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orean-American Diaspora Households

        Soohee Ki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지속되는 한류의 위세로 한국정부와 한국어교육 학계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인기상승을 구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 LA 지역은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증가 추세에 있고, 미국 현대어문학협회 2009년 통계 보고에 따르면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수도 계속 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세계화의 목적달성에 근접했지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는 연구 대상에서 뒷전이 되어 각 가정 내에서 한국어가 사라지고 있는 현실조차 도외시되고 있다. 국차원에서 이중어 구사자를 양성하고자 하는 미 정부와 협력, 이십여 년 전부터 미 학계에서 ‘계승어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계승어 소실을 당연시하는 교육정책 및 이중언어 사용자를 냉대하는 사회의 전반적 분위기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이민 자녀가 소수민족, 언어 차별을 내재화하여 가정 내에서도 부모와 한국어 사용하기를 거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본고에서는 이민 자녀가 건강한 정체성을 가 지고 부모와 소통하며 능력 있는 이중어 구사자로 미국 사회의 일원이될 수 있도록, 영어에 능숙하지 않은 부모는 자녀를 위해 이민 초기부터 구체적인 가족 언어계획을 준비하고, 영어에 능숙한 부모도 가정을 ‘언어의 보금자리’로 지정해 자녀에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를 되찾아줄 방법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학교는 부차적인 교육기관으로서 그 기능을 다 해야 하고, 가정이 한국어 계승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불어, 이민 부모가 자신의 언어를 자녀에게 수월히 계승해주기 위해서는 한국정부가 주도하는 전적인 교육계몽이 있어야 한다. 한국 내에서부터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수용적이고 고무적인 내용을 교과과정에 포함해 한국민을 교육하는 한편 미국 이민자들에게 이중언어 자녀육성에 대한 교육 정보를 널리 전파해야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가 소생할것이다

      • KCI등재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계발과 유지에 대한 연구의 비판적 고찰 -호주의 상황을 중심으로-

        신성철 ( Seong Chul Shin ),정신지 ( Sin Ji J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3 No.-

        본고는 호주의 상황에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가 어떻게 계발되고 유지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그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자료를 조사하여 이를 정규 교육제도, 한인 커뮤니티, 가족, 개인의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한다. 이를 위해 호주의 정규 교육제도가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떤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지, 한인 커뮤니티가 어떤 한국어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계승어 계발과 유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계승어 습득의 출발점이자 계승어 계발과 유지의 주된 장으로서의 가정의 역할과 그 양상은 무엇인지, 계승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개인의 학습동기와 정체성 형성 간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등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비교, 논의한다. 본고는 다문화 다언어 호주 환경에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및 그 화자와 학습자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족했음을 지적하고 향후 그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 KCI등재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초분절적 요소 분석: 미국 교포 아동의 피치와 발화 속도를 중심으로

        심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suprasegmental features and the speech pattern of heritage learners of Korean. To conduct this pronunciation study, voice samples were recorded using 12 Korean American children ranging from five to ten years of age who uses English as their primary language while learning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The results from the recordings were scored by human evaluators. These scores were then calculated and analyzed. T-test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coring results and the suprasegmental features such as pitch and speaking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rrelations between the human evaluators’ scores and speaking rate were strong whereas pitch values showed a weak correlation with the evaluators’ scores.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pitch (f0) and speaking rate are crucial variables causing heritage learners of Korean to sound different. In consideration of these variables, heritage learners of Korean may benefit with improved proper speaking rate and pitch thus being able to be understood better by Korean native speak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분절적 요소와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발화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발음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면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5세에서 10세 사이의미국 교포 아동 12명의 음성 샘플을 녹음하였다. 녹음 결과는 두 명의 평가자에 의해 채점이 되었으며, 채점 결과는 점수 산정 후, 분석 자료로사용되었다. 초분절적 요소인 피치와 발화 속도가 평가자의 채점 결과와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t-검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평가 점수와 발화 속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높이 피치는 평가자 점수와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치와 발화 속도라는 운율적 측면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의 음성학적 차이를 만드는 주요 요소로 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적절한 발화 속도와 피치를 사용한다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

        권순희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9 No.-

        다중언어 사회의 국내외 한국어를 세분화하면 외국어로서의 한 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방언으로서의 한국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등이 있다.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은 통일 정책, 이민 정책, 한국어 세계화 정책, 다중언어(다문화) 정책 등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을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은 언어의 다양성이라는 언어 생태계의 보존 차원에서 중요하다. 둘째, 경제 생산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위상이다. 셋째, 국가 공동체 내에서 의사소통의 효율성, 국가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의 위상을 생각해야 한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학교 교육 차원의 지원은 말할 것도 없고, 언어 공동체의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 표준 한국어에 대한 연구와 다양화된 한국어에 대한 연구 가 병행 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역이민의 수요자 증가 등 성인의 유입으로 보건대 평생교육 차원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한 국어뿐만 아니라 직업 한국어, 문화 한국어 등의 평생교육적 지원을 위한 교육 기관의 확보와 교사 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다중언어 사회의 변화와 그 역사가 축적되어 감에 따라 한국어의 다양화와 한국어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대비하는 한국어 교육의 연구와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개인의 책임 또는 언어학적 능력의 관점에서 주로 보는 인지적 접근 방식으로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성과가 축적되었다면 이를 보완 하여 사회 언어학적 관점의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위상을 생각하며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 한글학교 계승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인 가정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혜경 ( Hyekyung Park ),서진숙 ( Jinsuk Se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2

        이 연구는 프랑스 한글학교의 한국인 가정과 다문화 가정의 한국어 계승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와 태도를 조사, 확인하여 두 학습자 집단 간에 차이를 밝히는 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두 학습자 집단의 차이를 토대로 한글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 가정과 다문화 가정이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한 프랑스 소재 한글학교의 아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 가정의 아동의 학습 동기는 정체성, 가족 관련, 자기 개발, 외적 압력 동기로 다양하게 가지고 있는 반면 다문화 가정의 아동은 정체성과 가족 관련 동기로 압축되어 나타났다. 또한 태도에 있어서 한국인 가정 아동은 일반 한국어 모어 화자들과 유사한 수준의 한국어 능력에 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지만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그러한 수준까지는 크게 동의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어 학습 의지나 만족도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한국인 가정의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두 집단은 학습 동기와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므로 학급을 분리하여 한국어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학습자 변인에 따라 다양한 학급 구성이 어려운 한글학교의 현실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육 내용 선정 및 교육 수준, 목표 설정에 차이를 두어 수업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the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of Korean students of Korean families and Korean language heritag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first aim was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aim wa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to teach Korean lessons in Korean language school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erefore, in this study, Korean families and Korean language heritage learn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in this study, for a comparison of Korean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 uniform distribution of French material survey was completed on the Korean language schools`` child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Korean and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As for the result, children of Korean families were found to have identity, family related, personal development, external pressure and various motivation wherea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motivation was compressed into identity and family related motivation. Also, in the case of children of Korean families, there was a strong determination to reach a level of competence similar to those of the general Koreans but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uch levels were not as significantly accepted. On the other h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higher determina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learning. The two groups show a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Therefore, it is most rational to separate their learning but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Hangeul School to configure a class based on student variations was considered and in this pape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and level of education, by making a difference in goal setting, was proposed as a plan to teach the class.

      • KCI우수등재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한글학교 적용 연구

        이정희(Lee, Jung-hee)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시작하여 총 네 차례의 국가 용역 사업으로 진행 중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개발의 과정 및 결과를 정리하여 교육 시간, 교육 대상 등의 내용을 표준적인 교육과정 운영에서 가장 동떨어져 있는 한글학교 유아반의 교육과정에 실제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재외 한글학교용 표준 교육과정에도 제외된 한글학교 유아반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국제 통용 3단계 연구(2016)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글학교 유아반 1급 한국어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요구(need)를 ‘표준’이 담보해 낼 수 없으므로 ‘표준 교육과정’의 적용에 있어 융통성과 탄력성을 가지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일반 성인 학습자와는 다른 재외동포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 수준에 적합한 방법으로 쉽고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교수요목을 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1급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제, 기능, 문화 등을 유아-아동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주제 요소에 맞추어 32주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한 주차의 교육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이나 기관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한국어교육의 형식과 내용도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한국어교육 체계 및 구조를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mmarize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hich had proceed in the National Service Business in total of four times since 2010, in addition to apply it practically to the curriculum of the nursery class in Hangul School which is the most distant from the standard curriculum operation such as the education time and the education targe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nursery class in Hangul School structured base on the contents of the third stag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study (2016),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the class management and the teachers were all considered. Since "standard" can not guarantee the various of ‘needs’, this curriculum was tried to having flexibility and resilience in applying "standard curriculum". Furthermor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from overseas Koreans who were different from the research target in adult, it was focused on the constructing the syllabus of lectures for the children who are before the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stage can learn Korean language with fun easily by an appropriate metho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Level 1of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nursery class in Hangul School was structured. In the Level 1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as intensively covered the topics, functions, cultures and etc, adjust to the core topic elements which were important measurement in the preschooler education, the 32 weeks education content was structured and was presented in detail weekly.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structure will be reestablished base on the possible to maintain consistency of the core of contents and also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ere done in different ways by each region or institution.

      • KCI등재후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orean Education as a Heritage Language)에 대한 소고: 방향과 향후 과제

        강승혜 ( Seung Hae Ka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3 언어사실과 관점 Vol.31 No.-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issues of Korean Education as a Heritage Language that has been explored thus far. It is true that the discussion of academic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academic spheres which is composed of. Possible approach could be on practise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an object of teaching Korean.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ly,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existing terms that have been suggested in a variety of terms for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KHL). Secondly, this is to emphasize on its indispensability for Koreans overseas in the basis on the present state and background of their emigration. Thirdly, it is to propose philosophy and objectives as well as future direction or task of Korean Education as a Heritage Language for overseas Korean. Great emphasis on a comprehensive discussion has to be put in terms of establishing academic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의 다양성

        박정은,김영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어 교육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exical diversit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ir writings. Advanced learners are composed of foreign learners and heritag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were employed to collect their writings as comparison group. To meet the goal, the study conducted two different genre-writing tasks and analyzed the writings by number of tokens, and number of types. TTR was implemented to examine lexical diversity and lexical diversity of meaning classes in the writings of three groups. The study found out that (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tokens and number of types among three groups, (ii) both number of tokens and number of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oups and writing genres, (iii)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in lexical diversity among groups, but (iv) each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lexical diversity between the genres. As for results from lexical diversity analysis of meaning classes, heritage learners showed no difference with native speakers in using of concrete and clear vocabulary, time and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of professional and detailed vocabulary, intention and value, and abstract vocabulary; however, foreign learn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eaning classes with heritage learners

      • KCI등재

        영어권 계승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맞춤법 교육 방안 연구 -의식 고양 과제를 활용하여-

        박혜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어 교육 Vol.26 No.3

        This paper aims to provide effective orthography teaching methods for heritage learners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Heritage learners can naturally acquire basic Korean speaking skills. However, they lack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morphology. Heritage Korean learners make many orthography errors when they move from spoken to written form because they rely on their speaking ability and or pronunciation to write. This research therefore, has looked at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perform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rror types and cause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orthography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son why heritage learners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find orthography difficult is because they never acquired the appropriate vocabulary or accurate grammar forms. This research sees that ‘consciousness-raising tasks’, which is a type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is effective for solving this kind of problem and suggests methods for developing effective consciousness-raising tasks and provides examples of such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