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음악 교과의 경기민요 교육과 개선방안

        김혜정(Kim, Hey J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1 No.31

        본 논문은 첫째,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경기민요의 장르적 성격은 교육적 목적에 부합하는가?, 둘째,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부타령조’는 적절한가?, 셋째, 경기민요의 시김새가 어떤 것이며, 어디까지 교육해야 하는가?의 세 가지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경기민요는 대부분 통속민요에 집중되어 있다. 경기통속민요와 경기향토민요는 분명히 구분되는 악곡구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통속민요에 집중된 악곡 선곡은 경기지역의 민요를 대변할 수 없다. 앞으로 향토민요의 선곡이 더 많아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창부타령조는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하나의 선법으로 내세우기 어렵다. 창부타령조는 통속민요와 무가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선법이며, 향토민요에는 그 수가 적다. 또한 창부타령조로 경기민요를 대표하게 되었을 때, 베틀가조나 서도민요와 섞이는 현상 등 경기민요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경기민요의 선법을 창부타령조라는 미시적 잣대로 규정짓지 말고 좀 더 큰 개념인 경기 민요조와 같은 방식으로 열어두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경기민요의 시김새는 장식음과 같은 시김새와 음을 세분하여 화려하게 만드는 시김새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남도나 서도민요와 같이 떠는 시김새나 흘러내리는 시김새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떨고, 흘러내리고, 밀어 올리고, 구르고의 네 가지 시김새에 장식음적 시김새를 추가하여야 할 것이며, 조와 시김새를 연계하여 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1) if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Kyunggi folk song in music textbook live up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2) if the 'Changbu Taryungjo' in the 2007 improved curriculum is appropriate 3) what sigimsae in Kyunggi folk song is and to what extent should we educate students. After looking the problems,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solu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Kyunggi folk song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mainly deal with popular folk song. Kyunggi popular folk songs and Kyunggi local folk songs display distinguished music compositions. Therefore, the selection of songs which focuss on popular folk songs mainly cannot represent the folk songs in Kyunggi area. There is a need for a wider acceptance of local folk songs. Secondly, 'Changbu Taryungjo' from the curriculum cannot be put up as the representative mood of Kyunggi folk song. 'Changbu Taryungjo' is used more often in popular folk songs and shamanistic songs; there are not many of them in local folk songs; and ‘Changbu Taryungjo' in the textbook shows difference in the melody progression with the 'Changbu Taryungjo' of popular folk songs. If Changbu Taryungjo' does represent Kyunggi folk songs, it cannot explain why Bettlega and Sudo folk song mixes with each other, an excellent example of diverse forms in Kyunggi folk songs. Therefore, the mood of Kyunggi folk song should not be characterized by an microscopic standard such as 'Changbu Taryungjo'. Rather, it would be wise to open up the possibility fur a wider concept such as Kyungsudo Minyojo. Thirdly, sigimasae of Kyunggi folk song uses the most decorative sigimasae as well as sigimasae which subdivide the sound to produce fancy sounds. Vibrating sigimasae like that of Namdo and Sudo folk songs and running-down sigimasae ate rarely used. Therefore, the explanation of sigimasae in the curriculum should be modified which divides sigimsae into four: vibrating, running-down, pushing-up, and rolling ones, so that in Kyunggi folk song, Kyunggi folk song-like sigimsae can be taught.

      • 건설경기 종합지수의 개발 및 건설경기 진단

        김민철 ( Min-chul Kim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2 건설경제산업연구 Vol.3 No.1

        우리나라는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조기에 극복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부분의 거시경기 지표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주택과 건설 경기는 여전히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 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경기는 거시경기와 괴리되면서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주택 및 건설 경기의 회복과 이를 통한 거시경기 진작을 위해서는 건설경기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 를 근거로 건설경기를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설경기를 대표하는 동행지표와 선행지표의 움직임을 살펴봄으로써 최근의 건설경기 움직 임을 점검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건설경기 동행 지표 그룹에 속하는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이 2012년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등 지표간에 일치된 움직임을 찾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설경기 지표들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건설경기 종합지수를 개발하였다. 통계적 방법과 단순종합 방 식 중에서 통계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순종합 방식을 이용하여 건설경기 종합지수를 개발하였다. 건설경기 동행지수는 건설기성, 건축착공면적, 건설용 중간재 출하지수, 그리고 건설업 취업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건 설경기 선행지수는 건설수주, 건축허가면적, 토지거래랑, 건설업 주가지수로 구성된다. 개발 결과 건설경기 종합지수는 건설경기를 대표하는 지표인 건설투자의 움직임을 잘 설명할 뿐만 아니라 선행지수와 동행지수 간의 선후행 구조가 안정적으로 나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건설경기 종합지수를 이용하여 건설경기 국면을 진단하였다2007년 이후 두 번의 정점이 있었으며 2012년 2월 근방에서 또한 번의 정점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건설경기의 특 징은 둔화/하강 국면이 긴 반면 회복/상승 국면은 매우 짧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Korean economy successfully overcam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Construction sector and housing industry still stay on the long and deep recession phase. Construction indicators shows inconsistent signal about the construction business cycle. Government want to know the construction business cycle for appropriate response. Composite index for construction can be the useful tool to diagnose the construction business cycle. This study develop the construction composite indices(CCI); coincidence index and leading index. We constructed a leading index of construction business cycle by compositing land transaction, KOSPI of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permits, and contracts. And we made a coincident index of construction business cycle by compositing payment for construction, starts of construction, shipment of mid-material for construction, and employ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composite indices well describe the construction investment cycle, and shows stationary lead-lag structure between coincidence index and leading index. So CCI can be used to diagnose the construction business cycle. Construction business cycle has long recession phase and short boom phase.

      • KCI등재

        경기변동에 따른 선도기업의 차별적 원가전략

        장현규,우혜진,홍영은 한국공인회계사회 202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2 No.2

        The decline in sales due to the recession is a long-term crisis for following companies, but is considered as a short-time crisis that results in long-term growth for leading companies. This is because economic downturns are accompanied by the restructuring of following companies, which results in the strengthening of the monopoly of leading companies. Therefore, there is an incentive for leading companies to continuously invest in human resources, technological elements, and organization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and leading position after the economic recovery. Despite the decline in sales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leading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use more aggressive cost strategies in order to continue to enjoy the structural benefits of being a leading compan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ost behaviors of leading firms differs significantly during each phase of the business cycle. The official economic recession periods announc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ost stickiness of the leading companies was higher during recessions than during the booms. Further analysis on only the following companies show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st stickiness between economic recessions and economic booms. This study analyzes how management strategies of companies, particularly the cost strategy of leading companies, respond to the changing phases of the business cycle. This research will help investors make decisions. 경기침체로 인한 매출의 하락은 추종기업에서는 장기적인 위기로 작용하지만 선도기업은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단기적인 위기로 작용하게 된다. 왜냐하면 경기침체는 추종기업의 구조조정을 동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선도기업에게는 독점화가 더욱 공고히 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도기업은 불황기에도 회복기 이후의 경쟁력과 선도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인적자원, 기술요소 및 조직에 투자할 유인이 존재한다. 결국 경기불황으로 인한 매출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선도기업은 선도기업으로써의 구조적 특혜를 지속적으로 누리기 위해 오히려 더욱 공격적인 원가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선도기업의 원가행태가 경기변동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통계청에서 발표되는 경기순환주기의 정점이 속한 연도를 경기호황기간으로, 경기순환주기의 저점이 속한 연도를 경기불황 기간으로 하여 경기호황과 경기불황 시 선도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 변화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선도기업은 경기가 불황일 때의 원가하방경직성이 경기가 호황일 때의 원가하방경직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종기업만을 대상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추종기업에서는 경기불황과 경기호황 간 원가하방경직성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경기변동에 대처하는 기업들의 경영전략을 선도기업의 원가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로서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주요한 자료원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해외자본 유출입의 경기순응성과 파급경로

        송치영(Chi-Young Song),김근영(Geun-Young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자본유출입의 경기순응성을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경기순응성이 발생하는 거시경제적 경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GDP 대비 해외자본 순유입비율은 경기확장기에 상승하고 경기수축기에 하락하였다. 특히, 경기확장기의 단기 순해 외차입이 경기수축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은행의 단기 순해외차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직접투자나 주식투자 등에서는 이러한 추이를 발견할 수 없다. 둘째, 분기별 자본수지 자료를 이용한 충격반응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순해외차입, 특히 은행 단기 순해외차입의 경기순응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순해외차입은 대출경로 또는 자산가격경로를 통해 경기순응성이 발현되었다. 셋째, 분기별 대외채무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국내 은행의 단기 대외채무의 변화가 경기순응적 특징을 나타냈으며, 이 또한 대출경로 또는 자산가격경로의 파급경로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외은 지점의 단기 대외채무의 변화에서는 경기순응적 특징을 발견할 수 없었다. 단기 대외채무의 변화가 주로 순해외차입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간주하면, 이러한 결과는 순해외차입의 경기순응적 특징이 주로 국내은행의 단기 차입에 기인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rocyclicality of net foreign capital inflows to Korea, and also empirically examine the procyclical macroeconomic channels through which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foreign capital flows transmit into the Korean economy. Our mai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ratio of net foreign capital inflows to GDP in 1990's and 2000's i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Korean economy expands than when it contracts. This feature is more obvious in foreign borrowings than FDI or foreign stock investment. Second, our analysis of the capital account in the balance of payment shows that net foreign borrowings, in particular, banks' net short-term foreign borrowings are procyclical. It is also found that the procyclical interaction of the foreign borrowings with the Korean economy is related to loan and asset price channels. Third, our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changes in the external short-term debt of the Korean domestic banks are procyclical while that of branches of overseas banks is not. Loan and asset price channels are also effective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changes in external debt mainly reflect the changes in overseas borrowing, the pro cyclical feature of the foreign borrowings in Korea is mainly attributed to the Korean domestic banks's short-term external borrowing.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정책효과 분석(II) : 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유영성,윤성진,정원호,김재신,마주영,김교성,백승호,서정희,조문영,한치록,김미리,이지은 경기연구원 2020 정책연구 Vol.- No.-

        이 연구는 2019년에 수행한 연구,《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정책효과 분석-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2019》의 후속 연구(2020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사업이 실시된 4월 1일을 기점으로 사전과 사후(청년기본소득을 4회차 수령하여 사용한 경우)를 설정하고, 청년기본소득을 수급받기 전과 수령하여 사용한 후에 청년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으로 구성된다. 양적분석의 경우, t-검정과 이중차분법 분석(DID)을 적용하였다. 질적분석의 경우, 개별 인터뷰와 FGI 대상을 세세한 분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룹핑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양적 조사의 경우, 경기도 청년들(실험집단)과 비경기도 청년들(비교집단)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설문지의 문항 내용은 시점 차이에 따른 조정 부분을 제외하고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가 동일하도록 하여 패널 자료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 중 청년기본소득을 제공받기 전·후 조사 모두에 응답한 11,335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고, 경기도 외에 거주하는 청년 중 80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의 범주로는 크게 행복, 건강과 식생활, 인식과 태도, 경제활동, 꿈-자본 등을 설정하였다. 양적조사의 T-검정 결과는 아래와 같이 여러 측면에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청년들의 전반적인 복지 수준이 향상; 둘째, i) 경기도 청년들은 다른 지역의 청년들에 비해 주당 노동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소 증가; ii) 지출항목의 변화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소득은 증가하였지만,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받는 실험집단의 경우 용돈에 대한 의존도가 줄었고, 교제 및 여가활동비에 대한 지출이 증가; 셋째, 경기도 실험집단과 경기도 외 지역 비교집단 모두가 본인의 경제 상황이 평균적으로 ‘불안정적’이라고 느꼈지만, 사후조사에서는 경기도 청년집단의 경우가 자신의 경제활동이 나아졌다고 인식; 넷째, 인식과 태도에서도 경기도 청년집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남. 기본소득 수급 이후에 법과 제도에 대한 신뢰, 정치인과 언론에 대한 신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다섯째, 경기도 청년들의 꿈-자본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양적조사의 이중차분법 분석(DID) 결과도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청년들의 행복을 제고; 둘째, 정신건강, 운동빈도, 좋은 식생활과 정(+)의 상관관계; 셋째, 인식과 태도 측면에서 신뢰와 젠더인식, 평등사회 인식을 증대; 넷째, 꿈-자본과 관련하여 상상력, 희망, 낙관성, 회복탄력성 등 모든 부분에서 유의; 다섯째, 경제활동의 경우 경제활동참여자들의 노동시간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정(+)의 상관관계를 확보; 여섯째, 시간의 부족 및 여유에 대해서는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식사시간, 가사활동시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자기계발/학습/운동시간, 교제 및 여가활동시간, 사회적활동 및 봉사시간 등 자기발전이나 사회적 활동에 대한 다양한 영역에서 시간 부족이 감소하고 여유가 증가; 일곱째, 지출액의 경우 자기계발비/교육비에 사용된 지출액이 유의하게 증가. 질적 조사는 경기도 청년에 대해서만 실시하였으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총 4회 모두 다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조사는 개별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FGI)로 구성되며,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개별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모두 42명이었다. 질적조사를 통해 크게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신청과 수급,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인식과 소비, 청년의 삶, 기본소득에 대한 이해, 미래의 기본소득과 삶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적조사를 통해 청년기본소득 수급자들이 아래와 같은 내용의 의사를 피력하였다. 첫째, 청년기본소득 정책에서의 ‘청년’과 ‘기본’의 의미가 무엇인지 여러 가지 심도있게 문제 제기; 둘째, 충분하지 않았음에도 청년기본소득이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서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충분성이 결여된 급여가 ‘기본’소득의 간극을 어떻게 인식하게 하는지 보여줌; 셋째, 한시적인 급여가 계획 있는 소비를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가 있음을 제시. 그럼에도 지역화폐 방식의 급여의 의미, 연구 참여자들이 지역화폐 방식의 급여를 통해 자신의 소비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치환하고 지역을 재발견하게 되는 의미 등을 보여줌; 넷째, 사전적 의미에서의 푸른 세대라는 의미인 청년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보여줌; 다섯째, 한국 사회를 심한 경쟁 사회이자 불평등 사회로 강하게 느낌; 여섯째, 기본소득에 대해 무조건성과 보편성, 충분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기본소득이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와 도전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 동시에 기본소득에 대해 우려하기도 함; 일곱째, 충분한 수준에서의 기본소득이 삶의 변화를 추동할 가능성이 있음을 내비치기도 함. 결론적으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수급자들의 지난 1년간의 경험에 비춰볼 때 양적조사나 질적조사 모두에 걸쳐 다양한 측면에서 청년 수급자들에게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2020 study) of a study conducted in 2019,《Analysis on the Policy Effects of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 Comparison of Ante and Post Surveys, 2019》. This study sets before and after (when receiving and using youth basic income four times) starting on April 1, when the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Project was conducted, and before and after receiving and using youth basic income. We considered what changes were made to the people. This study is largely composed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quantitative analysis, t-test and double difference analysis (DID) were applied. In the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individual interviews and FGI subjects were grou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tailed classification. First, in the case of a quantitativ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young people in Gyeonggi Province (experimental group) and young people in non-Gyeonggi Province (comparative group).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in the questionnaire was made to be the same as the pre- and post-review except for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ime point, so that the panel data could be constructed. Among the young adults living in Gyeonggi-do, 11,335 people who responded to both the pre- and post-youth basic income surveys were organiz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800 of the young people living outside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Happiness, health and diet, perception and attitude, economic activity, dream-capital, etc. were largely set as the categories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urvey"s T-test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in several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well-being of young people improves; Second, i) young people in Gyeonggi Provin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working hours per week compared to young people in other regions; ii) In the change of expenditure items, income increas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bu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basic income for youth in Gyeonggi-do, dependence on pocket money decreased, and expenditure on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Third, both the experimental group in Gyeonggi-do and the comparative group outside of Gyeonggi-do felt that their economic situation was “unstable” on average, but the follow-up survey recognized that their economic activities improved in the case of the Gyeonggi youth group; Fourth,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 youth group in Gyeonggi Provinc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rust in laws and institutions, trust in politicians and the media after receiving basic income; Fifth, the dream-capital level of youth in Gyeonggi Province is generally hig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in-difference(DID) analysi of the quantitative survey also show that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in most of the items. First, enhancing the happiness of young peopl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exercise frequency, good diet and positive (+); Third, increase trust, gender awareness, and equal social awareness in terms of awareness and attitude; Fourth, in relation to dream-capital, be aware in all areas such as imagination,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Fifth, in the case of economic activity, the working hours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nts secured a positive (+) correlatio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Sixth, for lack of time and spare time, excluding sleep time, meal time, housework time, time spent with family, self-development/learning/exercise time, fellowship and leisure time, social activity and volunteer time, etc. Reduced time shortages and increased margins in various areas of social activity; Seventh, in the case of expenditure,

      • KCI등재

        한국형 경기용 휠체어 개발을 위한 지체장애선수의 인체측정 및 경기용 휠체어 부위별 측정

        정진완 ( Jin Owan Jung ),조창옥 ( Chang Ok Cho ),한희창 ( Hee Chang Han ),오광진 ( Kwang Jin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2009년 1월 현재 경기용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는 지체장애선수들을 대상으로 인체치수와 경기용 휠체어 부위별 치수를 조사한 후 비교·분석하고, 기존 경기용 휠체어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경기용 휠체어 제품설계 및 휠체어 개발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자는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경기용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는 지체장애 남자선수 114명을 대상으로 20∼29세 29명(25.4%), 30∼39세 47명(41.3%), 40∼49세 29명(25.4%), 50세 이상 9명(7.9%)을 선정하였다. 기본적인 인체측정 항목과 경기용 휠체어 부위별 측정항목은 Martin식 인체측정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6.0 프로그램과 EXCEL 200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용 휠체어 사용선수의 연령별 평균 인체측정비교에서 대부분의 측정항목(어깨너비, 가슴너비, 윗팔길이, 가슴둘레, 앉은무릎높이, 앉은오금높이, 엉덩이무릎길이, 엉덩이오금길이, 골반너비, 앉은엉덩이너비, 체중) 모두 50세 이상에서 큰 측정값을 나타냈다. 둘째, 경기용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선수들의 스포츠등급별 백분율은 1∼1.5등급인 경우 19.3%, 2∼2.5등급인 경우 26.0%, 3∼3.5등급인 경우 12.3%, 4등급 이상 및 통합등급인 경우 32.4%로 나타났으며, 경기용 휠체어 기본모델은 4등급 이상 및 통합등급을 기준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스포츠등급에 따른 경기용 휠체어 측정치는 좌석엉덩이깊이와 등받이높이에서 스포츠등급이 낮을 수 록 높은 값을 보였다. 넷째, 인체측정자료와 경기용 휠체어의 부위별 치수비교에서는 앉은 엉덩이너비와 경기용 휠체어 좌석너비간 모든 등급에서 25mm 미만의 값을 보였으며, 엉덩이오금길이와 경기용 휠체어 좌석엉덩이무릎길이에서도 큰 차이는 없었다. 이에 반해, 앉은오금높이와 경기용 휠체어 앞좌석높이 비교에서는 높은 등급일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견갑골높이와 등받이높이에서는 등급이 낮을수록 등받이높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인체측정치 결과는 우리나라 지체장애선수의 체형에 적합하고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경기용 휠체어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he basic study for developing the Korean style sports wheelch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t with the anthropomeric data of disabled by grasping a special quality of the Korean athletes` shape and a sports wheelchair. The subjects were selected 114 male athlet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a sports wheelchair belonging to the federation in KOSAD. They were 29 in twenties, 47 in thirties, 29 in forties, and 9 in fifties. Martin`s anthropometer was used to collect data for basic anthropometic item and measure item of each part of the sports wheelchair. The data were trea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in using SPSS 16.0 and EXCEL 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body measure comparison between athletes using a sports wheelchair sitting height, chest width, upper arm length, lower arm length, the girth of his chest, the pelvis width, and weight of the athletes using a sports wheelchair was larger the average anthropometric value was large in fifties. The frequency of sports grade of the athletes using a sports wheelchair was 19.3% in 1 to 1.5 grade, 26% in 2 to 2.5 grade, 12.3% in 3 to 3.5 grade, and 32.4% in over 4 grade and unified grade. In comparison about the part size of a sports wheelchair and the anthropometric data of athletes, the seat width, the seat depth, the seat height, and the back of the chair had a great difference at each grade, and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 was large. In the measure value of a sports wheelchair according to the grade of sports, the hip breadth and the height of the back of a chair as large as the grade of sports was low. In the size comparison classified by the part of a sports wheelchair and the body measure data, the width of hip breadth and the width of the chair was under 25mm at every grade, and Buttock-popliteal length and Buttock-knee length was not difference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thigh clearance and the height of the front seat of a sports wheelchair was large as the grade was higher, and in comparison of the height of the scapular and the height of the back of the chair, the lower the grade was, the higher the back of the chair was. It will be the foundation to design a sports wheelchair that fits in Korea body shape and suits with human factor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 of the body measure value and a sports wheelchair in this study.

      • KCI등재

        [최우수학술상] 임선문 경기무악 해금선율의 음악적 특징과 의의

        황보영(Hwang, Boyeong)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근현대 전승된 경기무악은 지역과 음악 특징에 따라 남양제, 광주제, 동령제, 안산제가 있다. 이 중에서 남양제 경기무악은 장만용이 창시하여 세습무가인 남양 장씨들로부터 150년간 전승되어왔고 이를 해금악사인 임선문이 전승받았다. 따라서 임선문은 남양제 경기무악을 유일하게 이어받아 ‘경기무악’ 음원으로 남겼다. 본 연구는 남양제 경기무악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는 음원을 채보하여 긴염불부터 당악까지의 음악적 특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기무악의 변별성을 판단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임선문의 경기도 굿 음악은 경기 남부와 서북부를 포함한 경기도 전역의 음악적 특징을 고루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긴염불, 반염불은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육자배기토리의 특성을 가지며 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삼현도 드리는 경기도 서북부 지역의 소리와 연관이 있는 반경토리에 가깝다. 또한 굿거리, 자진굿거리는 전형적인 경토리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당악의 음악적 특색은 ‘도-레-미-솔-라’의 신경토리이며 반경토리 특징 중 하나인 ‘도’ 퇴성이 나타난다. 임선문의 경기무악은 주제선율을 다양하게 변형, 반복하는 즉흥성을 가지고 있으며, 굿거리 계통에서는 경기무가 계열 창부타령의 선율을 차용하였다. 이러한 점이 타 경기무악과는 다른 남양제의 고유한 특성으로 변별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Gyeonggi muak,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modern times, is divided into Namyangje, Gwangjuje, Dongryeongje, and Ansanje, according to regional and mus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m, Namyangje Gyeonggi muak was found by Jang Man-yeong and handed down to the Namyang Jang’s hereditary shamanistic clan for 150 years, until it was passed down to a haegeum player Im Seon-moon. Therefore, Im Seon-moon was the only musicion who inherited the Namyangje Gyeonggi muak. Im left a sound recording of Gyeonggi muak . This study transcribed the sound source, which can be claimed to be the highest record of Namyangje Gyeonggi muak, and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8 pieces: Ginyeombul, Banyeombul, Samhyeon dodeuri, Heoteun taryeong, Jajinheoten taryeong, Gutgeori, Jajingutgeori, and Dangak. As a result, a critical clue was found to determine the distinctiveness of Gyeonggi muak. It can be stated that Im Seon-moon s Gyeonggi shaman music h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ll parts of Gyeonggi-do. Ginyeombul and Banyeombul have the features of yukjabaegi tori that appears in the southern regions of Gyeonggi-do. Heoteun taryeong, Jajinheoteon taryeong, and Samhyeon dodeuri are close to Bangyeong tori, related to the sounds of the north western regions of Gyeonggi-do. Also, Gutgeori and Jajingutgeori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Gyeong tori. The musical structures of Dangak are Sin-gyeongtori with a scale of ‘do-re-mi-sol-la’. Also, a flowing ornamental sound appears in ‘Do’ scale, which is one of the musical features of Bangyeong tori. Im Seon-moon s Gyeonggi muak has improvisational character, which changes and repeats the theme melody in various ways. In Gutgeori series, the melody of Changbutaryeong from Gyeonggi muak was borrowed. It can be noted that this is the unique feature of Namyangje,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Gyeonggi muak.

      • KCI등재

        경기력 수준에 따른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이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김민수,안창식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이 경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한 다음, 경기력 수준별 영향력에서 차 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 대학골프연맹에 등록된 대학 골프선수 217명을 집락표집방법을 이용 하여 승부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척도가 포함된 조사도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이 경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승부근성의 투혼과 승부욕이 심리적 경기 수행능력에 차이를 보였으며 투혼은 기술적 경기 수행능력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 골프선수의 승부근성이 경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 서 경기력 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승부근성의 투혼이 기술적 경기 수행능력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결론] 대학 골프선수 의 인지된 경기 수행능력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승부근성의 투혼과 승부욕 향상에 초점을 둔 심리기술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술적 문제에 인식이 높은 프로 집단들에게는 승부근성의 투혼을 더욱 강화시키는 훈련을 적용한다면 기술적 인 심리적 부담을 줄여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최종 결론을 얻었다.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university golf players' determination for winning on their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and verifi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effects on the various athletic performance levels [Method] To that end, 217 university golf players were selected through cluster sampling from among those registered with 2018 University Gold Federation so as to identify their determination for winning and their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using a survey tool involving a scale, and the data was analyz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 First,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university golf players' determination for winning on their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fighting spirit and desire for victory of determination for winning had varying effects on psychological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and fighting spirit had varying effects on technical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Secon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university golf players' determination for winning on their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fighting spirit of determination for winning had varying effects on technical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thletic performance levels. [Conclusion] Therefore, all paths except this path coefficient can equally apply to university golf players.

      •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대비한 경기도 교통운영 관리방안

        빈미영,김규옥,손슬기 경기연구원 2022 정책연구 Vol.- No.-

        경기도는 지금까지 자율주행차와 관련해서 산업관점 중심의 정책이 주를 이뤘으나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어 도로운행이 많아지면 이동서비스 관점의 교통운영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대비하여 경기도 교통운영 관리를 위한 중장기 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보고서는 5장으로 구성되었는데 1장은 연구 배경과 목적을 서술하고 2장은 자율주행차와 관련된 국내외 현황과 동향을 조사하였다. 미래의 자율주행차 시장을 전망하고 선진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우리나라 제도추진 현황을 요약하였다. 3장은 우리나라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운행현황을 문헌과 현장조사, 담당자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를 조사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 기술과 운행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여 자율주행서비스 유형을 정의하고 향후 경기도와 시군에서 자율주행관련 정책을 추진할 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4장은 자율주행운행에 대비하여 경기도가 추진해야하는 중장기 과제를 제안하였다. 선진사례와 우리나라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를 도출하여 자율주행 연구, 개발기업, 시범운행지구를 담당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경기도가 미래에 자율주행차가 도입될 때 추진해야하는 과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심층인터뷰 조사와 분석방법으로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였다. 3차에 걸쳐 경기도가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도와 실현가능 정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프라, 정책, 기술혁신, 사회적 수용성 부문의 4개 분야 22개 과제가 도출되었다. 그 외 전문가들이 자율주행과 관련되어 경기도가 해야 할 정책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는데 본문에 추가로 수록하였다. 도출된 과제를 중심으로 경기도 관련부서 의견을 수렴하여 역할 분담을 정의하였다. 교통부서와 산업부서에서 공동으로 추진해야하는 정책으로는 기존의 정책을 연계하여 ‘경기도 모빌리티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상호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제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정부는 첫째 지역의 자동차 산업분포를 고려하여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개혁을 추진한다. 중앙정부는 여러 부처를 통해 자율주행기술과 서비스 발전을 위해 규제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차 관련산업을 고려하여 규제특구를 지정할 때는 지역의 자동차 관련산업의 기업분포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개혁은 자율주행관련 산업이 분포된 지역에서 기술개발 후 자율주행실증을 하고 여기서 얻은 데이터와 정보를 다시 그 지역의 기술개발 기업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는 유사산업과 서비스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자율주행차 관련산업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특구 혹은 규제특례’로 제도화하여 지원하도록 한다. 그리고 자율주행 원스톱 규제특구의 지원을 통해 개발된 기술과 서비스는 모니터링하여 특례가 부여되지 않은 지역에 보급하고 기술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지역단위 「자율주행 교통물류 지역 기본계획」 수립할 수 있도록 제도화한다.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 2장 4조에는 자율주행자동차 도입・확산과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의 발전을 위해서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인터뷰 결과 경기도 자율주행 기본계획 수립 필요성과 실현가능성은 높게 평가되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 8조(시범운행지구의 운영 및 관리 등)에서 시범운행지구로 지정・고시된 구역을 관할하는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또는 특별자치도는 시범운행지구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지역에서 이 조례에 지역의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기본계획 수립 의무를 추가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첫째, 경기도 시군의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추진을 적극 지원한다. 경기도는 자율주행기술과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시군의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지정과 운영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시군의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계획을 공유하고 분기별로 추진상황에 대해 실무자간 간담회를 개최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도록 한다. 둘째, 경기도 자율주행 서비스 유형과 국제표준을 담당자에게 교육하고 홍보하여 자율주행서비스의 보급과 지역간 연계를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경기도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자율주행 중장기 로드맵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운행을 대비하여 경기도 교통운영 관리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 Gyeonggi-do has focused on the policies for the automobile industry regarding the autonomous vehicle, but now the policies for traffic management need to invite the attention in expectation of many more autonomous vehicles on the roads on a commercial scale. Under this circumstance, the current study derived 22 long-term tasks from 4 task fields including infrastructure, polic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ublic acceptability in preparation of autonomous vehicle driving. The study further sugges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epare One-stop regulatory reform system for the autonomous vehicle driving consider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establish the regional master plan for the autonomous driving logistics. Gyeonggi-do should actively support Gyeonggi-do’s municipalities to install the autonomous driving pilot districts and inform and promote the municipalities’ officers in charge the types of the Gyeonggi-do’s autonomous vehicle driving service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ternally, big data of the Gyeonggi-do’s autonomous driving center should be linked with the Gyeonggi-do’s traffic information center in order to be used for the Gyeonggi-do’s traffic management. Externally, Gyeonggi-do should prepare the provision of autonomous driving big data and Gyeonggi-do’s traffic information to the market by establishing the Gyeonggi-do’s mobility data platform.

      • 대형국제경기대회 사전타당성 조사의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김영수 국가위기관리학회 2016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8 No.1

        이 글은 올림픽, 아시안게임, 월드컵 등 대형국제경기대회를 유치할 때 실시하는 사전타당 성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현행 사 전 타당성 조사는 50억 원 이상의 총사업비가 소요되는 국제경기대회를 대상으로 하며 주로 대회가 개최지역과 국가에 가져올 경제적 효과를 산업연관모형에 따라 분석하는 경제성 분 석에 치중하고 있다. 대회 이후 경기장 시설의 사후활용이나 대회가 지역과 국가에 미치는 이미지 제고효과 등 비경제적 영향은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긴 하지만 크게 주목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경제성 분석도 대개 대회 개최에 따른 경제적 유발효과로 표현되는데 대개 는 실제 체감하는 것 보다 과장되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역 정치인들의 업적과시를 위한 수단 등 대회 외적인 요인으로 대형국제경기대회가 유치 되는 경우가 많아, 대회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가 효율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 이 더 커진다. 개선방안으로는 우선 단기적으로 현행제도 하에서 사전타당성 조사결과와 사 후결과를 비교해 공개하도록 하고, 현행 국제경기대회 관련 위원회 운영을 내실화 하며, 국 제경기대회 지식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중기적으로는 국제 경기대회 지원법을 개정하여 국제경기대회 유치단계, 개최단계, 종료 이후 단계에서 각각 사 전타당성 조사결과의 지방의회 의결 요구, 총사업비 증액의 원칙적 금지, 대회개최 결과에 대한 종합적 평가 및 고시 실시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국제체육교류 진흥법을 제정하여 위에 제시한 개선안들을 포함하여 국제체육교류 진흥을 활성화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구를 창설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article looks into current pre-validity examining system for mega sports event like olympics, asian games or world cup games held in Korea and then tries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system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Current pre-validity examining system mainly focuses on economic inducement effect of the mega sports on regional and national economy. This economic effect is usually gauged by inter industry analysis and tends to be exaggerated than the real economic effect of the game. The other non economic effects caused by the game, like how much the game enhanced the brand value of a region or Korea, are evaluated but not much priority is given to. Alternatives to improve current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In short-term, under current system, we can open to the public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pre-game (expected) and post-game (real) economic effects of the mega sports event. Building D/B regarding mega sports event can also be an alternative. In mid-term, amending current legal system to provide institutional alternatives; review and approval of regional council regarding the pre-validity examination (during bidding phase), prohibiting the increase of total expenditure in principle (during the game period),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its announcement of the game (after game). In long-term, legisl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exchange enhancement law can be a fundamental solution for introducing all the possible improvements including alternatives suggested above as well as establishing a relevant independent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