 연구 가치와 자료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고려범종의 명확한 양식규명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사료된다. 〈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No.629)〉は高さ約35㎝の小型鍾だが高麗後期の梵鐘の樣式をよくおさめているし、その作品性も優秀で高麗後期の小鍾を代表する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特に韓國の梵鐘硏究が中大型の梵鐘を中心に成り立った旣存の視覺から間口を廣めて小型梵鐘に對する樣式糾明は高麗時代の梵鐘の正確な理解のための重要な試みだと判斷される。それは高麗後期の梵鍾の製作樣相で個人的な發源性格が强い小鍾たちの數が壓倒的に多くて、そういう狀況で小型梵鍾の製作において当時中大型の梵鍾樣式がどんな方式で反映されているのかに對する考察と言える。高麗時代の梵鍾の現況を通じて見ればこの時期の梵鍾の樣式糾明において小型梵鍾に對する理解は必須なことで、本考察で扱う〈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13世紀中盤)〉が高麗後期の小鍾を代表するに値する作品性をおさめているから硏究資料として価値が高いと言えるのだ。 高麗後期という時期はどんな時期より外來樣式の伝來が活發に成り立った時期だ。それは持績的な對外交涉の結果だと言える。梵鍾の製作では旣存の王室設源の大型梵鍾が減って個人的な發源性格が强い中小型の梵鍾がたくさん製作された。そういう樣相で梵鍾の樣式にも変化が生じたがその代表的な特徴たちが立狀花紋帶の飾りと、龍紐の形態変化、梵字文と新しい飾り文樣の登場だ。 〈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やはりこのような高麗後期の梵鍾の樣式を充實に反映していることを作品の分析を通じて明らかにした。〈東園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は高麗後期の梵鍾の典型である立狀花紋帶で代表される上部飾りと龍紐および終身の表現で高麗後期の梵鍾が形式化される以前である13世紀中盤に製作されたことで所存される。いっしょに多樣な文樣を表現するにおいて適当な大きさ調節で廣くない終身で余白を强調することができた点と撞座內に新しい文樣を表現した獨創性などを通じて〈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の作品の柄が高きを分かった。 本考察ではすべての數の高麗後期の梵鍾に對する綿密な分析と樣式比較は紙面と時間關係の上成り立つことができなかった。しかし旣存の中大型梵鍾に集中された高麗梵鍾硏究の範囲を廣げて高麗時代の小型鍾に對する硏究価値と資料の大切さを提示することでこれから高麗梵鍾の明確な樣式糾明に一歩進むことができるきっかけを用意したと思う。

      • KCI등재

        고려 후기 숟가락의 변화

        정의도(Jung Euido)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

        고려 전기 북방에서 전래되어 11세기경부터 무덤에 부장되기 시작한 숟가락은 전반적으로 0.2㎝ 내외의 두께로 제작되었으나 고려 후기 들어 전반적으로 두꺼워지며 특히 술자루의 두께는 0.4㎝ 이상으로 제작되며 0.7㎝를 상회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려 후기 숟가락의 변화는 단순히 고려가 원 간섭기에 원의 영향으로 빚어진 결과로 보기는 어렵다. 숟가락을 부장하는 전통은 왕의 무덤이나 관료의 무덤에서도 출토되고 있고 성리학이 전래되어 새로운 장례풍습이 나타나는 고려 후기 사회에도 변함없이 이어진다. 고려 후기 들어 오히려 숟가락의 부장되는 예가 증가하는 것은 설렁탕이나 곰탕과 같은 국을 위주로 하는 식단의 발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도 숟가락 자루 두께의 변화는 음식의 변화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고 오히려 연봉형 숟가락의 등장과 함께 고려식 숟가락이 완성되어 가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숟가락의 변화가 음식의 변화와 수반되어 이루어진다는 관점은 고려 후기 들어보이는 음식물의 변화를 숟가락의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기 어렵고 또한 고려 후기의 음식이 거의 그대로 이어지는 조선전기에 들어서서 일어나는 숟가락의 변화를 음식의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재고를 요한다고 하겠다. 아울러 고려 후기 사회에 대부분의 계층에서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던 전기 이래의 장례습속이 고려 후기 들어 일부 계층에서 그 습속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 감지되었으나 이것이 고려사회의 전반적인 변화로 이어지지는 못하였고 분묘에 숟가락과 생활 도구를 부장하는 행위는 조선시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ed from the Northern area in the early Goryeo in 11th century, the spoon which was 0.2㎝ in its thick had been buried in the tombs. The spoon had become thicker than before during late Goryeo period with particularly the head part of more than 0.4㎝ up to 0.7㎝. This kind of change has not been reached to the conclusion of Won’s influence. The tradition of burying th spoon can usually be found from the royal tombs as much as bureaucrat’s and it had not been changed until the late Goryeo society when Neo-confucianism had commenced. To a certain extent, the increase of burying spoon can be the clue for the novel introduction of the meals such as several types of soups. Even though, it is highly unrelated to the fact of thickened spoon head and so the emerging of lotus-peak type spoon can be the completion of Goryeo-type spoon. Even so fa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change of the meal types during late Goryeo are influential to the changes of the spoons. Also the meals of late Goryeo seemed to be continued until early Joseon which could not find the clear evidence of transition of the spoon types. In the mean time, most classes in the society held similar funeral traditions in the early Goryeo period which had been changed afterwards within few classes in the late Goryeo society. However, this kind of changes of funeral customs could not affect overall Goryeo community which had been resulted burying tradition of spoons and life commodities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이경주 미술사연구회 2018 미술사연구 Vol.- No.35

        고려 후기는 13세기 몽고(蒙古)와의 치열한 전쟁이 끝나고 개경(開京)으로 환도한 1270년부터 고려가 멸망하는 1392년까지의 시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는 왕실은 물론 관료층과 민간의 적극적인 불사 후원과 사원경제의 발달, 공덕사상(功德思想)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불상이 조성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불상은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사례를 포함하여 대략 140 여점 내외의 비교적 많은 작품이 남아 있다. 특히 고려 후기는 고려 왕실과 원(元) 황실의 지속적인 혼인은 물론 원 라마교(喇嘛敎) 승려의 입국, 기황후(奇皇后)의 금강산 장안사(長安寺) 불사 후원과 같이 양국 간에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상은 이전 시기부터 계승된 전통적인 불상 양식이 주류를 형성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고는 고려 후기 불상 가운데 북한지역에 남아있는 금동불의 현황과 특징에 주목하였다. 현재 북한지역에는 약 9구의 불상이 확인되는데 재료적으로는 대부분 금동(金銅)으로 제작된 상이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고려시대 북계(北界)지역에 해당하는 평안도(平安道)에 3구, 서해도(西海道)에 해당하는 황해도(黃海道)에 5구, 강원도 지역에 1구의 상이 남아있어 수도인 개경 이북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상의 형식은 변형통견식(變形通肩式)의 대의(大衣)를 입은 방식 등 고려 후기 불상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특히 1346년 충청도(忠淸道) 지역에서 제작된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과 서산 문수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瑞山 文殊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과 형식적으로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즉, 얼굴과 신체의 균형 잡힌 비례를 비롯하여 갸름한 얼굴과 온화한 표정, 허리를 곧추 세우고 정면을 응시하는 자세에서 동일한 모습이다. 또한, 복부의 정교한 띠매듭의 표현과 왼쪽가슴에서 승기지(僧祇支)를 고정하는 장치인 금구장식(金具裝飾), 양쪽 무릎에 형성된 원형의 주름 등 세부 형식 역시 14세기 금동불과 비슷하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북한지역 불상은 장곡사, 문수상과 같이 14세기 중엽의 연대를 알 수 있는 충청도 지역의 불상 유형과 유사한 형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14세기 이전에 제작된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1274년 중수),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瑞山 開心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1280년 중수)과 같이 상체를 앞으로 숙인 듯한 자세와 양감이 풍부한 얼굴, 번잡한 대의 주름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장곡사나 문수사상에 비해 상이 크고 당당한 자세를 보인다는 점과 세부 표현이 보다 정교하다는 점에서 장곡사, 문수사상보다는 다소 앞선 14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지역 불상에서 보이는 특징은 주로 고려 중기 遼(916~1125)에서 유입된 요소들이 고려화(高麗化)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大同, Dàtóng)의 하화엄사(下華嚴寺) 소조삼세불이나 미국 넬슨갤러리(Nelson Gallery of Art) 소장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북한지역 불상은 근본적으로 고려 중기 요의 불상요소를 고려적으로 변용한 것을 수 있다. 특히, 북한지역 불상은 이러한 요소를 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북방지역과 인접한 지리적인 특성상 ... The late Goryeo period is defined as lasting from 1270, when Goryeo's fierce war with theMongols ended and the country's royal court returned to the capital, Gaegyeong, to the fall of theGoryeo dynasty in 1392. A large number of Buddha statues wa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due toactive financing of Buddhist ceremonies by the royal court, the official classes and the general public;the development of temple-based econom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merit andvirtue” (功德). So far, approximately 140 statues – a relatively large number – have been discovered,including examples dating from the Goryeo-Joseon transition period. The late Goryeo period was marked by clos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ties betweenGoryeo and Yuan, including ongoing marriage between the royal and imperial families, the arrival ofLamaist Yuan monks in Goryeo, and the financing of Buddhist ceremonies at Jangansa Temple atMt. Geumgang by Empress Gi. Despite this, most Goryeo Buddha statues from this time continuethe stylistic traditions of earlier Goryeo.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to and characteristics of extant late-Goryeo gilt bronzeBuddha statues that originated in the northern Goryeo region that is now North Korea. Currently,approximately nine such Buddha statues have been identified as originating from this area; most ofthese are made of gilt bronze. In terms of region, three of the nine statues are from today'sPyongan-do Province, which corresponds to Goryeo's Bukgye region, while five are fromHwanghae-do Province, corresponding to Goryeo's Seohae-do region, and one from today'sGangwon-do region: all of these areas are located to the north of the Goryeo capital, Gaegyeong. In terms of form, these statues show characteristics typical of the late-Goryeo period, such as thebyeonhyeong tonggyeon (變形通肩) samghati configuration, whereby the main robe is draped overboth shoulders and an additional robe in a half-moon shape is placed over the right shoulder. Theyare particularly similar in terms of style to two Buddha statues produced in 1346 in today'sChungcheong-do Province: the seated gilt bronze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at JanggoksaTemple in Cheongyang and the seated gilt bronze Amitabha Buddha at Munsusa Temple in Seosan. These two statues are the same as the northern Goryeo Buddhas in terms of the balancedproportions of their faces and bodies, their slender faces and mild expressions, and the way they situpright, facing forward. They also show similarities to 14th-century gilt bronze Buddha statues in terms of stylistic detail, including the elaborate belt knots on their bellies, the ornamental gold pinsused to fix their undergarments on the left side of their chests, and the round folds formed onboth their knees. This tells us that the northern Goryeo Buddhas share formal characteristics withthe Buddhas at Janggoksa and Munsusa,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mid-14thcentury. These characteristics differ distinctly from those of statues produced before the 14th century, suchas the seated wooden Amitabha Buddhas at Gaeunsa Temple in Seoul (restored in 1274) and atGaesimsa Temple in Seosan (restored in 1280). Features of the latter include postures in which theupper body appears to lean forward, full faces, and complex robe creases. However, the northernGoryeo Buddhas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early 14th century, before those atJanggoksa and Munsusa,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arge sizes, dignified postures and finer level of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Goryeo Buddha statues that originate can be seen asnaturalized manifestations of elements generally introduced from the Liao Dynasty (916~1125) in themid-Goryeo period. As shown by the molded statue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t thelower monastery at Huayan Temple in Datong, Shanxi Province, China, and the seated gilt bronzeAmitabha Buddha housed at the Nelson Gallery of Art in the Un...

      • KCI등재후보

        필사본 『고려도경(高麗圖經)』의 유포와 의의

        장남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고려도경』 필사본의 몇 예를 중심으로 세부적인 특징과 함께 고려를 이해하는 텍스트로서 어떻게 소장되고 읽혀졌으며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대상은 이화여대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서울대 규장각 등이 소장하고 있었던 『고려도경』의 서로 다른 3가지 필사본이다. 활자 인쇄본 자료의 제작과 유통이 원활치 못했던 조선후기, 중국으로부터 급격하게 전래되었던 많은 사서와 문학서적, 지리서, 백과서적 등은 특히 관료 사대부 및 문인 계층을 중심으로 유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때 활자본 외에 많이 활용되었던 방식이 필사본의 제작이다. 고려 이후 조선중기까지도 국내에서 별로 활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고려도경』은 18세기 이후 여러 문인의 문집에서 그 이름과 내용에 대한 설명들이 발견되며, 새롭게 씌어진 고려 관련 역사서들에서도 인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고려도경』 필사본들의 존재는 앞서 살펴 본 조선후기 문인들의 독서 경향과 고려에 대한 지식 정보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욱이 19세기 이후 증대되는 『고려도경』에 대한 독후감이나 장서목록의 작성, 필사본의 제작과 유통은 조선후기에 고려를 바라보는 중요한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고려사는 조선의 지배층이 만든 역사이다. 고려사는 조선 건국 후 100여 년이 흐른 뒤에야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유통되면서 재구성된다. 처음 고려사가 저술되었을 당시 고려사의 기억과 실제의 기억이 충돌하며 경합하였지만, 시간이 흐른 뒤 고려사의 기록은 사대부들의 기억을 지배하기 시작하였고, ‘정전’과 같은 위상을 가지게 되면서 ‘문화적 기억’의 터가 되었다. 이 때 고려 관련 사서와 문집 등이 주요했다면, 『고려도경』은 빼 놓을 수 없는 자료였을 것이다. 『고려도경』에 기재된 고려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들은 반복·지속적으로 고려에 대한 정형화된 관점을 형성하는데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즉, 18세기 이후부터 고려에 대한 새로운 역사서들이 출간되고 특히 『고려도경』을 비롯한 고려에 대한 역사서나 문집 등이 다시 읽히고 필사·수장되는 과정에서 고려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면서 고려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이라고 본다. Gaolitujing(高麗圖經) is the book written by Xu Jing, a scholar diplomat, who recorded a itinerary of envoy of Northern song in 1123, and devoted it to their emperor Huizong(徽宗). It is survey report of Chinese envoy over approximately 3 months from May 26th to August 27th. In this journey, Xu Jing(徐兢) was in charge of managing the administrative work such as vessels, personnel, and gifts, etc. Therefore in every process, Xu Jing recorded the information with illustrations that he saw and heard, and devoted it to Huizong in August 5th, 1124. It was favored by Huizong so that he gave Xu Jing a high government position. Today there are not illustrations anymore, but the book which were consisting of information and illustrations at that time, was quite valid document about living space and style of Goryeo royal palace centering around Gaegyeong. This is very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to quate that writing year is sure and also the purpose and circumstance are clear. Because currently known historical record of Goryeo period is not many, actually it is very rare. And the types and materials of various vessels described in Gaolitujing have provided crucial evidence to study of the craft history occasionally. Particularly, three different types of copies in libraries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奎章閣) we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significance of Gaolitujing as a text that helps better understanding Goryeo can be know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various information transcribing about Goryeo in Gaolitujing has been provided a rigid point of view on Goryeo consistently and repeatedly. Gaolitujing was read through the repeatedly reading, copying, garnering of various histories and anthologies of Joseon period.

      • KCI등재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淨甁) 표현 연구

        조수연 ( Su Youn J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관음상의 상징물인 정병 또는 정병과 승반(承盤)이 함께 묘사된다. 그리고 그 외 고려후기 불화의 관음보살상과 조선초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수반(水盤, 淨水碗)이 정병을 대신하여 묘사되기도 한다. 정병은 관음보살의 상징물로 인도석굴 조각상에서부터 일찍이 보이기 시작하며 수월관음보살도에 있어서는 초기 도상인 돈황석굴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부터 확인된다. 淨甁은 범어로 Kundika이며 水甁을 의미하는데, 본래 아열대 기후인 인도의 기후에 따라 신도들과 출가한 승려가 항시 지니는 생활필수품이었다. 그러나 이후 불교에서 身心을 淨化한다는 의미가 부여되어 수용되며 대승비구의 十八物의 하나가 되었고, 淨水를 공양하는 供養具로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후 관음보살을 비롯한 여러 존상의 지물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수월관음보살도 도상에 있어서는 10세기경의 돈황석굴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부터 확인된다. 돈황석굴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정병이 보살상의 손바닥에 올려져있거나 또는 손에 쥐고 있는 모습이며 소형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하라호토(탕구트(西夏:982∼1227))출토 불화 가운데 12세기∼13세기 추정의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소장 수월관음보살도 2점에서의 정병은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 묘사와 연관성을 보인다. 그리고 그 외에 12세기경의 楡林窟 2굴(西夏)의 수월관음보살도, 돈황 237굴(中唐期創建, 西夏重修의 堀) 전실 입구문 위의 좌우 수월관음보살도(西夏)에서의 정병묘사 또한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묘사와 깊은 연관성을 보인다.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대부분의 정병이 군지형의 정병으로, 胴?에 귀때가 달렸으며, 긴 목위에 管狀 혹은 注狀의 첨태가 있는 형태이거나 또는 동체에 注口部가 없어지고 胴? 상부에 테를 붙여 頸部와 胴部를 구분 짓는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2점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특징적으로 굽이 있는 계란형 혹은 물방울형의 胴?에, 잘죽하게 좁혀진 頸部와 밖으로 잦혀진 口緣部를 갖춘 형식을 보인다. 이같은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상에서 보이는 정병은 대부분이 녹색계의 정병으로 묘사되었는데, 단 1점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백자를 연상시키는 백색의 정병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정병에는 다양한 문양이 금선으로 새겨져 화려함을 더한다.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 보이는 정병은 사실적인 형태 묘사 등을 보이며 고려 정병 연구에도 그 의미가 크며,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편년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모티브로 앞으로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bottles, a symbol of Avalokieshvara, or bottles and saucer(承盤) are depicted together. Bottles as Avalokiteshvara`s symbol began to be seen early from India`s stone cave sculptures, and were found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in Tunhuang, an icon in the early period.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a small bottle was depicted as placed on Avalokiteshvara`s palm or as held in Avalokiteshvara`s hand. And, the bottles in the two water-moon Avalokieshvara paintings, among others found in Khara Khoto (982∼1227) and possessed by the State Hermitage Museum in Russia, which are assumed to be works in the 12th∼13thcenturies, show relatedness with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addition to this,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in the second cave of 楡林窟 toward the 12th century and thos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ver the antechamber`s entrance of the 237th cave in Tunhuang also show deep relatedness with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most bottles are in the form of Kundika, have a spout on their body, and have a rim in the form of tube or distinguish between their neck and body with a rim attached on the upper part of its body without a spo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that have unique bottles with an egg-form or waterdrop-form body, a narrow neck, and externally bent bottle neck Most of these bottles shown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are depicted in green, but only one painting shows a white bottle, which reminds us of white porcelain. And, splendor is added to bottles with various patterns carved in golden line. Bottles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show realistic depiction,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Goryeo`s bottles, and are an important motive for chronological research o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I would like to more profound work in future.

      • KCI등재

        제4회(第4回) 환황해(環黃海) 한중교섭사(韓中交涉史) 연구(硏究) 삼포지엄 : 원(元)의 산곡(散曲)이 고려 후기 시가에 끼친 영향

        성호경 ( Ho Gyong Seong )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4

        元代의 중국에서 성행한 散曲은 13세기 후반 이래 그 음악과 함께 고려에 유입되어 고려의 시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고려 후기 시가에서의 연형식의 다양한 발달과 성행이 산곡 重頭의 영향을 받았고, 경기체가 등에서의 ``前節+後節`` 구성이 산곡 帶過曲의 영향을 받아서 이루어졌으며, 고려 후기의 非聯體시가 작품등의 구성이 散套의 영향을 받았을 개연성이 있다. 산곡이 끼친 영향은 주제·제재 면과 표현법 면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형식 면에서도 시편 구성에서만 뚜렷하면서도, 문학적인 면과 음악적인 면에 함께 나타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산곡은 장르적성격의 유사성 등을 통해 경기체가 등의 고려 후기 시가 유형·장르들의 발달에 영향을 끼쳤을 수도있다. 산곡의 영향으로 형성된 다양한 시가 유형들과 그 작품들은 고려 후기의 시가계를 풍성하게 했고, 상층인들의 시적 욕구의 중요한 일면을 충족시키며 그것을 노래하는 즐거움을 누리게도 했다. 그리고 그 일부는 조선 초에 계승되어서, 15세기 초·중엽의 과도기적인 시가계의 한 축을 이루게 되었다. 한편 산곡이 지닌 음악에 따르는 구성 양상의 영향은 고려 후기 시가들의 구성을 음악에 구속받게 함으로써 문학적 양식의 발전에 다소 지장을 주었다. 또 그 양식들이 음악의 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고려 후기 시가계에서는 적은 작품수에 비해 다양한 여러 유형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그 유형들은 경기체가 외에는 역사적 장르로서 확립되지 못하고 말았다. 그리고 산곡의 통속성은 그 영향을 받은 고려 후기 시가 작품들 일부를 유락적인 것으로 이끌었다. 또한 산곡의 영향이 강했던 점은 일부 토착시가 유형들의 지속적인 발전에 장애가 되기도 했을 것이다. Sanqu, a Chinese poetry genre prevalent during Mongol Yuan dynasty, had flowed into Korea since the late 13th century, and had wielded great influence upon Korean poetry in the late Goryeo period. Not only had the various development of stanzaic form in Korean poetry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been greatly affected by the ``zhongtou(重頭)`` in sanqu, but also the composition of ``front strophe+rear strophe`` such as gyeonggichega(景幾體歌) had been achieved due to the influence of ``daiguoqu(帶過曲)`` in sanqu. There also lies a substantial probability that the composition of poems in non-stanzaic form in the period fell under the influence of ``santao(散套)``. As a result, diverse types and works of poetry stemming from sanqu enriched the field of Korean poetry in the late Goryeo period, making it possible to meet the poetic desires of the upper classes and to grant them the pleasure of singing poems. Furthermore, some of those poetry types were inherited to the early Joseon period, becoming a pivot of transitional poetry field in the 15th century. Although it seems that the effect of sanqu only remains in the form of poetry ― distinctively in the composition of verses ― a great deal of sanqu`s literary and mu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Korean Poetry in the late Goryeo period. Also, sanqu may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poetry types and genres in the period such as gyeonggichega since they carried some similarities in genre characteristic. Meanwhile, sanqu`s composition style that carried both music and literature within itself had some counter-productive influence on the structure of Korean poetry in the late Goryeo period. Since sanqu bound music and literature form together in its composition style, following the form of sanqu eventually encumbered Korean poetry`s development in its literary style. Also, since such poems following the structure of sanqu could only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aspect of music, numerous musical variations of the literary style immerged in the late Goryeo period`s field of poetry and those varied literary styles weren`t able to get established as historical genre other than gyeonggichega. Moreover, sanqu`s popularity led some of Korean poetry in the late Goryeo period that were affected by it to be poems for amusement. Likewise, sanqu`s strong influence upo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must have worked as a hindrance to continuous development of some native Korean poetry styles.

      • KCI등재

        高麗後期 象嵌靑磁에 보이는 元代 磁器의 영향

        김윤정(Kim Yunjeong)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49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전반경을 거쳐 15세기 초기까지 제작된 상감청자의 기형과 문양에 보이는 원대 자기의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각 시기마다 전개되는 고려와 원의 외교정책, 정치적 상황, 窯業이나 무역 상황과도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었다. 麗ㆍ元간 교류의 시기적 특징과 배경, 도자 생산ㆍ유통ㆍ소비 등의 제반 상황, 상감청자의 기형과 문양에 보이는 원대 자기의 영향을 종합하여 상감청자에 元代 磁器의 영향이 수용되는 과정을 시작기, 확산기, 지속기로 編年하였다. 시작기는 麗ㆍ元 관계 초기인 13세기 4/4분기경으로, 이 시기 상감청자에는 원대 자기의 영향보다는 송대 자기나 前時期 상감청자의 영향이 많이 남아 있었으며 등을 맞댄 형태의 쌍어문이나 연화당초문과 같은 일부 문양에서 원대 자기의 영향이 보이고 있다. 이 시기는 왕실이나 관인층을 중심으로 하는 제한적인 麗ㆍ元 교류가 이루어졌지만 문헌기록에서 원대 몽고족과 관련된 그릇인 胡甁이나 원 황실의 기호에 맞춘 畵金磁器 등이 원의 貢物로 제작되고 있어서 원대 문물의 영향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확산기는 14세기 전반경으로, 원대 자기의 영향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용천요 청자, 경덕진 청백자, 난백유자기, 청화자기 등 다양한 품종의 원대 자기들의 영향이 보인다. 충선왕대 對元 정책이 수정되면서 원의 제도와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고려와 원의 도자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는 등 양국의 교류가 대폭 확대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 원대 자기의 영향을 받은 상감청자에 보이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已巳나 壬申銘 상감청자의 일부 기형과 문양이 14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天順年造銘, 樞府銘 太喜銘 磁器와 같은 元朝의 官用磁器와 관련되고 있어서 已巳와 壬申의 제작시기를 1329년과 1332년으로 추정해 보았다. 또한 간지명 상감청자가 元朝의 전용자기로 사용된 난백유자기의 기형과 문양에서 관련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편년 자료들과의 비교로 상감청자에 원대 자기의 영향이 수용되는 시기적인 차이도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원대 자기의 영향을 수용하는 방법은 기형이나 문양구성 등에서 상감청자의 전통을 고수하면서 주로 용문이나 봉황문, 연화당초문, 어문 등과 같은 주문양에서만 원대 자기의 영향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셋째, 퇴첩, 인화, 청화, 음각 등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된 원대 자기 문양의 양식적인 특정을 모두 상감기법으로 재해석하여 시문하고 있는 점에서 고려 상감청자만의 독자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기는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1/4분기경까지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14세기 중반 이후에는 원대 자기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고려 말ㆍ조선 초에 제직되는 상감청자에 원대 1341년에서 1351년 사이에 제작되는 至正樣式 청화자기의 영향이 다시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1352년에서 1360년경까지 계속된 원의 窯業 중지, 1368년 원의 멸망, 명과의 외교 단절, 강진 자기소의 해체 등 당시 복잡했던 고려의 대내외적인 상황으로 새로운 양식의 明代 靑畵磁器가 유입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고려에 이미 유입되어서 사용되고 있었던 원대 지정양식 청화자기를 모델로 일부 상감청자〔상감분청사기〕를 제작하여서 청화자기에 대한 욕구를 대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목되는 점은 14세기 전반경과 15세기 초에는 모두 원대 청화자기를 모델로 상감청자가 제작되지만 14세기 상감청자는 원대 자기의 일부 주문양만을 수용하고 있는 반면에 15세기 초에 제작되는 상감분청사기에서는 문양구성이나 세부 문양표현까지 원대 청화자기의 문양을 수용하고 있어서, 15세기 초 조선사회에서 청화자기에 대한 욕구를 짐작하게 한다. 본 논문은 고려 13세기 후기에서 14세기를 거쳐 15세기 초기까지 긴박하게 변화하는 對元ㆍ對明 관계와 도자 교류의 측면에서 상감청자를 고찰하였다. 고려후기 상감청자는 前代 상감청자의 쇠퇴가 아니라 당시 元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도자문화에서 원대 자기의 영향을 수용하여 새로운 기형과 문양이 생겨났으며, 원대 자기의 영향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고려후기 상감청자의 편년과 千支銘 象嵌靑磁의 제작시기 등 여러 문제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thesis studies the influence of Yuan (元) dynasty wares shown in forms and designs of me inlaid celadons in Goryeo (高麗) dynasty made from me late 13th century and me early 14th century to the early 15th century and discovered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circumstances of both countries in me corresponding periods such as diplomatic policies, political conditions, trade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he ceramic industry Considering me historical backgrounds in exchanges and overall circumstances including ceramic wares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oth countries, I divided the introduction period of me Yuan dynasty wares influence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They are the starting period, the spreading period and the maintaining period. The starting period was the last quarter of the 13th century when Goryeo and Yuan started to build relation, and the inlaid celadons in this period was influenced more by Song (宋) dynasty wares or the previous inlaid celadons rather man by Yuan dynasty wares, but we can witness the influence of Yuan dynasty wares in some patterns such as a lotus scroll design or a couple of fishes design with a back-to-back pattern In this period me exchanges between both countries were only limited to those of me royal family or bureaucrat, but I could find out Yuan culture and institutions started to influence Goryeo in that bobyeong (胡甁, a vessel related to Mongolia of Yuan) and the celadon with overglaze gilt decoration (畵金磁器) which suited imperial family of Yuan were made as offerings to Yuan. The spreading period is the early 14th century and we can witness the influence of Yuan most in this period. The influence of various Yuan dynasty wares shown in this period includes that of a Longquan kiln celadons (龍泉窯 靑磁), a Jingdezhen qingbai wares (景德鎭 靑白磁), a porcelain with luanbai glaze (卵白釉磁器), a blue-white porcelain (靑畵磁器), As King Chungseon (忠宣王, 1309-1313) changed diplomatic policies toward Yuan, Goryeo started to actively accept institutions and culture of Yuan Dynasty. and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remarkably increased. as we can see in the increase in celadon production volume of two 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laid celadons influenced by Yuan dynasty wares are as follows. First. some form and design of the inlaid celadons with the inscription gisa (已巳) or imsin (壬申) were related to celadons made in the early 14th century and used in the palace of Yuan such as wares with the inscription Tiansbun nian zhao (天順年造), Sbufu (樞府) and Taixi (太禧). Therefore, I estimated the period gisa (已巳) and imsin (壬申) were made as 1329 and 1332. The fact thar the inlaid celadons with inscription ganji (sexagenary cycle) has some relations with pocelain with luanbai glaze which was used exclusively for Yuan's imperial court in its form and design is also noticeable. Also, there seemed to be no difference in time in accepting the influence of Yuan dynasty wares in the inlaid celadons in chronological comparison. Second, in accepting the Yuan dynasty wares influence. the tradition of the inlaid celadons in a form or a composition of design were well kept but the Yuan dynasty wares influence can be seen only in main design such as a dragon design. a phoenix design, lotus scroll design and fish design. Third, I could reaffirm the uniqueness of the inlaid celadons in that characteristics of Yuan dynasty wares expressed in various techniques such as applied ornament moulded relief, cobalt blue painting and intaglio were all reinterpreted as techniques of inlay and styled. The maintaining period is from the late 14th century to the fust quarter of the 15th century. We cannot find the Yuan dynasty wares influence in the inlaid celadons made since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but the influence of Zhizheng style (至正樣式) blue-white porcelain made from 1341 to 1351 in Yuan, was shown again in the inlaid celadons made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Joseon

      • KCI등재

        고려후기 신흥사대부의 절의(節義)에 대한 소고

        홍우흠(Hong Wu Heum,洪瑀欽) 포은학회 2015 포은학연구 Vol.16 No.-

        본고에 있어서 고려후기란 제25대 충렬왕(1236~1308)에서부터 34대 공양왕(1345~1394)에 이르기까지 약 130년간의 시기를 뜻한다. 그리고 신흥사대부란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수용한 성리학을 수신제가(修身齊家)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의 이념으로 삼아 국정에 참여했던 관리들을 말하며, 절의란 성리학이 중시한 「도(道)」, 즉 군군(君君), 신신(臣臣), 부부(父父), 자자(子子)의 명분을 끝까지 지켜나감을 말한다. 고려 후기의 신흥사대부들은 모두 군군(君君), 신신(臣臣)의 절의를 지키는데 진력했지만 시대 상황에 따라 그들의 절의에 관한 정신은 각각 다르게 발휘되었다. 안향은 신흥사대부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제현은 국가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국왕을 수호하는데 성심을 기우렸으며, 이곡은 민족의 독자성과 권익을 지키는데 앞장섰다. 이색은 고려 후기의 주석대신으로서 충군애국의 절의로 일관했으나 이른바 우왕과 창왕을 옹립하는데 적극 가담함으로써 곡학아세(曲學阿世)의 난적지신(亂賊之臣)이란 오명을 남겼다. 그리고 정몽주는 사서(四書)를 통해 성리학의 원리를 철두철미하게 이해, 목숨을 걸고 신하의 도리를 끝까지 지켰던 충신이었으며, 정도전은 우왕과 창왕을 옹립했다는 명목으로 이색을 역적이라 공격하면서 고려왕조 수호에 충성을 다했으나 결국 그는 고려를 버리고 근세조선 건국에 앞장선 변절자의 길을 택했던 것이다. The latter period of the Koryo dynasty in this article refers roughly to the 130 years between the 25thking of Choongyul (1236-1308) to the 34thking of Kongyang (1345-1394). The emerging nobility refers to the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through the neo-Confucian principle of Susinjega and Chigukpyungchunha, and the fidelity principle, to The emerging nobility refers to the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kings, retainers, fathers, and sons should do what they each are endowed to do in order to uphold just causes. Strive though the new nobility did of the latter period of the Koryo dynasty in order to uphold the principle of fidelity, various new situations reflected different ideas about the principle. Ahn Hyang led the way to form the foundation for the new nobility; Lee Jaehyun strived to support the king and to maintain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and Lee Gok took the initiative in keeping intact national independence, rights and interests. Lee Saek, a Confucian scholar and the First Lord, brought dishonor to himself when he supported along with Shin Woo, son of Shin Don, Shin Chang to be king. Jung Mongjoo, who had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was a patriotic retainer who kept to the principle at the sake of his life. Having called Lee Saek a traitor for supporting Shin Woo and Shin Chang, Jung Dojeon initially swore allegiance to the Koryo dynasty, but in the end deserted the Koryo dynasty, leading the way as an apostate to found the new Chosen dynasty.

      • KCI등재

        고려후기 탑비, 전통양식의 계승과 변화

        박상준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塔碑는 신라하대부터 龜趺螭首 형식으로 조성되기 시작해 12세기 전반까지 그 형식을 유 지해 왔다. 고려후기에는 전통을 계승한 귀부이수 형식의 탑비를 계속해서 조성하는 한편 새 로운 형식이 채용되고 외래 양식이 유입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고려후기에는 20여기 이상의 탑비가 건립되었지만, 현재 전하는 것은 9기 정도이다. 또한 <월남사 진각국사비>가 조성된 1250년부터 <회암사 선각왕사비>가 조성된 1377년까지는 전 하는 예가 극히 제한적이어서 공백기에 가깝다. 고려후기의 초반에 해당하는 12세기 말~13세기 초에는 전통양식을 계승한 <영국사 원각국 사비>(1180년), 방부규수 형식의 <서봉사 현오국사비>(1185년), 귀부규수 형식의 <보경사 원 진국사비>(1224년) 등 다양한 형식의 조성 사례가 있다. 이 시기 탑비에 채용된 새로운 형식 은 비 받침과 비신만으로 간략하게 구성된 형식으로 귀부이수에 비해 격식이 떨어지는 형식 이며, 귀부와 이수를 채용한 탑비의 경우도 전체적으로 조각수법이 떨어진다. 이러한 경향은 장인의 기량문제, 그리고 무신정변 이후 그동안 탑비 조영을 주도하던 교종세력이 쇠퇴하고 불교계의 위상이 떨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생각된다. 한편 무신정변 이후 불교계는 신앙결사와 최씨정권의 수선사 지원으로 선종이 새롭게 부상 하게 되는데, 특히 수선사는 제2세인 眞覺國師 慧諶 때 최씨정권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크게 번창하였다. 이러한 배경하에 조성된 <월남사 진각국사비>(1250년)는 전통적인 귀부이수 형 식을 채용하였고, 규모와 조영기량 면에서도 이전 시기의 탑비보다 우수하다. 1377년 조성된 <회암사 선각왕사비>는 귀부이수 형식이지만 비신과 이수가 한 돌로 구성 되어 있는 등 우리의 전통적인 귀부이수 형식의 탑비와 큰 차이가 난다. 14세기에는 원 황실 과 귀족들에 의해 고려 사찰에 불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元 장인들의 직접적 인 조영활동도 활발한 시기였다. <회암사 선각왕사비>는 唐代이래 같은 형식을 유지하고 있 는 元代 양식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탑비이다. <회암사 선각왕사비>로 대표되는 원대 양식 은 이후 왕실 불사와 관련된 사찰의 비석이나 왕릉 및 사대부묘의 신도비 등 소위 주류 비석 의 양식으로 자리 잡는다. 반면 신라하대 이후 고려시대까지 우리나라 비석의 주류를 형성했 던 귀부이수 형식의 탑비는 고려말 조선초의 시기를 거치며 방부규수 형식으로 간소화되고 조영자체도 줄어든다.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918-1392), steles with a turtle-shaped base and a dragon’s head continued to follow the established tradition. Simultaneously, however, new and alien patterns were adopted in an attempt at diversification. In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2th century and the early 13th century, steles with an angular head and a rectangular base, and ones with a turtle-shaped base and a rectangular head made their first appearance. The newly adopted patterns became more simplified and looked less imposing than their predecessors. The steles made in this period, including those with a turtle-shaped base and a dragon-like head, appear inferior to their predecessors in terms of the overall sculptural techniques used to make them. Such a phenomenon was caused by the decline in status of Buddhist circles, which had hithert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rection of pagodas and monuments, following the military coup of 1170 (the 2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Euijong of Goryeo). The Stele for State Preceptor Jingak at Wollamsa Temple (1250), erected with the positive support of the Choe regime, which seized power after the military coup, exhibits the traditional tortoise-base, dragon-head pattern. It is superior to its predecessors in terms of its size and the sculptural techniques employed in its creation. The Stele for Royal Preceptor Seongak at Hoeamsa Temple (1377) appears to be directly influenced by the pattern of the Yuan Dynasty of China, which had remained unchanged since the Tang Dynasty. The pattern of the Yuan Dynasty was adopted as a mainstream pattern for monuments erected in temples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or those erected near the tombs of kings and members of the nobility. The steles became more simplified and smaller between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 KCI등재

        고려후기 도기통형호(陶器筒形壺)에 보이는 원(元)의 영향

        한혜선 ( Han Hyesun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2 No.-

        고려시대 후기인 13세기 중반~14세기말에 해당하는 유적에서 확인되는 도기 가운데 편평한 바닥에 細長한 동체가 연결되고, 구연의 중간부분에 단이 져 있으면서 어깨부분에 2~4개의 고리가 달린 것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기는 고려 자체에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원에서 제작 사용하던 것이 교류를 통해 고려로 유입된 것으로 파악하여 소위 ‘몽고병’이라고 불러왔다. 원에서 제작한 이 도기통형호는 동시기 고려와 일본에서도 간간히 확인되고 있어 당시에 동아시아 삼국에서 모두 확인되는 도기 가운데 하나이다.도기통형호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원대에 해당하는 침몰선이나 원과 관련이 있는 유적에서 확인된 사례가 많다. 그리고 이것은 그 자체가 무역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많은 양이 출토되는 것이 아니어서 원대 무역선에서 선상생활용으로 사용된 용구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기통형호는 장거리 해양이동 과정에서 필요한 물·술·간장 등 액체로 된 식료품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용도에 걸맞게 고려에서도 원과의 해상루트로 연결되는 지점인 제주도와 서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다. 이렇게 고려에서 원대 도기통형호가 출토되는 것은 당시 고려와 원이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고 이를 토대로 많은 인적·물적 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원의 문물이 다양한 방식과 루트를 통해 고려에 전해졌는데, 양국 교류의 일면이 도기통형호의 사례를 통해 도기에도 나타나는 현상임이 확인된다.원과의 교류를 통해 고려로 유입된 도기통형호는 비슷한 형태를 유지한 채 14세기 중반 이후 고려에서도 자체적으로 제작되었다. 한반도에서 확인되는 도기통형호 가운데 ‘덕천고’와 및 ‘보원고’와 같이 고려에서만 확인되는 관사명이 새겨져 있다는 점과 제작기법상 고려도기의 특징인 동체 외면에 격자타날문이 남아 있다는 점을 통해서 그러한 추정이 가능하다. 고려에서 제작한 도기통형호는 당시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원대 도기를 수용하고 이것을 모방한 예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고려에서 제작한 관사명 도기통형호는 이질적인 문화요소가 교류를 통해 고려에 유입되었고 그것을 수용한 후 모방하여 제작까지 했던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구체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Among pottery found in the ruins applicable to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here is a piece of pottery that a spindly body is connected to the flat bottom, a tier was created in the middle of 구연, and 2 to 4 rings are on the shoulder part. This form of pottery has been called ‘Mongolian Bottle’ as it was understood that pottery manufactured and used in Yuan (Not the Goryeo Dynasty) was introduced to the Goryeo Dynasty through exchange. Cylindrical shape jar, this potter which was manufactured in Yuan, is one of pottery shared by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s it was sometimes found in the Goryeo Dynasty and Japan at the time.There are many cases that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were found in sunken vessel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Yuan Dynasty or ruins related to Yuan from all areas of East Asia. And there is a strong likelihood that these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are a tool used for life on board in merchant vessels in the Yuan Dynasty because a lot of quantity were not excavated as other trade goods were founded. They were presumed to be used for putting liquid food including water, alcohol, and soy sauce necessary for traveling long distances in the ocean in them.Like this purpose, in the Goryeo Dynasty, they are usually found in the whole area of Jeju Island and the South West Cost, the point of the sea route connected to Yuan. Like this,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of the Yuan Dynasty are excavated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the Goryeo Dynasty was closely connected with Yuan in politics and personnel and material exchange was done based on this. The culture of Yuan was spread to the Goryeo Dynasty in various ways and through various routes. These phenomena have found to be shown in pottery through the case of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introduced to the Goryeo Dynasty through its exchange with Yuan were autonomously manufactured in it as the similar form was maintained since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This can be estimated in that among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ames of the tool just found in the Goryeo Dynasty like ‘Deokcheongo’ and ‘Bowongo’ were carved on them and grid beating patterns remained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its potter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manufactured in the Goryeo Dynasty are very meaningful as the example that it accepted pottery of the Yuan Dynasty commonly used in East Asia at the time and imitated them. That is, pottery cylindrical shape jars, official inscription manufactured in the Goryeo Dynasty can be a specific example which shows the process to accept different cultural elements of Yuan and imitate and manufacture them after they were introduced to it through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