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구조 연구

        김은정 ( Kim Eun-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초임특수교사 때 경험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초임특수교사 때 형성한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IEP) is a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support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to IEP flame which means to make the IEP between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and how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novice experiences to make the IEP flame to expert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with 13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IEP flame; and (b) the expert teachers’ structure to IEP flam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knowledge during the novice special teacher experi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y the expert special teachers’ IEP flame structur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

      • KCI등재

        경력 계획과 경력 만족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조절효과

        이형우(Lee, Hyung Woo),주현미(Hyun Mi Joo),박한규(Han Kyu Park)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4 기업과 혁신연구 Vol.7 No.2

        이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경력 계획과 경력 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고, 경력 계획과 경력 만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력 계획, 경력 만족,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국내 공영 방송 A사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 계획, 경력 만족, 자기주도학습 능력 모두 상호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가설 검증 결과, 경력 계획은 경력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경력 계획과 경력 만족간의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계획, 경력 만족,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조직 구성원의 경력개발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satisfaction of employees.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ree instruments such as Career Planning Scale(Orpen, 1994) and Career Satisfaction Scale(Greenhaus, Parasurman, & Wormley, 1990),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Bae & Lee, 2010).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at a public broadcaster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inter-correlations between career planning, career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career planning had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eer planning and career satisfac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employees" career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김동윤,진성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1

        Uncertainty of career environment driven by globalization and shift of employment context drives heavy competition of labor market and anxiety of employment for individuals. New career paradigm based on this environmental change puts emphasi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from individual’s viewpoint as important career outcome and individual’s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efforts. In addition to this, importance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person-job fit is growing i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success.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person-environment fit and person-job fi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Data analysis of questionnaire from 220 employees showed that both fits mediate the relationship. This result implies that individual’s proactive career planning is critical to career success and this strengthens one’s satisfaction to organization and job. To organization,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to design career development of employees’ based on their career needs and organizational intervention such as job-rotation system. 글로벌화와 고용시장 변화에 따른 경력 환경의 불확실성은 노동시장을 경쟁적으로 변화시키며 근로자의 고용불안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기되는 개인 주도의 새로운 경력 패러다임은 경력 주체가 주관적으로느끼는 내재적 관점의 경력성공을 중요한 경력 성과임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개인의 경력 계획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그리고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개인의 경력계획뿐만 아니라 경력계획을 통해 개인이 인지하는 조직 및 직무적합성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개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개인-조직적합성 및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장인 220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경력계획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적인 고용사회에서 경력만족 및 고용가능성과 같은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개인의 주도적인 경력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경력계획을 통해 현재의 조직과 직무에 좀 더 만족하며 주관적경력성공을 충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직차원에서도 조직구성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개인차원의 역할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조직 및 직무적합성을 더욱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개인의 경력계획을 반영한 경력개발프로그램과 직무순환제도가 개발될 수 있도록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력계획의 영향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이기은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2

        오늘날 기업의 구조조정은 상시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하나의 조직에서 개인의 경력이 모두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이제 비현실적인 것이 되었다. 이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활동인경력계획은 더욱 중요해졌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관련된 주제가운데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경력계획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경력계획에 따른 결과요인들간의 관계를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원 182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개인특성가운데, 통제위치가 내재적일수록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경력계획 활동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성장욕구와의 관계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사회적 지원변수 중에는 상사지원은 경력계획과 긍정적인 관련성을 보여주었으나 동료관계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계획 활동을 많이 할수록 경력결과의 모든 변수(경력만족, 경력몰입, 기술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antecedents and outcomes of career planning with a sample of 182 researchers in private sector. Results revealed that,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planning but growth need was not and that while supervisor’s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planning, coworker’s support was not. Career plann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career satisfaction, career commitment, and skill development efforts. Fin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력계획을 매개변인으로

        이동하,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계획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추가적으로 상사의 경력지원행동과 조직의 교육훈련기회 제공의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현 직장에서 상사와 6개월 이상 근무한 직장인 30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는 경력계획 및 경력성공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경력계획 역시 경력성공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계획이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다.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상사의 경력지원행동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높을 때 보다는 낮을 때에 상사의 경력지원행동이 경력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력계획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의 교육훈련기회 제공정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사정보시스템 특성이 경력계획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업과 마케팅 직군의 노동자를 중심으로 -

        서여주(Yeojoo Suh)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21 신산업경영저널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인사정보시스템의 특성을 통해 경력계획과 경력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인사정보시스템이 도입되고 사용 중인 영업/마케팅 직군에서 일하는 경력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정보시스템에 대한 특성으로 제시된 접근성, 정확성, 적합성에 따른 개인의 경력계획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우선, 인사정보시스템의 접근성은 경력계획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교육수준에서 2·3년제 대학졸업자보다는 대학원 졸업 이상에서 경력계획 수립에 적극적이며, 20대 보다는 30대와 40대 에서 경력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에서는 사원급 보다는 대리급에서 경력계획에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경력계획을 적극적으로 수립할수록 경력몰입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적 변수와 경력계획이 경력몰입에 대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교육수준에서 2·3년제 대학졸업자 보다는 4년제 대학졸업자는 경력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A기업 보다는 B기업과 C기업에서 경력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정보시스템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고 인사정보시스템 특성이 노동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또한 최근 인사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 중인 영업과 마케팅 직군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nel information system affect career planning and career commitment. In this study, a direct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ose with experience working in sales/marketing positions in which the personnel information system was introduced and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impact on individual career planning according to accessibility, accuracy, and suitability presented as characteristics of the HR information system, first, accessibility of the HR information syste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lanning. Also, in terms of educ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those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were more active in setting up career plan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two/three-year colleges, and those in their 30s and 40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lanning rather than those in their 20s. In terms of pos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assistant level was more active in career planning than the employee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ly a career plan was established, the more career commitment. Also,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career planning on career commitment, it was analyzed that 4-year college graduate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rather than 2/3-year college graduates at the educational level. And more positive effects on career commitment were found in companies B and C than in company A.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t role of the human resource information system and empirically verif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nel information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er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tudy targeting workers in the sales/marketing sector who have recently introduced and are using the HR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이수분,이정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70 career interrupted wome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done according to the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outcome expectation, and the career planning scores from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utcome expect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current results imply that the level of outcome expectation is important for the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i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관계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

        현영섭 ( Young Sup H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조직원이 인식하는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관계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사회적 지원이 어느 정도의 조절 효과를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력정체와 경력계획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변인으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사회적 지원을 설정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국내 4개 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744개의 설문응답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통계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계수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한 조절효과분석, 관계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에서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긍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원이 높은 집단에서도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긍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경력정체가 경력계획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는데 있어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사회적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시하였다. Recently, many organizations implemented some strategies concerned with downsizing, outsourcing, and innovation for their survival. In that situations, many employees experienced career plateau and both organizations and employees have perceived career plateau negatively. But there are positive aspects of it such as career plateau can mak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planning.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order to find some conditions of the positive aspects of career platea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effects of SDL(Self-Directedness for Learning) and social suppor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lateau and career plann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44 members of 4 Korean companies. To address the purpos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SDL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career planning. (2) Social supports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inall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력계획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경력성공의 매개효과

        문재승 한국성인교육학회 201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6 No.2

        In spite of increased research interest on career develop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most of them are concentrated to find antecedents of career success. And prior research argue that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uccess of employees are critical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empirical research is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plann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adaptive behavior based on 463 survey data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career plann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adaptive behavior. Empirical data showe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aptive behavior. Finally, We also found that there is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between career planning and adaptive behavior.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support employees' career develop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search results will be helpful for individuals who pursue their career and human resources departments who pursue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최근 종업원과 조직 모두 평생학습 또는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경력개발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관심이 높아 관련 연구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선행요인을 밝히는 데 집중되고 있다. 종업원의 경력개발과 주관적 경력성공이 조직의 성과에도 기여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실증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종업원 463명을 대상으로 경력계획과 이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력계획은 종업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관적 경력성공은 적응행동에 직접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경력계획과 적응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경력계획과 주관적 경력성공이 적응행동을 높여 조직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차원에서 종업원의 경력개발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 등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신의 고용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경력개발을 평생학습의 일환으로 삼는 종업원과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조직성과향상을 추구하는 조직 모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KCI등재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미래시간전망과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오은혜,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또한 경력계획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조절효과와 긍정심리자본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입사 3개월 이상의 직장인 316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불성실 응답과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하고 291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경력계획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력계획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래시간전망은 경력계획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설과 다르게 미래시간전망이 낮은 집단에서 경력계획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