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국어 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 중국어 및 일본어 경어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유완영 이화어문학회 2013 이화어문논집 Vol.31 No.-

        경어는 예(禮)를 매우 중요시하는 한국 사회, 그리고 한국과 거리가 가까운 중국 및 일본 사회에서 모두 중요한 언어 형식이다. 한국어 경어 연구에 있어 한 언어에만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언어 체계를 가진 언어들과의 대조ㆍ비교를 통해 논의하는 것이 한국어 경어법의 특성을 적절히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어 경어법을 다루는 데 중ㆍ일의 경어법과의 비교를 통해 논의하였다. 경어법은 표준화법의 제정이 어려울 만큼 세대별, 성별, 지위별 등 다양한 사회언어학적 변인에 의해 서로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경어법에 대해서 사회언어학적인 접근은 반드시 행해져야 할 일이다. 본고는 한ㆍ중ㆍ일 3개 국어의 경어법에 관한 기존 개념 및 유형을 정리하여 비교분석하는 기반 아래, 주로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경어법을 검토하였다. 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인간관계는 ‘횡적관계’와 ‘종적관계’로 나눌 수 있다. ‘횡적관계’는 ‘친(親)’과 ‘소(疎)’, ‘내(內)’와 ‘외(外)’의 관계이며 ‘종적관계’는 ‘상(上)’과 ‘하(下)’의 관계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경어 표현 형식을 선택하는 데 횡적관계와 종적관계 모두 고려해야 하나 횡적관계를 보다 중요시하는 언어도 있는가 하면, 종적관계를 보다 중요시하는 언어도 있다. 따라서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경어를 분석하는 데 ‘절대경어’와 ‘상대경어’의 개념을 같이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절대경어의 사용 기준이 화제 인물을 손위로 생각하는지 손아래로 생각하는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대경어는 화제 인물과 화자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청자와 화제 인물, 화자와 청자, 또는 화자ㆍ청자ㆍ화제 인물의 삼자관계가 모두 연관되는 경어 형식이다. 본고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본어는 대화 참여자 간의 횡적관계를 보다 중요시하는 상대경어의 성격을 더 강하게 띤다. 중국어는 일본어와 같이 횡적관계를 중요시하지만 그와 동시에 종적관계, 즉 상하관계도 중요시하여 이 두 가지 관계간의 경계가 모호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는 횡적관계보다는 종적관계를 보다 월등히 중요시하는 절대경어의 성격을 띤다. 그렇다고 한국어가 상대경어의 성격을 띠지 않는 것은 아니며 단지 상대경어보다 절대경어의 특성을 더 강하게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The honorific expression is a very important language form in Korean and it is also exists in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s, as netiquette is regard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social lives of the two cultures. The Study on Honorific which focused on only one language is quite important. But by comparing Korean to other languages, we can grasp the property of Korean Honorific more properly. Thus, in this paper I compared Korean honorific with Chinese and Japanese. The honorific expressions are us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different age, gender, status, etc. among the speaker, the hearer, and the subject of conversation. So studies on honorific need to be proceeded from the sociolinguistic standpoint. In this paper I first compared the concepts and types of honorific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nd then mainly focus on the sociolinguistical aspect. Seeing from social aspect, the human relation can be divided into 'horizontal relationship' and 'vertical relationship'. The horizontal relationship depends on the degree of intimacy relation, and the vertical relationship depends on the relation of status. Generally, when people use the honorific expressions, 'horizontal relationship' and 'vertical relationship' should be considered both. But some languages lay more stress on horizontal relationship, and some others lay more stress on vertical relationship. Here, I instituted the concept of 'absolute honorific' and 'relative honorific' to analysis how the honorifics reflect th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aker, the hearer, and the subject of conversation. By the analysis of this paper, we know that Japanese lays more emphasis on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participants. Chinese also focuses on horizontal relationship, but sometimes concentrates on vertical relationship, and the boundary between two relationships is ambiguous. On the other hand, Korean pays more attention to the vertical relationship. It doesn't mean that Korean conversation participants do not pay attention to horizontal relationships, it just means that the character of vertical one is more emphasizing in Korean language.

      • KCI등재

        ≪文件自邇集≫의 경어와 겸양어 고찰

        신미섭(Shin, Misup)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본 논문은 19세기 중후기 주중 영국외교관으로 활동한 웨이드(1818~1895, Thomas Francis Wade)가 공문서 작성을 위해 편찬한 최초의 중국어 서면어 교재 ≪文件自邇集≫에 나타나는 경어와 겸양어를 고찰하고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경어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상대를 높이는 모든 표현을 말한다. 상대를 부르는 호칭, 상대와 관련된 행위, 친속, 사건, 물건, 직업, 나이 등을 존중하여 공손하게 표현하는 것들을 모두 포괄한다. 서신 문두에 안부를 묻는 표현이나 서신 마무리 부분의 상대의 안녕을 비는 축복어 등도 경어에 포함한다. 경어는 관형어성 경어, 호칭 경어, 부사어성 경어, 서신 경어, 경어 어휘 등으로 나누어 그 의미와 사용 양상을 고찰하고 있다. 겸양어는 화자 자신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겸손하게 나타내는 말을 포함한다. 중국의 전통 예절의 기본 관념에 따라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높여서 공손함을 나타내는 동시에, 상소문이나 탄원서 등에서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겸양어는 관형어성 겸양어, 겸양어 호칭 및 어휘, 부사어성 겸양어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文件自邇集≫에 나타나는 경어와 겸양어는 각 문서의 성격에 따라 나타나는 경어와 겸양어의 특징이 두드러지며, 비유 등 수사적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 개념이 경어와 겸양어에 반영되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pectful words and humble words in the first Chinese written language textbook ≪文件自邇集(Wen-Chin Tzu-Erh Chi: A Series of Paper Selected as Specimens of Documentary Chinese-Designed to Assist Student of the Language Written by the Officials of China)≫ compiled by Wade (1818~1895, Thomas Francis Wade), who served as a British diplomat in the 19th century, to write official documents.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respectful words covered all the expressions that respect the other people. It encompasses all of the respectful expressions of title, behavior, family, event, object, occupation, age, etc. related to the other person. Words to ask how you"ve been and words blessing to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other people at the end of the letter are also included in the concept of respectful words. This paper classified the respectful words into various categories, and considered those meaning and condition. The concept of humble words is a humble expression of everything related to the speaker oneselves. The purpose of using humble words in appeals and petitions is to show politeness by lowering oneselves and exalting others, while also implying the intention to achieve one"s purpose. This paper also classified the humble words into various categories, and considered those meaning and con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ocument, the features of respectful words and the humble words in ≪文件自邇集≫ are very diverse. It uses rhetoric such as metaphor, and the concept of space is reflected in the respectful and humble words.

      • KCI등재

        敬語接頭語を冠したままの辭典立項語 : 「お」「おん」「ぎょ」「ご」「み」

        李炳万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3 日本語敎育 Vol.24 No.-

        한국인 학습자에게 일본어를 강의할 때 敬語接頭語「お」「ご」가 붙은 말에 대하여 질문을 받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자주 사용되는 말 중에 「お砂糖」나 「おさしみ」를 사전에서 調査해 보아도 사전에는 나오지 않는다. 일본인에게 있어서는 接頭語「お」「ご」를 떼고 찾아보는 것은 당연하지만, 외국인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은 문제다. 더구 接頭語가 붙은 「お河童」「ご寮」등은 「お」「ご」가 붙어 있을 때의 意味와 「お」「ご」가 붙어 있지 않을 때의 意味가 다르다는 것이다. 게다가 「おでん」「ご飯」등 接頭語가 붙어 잇는 단어 중에 그 「お」「ご」등을 떼어버리면 아래에 붙어 있는 단어만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어도 존재한다. 본 論文은 이와 같은 敬語接頭語「お」「おん」「ぎょ」「ご」「み」에 대해서 考察한 것이다. 資料로는 『旺文社國語辭典』(第9版 重版 2000年)과 『學硏現代新國語辭典』(改訂新版 第4刷 2000年)을 使用했다. 그 결과 敬語接頭語는 뗄 수가 있고 또한 意味가 같은 것(A그룹)/敬語接頭語는 뗄 수 있지만 意味가 다른 것(b그룹)/敬語接頭語를 떼어내면 意味의 일부가 달라지는 것(C그룹)/敬語接頭語를 떼어낼 수 없는 것(D그룹)/『日本國語大辭典』에 의하면, 뗄 수 있지만, 『旺文社國語辭典』과 『學硏現代新國語辭典』에 의하면 뗄 수 없는 것(E그룹)/敬語接頭語를 붙였을 때, 뒤에 있는 단어의 일부가 생략되는 것(F그룹)의 여섯 種類로 分類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본 論文에 인용한 用例들을 접했을 때 단어의 머리에 붙어있는 「お」「おん」「ぎょ」「ご」「み」는 이미 敬語接頭語인지 아닌지 그 점을 분명히 하려고 했던 것이 본 論文의 目的이었다. 그 用例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調査한 결과 敬語接頭語로서 취급해도 좋은 것도 있었고 그렇지 않는 것도 있었다. 그 중에서 敬語接頭語로서 취급해도 좋다고 판단되는 것이 A그룹이었다. 그 A그룹에 이어서 B그룹/C그룹/D그룹의 敬語接頭語는 敬語接頭語가 아닌 원래 敬語接頭語로서 취급해도 좋은 것들이었다. 이상과 같이 언뜻 보아서는 敬語接頭語가 붙은 채로 登載되었다고 생각되는 用例들은 이와같이 A그룹/B그룹/C그룹/D그룹의 4가지로 分類할 수 있다. B그룹/C그룹/D그룹은 원래 敬語接頭語를 떼어놓았을 경우 意味가 달라지는 것(B그룹)과 원래 敬語接頭語를 떼어 놓았을 경우 意味의 일부가 달라지는 것(C그룹), 도저히 원래 敬語接頭語를 뗄 수 없는 것(D그룹)으로 단계별 선별작업을 한 결과 그 나름대로의 認識을 깊이 할 수가 있었다. 사전에 敬語接頭語가 붙은 채로 登載된 用例들을 接했을 때는 모든 敬語接頭語가 붙은 채 말이 登載되어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매우 당혹함을 느꼈다. 筆者에게 있어서 이와 같은 의문은 敎壇에 있어서 이 문제에 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장기간에 걸쳐 고민해온 것이다. 이것으로 상세하게 해결한 것은 아니지만, 대략의 傾向은 이상의 分類에 의해 자신을 갖고 설명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Une remarque psychomécanique sur la forme honorifique du français

        정효림 한국프랑스학회 201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6 No.-

        프랑스어 경어표현양식은 전통적으로 학습되어지고 있는 ‘존칭’의 « vous »와 같은 대명사 외에도 다양한 양태로 나타난다. 본고는 모든 언어적 현상이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이원적 차원의 작용 시간의 연속이라는 사고의 기본 틀 내에서 해석될 수 있다고 보는 정신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이러한 프랑스어의 경어표현이 가지는 특성과 경어체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다양한 양태로 나타날 수 있는 경어양식을 표상과 표현이라는 두 차원에서 언어현상을 심층분석하는 정신역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프랑스어 학습자가 경어표현양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경어체계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다. 프랑스어 경어양식은 담화차원에서 드러나는 표현양식을 선택한 화자의 의도를 랑그차원에서 파악해야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 우선 발화문의 대명사표현에서 화자(Moi)가 상대(Hors-Moi)에게 갖추는 예의나 친밀감 또는 경멸이 인칭과 수의 전용을 통하여 ― 일정하게 정해진 양식이나 직접적인 방식 보다는 ― 간접적이고 다양한 양식으로 잘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동사표현에서는 조건법현재와 반과거를 경어양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경어로 쓰인 조건법현재는 미래, 경어로 쓰인 반과거는 과거라는 표층시제만으로 그 체계를 분석하지 않고 심층에서 시제와 서법의 전용을 통하여 화자 또는 상대의 의향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실사 ― 인칭에 있어서 세 번째 서열에 해당하며 비대화인칭이다 ―와 같은 어휘적인 차원에서도 경어표현양식을 찾아볼 수 있다. 결국, 다른 인칭․공간․시간차원으로의 이러한 전이는 ‘나․여기․지금’이라는 언어상황을 벗어나 프랑스어 화자가 취하는 경어표현방식이라 말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 경어체계는 이러한 정신역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잘 설명될 수 있다.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경어법 교육 연구

        김동국,노정애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9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6 No.-

        韓國語的敬語흔豊富幷且흔復雜, 所以如果不自然的運用敬語就會讓聽者感到說話者흔沒有水平而且感覺沒有禮貌, 因此可以看出韓國語的敬語在人與人之間的溝通中占有不可忽視的重要地位。 但學習韓國語的外國人恰恰在學習韓國語過程中最難把握好敬語的運用。 韓國語中多樣的敬語的表現在其他的外國語中是흔少見的一種語法因素, 況且有時就連以韓國語爲母語的土生土長的韓國當地人也對如此多的敬語難以捉摸。 對于母語是沒有敬語或敬語不明顯而且兒乎沒有語尾的話者來說掌握敬語的運用흔難。 外國人要想學好韓國語應該首先理解韓國語和自己母語的共同点和不同点是흔重要的。 本論文是硏究有關外國人韓國語學習者對敬語法的理解和敎育所必要的事項和問題的解決方案, 外國人學習者즘樣更容易學習敬語法, 通過進一步的學習能使學習韓國語者更圓滑的溝通。

      • KCI등재

        경어연구와 커뮤니케이션

        한미경(韓美卿)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4

        본 연구는 현대 일본어 경어연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추이에 대해 전망하며 한편으로 일본어 커뮤니케이션연구에 있어서의 경어연구의 위치정립과 커뮤니케이션의 인접연구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일본어의 경어의식도 변하여 왔으며 그에 따른 경어사용도 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경어의식의 변천과 경어사용법의 변화를 살피며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서의 현대일본어의 경어사용양상과 현상을 밝힌다. 일본어의 경어는 큰 흐름으로는 절대경어에서 상대경어로 변하여 왔다. 그러나 현대어의 경어는 상하개념에 의한 경어체계는 약화되고 청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청자배려를 중시하게 됨으로써 화자의 청자에 대한 배려라는 표현의도의 표출로서의 경어사용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종래의 상하 친소 등에 의한 대우표현이라는 개념과는 다른 커뮤니케이션의 한 요소로서 경어는 그 인접연구들과의 접점을 보이게 되었다. 또한 앞으로의 경어연구는 종래의 한국어 일본어 등이 갖고 있는 시스템으로서의 경어체계를 유지하고 경어법을 중시하면서도 커뮤니케이션의 한 요소로서 배려를 기준으로 하는 폴라이트네스 연구, 경어사용의 집단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언어학, 실제 언어와 비언어를 통한 언어행동 연구 등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와의 활발한 융합연구를 통하여 학문 간의 상호이해와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한국어교재에서 경어법 제시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 - 중국어판 교재를 중심으로 -

        박성일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판으로 되어 있는 4개의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경어법의 제시 방식 을 분석하여 이들의 차이점을 밝히고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주로 경어법 성립의 다섯 가지 요소인 인물관계, 담화의 장, 태도, 내용, 형식을 기준으로 교재의 본문, 문법 설명, 연습문제 구성에 대해 비교분석을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경어법 실현 형태, 인물관계와 담화의 장 설정, 경어법 도입 순서, 경어법 관련 용어와 문법 설명, 연습문제 구성에 대해 고찰하고 기술했다. 네 교재에서 차이를 보인 부분은 주로 경어법 관련 용어와 문법 설명 방식 및 화계 구분, 그리 고 연습문제 구성 부분이었으며 이에 대해 연구자의 견해를 밝혔다. 첫째는 도입 시기에 있어 서 경어법 실현 형식 간의 호응관계에 유의할 필요성, 둘째는 경어법 관련 용어 통일과 화계 구분의 통일 필요성, 셋째는 경어법 성립의 다섯 가지 요소에 기초한 문법 설명 방식의 필요 성, 넷째는 연습문제 구성에 있어서 학습목표의 형태 문항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연습문제 고 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어법 성립의 다섯 가지 요소에 기초하여 중국어판 한국어교재 분 석에서 본문뿐만 아니라 문법 설명, 연습문제 구성에 대해 비교하고 분석을 진행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t presentation methods of honorifics used in four different Korean teaching materials written in Chinese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suggestion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ontents of the teaching materials, explanations of the grammar, composition of the exercises on the basis of five main factors of the honorifics which are relationship, scene of discourse, attitude, content, and form. It also studied and described in detail on the differences in presentation methods of honorifics, setting of relationships and scenes, orders of presenting honorifics, related terminologies of honorifics and explanation of grammar, and composition of exercises. The main differences in the four teaching materials are related terminologies of honorifics, explanation methods of grammar and differences in speech level, and composition of exercise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in the presentation period, there is a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sequences of presentation methods of honorif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related terminologies of honorifics and different speech levels. Third, there is a necessity of using different explanation methods basing on the five factors of honorifics. Fourth, it is also needed to compose various exercises focusing on objectives of the study. On the basis of five main factors of honorifics, the study generally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teaching materials written in Chinese not only on the contents but also on the explanations of the grammar, compositions of the exercises and gave various suggestions.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경어표현의 실태와 문제점

        홍민표 ( Min Pyo Ho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09 일본어교육연구 Vol.16 No.-

        본고는 전국의 일본어전공 대학생 283명(남자 48명, 여자235명)과 한국의 대학과 고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는 일본인교사 30명(한국의 평균 거주기간8.2년, 평균연령 37.3세), 그리고 일본인 대학생 65명을 대상으로 경어사용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그룹별로 대조, 분석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경어사용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조사기간: 2009.3-4). (1)이번에 4가지 유형의 경어문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 「-어 드릴까요?」에 해당하는 일본어 겸양표현의 문제가 오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어 드릴까요?」에 해당하는 일본어 겸양표현을 「~てさしあげましょうか」로 표현하는 학습자가 많으나, 이런 형식의 일본어는 도와주면서 생색낸다는 인상을 주게 됨으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제3자 경어의 경우, 절대 경어와 상대 경어라는 양언어의 경어운용 시스템의 차이로 인한 오용 례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에 대한 일본어 경어교육에서는 양언어 경어운용의 차이점을 특히 강조해야한다는 점을 새삼 확인하였다. (3)일본어의 「お∼する」형식은 상대편과의 관련이 있는 행위에 한해서 사용하는 겸양표현인데, 이것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발생하는 오용이 일부 있었다. (4)한국인 학습자의 경우, 「言う」와 「話す」의 존경어는 공히「おっしゃる」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韓國の日本語專攻の大學生283人(男子48人, 女子235人)と韓國の高校や大學で日本語を敎える日本人敎師30人(韓國の平均滯在期間8.2年, 平均年齡37.3歲)、それから日本人大學生65人、合計378人を對象に敬語調査を行った結果、韓國語「~어 드릴까요?」にあたる日本語の謙讓表現に關する誤用率が最も高いことがわかった。また、日韓兩言語の絶對敬語と相對敬語の敬語運用システムの違いから生じる誤用が依然として大きいことも改めて確認された。一方、敬語は文法的な知識よりは實際の場面で使える社會言語學的な運用能力が要求されるため、今後の敬語授業では多樣な場面や人間關係を設定してロ―ルプレイ練習をさせたり、ビデオテ―プやDVDなどの多樣な視聽覺敎材を用いて實際の敬語使用場面をたくさん見せる必要があることも改めて感じた。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어법 교육에 대한 일고찰

        최홍열(Hong-Yeal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 교재에서 경어법의 사회적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교재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올바른 교육을 위한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의 교재는 법무부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기획한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5단계의 기초, 초급1, 초급2, 중급1, 중급2, 한국사회의 이해로 하였다. 먼저 이론적인 접근으로 한국어 경어법을 살펴보고, 이를 구체적으로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재에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 특수 어휘 경어법에 문법 항목들은 어떻게 기술되어 있으며 호칭과 상대경어법은 어떻게 공기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에 제시된 대화문과 듣기의 내용에 대한 정보 제시의 문제점과 오류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 교재의 경어법과 대화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 방안은 첫째 주체경어법은 초급1에서는 주체경어법 선어말어미 ‘-시-’에 대한 설명과 조사 ‘-께서’와의 공기관계를 동시에 교육해야 하며, 초급2에서는 ‘-시-’와 같이 사용되는 시제선어말어미 ‘-았-’이나 ‘-겠-’의 위치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상대경어법은 초급1에서 상대경어법에 대한 설명과 일상 대화에서 많이 쓰이는 ‘해요체’에 대한 문법 항목을 제시하고, 초급2에서 ‘하십시오체’, ‘해라체’의 순서로 기술되어야 한다. 중급에서 ‘하게체’와 ‘하오체’에 대한 문법 항목에 대한 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 모든 교재의 대화문에서는 상대경어법의 6화계에 해당하는 대화문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특수어휘 경어법의 어휘들은 문장의 쓰임에 따라 호응관계가 다양하기 때문에 문장을 많이 제시하여 설명해야 한다. 넷째 대화문과 듣기 내용은 교재가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가정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관계를 제시하여 상대경어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 The Ministry of Justice offers a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help them gain permanent residenc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olinguistic factors of honorifics are dealt with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program. Based on the analytic review of the textbook, we also aim to suggest textbook revisions with the goal of appropriate sociolinguistic education. The material we reviewed is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designed by the Korea Immigration Service, that consists of five levels: Basic, Elementary 1, Elementary 2, Intermediate 1, Intermediate 2, and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First, we reviewed Korean honorifics theoretically, and analyzed how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described the grammatical honorific items: the subject honorifics, object honorifics, relative honorifics, and lexical honorifics, as well as the co-occurrence of the address and its relative honorifics. We also examined problematic issues and errors regarding the contents of conversations and listening in dealing with honorific informa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suggest revision of the honorifics and conversation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Firstly, the subject honorific inflectional suffix ‘-si’ and the co-occurrence of the marker ‘-ggeseo’ should be explained and taught in Level 1, while the tense suffixal expressions such as ‘-ass’ or ‘-gess’ should be introduced with its use alongside ‘-si’ and their appropriate place in a sentence. Secondly, relative honorifics should be introduced in Level 1 with Haeyo style that are used often in daily conversational situations, then in an order of Hasipsio style and Haera style in Level 2. In the intermediate level, the introduction for the Hage style and Hao style is necessary. Every conversation in the textbook should present the six variants of the relative honorifics. Since the association of lexical honorifics varies depending on their usage in sentences, a number of example sentences should be presented. Fourthly, we suggest to provide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in the context of conversation and listening, sinc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the subjects of this class. This will help them to acquire Korean honorific systems naturally.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敬語観に関する一考察

        藤原 智栄美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4

        한국인 학습자에게는 어휘, 문법 등의 일본어 체계가 모국어인 한국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일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지만,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대우 표현(待遇表現)과 경어(敬語)는 한국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일본어 학습자에게 습득이 어려운 부 분이다. 한국어도 일본어와 같이 경어가 발달된 언어이지만 양 언어 간에는 경어체계와 그 사용법에 차이 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상 오해도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일본인과의 커뮤니케이 션에서 대우(待遇) 레벨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한국인 학습자의 경어관(敬語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 한 일본어 학습자의 경어 의식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는 많지만 경어 의식에 초점을 맞춘 질적 연구는 적 다.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여 변화하는 「의식」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만으로는 그 양상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개인별 태도구조 분석법(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이하, PAC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인 학습자의 경어관과 경어 사용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피험자의 덴드로그램(dendrogram)에 나타난 자유연상항목(自由連想項 目)은 모두 66항목이다. 그 중에「긍정적 이미지 항목」이 42항목,「부정적 이미지 항목」이 10항목,「어느 쪽도 아닌 항목」이 14항목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서 한국인 학습자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경어관을 가지 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험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경어관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예의」, 「거리감」의 2항목이고, 이 이미지는 피험자 전원에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어를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정중함을 나타내는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화자간의 친소(親疏)관계와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고 조절하 는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거리감」에 대해서는 경어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과 기분 좋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고 장점으로 보는 것으로 보아서 부정적 평가만 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은 자유연상항목(自由連想項目)에서 「경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 난 점이다. 발표나 비즈니스 등 공적인 장면에서 프로페셔널하게 일을 잘하는 것, 세련된 하이클라스의 사 람들 등의 공통된 이미지를 들 수 있으며, 지성・교양과 경어 사용자상이 명확한 연관 관계가 있다고 인 식하는 경어관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경어 사용은 언어적 센스와 언어를 사용하는 기법으로 보고 있 고, 언어 장면에서의 적절한 언어 사용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 언어 능력으로 보고 있는 양상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피험자가 경어 사용을 화자의 능력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교양・지성과 관련 지어서 보는 것은 「교양・지성을 가진 경어 사용자」는 한국의 가정에서 제대로 경어 교육을 받은 사람 이라고 생각하고, 그러한 가정교육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특징은 피험자가 경어 사용을 일본과 한국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평가하고 「동아시아」의 특 징이라고 보고 있으며, 넓은 시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PAC 분석을 이용해 서 조사한 藤原(인쇄중)의 연구에서 대만인이 일본어의 경어를 일본 문화에 한정된 특징으로 보고 있는 결 과와는 크게 다르다. 이 두 가지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한일 양언어간의 경어 체계의 유사성이 제2 언어인 일본어의 경어관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특징은 본 연구에서도 선행 연구(藤原2011, 藤原인쇄중)와 같이 경어의「어려움」과 「복잡성」 이라는 항목이 출현했지만 이것은 경어 체계 그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존경어 ․겸양어의 올바른 사 용법에 대한 어려움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어의 겸양 표현은 한국어에 비해서 다양하기(賈惠 京, 2001)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경어를 가장 어렵게 느끼게 되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한국인 학습자의 경어관의 특징은 모국어의 경어에 대한 이미지가 자유연상항 목(自由連想項目)으로 나타났으며 경어 자체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대만인 학습자가 부정적 이미지가 많으며 경어에 대해서「간단했으면 좋겠다」「없는 게 좋다」고 지적하는(藤原, 인쇄중) 것과는 상 반적으로, 한국인 학습자는「없어져서는 안 된다」「반드시 몸에 익히는 편이 좋다」는 항목이 나타났으며, 경어 사용을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문화적 산물로 보는 경향이 있다. 향후에는 서로 다른 속 성의 피험자(예:일본 체재 경험이 없는 한국인)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피험자수를 늘려서 정량조사를 실시하여 본연구의 결과와 고찰을 한층 더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With approximately 960,000 South Koreans studying Japanese as of 2009, they comprise 26.4% of the total number of all learners of Japanese as a second language, more than any other nationality (The Japan Foundation, 2009).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he similarities in the structure of Japanese— vocabulary and grammar, etc.—with their native Korean are factors that further their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it is not uncommon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mmunication involving speech levels, particularly honorific language, to be difficult.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has also developed a system of honorific language, it has many disparities with the structure and usage of Japanese honorific language. In addition, differences in normative consciousnesses regarding honorific language are considered to possibly be a frequent trigger for miscommunica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influence that their view of honorific language has upon Korean learners of Japanese with regard to their selection of speech levels when communicating with Japanese people. While much research in which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consciousness pertaining to Japanese honorific language has already been don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with aqual it ative examination focusing on Japanese language learners’ consciousness of honorific language. Through quantit ative research alone, it is difficult to gain a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spects of “consciousness,” which change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contributing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will utilize the Analysis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below, PAC analysis), which inrecent years has come to be used as a psychological approach to analyz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o examin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consciousness pertaining to the view and usage of honorific languag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09 to January 2011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our intermediate to advanced Korean speakers of Japanese, each of whom had studied in Japan. The survey followed the PAC analysis format with “What is your image of honorific language and its usage?” as the stimulus ter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ll be given below. Sixty-six free association items were found in dendrograms of respondents’ answers. Overall, they showed a positive view of honorific language with 42 items for a “positive image,” 10 for a “negative image,” and 14 for “neither.” The first common characteristic among respondents was the appearance of the two items: “manners,” and “feeling of distance.” From the appearance of these two items in all of the respondents’ answ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for verbal communication, honorific language is an important means of showing politeness and that respondents are aware that it has a function of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degree of intimacy and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speakers. In terms of the “feeling of distance,” there was also mention of the advantageousness of honorific language for keeping a comfortable level of distance, thus, respondents did not necessarily evaluate “feeling of distance” to be a negative thing. The second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free association items was a strongly positive image of users of honorific language. In presentations or in business, there was a shared impression among respondents of honorific language users being professional, disciplined workers who get the job done, belong to a higher class, and have refinement. The view of honorific language that emerged among respondents is clearly connected to an impression of its users as being intelligent and sophisticat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respondents view honorific language use as a sense and skill for language and that correct usage of honorific language in communication situations connotes sociolinguistic competence—the ability to use language. In this way, honorific language users a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ability. The tendency to tie honorific language usage to ability of speakers, sophistication, and intelligence could stem from the consciousness of Korean respondents, which is of “sophisticated, intelligent honorific language users” as having received a solid at-home education on honorific language in South Korea, and their positive image of that education in the home. The third characteristic was that respondents identified honorific language as a characteristic shared by Japan and South Korea, evincing their broad perspective that views honorific language in an overall sense as an East Asian characteristic. This differs greatly from Taiwanese speakers of Japanese, who tend to view honorific language as a characteristic limited to Japanese culture as shown by the research by Fujiwara using PAC analysis to clarify their view of honorific language (under review). The disparity between these two sets of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onorific language influence the way Koreans view the honorific language of Japanese. As for the fourth characteristic, just as in previous research (Fujiwara, 2011, under review), responses showed an image of honorific language as “difficult” and “complicated.” However, rather than the difficulty of honorific language itself, this refers to the difficulty of knowing when to correctly use respectful and/or humble honorific words. As Japanese humble honorific expressions display greater variation than those of Korean (Hekyon Ka, 2001), this can possibly be considered the most difficult part of Japanese honorific language for Korean learners. As seen abov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 in which Korean learners of Japanese view honorific language, there was a tendency to have a positive image of honorific language itself, as seen in responses to the free association items for observing the image of honorific language in native-language situations. As for Taiwanese learners of Japanese, many negative-image responses appeared, such as those indicating that honorific language “should be simplified” and “should be done away with” (under review). Whereas in data on Korean learners, items were observed stating that honorific language is “something that shouldn’t be lost” and is “a must-have skill,” reflecting a tendency to view honorific language usage as a vital part of cultural heritage necessary for running social lifestyles. Along with influencing this positive consciousness, it is possible that similarities between the structure of honorific language in their native language of Korean and their second language of Japanese also leads to a consciousness of honorific language, which is informed by a general image that lumps the honorific language of the two languages together. In addition, it can also be surmised that honorific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families as well as daily lifestyles, which are deeply-rooted in Korean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ve consciousness toward such things, also exerts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regarding honorific language. In the future, the results and observations of this paper should be pursued in greater depth through studies conducted with respondents from different groups (for example, Koreans who have not stayed in Japan) including larger groups of respondents and incorporation of qualitativ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