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단축조에 관한 소고

        임경미(원영)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인도에는 간단한 표시와 결계에 의해 계단이 설치되었다. 지금처럼 고정설비를 갖추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달랐다. 중국에서는 탑형식의 특정 모형물이 축조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도선에 의해 성립되었다고 하는 계단은 그 규모가 인도와는 다른 형태였다. 현장의 역경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었던 도선이 인도풍의 계단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선은 인도풍에 따르지 않고 중국풍의 새로운 계단을 이루어 낸 것이다. 중국불교에 맞는 계율을 평생 모색해왔던 도선은 계단축조에 있어서도 그 나름대로의 독자성을 발휘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도선의 계단축조는 이후 한반도와 일본열도에도 전해져 현재에 이르기까지 출가수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통도사의 금강계단은 도선의 영감계단보다 빨리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렇다고 도선의 영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도선이 최후에 완성했다고 하는 영감계단보다는 이르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주로 계단의 설정방법과 그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실제 현존하는 계단 위에서 수계가 얼마나 이루어졌는지는 의문이다. 대개는 상징적인 축조물로서 남겨두고, 실제 수계는 그 앞이나 법당 등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ordination platform was established by the simple sign and limited area in India. This wasn't in accordance with fixed equipment like now. However it was different in China. There was the specific model of tower style there. Though th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Tao-hsǔan was differentiate from the platform's size of India. It doesn't seems that Tao-hsǔan who participated in the adverse business on the spot didn't know about India style's ordination platform. Although Tao-hsǔan didn't follow the India style and completed new ordination platform of chinese style. Tao-hsǔan tried to find Buddhist percepts which suited for Chinese Buddhism for entire life and he might display originality itself about ordination platform construction The ordination platform construction of Tao-hsǔan is handed down at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chain of islands and used in the disciple of Buddha of Buddhist priesthood. Especially it is highly expected that Tongdosa Diamond Ordination platform had established earlier than Ling-gan ordination platform of Tao-hsǔan. Even if it is affected by Tao-hsǔan, it is completed earlier that Ling-gan ordination platform that Tao-hsǔan finished the last. In this piecemeal consideration, I mainly inspec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ordination platform. However I wonder how many ordinations got accomplished on the existed ordination platform. Nearly this remained to be symbolic structure and real ordination might realize in front of it or the sanctuary etc.

      • KCI등재

        계류의 소형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경,이성재,정수아,정형래,김재근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2

        계류에서 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림천 상류에서 계단식 구간(100m 당 3.02개의 보)과 비계단식 구간(100m 당 0.96개의 보)을 나누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정성, 정량 조사하였다. 평균 유속은 계단식 구간(0.043m/s) 보다 비계단식 구간(0.149m/s)에서 더 빨랐다. 정수역을 선호하는 파리목(Diptera)는 비계단식 구간(32%)보다 계단식 구간(78.3%)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p<.05). 유수역을 선호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는 계단식 구간(4.5%)보다 비계단식 구간(14.1%)에서 더 풍부하게 출현하였다(p=.203). 날도래목(Trichoptera)는 종에 따라 출현하는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주워먹는 무리(gathering-collector)비계단식 구간보다 계단식 구간에서 1.8배나 많이 출현하였다(p<.05). 반면 걸러 먹는 무리(filtering-collector)는 계단식 구간에서 약 4.4배 더 많이 출현하였다(p=.124). 균등도 지수(J')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 단식 구간에서 각각 0.41과 0.77로 나타났다. 수환경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는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4.0과 2.4이었다.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0.1과 0.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보를 계류에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mall dam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surveyed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llecting methods from 4 sites at a terraced interval (3.02 small dams per 100 m) and from 5 sites at a non-terraced interval (0.96 small dams per 100 m) in upper reach of Dorim stream, Seoul. The average water flow rate was higher at the non-terraced interval (0.149 m/s) than at the terraced interval (0.043 m/s). Diptera, which prefer slow water flow or lentic habitats, appeared more abundantly in the terraced interval (78.3%) than in the non-terraced interval (32.0%)(p<.05). Ephemeroptera, which prefer fast water flow or lotic habitats, appeared more abundantly in the non-terraced interval (14.1%) than in the terraced interval (4.5%)(p=.203). There was a difference in species distribution of Trichoptera in terraced and non-terraced intervals depending on preferred environment. In the terraced interval, the occupancy ratio of gathering-collector was 1.8 times higher than in the non-terraced interval (p<.05). In contrast, filtering-collector appeared to be about 4.4 times higher rate in the terraced interval (p=.124). The evenness indexes (J′) were found to be 0.41 and 0.77, respectively in terraced area and non-terraced intervals. KSI, evaluating biological water quality, showed an average of 4.0 and 2.4 respectively in terraced and non-terraced intervals. EPT/C index, indicating the balance of the community, showed an average of 0.1 and 0.7 respectively in terraced and non-terraced intervals. It suggests that we should make small dams in order to maintain bio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 KCI등재

        계단의 전이공간적 특성과 의미확장에 관한 연구

        이경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건축된 박물관건축물을 통해 사회의 다양화와 가치관 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계단공간의 변화와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전이공간으로서의 계단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계단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 사례조사를 통해 전이공간으로서의 계단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공간의 인식변화와 이를 통해 나타나는 계단공간의 특성변화를 도출하며, 도출된 특성을 토대로 사례별 박물관건축물의 계단공간을 중심으로 이의 전이적 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90년 이후에 건축된 박물관건축물의 계단은 내부공간을 통합하는 장치로서, 보행과정상의 시각적 체험 장치로서 그 기본적 기능만이 아닌 건축물의 전체를 경험하게 하는 요소로서 전이적 공간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과 공간간의 매개적 요소, 인간행위의 촉매요소, 지각 인식요소로서의 역할을 더욱 더 활성화하기 위하여 박물관건축물의 계단은 공간적, 형태적, 상징적 전이특성요소가 공간구성요소로서 계획되어야 하며 향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stair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exploring desirable directions for stairs' designs by analyzing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for stairs in the museum building.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1) Preparatory study and literature reviews to extract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stairs 2) Based on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stairs, each stairs in the museum building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 that the stairs in transition space of museum building built since 1990 were appeared aspect of transition characteristics. It was concluded that the stairs in the museum building should accommodate and provide transi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patial continuity, content continuity, and visual perspective continuity for enhancing the interactive atmosphere within the people in the museum building.

      • KCI등재

        중국 당 道宣의 戒壇과 金山寺 戒壇

        이경화 호남사학회 2009 역사학연구 Vol.35 No.-

        In precept area Buddhist ordination ceremony becomes fundamental to the figurative form called an ordination platform. In general, the ordination platform movement is recognized as being prevailed in (medieval) China over India or Gandhara, in which case Chinese ordination platforms are the initial establishment by Gunavarman in the fifth century at Nanlinsi (南林寺) in Jiankan (建康), ranging widely in the southern dynasties for the most part. Acase in point is the record of Daoxuan’s establishment of an ordination platform at Jingyesi (淨業寺). Daoxuan established a five-storied ordination platform, which was based on the Buddha’s ordination platform at Jetavana in India. It is the belief of being represented by the ordination that has thence led Daoxuan to become aware of the direct lineage of succession from the Buddha, according to which his mission involves conforming to the stream of Buddhist thought through both Chan/Zen and esoteric Buddhism. In a concrete sense Daoxuan’s triple square ordination platform consists of the inverted bowl including Buddha’s relics (sarira) and the precious pearls, which lie at the center of the top level of the platform. There are niches along the face stones of the platform in which various heavenly gods are placed and stone guardrail which are placed on the top of the face stones. Without the appearance of deep enough representation of Daoxuan’s diagram, the core is that the three-tiered base of the platform is the three voids expressing the first gateway of Buddhism, and in its formal representation the five-tiered configuration containing the inverted bowl and precious pearls involves signifying the five-part dharma body (dharmakaya) with the five pure skandhas. The five-part dharma body is explicitly linked with the five Buddhas who have the five wisdoms, that is, morality, meditation, wisdom, emancipation, and the cognition of emancipation. The largest three ordination platforms in Korea, which are termed Tongdo-sa, Geumsan-sa and Bulil-sa, are mainly made up square bases, stone bells and nine dragons. Korean ordination platforms are generally regarded as a sort of Daoxuan’s ordination platform insofar as they involve in the multiple square platforms, with heavenly gods. However, these platforms are in large part reconstructed in Goryeo dynasty again, as well as Daoxuanian platforms are a resurrection of Tang dynasty’s style after Song dynasty, so that the archetype of Korean ordination platforms is so difficult to recognize. By virtue of the fact that there exist store bells at the center of the ordination platform, Korean ordination platforms are so distinct from Daoxuan’s. When the golden bell in ordination platform diagram waits for all Bodhisattas to be born in Tusita, the stone bell will ring, an appointment which is reminiscent of an idea involved in Jinpyo’s Maitreya devotion to observe precepts and make a confession. Jinpyo known as a vinaya master enlightened the masses through ordination ceremony and established a Maitreya-bodhisattva diagram and an image of Maitreya, so that at the same time he is likely to establish ordination platforms. To identify intrinsic analogies of East Asian ordination platform movement and Jinpyo’s activities included in the Song Lives of Eminent Monks and Daoxuan’s Buddhist world view through the Vinaya and apperception may have the appearance of ultimately verifiable forces. It seems that the contemporary ordination platform movement in East Asia has a bearing on Daoxuan who systematize the rule for establishing an ordination platform and vinaya master Jinpyo, as a result of which Jinpyo must establish a ordination platform at Geumsan-sa, after sympathizing with the import of Daoxuan’s ordination platform and ranging over the material of the platforms in Baekje. If so, then the ordination platform at Geumsan-sa – which directs themselves toward Tusita heaven and also toward eternity – involves... 戒壇은 수계의식과 說戒를 위한 聖域이다. 계단은 인도, 간다라 보다 중국에서 유행을 한 것으로 파악되며, 중국에서의 계단은 5세기 구나발마가 남림사에 세운 계단을 최초로 남조에 집중 분포되었다. 그럼에도 실증적인 예는 당대 도선이 세운 정업사 계단과 그 기록이다. 도선은 인도 기원정사에 맥을 두어 五重의 계단을 창립하였다. 그의 계단에 대한 이념은 부처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는다거나 불교의 본질적 존재를 상징화하면서 밀교, 선종 모두를 통한 사조를 일으켰다. 구체적으로 도선의 계단은 삼중방형이며 중앙에는 사리를 둔 복발과 보주가 올려 진 구조이다. 그리고 각 단의 면석에는 벽감을 두어 많은 천신들을 조각하고 난간을 두었다. 충실히 재현한다는 것은 어려워 보이지만 그 핵심은, 삼중 기단이 불교의 초문을 상징하는 三空이며 위에 복발과 보주를 합한 오중의 형상이 순수한 五蘊을 갖춘 五分法身의 표상이라는 데에 있다. 오분법신은 계·정·혜·해탈·해탈지견으로서 부처에 의해 이루어진 다섯 가지 지혜를 나타내는 표준밀교용어 五佛과도 연결된다. 한국의 3대 계단 통도사·금산사·불일사 계단이 방형기단과 석종 그리고 구룡을 주요한 형태로 한다. 한국계단은 노지의 다중 방형단이면서 많은 천신들을 조각한 점에서 도선류이다. 다만 현재의 계단이 대개 고려대에 개축이 되었고 도선류 계단 역시 당대 다양한 형식의 사조 이래 송대 이후 부흥하였기 때문에, 한국 계단의 원형은 정확히 알기 어렵다. 그럼에도 도선의 계단과 달리 한국 계단은 중심부에 석종을 올린 점이 독특하다. 석종은 계단도경의 금종이 도솔천으로 가서 미륵의 하생을 기약하여 울리므로 특히 금산사의 진표가 주창한 持戒의 미륵신앙과 참회계법 등의 사상을 상기시킨다. 율사 진표는 수계를 통해 민중을 교화하고 금산사 내에 미륵보살수계도와 미륵상을 조성하였다고 알려지는데, 이와 함께 계단을 창립하였을 개연성이 있다. 그것은 동아시아의 계단사조를 비롯하여 송고승전에 기재된 진표의 생애가 계율과 감통을 통하여 불교의 본질로 나아가는 도선 세계관과의 유사성을 확연하게 보이는 데서도 타당해 보인다. 그러므로 동아시아의 당대 계단의 사조와 더불어 율사 진표와 계단을 체계화시킨 도선과의 일반성으로 보아, 진표가 도선 계단의 취지를 공감하고 구 백제지역에 유전한 계단에 관한 자료를 섭렵하여 금산사에 계단을 창립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산사계단은 원론적으로 진표에 의한 계단의식과 彌勒授戒를 통해 인간의 정신이 자연스럽게 도솔천을 향하고 나아가 완전한 영원성(부처)에 이르게 되는 계위적 관계를 조화시키는 정신세계를 보인다.

      • KCI등재

        계류의 소형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경,이성재,정수아,정형래,김재근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3

        계류에서 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림천 상류에서 계단식 구간(100m 당 3.02개의 보)과 비계단식 구간(100m 당 0.96개의 보)을 나누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정성, 정량 조사하였다. 평균 유속은 계단식 구간(0.043m/s) 보다 비계단식 구간(0.149m/s)에서 더 빨랐다. 정수역을 선호하는 파리목(Diptera)는 비계단식 구간(32%)보다 계단식 구간(78.3%)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p<.05). 유수역을 선호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는 계단식 구간(4.5%)보 다 비계단식 구간(14.1%)에서 더 풍부하게 출현하였다(p=.203). 날도래목(Trichoptera)는 종에 따라 출현하는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주워먹는 무리(gathering-collector)비계단식 구간보다 계단식 구간에서 1.8배나 많이 출현하였다(p<.05). 반면 걸러 먹는 무리(filtering-collector)는 계단식 구간에서 약 4.4배 더 많이 출현하였다(p=.124). 균등도 지수(J')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 단식 구간에서 각각 0.41과 0.77로 나타났다. 수환경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는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4.0과 2.4이었다.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0.1과 0.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보를 계류에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조계종단 계단(戒壇)의 역사 및 성격

        이자랑(Lee Ja Rang) 한국불교연구원 2015 불교연구 Vol.42 No.-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은 단일계단(單一戒壇)에서 구족계를 수계하고 있다. 단일계단이란 이전 각 본사나 사찰별로 율사들의 자의로 시행하였던 수계산림을 단일화하여 종단 차원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종래의 수계법회를 율장에 근거하여 보완ㆍ수정한 것이다. 단일계단은 1981년 2월 17일 양산 통도사에서 자운(慈雲)율사를 초대 단일계단 전계사로 추대하여 열린 제1회 사미ㆍ사미니계 수계산림 법회를 시작으로 지난 해(2014) 3월 20-28일에 제34회 단일계단 구족계 수계산림이 직지사에서 열렸다. 단일계단의 정비와 더불어 율장에 따라 비구니 이부승수계 제도 및 식차마나계도 복원되었다. 이 제도는 아마도 고려시대 이후로 끊긴 것으로 보이는데, 1982년 10월 15-20일까지 범어사에서 자운율사를 전계사로 열린 구족계 제2회, 사미(니)계 제3회 수계산림 법회에서 비구니 이부승수계가 복원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조계종의 수계의식이 지금과 같이 정비된 것은 불과 35년 정도 전의 일이다. 암울한 조선시대를 거치며 한국에서 계맥은 거의 끊길 위험에 처하였다. 하지만 1826년 대은낭오가 서상수계를 하고, 1892년에 만하승림이 중국에서 계맥을 전수해 오는 등, 극한 상황에서도 계맥을 이어가고자 하는 수많은 고승들의 신념과 활약으로 일제강점기나 정화 등의 혼란을 겪으면서도 계맥을 이어왔다. 그러나 정작 계단은 정비되지 못한 채, 특정 율사 및 사찰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수계식이 이루어져 어디에서 누가 어떤 방법으로 비구가 되고 있는지, 종단은 새로운 구성원에 대한 파악이나 관리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운은 조계종 전체를 하나로 묶는 거대한 계단을 설립하였다. 이것이 단일계단이다. 그리고 자운은 단일계단의 정비와 실행을 철저하게 『사분율』에 근거하여 원칙을 지키며 실현해 갔다. 단일계단의 정비라는 대 사건이 없었다면, 조계종은 언제까지나 승적을 둘러싼 논란을 반복하였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불교사에 있어 크게 주목할 만한 사건 가운데 하나인 1981년의 '단일계단' 확립 및 '이부승수계제도' 복원을 중심으로 조계종 계단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다. 단, 단일계단 내지 이부승수계제도 실행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도들이 실행되기 이전의 한국불교의 수계 상황도 고려되어야 하므로, 근대기에 이루어진 조계종의 주요 계맥인 대은파와 만하파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통합종단의 계단법 등 종합적으로 조계종 계단의 역사를 고찰하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탄생한 단일계단이 어떤 내용과 의미를 지니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Daehan Pulgyo Jogye Order (大韓佛敎曹溪宗) is currently receiving the full precepts from a single ordination platform (單一戒壇). A single ordination platform refers to the precept reception that is unified to be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ord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se where it was voluntarily performed by preceptors in head temple or each branch temple. It supplements and modifies the original Buddhist ceremony according to Vinayapiṭaka.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began with the first Buddhist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novices that was held in Tongdo Temple in Yangsan on February 17th in 1982 where Preceptor Ja-un was selected as the first teacher to confer the precepts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Last year, the 34th single platform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full precepts was held in Jikji Temple during March 20th to 28th. In addition to organizing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Buddhist monk dual ordination system and sikkhamānās' precepts were also restored according to Vinayapiṭaka. The dual ordination, which is conjecture to be ceased after the Koryŏ Dyanasty, was restored at the second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full precepts where Preceptor Ja-un was selected as the first teacher to confer the precepts and the third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novices held in Pŏmŏ Temple during October 15th to 20th in 1982. There stored system lasted up to this day. As such, no longer than 3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recept reception ceremony of the Jogye Order was organized to take the current form.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in Korea faced risk of extinction passing the grim period under the Chosŏn Dynasty. Despite turbulent era such as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urification, the lineage continued thanks to the strong belief and action by a number of high priests in severe situations, such as Daeŭn-nango (大隱朗旿)'s to reception of Sŏsang precepts (瑞祥受戒) in 1826 and Manha-seunglim (萬下勝林)'s transmission of precept lineage from China in 1892. However, precept receiving ceremonies were still being performed independently by a certain preceptor or temple, as the platform was yet to be organized. As a result, the order had difficulties in grasping and managing new members, being unable to know who became a Buddhist monk in where.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is problem, Ja-un established an immense platform that can embrace the whole Jogye Order. This is the very single ordination platform. Ja-un conducted align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by strictly following the principles based on the Four Part Vinaya. If it were not for the big affair of single ordination platform alignment, the Jogye Order must have been trapped in endless dispute over the register of monk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ordination platform of the Jogye Order,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and restoration of 'the system of dual ordination' in 1981, which are two of the most notable events in modern Buddhism history. Meanwhile, in order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r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of dual ordination, precept reception situation in Korean Buddhism prior to such ev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Hence, the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Jogye Order platform, including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Daeŭn's branch and Manha's branch, which are the major lineages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of the Jogye Order in modern era, as well as the ordination platform rule of an integrated order. Through this, the paper contemplate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that emerged from such circumstances.

      • KCI등재

        계단걷기운동이 비만 여대학생의 신체구성과 등속성근기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Park Jeong Min),이상기(Lee Sang 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계단걷기 운동이 비만 여대학생(계단걷기 운동그룹/20명, 비 운동그룹 /20명)의 신체구성과 등속성 근기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룹별 신체구성의 변화와 등속성 근기능 및 보행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계단걷기 운동프로그램은 공동주택 계단설치기준에 제시되어있는 계단을 기준으로 계단 오르기 운동만을 12주간 주 4회 실시하였다. 계단걷기 운동 전, 후의 신체구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계단걷기 운동그룹에서 체중, BMI, 체지방률, 기초대사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계단걷기 운동 전, 후의 등속성 근기능 변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계단걷기 운동그룹에서 무릎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파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계단걷기 운동 전, 후의 보행능력에 관한 연구에서는 계단걷기 운동그룹에서 보행속도, 분속수, 한발지지율과 양발지지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아, 계단걷기 운동이 비만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변인과 등속성 근기능 및 보행능력변인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contributing to obesity college female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gait ability in obesity college female by stair-ascent activity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gait ability. Thirty voluntary subjects (15 exercise, 15 non-exercise) with an understanding towar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nd their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gait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stair-ascent activity exercise, were measured. As for the body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values in the exercise group after completing the stair-ascent activity exercise program. As for th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values in the exercise group after completing the stair-ascent activity exercise program. As for the gait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values in the exercise group after completing the stair-ascent activity exercise program.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tair-ascent activity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gait ability of obesity college female.

      • 금산사 방등계단의 가치와 위상

        최태선(Tae Sean Cho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6 불교와 사회 Vol.8 No.-

        戒란 승려가 지켜야 할 윰리적인 덕목이며, 계단이란 계를 주고 받는 공식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사분율』과 같은 초기 경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신성한 의례인 수계를 위한 공간은 그 유형에 따라 다시 야외에 구축되어 구조물로 항구성을 가지는 것과, 필요 시 실내에 조성하여 의례를 진행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야외계단의 형태로 남아있는 사례는 많지 않으며, 이들 구조물로서의 계단은 唐代에 道宣율사가 동북아시아 계단의 形制를 규범화하고 저술한 『關中創立戒壇圖經』(이하 戒壇圖經)은 계단의 형제를 기본으로 조성되고 있다. 국내의 야외계단 중 도선의 『계단도경』의 형제를 기본으로 조성된 사례는 통도사와 금산사의 사례가 대표적으로 남아 있다. 형제의 구조는 두 계단이 유사하지만, 내용적인 의미에서는 통도사는 『금강계단』으로 통칭되고, 금산사는 『방등계단』이라 칭해지고 있다. 이 글은 우선 그동안 제대로 보고된 바 없는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금산사 계단을 외형적으로 분석하고 도선의 『방등계단』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람에서 계단이 위치하는 공간성과 승려공간에서의 위계적인 부분을 밝혀내 보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 간 개별적으로 영역으로 다루어져 오던 구조적 연구와 사상적 접근을 결합해 보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계단이라는 구조물이 사상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그 명칭도 다르게 부여되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o practice precept is ethical virtue issue for Buddhist monks and Square Precept Platform is proper rite for conferment of precepts. In early sutras like Dharmagupta-vinaya(四分律), Space for performing ceremony of conferment is divided into exterior construction and interior platform fitting variable situation. Open-air precept platforms in Far Eastern Asia were not very popular. All these platforms follow standard form from the book ‘Illustarated Scripture concerning the erection of the Ordination Platform in the Guanzhong Region(關中創立戒壇圖經)’ by Daxuan(道宣), Tang dynasty. Domestic examples of exterior construction following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are Tongdosa Temple’s and geumsansa temple’s. Both construction structure are similar but in another contexts.. Tongdosa has ‘Diamond Precept Platform’ name while Geumsansa has simple ‘Square Precept Platform’. This study focuses on the external architectural approach to the constructural viewpoint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Also very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comparing with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has been figured it out .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e importance of the Ordination Platform location in the monastery. Also it has hierarchic spatial characteristic in the monastic life. Combined study between architectural approach and philosophical approach show this ordination platform has significant name change in different eras.

      • KCI우수등재

        계단 디자인에 나타난 현상학적 건축 특성

        정태용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4

        From simple theories to concrete elements of practi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in staircase designs. In architecture, stairs are symbolic, empirical architectural components on top of being functionally used as a vertical mobility device. Architects attempting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exhibit different architectural elements for each line with the assumption that each aspect reflects the differences in stair composition. Peter Zumthor and Steven Holl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architects with different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nd to compare their art museums' stair designs separately and collectively. Peter Zumthor tried to secure independent stairwell space through emphasizing direction and the presence of stairs mainly by using straight stairs. His stairs were separated from the walls, and the steps were treated strictly and simply with gray and black achromatic colors. Steven Holl's stair design is based on a part of continuous flow path. His stairs were connected to surrounding spaces such as the atrium, lobby, corridors, and ramps that were used to show movement. Peter Zumthor represents the ontological line of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evident in his stair design that integrates step independence and independent presence with a tectonic emphasis. Steven Holl is part of the line that highlights the experience of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his stair design emphasizes the spatial experience of multiple views with continuous movement. 본 연구는 특정한 건축 성향을 보여주는 건축가들의 작업이라면, 건축의 주요 부분인 계단 디자인에 있어서도 그 특성들이 반영되어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건축의 성향을 크게 하이데거의 사고에 영향을 받은 ‘존재 중심’의 건축과 메를로-퐁티의 ‘체험 중심’ 건축으로 대별하여 이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두 계열을 대표하는 건축가로 페터 춤토르와 스티븐 홀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밝혔다. 현상학적 건축특성이 나타나는 건축의 요소로 계단을 선정하고,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대상을 전시 시설 계단으로 한정하여 진행했다. 페터 춤토르는 계단 디자인에 있어서 존재 부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독립된 계단실 공간을 확보하려고 노력했고 일자형의 직선형 계단을 주로 사용하여 계단의 방향성 및 존재감을 강조했다. 계단과 벽면을 분리하여 계단을 독립시켰고, 회색과 흑색의 무채색 계열로 엄격하고 단순하게 처리했다. 반면 스티븐 홀은 기본적으로 연속적인 동선 구성을 기반으로 계단을 디자인한다. 계단은 아트리움, 로비와 같은 주변 공간과 연결되며, 복도, 경사로와 함께 움직임을 보여주는 요소로 사용된다. 곡선과 각을 달리하는 직선형 계단들이 주변 벽, 바닥과 동일한 재료와 색채를 사용하여 동선과 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한다. 그 결과 현상학적 건축의 존재론적 계열을 대표하는 페터 춤토르는 계단 디자인에 있어서, 계단의 독립적 존재, 강한 방향성 및 텍토닉 성격을 강조했으며, 스티븐 홀은 자신의 계단 디자인에 있어서 연속적인 동선에 따른, 다시점, 다전망의 공간 체험 강조를 통하여, 현상학적 건축의 체험을 강조하는 계열에 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계단(戒壇) 배치와 형제(形制)에 관한 연구

        이재인(Lee Jae-I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Japanese Kyedan(戒壇) layout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form and to estimate the possible existence of the Korean Kyedanyulwon(戒壇律院). There were four main findings: first, the Japanese Kyedan was in a Garam(伽藍) format around the Kyedandang(戒壇堂) with Kyedan; second, Japan’s three major Kyedanwons(戒壇院) need a more proper title, Kyedanyulwon, compared with Dosun(道宣)’s “Kyedandokyung(戒壇圖經)” and “ Kiwonsadokyung (祇洹寺圖經)”; third, while they seem to have followed the Chogunkyedan(初建戒壇) in the form of Kyedan, their layout is different from that of Kyedanyulwon in “ Kyedandokyung” and “ Kiwonsadokyung,” mostly being located west of the Buddhist temple; and finally, the Beopcheon-Temple site and Hoeam-Temple site, which are estimated to have had Kyedanyulwon, have a similar layout to the Kyedanwon of Dongdaesa(東大寺) with the Kyedandang in the center, the auditorium in the back, and the Buddhist nunnery in both si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