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방언과 방언사전

        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6

        This paper has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surveying Gyeongnam dialects with the discussion of their traits and demarcation, and arranging some points in Gyeongnam Dialect Dictionary recently published. In chapter 2, the author reviewed the characters by phonological aspects(consonant and vowel systems, prosodic system, some other phonological phenomena), grammatical aspects(case markers, postpositions, final endings, conjunctive endings), lexical aspects(lexical items distinguished by tones, blended words, unique words with specialized meaning). In chapter 3, the author dealt with the demarcation of Gyeongnam dialects. He introduced the works of Myeongok Choi(1994, 1998) which had the definite methodology related to it, and this work of mine which followed the same theoretical basis of Choi(1994, 1998). So if the above two discussions are integrated, Gyeongnam dialect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lace, Eastern Gyenognam Dialect and Western Gyenognam Dialect; the latter in turn into three parts, North-Western Gyenognam Dialect, South-Western Gyenognam Dialect, and West-Western Gyenognam Dialect. In chapter 4, the author dealt with the editing and compiling of Gyeongnam Dialect Dictionary. He briefly introduced Corporate of Allied Association for Kyungnam Dialect as the main compiling body of this dictionary, and taking the general view of the method collecting entries, the real process of compilation, the peculiar characters of this dictionary, and its improving points. 이 글은 경남방언의 성격과 구획 문제를 통해 경남방언을 개관하고, 최근 발간된 『경남방언 사전』에 대한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하기 위해 집필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경남방언의 성격을 음운적 측면(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체계, 일부 음운 현상), 문법적 측면(격 표시의 조사와 후치사, 의미 표시의 후치사, 종결어미, 연결어미), 어휘적 측면(성조로써 구별되는 어휘, 혼태어, 특수 의미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3장은 경남방언 구획에 관한 것이다. 분명한 방법론을 갖고 접근한 최명옥(1994/1998)과 그 정신을 따른 필자의 논의 결과를 소개했다. 그리고 두 논의를 통합해 보면, 경남방언은 크게 경남동부방언과 경남서부방언으로 나뉘고, 경남서부방언은 다시 북부ㆍ남부ㆍ서부 방언으로 나뉠 수 있을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제4장은 『경남방언 사전』 편찬과 관련된 것이다. 이 사전을 펴낸 주체인 사단법인 경남방언연구보존회를 잠시 소개하고, 올림말 수집의 방법, 사전 편찬의 과정, 이 사전의 특징 및 개선점을 간단하게 개관하였다.

      • KCI등재

        경남방언의 성조

        김고은 한국방언학회 2018 방언학 Vol.0 No.28

        이 글은 이제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에 기대어 경남방언의 성조를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경남방언의 성조를 성조소, 성조형과 그 실현, 그리고 최근 청년층에서 관찰되는 성조형의 변화 등의 영역에서 살펴본다. 첫째, 경남방언의 성조소 체계는 ‘저조(L)’와 ‘고조(H)’를 가지는 2-성조소 체계이다. 둘째, 경남방언의 성조형은 중세국어에서 각각 평성, 거성, 상성으로 시작되는 것에 대응하는 ‘말(馬)형’, ‘말(斗)형’, ‘말(語)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대별되는데, 세 유형의 성조형의 실현은 경남방언의 하위 방언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경남방언 청년층에서는 말(語)형과 저조로 시작하는 말(馬)형의 합류가 관찰되는데, 그 결과 경남방언의 성조형이 과거보다 단순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ntroduce the tone of the Gyeongnam dial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o far. For the purpose, the tone of the Gyeongnam dialect is examined in areas such as tonemes, tonal patterns and their realization, and then recent changes of tonal patterns observed in younger speakers of the given regions. First, the Gyeongnam dialect has a two-toneme system with ‘Low Tone(L)’ and ‘High Tone(H)’. Second, the Gyeongnam dialect has three tonal patterns, ‘Mal(馬) Pattern’, ‘Mal(斗) Pattern’, and ‘Mal(語) Pattern’, which originated from the tone of Middle Korean. Third, the merge of Mal(語) pattern and Mal(語) pattern which begins with a low tone is being observed in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Gyeongnam dialect, which leads to less tonal patterns than in the past.

      • KCI등재

        경남 방언의 음운론 연구사

        공태수,김영선,윤주희,흐닝마웅위이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6 No.-

        국어의 하위 방언 중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연구된 것 중의 하나 가 경남 방언이다. 이러한 이유로 경남 방언 연구는 다른 방언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양적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른 시기부터, 그리고 양적으로 적지 않은 결과물을 남겼다는 점에서 경남 방언의 사적 검토는 국어 방언 연구와 관련된 공통적인 문제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해주 고 있다. 이 논문은 경남 방언을 음운론적 관점에서 다룬 연구물을 사적 인 관점에서 간략하게 살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1960년 이후 발표된 300여 편의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연구가 주제 별로 음운론 분야에 치우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가운데서도 기저 음 소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음운 현상을 살피는 데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적으로는 부산이나 진주, 창원 등과 같은 대도시와 산청, 남 해 등의 하위 방언 연구가 비교적 많이 다루어졌는데, 이는 연구자의 출 생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의령, 합천, 하동, 김해 등의 하위 방언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시급함도 동시에 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경남 방언의 연구에 대한 대체적인 사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서 앞으로의 하위 방언 연구에서 요구되는 필요 한 사안에 대해서도 주목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경남방언 구획 문제를 다시 생각한다

        김정대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This paper has three purposes as following:First, this is a critical reflection on J. D. Kim(2000) in which the author tried to demarcate Gyeongnam Dialect area. Second, the author is interested in the result from which new data are added to the existing methodology suggested in M. O. Choi(1994/1998). Third, the author wants to suggest what should be needed for the desirable demarcation of Gyeongnam dialect in the future. Among those three points the second is the most important one. More concrete discussions are as following:First, at the time when J. D. Kim(2000) was submitted, it lacked the optimal methodology and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related data, although the author ambitiously tried to approach the subject. Second, the author has an idea of the right demarcation of Gyeongnam dialect on a tentative mode: Gyeongnam dialect is primarily divided into east and west on a large scale, whose boundary is roughly related to the main stream of a river Nakdonggang. This fundamentally coincides with that suggested in M. O. Choi(1994/1998), and yet it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two authors differently divide Changwon regional dialect. The present author thinks of Changwon regional dialect as a transitional one with a strong trend towards eastern Gyeongnam. The western Gyeongnam dialect i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whose boundary is related Nangnamjeongmaek(洛南正脈, a series of mountains running towards southern orientation). This is different from that suggested in Choi(1994/1998) which divided mid-western Gyeongnam dialect into east and west again. Third, what we must solve is to develop a more rigid methodology at first, and to collect data with an emphasis on the collection in mind. 이 글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필자는 김정대(2000)를 통해서 경남방언 구획을 시도한 바 있었지만, 그것에 대한 미비한 점을 반성한다. 둘째, 최명옥(1994/1998)적인 방법론을 수용하되 새로운 자료를 보탤 때, 그 결과가 어떻게 되는가를 검토해 본다. 셋째, 앞으로 보다 더 바람직한 경남방언 구획을 위해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목적은 앞의 둘째이다. 첫째, 김정대(2000)에 대한 반성이다. 당시 필자는 의욕적으로 경남방언 구획 문제에 접근하려 했지만, 연구 방법론뿐만 아니라 자료 활용 차원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둘째, 필자가 생각하는 경남방언의 구획은 다음과 같다. 경남방언은 일차적으로 동서로 크게 나누어지니, 그 경계는 대체로 말해 낙동강 본류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최명옥(1994/1998)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이지만, 창원지역어를 나누는 태도가 서로 다르다는 차이점이 있다. 필자는 창원지역어를 전이 지대(transition zone) 언어로 보지만, 경남동부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경남서부방언은 다시 남북으로 나누어지니, 그 경계는 낙남정맥(洛南正脈)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경남중서부방언을 다시 동서로 나눈 최명옥(1994/1998)의 그것과 다른 것이다. 셋째,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먼저 좀 더 엄격한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는 일이고, 다음으로 자료 수집의 중요성을 새삼 인식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다.

      • KCI등재후보

        東部慶南方言 漢字音 硏究

        신기상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4

        국어 한자음의 음운체계와 고유어의 음운체계는 일치하지 않는데, 한자음 음운체계는 고유어의 음운체계에 포함된다. 이점은 표준어에서도 그러하고, 동부경남방언에서도 그러하다. 동부경남방언의 음운체계는 표준어의 음운체계보다 단조로운데, 이 방언 한자음의 음운체계도 표준어의 것에 비하여 단조롭다. 그런 까닭으로 동부경남방언 한자음 수가 표준어 한자음 수에 비해 적다. 방언은 방언 나름의 음운변화의 특징적 경향이 강하여 그것이 쌓여 방언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방언 한자어의 음도 그에 준한다. 또, 한자어 개개의 변화는 대체로 한자음 음운체계와 유관하지만 한자어 중에는 그 한자어 독자적인 방향으로 형태변화를 겪기도 한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현상에 주목하여 이 방언의 한자음 음운체계를 초성, 중성, 종성, 고저장단별로 기술하고 이 방언의 한자음이 표준어의 어떠한 한자음과 변별되고 되지 않으며, 또 이 방언 한자음끼리 어떤 음이 변별되고 되지 않는지를 기술함으로써 이 방언 한자음의 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동부경남방언 한자어 중에서 개별적 방향으로 음이 변한 것들을 찾아내어 같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변한 한자어를 묶어 변화의 경향을 기술하여 결과적으로 동부경남방언 한자음 전체를 개관하였다. This paper has three topics for Korea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n Eastern Kyungsangnam province dialect. First, it describes the phonological structure of the Korea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f this dialect. The structure has thirteen initial sounds, six simple vowels and nine diphthongs in the middle sounds, and six final sounds. The dialect has four suprasegmental phonemes : high-long, high-short, low-long, and low-short. Second, it shows the distinguishment of the Korea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dialect. This dialect has less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than the standard language does, so some of the sounds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dialect; about 90 out of 460 standard Korean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are not distinguished. Third, it describes the change of the sounds of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dialect. Generally, within this dialect, a Korean sound of a Chinese character has changed into another one. However, we can also find that some of the sounds have been turned into several different ones in som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경상남도지』의 「방언」에 담긴 경남방언 연구

        김고은 우리말학회 2024 우리말연구 Vol.78 No.-

        이 글은 1963년 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에 의해 발간된 경상남도지 中에 실린 「방언」(1963:966-1029)을 면밀히 살피고, 위 업적이 경남방언 연구사라는 전체 맥락에서 갖는 방언학사적 의의를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언」은 일찍이 방언을 하나의 독립된 언어 분화체로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경남방언 전반에 대해 공시적인 기술을 꾀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종래의 역사언어학에 기반한 원자론적 연구 태도를 극복한, 획기적인 업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방언」은 경남방언의 음소 목록과 의문법, 경어법 등 문법형태소의 분포 등의 방언 특징을 통해 해당 방언을 하위 구획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현재까지도 이 방언의 구획과 분화를 논함에 있어 「방언」의 연구 결과가 회자된다는 점에서 「방언」이 경남방언 연구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분명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losely examine the ‘Bangeon’ (1963:966-1029) included in the Kyungsangnamdoji published by the Kyungsangnam-do Compilation Committee in 1963 an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in the context of the overall history of South Kyungsang dialect research. The ‘Bangeon’ proactively recognized dialects as "independent language variations" and attempted a synchronic description of the overall South Kyungsang dialect. This endeavor can be considered a groundbreaking achievement, as it overcame the atomistic research approach based on traditional historical linguistics. Meanwhile, the ‘Bangeon’ goes as far as to subdivide the South Kyungsang dialect by examining dialectal features such as the phoneme inventory and the distribu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in the South Kyungsang dialect. The fact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Bangeon’ are still validly referenced in discussions on this dialect to this day clearly demonstrates the noteworthiness of this work in the history of South Kyungsang dialect research.

      • KCI등재

        경남 방언의 ‘X고 하다’ 구문의 모문 동사 ‘쿠다’의 형성 동기와 과정

        김한별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 and process of the South Kyengsang (SK) dialect form khwu-ta ‘쿠다,’ a matrix sentence verb used in four types of X-kwo ha-ta ‘X-고 하다’ constructions: direct quotation (DIR), indirect quotation (IND), designation (DES) and volitive (VOL).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verb was formed in consequence of dialect contact, and a statistical methodology was employed to prove the hypothesis. As main data for this study, I have chosen the transcribed corpus of oral utterance collected at 26 places in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SW) dialect from 2005 to 2013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n I described the occurrence pattern of various kinds of matrix sentence V(P)s including khwu-ta and the grammatical morpheme {-kwo ‘-고’} preceding the V(P)s and explained why and how khwu-ta had been created. The major findings from th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are as follows: (1) while in SW dialect kule-ta ‘그러다’-kind forms are widely used as a matrix sentence V(P) of IND and DES constructions, in SK dialect kha-ta ‘카다’ and khe-ta ‘커다’ take the position instead of them, and this situation had caused that a SW dialect form Ø#kwu-ta ‘구다’ (< Ø#kwule-ta ‘구러다’, Ø#ku-ta ‘그다’) and two SK dialect forms Ø#kha-ta and Ø#khe-ta had been blended together and created Ø#khwu-ta; (2) the blending process is based on the premise of le ‘러’-deletion and vowel rounding after velars; (3) the kule-ta-kind forms frequently used in DIR constructions in SK dialect had affected the blended form’s spreading throughout the western part of SK; and (4) in some region in SK, khe-ta coalesced from -kwo#he-ta ‘–고#허다’ could directly change into khwu-ta by vowel rounding. 본고는 경남 방언의 ‘X고 하다’ 구문(직접 인용, 간접 인용, 지칭, 의도ㆍ목적 구문)에 쓰이는 모문 동사 ‘쿠다’의 형성 동기와 과정을 밝히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 중 남부 방언의 26개 지역어의 구술 발화 전사 자료를 대상으로 계량적인 방법론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쿠다’를 비롯한, ‘X고 하다’ 구문의 모문 동사(구)와 그에 선행하는 문법 형태소 ‘{-고}’의 실현 양상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그 기술 내용을 바탕으로 ‘쿠다’의 형성 동기와 과정을 먼저 경남-서남 방언 간의 접촉의 측면에서 논의해 보았다. 서남 방언에서는 간접 인용과 지칭 구문의 모문 동사(구)로 ‘그러다’類가 빈번하게 쓰이는 데 반해 경남 방언에서는 ‘카다, 커다’가 쓰이고 있었기에, 서남 방언형 ‘Ø#구다(<Ø#구러다, Ø#그다)’와 경남 방언형 ‘Ø#카다, Ø#커다(<-고#다)’가 혼효되어 ‘쿠다’가 형성될 수 있었다. 이 혼효 과정에는 ‘러’ 탈락과 연구개음 뒤에서의 원순 모음화가 전제되어 있다. 그리고 경남 방언의 직접 인용 구문에서 활발하게 쓰이는 ‘그’ 지시어類의 존재는 그러한 ‘쿠다’의 형성과 확산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부 지역어에서는 ‘-고#허다’에서 축약된 ‘*커다’가 원순 모음화를 겪어 ‘쿠다’로 직접 변화할 수도 있었다.

      • KCI등재

        동부 경남 방언권역의 부산 방언 분화 연구—어휘를 중심으로—

        이근열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usan dialect by comparing the 153 dialect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Map” for Busan, Gimhae, Yangsan, and Ulsan, all of which belong to the eastern Gyeongnam dialect. The Busan dialect was extracted and added to the dialect form for the Busan dialect in Dictionarys. The analysis produced four main results. The first result was that the dialects of Dongnae and Busan were integrated, as reflected in the fact that their agreement rate gradually increased from 74.5% to 81.25%, despite the fact that Okura Shinpei (1944), Han-Geul (1938–1946), Kim Hyung-gyu (1974), and Choi Hak-geun (1977) distinguished between them. The second result was that 145 words from the Busan dialect were missing from the Korean language map. Of the 153 dialects analyzed in this study, the 8 words from the Busan dialect that were not identified were “bat”, “joisak”, “inambak”, “oreunson”, “doridori”, “gonjigonji”, “antta” and “hago”. The third result was that the degrees of discrepancy and concordance between the Gimhae and Busan dialects were 75% and 25%, respectively, those of the Yangsan and Busan dialects were 76.4% and 23.6%, respectively, and those between the Ulju and Busan dialects were 77.6% and 22.4%, respectively. The fourth result was that the Busan dialect had a discrepancy rate of over 75% with the Kimhae, Yangsan, and Ulju dialects. 이 연구는 동부 경남 방언권에 속해 있는 방언을 대상으로 한국 언어지도 에 제시된 153개의 방언형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 방언의 독자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비교 대상 방언형은 오구라신페이(小倉進平)의 <조선어방언의 연구>, 조선어학회의 <한글>, 김형규의 <한국 방언 연구>, 최학근의 <한국 방언사전>을 기본으로 추출하였으며, 박지홍(1991), 김필순(1999), 안태봉(2003), 양희주(2008), 안길남(2005) 등의 자료를 대상으로 방언형을 추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구라신페이, <한글>, 김형규, 최학근에서 동래와 부산의 방언형을 구별하여 조사되었지만 일치율이 시기적으로 74.5%에서 점차 81.25%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동래와 부산의 방언권이 통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산 방언을 조사한 문헌 자료를 통해 <한국 언어지도>의 부산 방언형으로 145개를 복구할 수 있었다. 셋째, 김해, 양산, 울주의 방언형을 부산 방언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김해와 부산의 불일치도는 75%, 일치도 25%, 양산과 부산의 불일치도는 76.4%, 일치도는 23.6%, 울주와 부산의 불일치도는 77.6%, 일치도 22.4%로 나타났다. 넷째, 부산 방언형은 김해, 양산, 울주와 불일치율이 75% 이상으로 부산 방언의 독자성을 인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남성 호칭 접미사 `-샌`의 지리적 분포 및 사용 양상 -섬진강 유역 방언을 중심으로-

        강희숙 ( Kang Hui-suk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7

        이 연구는 한국어 방언의 지리적 분포와 관련하여 경남방언과 전남방언이 교차하여 두 방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이른바 전이 지역에 속하는 섬진강 유역의 방언들이 보여주는 여러 가지 특징들 가운데 남성 호칭 접미사 `-샌`의 지리적 분포와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샌`은 서남방언, 특히 전남의 동부 지역어에서 남성에 대한 호칭으로 비교적 활발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70대 이상의 노년층 세대에서 그 잔영이 남아 있는 호칭 형태이다. 문제는 `-샌`이 전남방언에서만 고립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본 연구의 조사 지점인 섬진강 유역의 전이 지역에서도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적 사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샌`형 호칭이 전남의 동부 지역어에서 발생하여 방언접촉에 의해 하동이나 함양과 같은 경남의 일부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샌`형 호칭이 섬진강 유역 전이 지역 방언의 특성으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전통적 성격의 호칭들이 거의 사라지고 새로운 호칭으로 대체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섬진강 유역에서 `-샌`형 호칭이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언어 사용의 모습 또한 한국어 방언들에서 나타나는 전이 지역의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 매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In relation to Korean dialect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he usage of the suffix form `-sen` to address males, one of the many characteristics of dialects around the Seomjingang river area, a transitional area where two dialects―Jeonnam and Gyeongnam―cros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sen` has been frequently used as a suffix to address males in southwestern dialects, especially in eastern regional dialects in the Jeonnam area, and this is still the case among elderly people in their 70s and older. A question arises from the fact that `-sen` appears not only in the Jeonnam dialect but also commonly in the Seomjingang river area, which is the point of inquiry in this study. It appears that the suffix `-sen` occurred beginning in eastern regional dialects in the Jeonnam area and spread to some Gyeongnam regions such as Hadong and Hamyang as the result of dialect contact. It is confirmed that `-sen` settl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al dialect of the transitional Seomjinggang river basin a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whereas other traditional address forms are disappearing and being substituted with new ones, the suffix `-sen` is still commonly being used in the Seomjingang river area, and this pattern of language usage should be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Korean dialects in transitional areas.

      • 경남의 언어

        박용식 ( Yong Sik Park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경남의 언어’는 ‘경남 사람들이 써 왔고 현재 경남 지역에서 쓰고 있는 언어’이다. 경남 지역어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 성과가 있었고 이에 대한 정리가 있었지만 역사적 고찰이나 문화재로서의 고찰은 아직 없다. 이에 이 글은 경남 지역어의 특징과 위상을 되짚어 본 뒤 2000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 목록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어 역사 자료를 고찰하면서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역어의 가치와 조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경남 지역에는 무수한 섬과 지리산, 가야산 주변의 오지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들의 언어와 특수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언어는 보전하고 발굴할 가치가 있다. 이러한 연구야말로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문화콘텐츠 발굴의 토대가 될 것이다. The language of GyeongNam is the language of GyeongNam region. That is to say it is the language that is spoken by the people of GyeongNam. The language of GyeongNam(LGN) is very unique dialect in Korea. Standard Korean has 10 single vowel on the other hand LGN has 6 single vowel. And there are a few region that [s`] is not a phoneme. And very unique and distinctive feature of the LGN is that the grammar and lexicon of LGN is similar to old Korean. Young person of GyeongNam usually speak standard Korean. So, LGN is disappearing rapidly. The dialectologist of GyeongNam must survey diverse LGN. The language of inhabitant of an GyeongNam island and Jiri Mountain, Gaya Mountain will be good resource of dialectology. And the language of a unique profession will be good cultur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