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성을 반영한 경관 가이드라인의 수립 방법에 관한 연구

        이나겸(Nagyeom Lee),홍성인(Sung-In Hong),임수영(Soo-Young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에서는 경관 가이드라인을 개별 지역성에 맞게 수립할 방법을 찾고자 했다. 그 방법으로서 개별적인 경관심의 대상에 대해 검토한 결과인 경관 심의 내용을 환류하여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심의 내용을 분류하고 일정한 경향을 찾아내어 이를 경관 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보완점을 찾아내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경관계획의 가장 직접적인 실현 수단인 경관 가이드라인은 현실에 적용가능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경관 가이드라인은 추상적으로 작성되는 경관계획보다 훨씬 구체적이며 개별적인 이슈들에 명확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관 가이드라인은 경관 형성 행위를 하는 사업자들에게 해당 지자체의 경관 정책의 구체적인 기준이 되기도 한다. 경기도 광명시를 대상으로 실제 사례에 적용해본 결과 경관 심의 내용과 경관 가이드라인은 대상의 분류 기준, 제시되는 계획 분야의 범위, 제시되는 의견의 구체성 정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의견들이 제시되는 경관심의에 비해 경관 가이드라인은 상대적으로 구체성이 부족했다. 경관 가이드라인이 현실에 맞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경관 심의 내용의 지속적인 환류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o improve vista guideline in according with each locality. As a method for the purpose, using feedback from vista deliberation is reviewed. The method is to classify deliberation opinions, discover a tendency of the opinions, and find the complementary points out by comparing with the guideline. Vista guideline, which is one of the most convincing tools realizing vista plan, is supposed to be generated to fit with the real situations. It is because that the vista guideline is supposed to give a clear solution for each issue, as well as is more tangible than vista plan, which is conceptual. Furthermore, the guideline works as a very considerable criteria for the vista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of a real case, in the city of Gwangmyoung, Gyeonggi Provi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liberation and the guideline i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e kind of plans and the level of detail. Then, vista guideline is less specific than vista deliberation that offers clearer and concrete opinions. Continuous feedback from deliberation seems essential in order to keep the vista guideline fitting with the reality.

      • KCI등재

        싱가포르 도시경관 관리체계의 건축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이태영 ( Lee Tae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2007년 경관법 제정으로 체계적 경관 관리의 기틀을 마련한 이래 건축물 경관 심의 제도의 실행력과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법개정을 포함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관 심의 운영지침에서 제시된 건축물 심의 기준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에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지자체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설정 기준과 적용 대상 또한 일관되지 못해 여러 부작용을 낳는 등 여전히 제도적 보완과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싱가포르는 성공적인 도시계획과 경관 관리체계의 운영으로 뛰어난 도시 경관을 형성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린 대표적인 모범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도시경관 관리체계의 건축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건축물 경관 심의제도의 개선을 위한 의미있는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현장답사로 이뤄졌다. 이론적 조사는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탐구와 문헌조사, 관계 기관에서 수집된 자료 등의 고찰을 통해 이뤄졌고, 현장답사를 통해 싱가포르 도시재개발국(URA)에서의 관계자 인터뷰와 지구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현황을 파악하였다. (결과) 싱가포르의 도시계획체계는 컨셉플랜, 마스터플랜,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되며 건축물 디자인 관리체계는 상위계획인 컨셉플랜과 마스터플랜의 도시계획적 발전전략의 건축적 실현도구로서 용도별 가이드라인과 지역별 가이드라인의 통합적 심의기준에 기반해 운영된다. 용도별 가이드라인에서는 높이, 이격, 주차 등의 건축적 계획요소와 외부공간, 보행가로, 수변공간 등의 도시적 차원의 계획요소를 공통계획요소로 활용하면서 용도에 따른 특정계획요소를 추가해 계획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지역별 가이드라인에서는 용도, 가로 및 외부공간, 건축물, 야간조명, 옥외광고물의 5가지 영역에 대한 세부계획요소를 통해 지역적 특성을 보존·강화하는 계획을 유도하고 있다. (결론) 싱가포르의 건축물 디자인 관리체계는 용도별 가이드라인과 지역별 가이드라인에 기반한 통합적 심의기준으로 정체성 뚜렸한 도시경관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용도와 지역에 따라 차별화된 구체적 심의기준은 심의제도 운영의 효율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기반이 되고 있으며 명확한 심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심의제도의 실행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다양한 완화 및 예외 규정을 세부기준에 포함하고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대응한 지속적인 개정작업을 시행해 규제 위주의 일방적 관리체계가 되지 않도록 보완하고 있다. 또한 효용성 높은 인센티브제도를 마련해 우수한 도시경관 형성을 위한 피심의자의 능동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지원하고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enacting the Landscape Law in 2007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management of urban landscapes, various studies and policy effor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execution power and effectiveness of the architectural landscape review system. However, there still exist issues that need improvement, such as the design guidelines not fully reflecting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 decrease in operational efficiency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in design guidelines among different local governments. Meanwhile, Singapore is being mentioned internationally as an examplary case of an outstanding urban landscape built through successful urban planning and operating landscape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landscape review syste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ingapore's architect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Method)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mainly of literature review and field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prior research, data and surveys conducted by related institutions. Afterwards, a field visit to Singapore was made to have opportunities to discuss with officials from the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URA) regarding their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details and understand how the design guidelines function in case regions. (Results) Singapore's urban planning system consists of Concept plan, Master plan, and Urban design guidelines, and the architectural landscape review system is operated on the basis of integrated design guidelines of development control and urban design guidelines in accordance with those planning system. Development Control consists of common planning parameters such as building height, setback, parking, cycling plan, etc. and specific parameters based on the use of building and urban design guidelines function to preserve and strengthen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detailed reviewing criteria about uses, street and exterior space, buildings, night lighting, and outdoor advertisements. (Conclusions) Singapore's architectural landscape review system i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distinct urban landscape through integrated landscape design guidelines. Specific design guideline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use and region are the basis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landscape review system, and it secures the execution power of the review system with clear design guidelines.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become a unilateral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regulations by allowing reasonable mitigation and exception cases, and continuous amendment to the guidelines in response to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 In addition, a highly effective incentive system is being utilized to induce and support the applicant's active participation in forming an excellent urban landscape.

      • KCI등재

        서천군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임오연 ( Yim Ohyon ),김정신 ( Kim Jungsh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서천군의 경관계획의 미래상에 준하여 지역차별성을 통한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시환경색채를 체계화하고 차별성 있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서천군의 경관계획은 충청남도 서천군 전역(면적358.04㎢)의 2개읍, 11개면을 대상으로 수립되었다. 그 중에서도 색채는 특정경관계획으로써 경관계획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하여 수변관리권역, 생태보전권역, 청청자연권역, 생활중심권역의 4개경관권역으로 설정하고, 각 경관권역별 특징에 맞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업건축, 공업건축, 공공건축의 용도별 색채와 가로시설물, 기반시설물, 옥외광고물 등 공공시설물을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결과) 서천군의 자연환경색채는 YR, B, BG, GY의 다양한 색상의 고-중-저명도, 저-중-고채도의 색채범위를 갖고 있으며, 인공환경색채는 YR, RB, B, BG의 색상계열에 고-중-저명도, 중-저채도의 색채범위를 갖고 있다. 공공시설물의 색채는 YR, R, BG, B의 색상계열에 고-중-저명도, 저-중-고채도의 색채범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경관색채 현황 조사분석을 하여 서천군 대표색 12색을 선정하였다. 서천군 경관권역별 수변관리권역은 서해안과 금강을 접하고 있어 맑은 이미지로 명도가 높은 light톤의 색채범위를, 생태보존권역은 녹색문화이미지를 보유하고 청정자연권역은 산지와 농경문화를 포함하여 내츄럴한 이미지로 중-저명도와 Soft톤의 색채범위를, 생활중심권역은 시가화 예상지역으로 명도가 높은 Bright톤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건축물 용도별 색채가이드라인은 각각의 용도에 부합하는 기본목표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색채범위를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의 경우에는 각각의 역할에 따라 가로시설물의 경우에는 기조색, 강조색, 기반시설물의 경우에는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옥외광고물의 경우에는 바탕색, 글자색으로 분류하여 색채범위를 제시하였다. (결론)서천군 경관색채가이드라인은 수변관리권역, 생태보존권역, 청정지역권역, 생활중심권역 4개의 경관권역별,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업건축물, 공업건축물, 공공건축물의 5가지 건축물용도별, 가로시설물, 기반시설물, 옥외광고물 3개의 공공시설물별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색채가이드라인은 서천군의 경관색채계획시 일관된 기준으로 적용되어 도시전체의 이미지를 통합하고, 지역별, 요소별 기능에 적합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로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rganize colors so as to represent an urban environment and establish distinctive color guidelines to secure regional different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landscape plan of Seocheon-gun. (Method) The landscape plan of Seocheon-gun was established for two eups and 11 myeons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358.04㎢). Among them, colors were used to represent a specific landscape plan, based on the basic landscape plan guidelines. The waterfront management area, the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the Cheongcheong natural area, and the life-centered area were set as the four landscape areas, and color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cape area were determined. In addition, color guidelines were presented for detached dwellings, apartment houses, commercial buildings, industrial buildings, and public buildings, street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s for use in practice. (Results) The Natural Environment Color of Seocheon-gun used a range of colors that were high-medium-low in brightness and low-medium-high in saturation of various YR, B, BG, and GY colors , whereas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s used high-medium-low brightness and medium-low saturation from the YR, RB, B, BG color series. Public facilities used a color range high-medium-low in brightness and low-medium-high in saturation from the YR, R, BG, and B color series. Twelve representative colors of Seocheon-gun were then se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landscape color status. The waterfront management area for each landscape area in Seocheon-gun faces the west coast and the Geum-gang river, so light tones high in brightness with a clear image were used. In the case of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oles, the color range categorized them into key tone colors, accent colors for street facilities, main colors, auxiliary colors, and accent colors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background colors and text colors for outdoor advertisements. (Conclusion) The landscape color guidelines for the Seocheon-gun landscape presented accurately the four landscape areas (i.e., the waterfront area,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clean area area, life-centered area); five types of buildings (i.e., detached houses, apartment houses, commercial buildings, industrial buildings, public buildings); and three types of street facilities (i.e., street facilities, infrastructure facilities, outdoor advertisements). The color guidelin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standard when planning the landscape colors of Seocheon-gun, so as to integrate the image of the whole city, and they will be used as data to enhance the city image by introducing specific guidelines representing functions by region and element.

      • KCI등재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이진숙(Lee, Jin Sook),진은미(Jin, Eun Mi),전택기(Jun, Taek-Ki),홍룡일(Hong, Long-Yi)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우리나라의 주된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농어촌에 대하여, 아름다운 금수강촌실현과 농어촌 주거환경 이미지형성을 위하여, 자연환경과 조화하면서 동시에 시대적 감성을 반영할 수 있는 농어촌마을의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경관권역은 17개 경관권역으로 수목과 토양의 색채분포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농어촌의 입지조건은 기존문헌을 토대로 하여 평야부 농촌마을, 산간부농촌마을, 도시근교농촌마을, 도서어촌마을, 강촌마을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경관권역, 마을의 입지조건 및 자연환경조건,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색채적용 유형을 11가지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마을의 입지유형별 특성, 토양·수목 등의 자연환경색채의 분포특성,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색채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계획의 기본 방향은 평야부 농촌마을은 토양색채분포 특성과 연계·반영한 색채를 적용하고, 산간부 농촌마을은 수목색채분포특성과 연계·반영하여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으며, 도시근교형과 도서어촌형, 강촌형에는 장소적 이미지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색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은 건축물을 용도별로 구분하고, 시설물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제작하였으며, 재료 에따라 색채가이드라인의 적용방안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방법을 색채적용모델로서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For the rural villages which constitute the main landscape in Korea, a guideline for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 rural villages were prepared which conform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flect the emotion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o realize the beautiful country and create image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landscape zones for the preparation of the color guideline were consisted of 17 zones and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distribution of the trees and soils. The conditions of location was divided into 5 types based on the exiting documents as the farming village in plain, the farming village in the mountain, the farming village in suburban area, the fishing village in islands, and the riverside village. The applied color types were set in 11 colors refl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type of loc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s. Thereafter, the color guideline was prepar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by the village locati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soils and tre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s.

      • KCI등재

        당진 면천읍성의 역사문화도시를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연구

        박철희(Park Cheol-Hee),임오연(Yim Oh-Yo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당진 면천읍성을 대상지로 하여 역사문화도시로써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도시의 지향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에서 당진 면천읍성 대상지의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2단계에서는 당진 면천읍성의 도시 이미지 및 경관 자원 요소 추출을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 이미지, 미래의 지향 이미지상과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관 자원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추출된 경관자원 형성요소를 대상으로 당진 면천읍성의 경관색채특성을 분석하였다. 제4단계에서는 당진 면천읍성의 건축물 및 가로시설물의 색채 현황을 분석하였다. 5단계에서는 주변 경관과 조화를 기본으로 도시 이미지 및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당진 면천 읍성의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당진 면천읍성 주민 및 당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의 역사문화도시가 미래도시이미지 상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당진 면천읍성의 경관자원 형성요소로써는 면천읍성, 면천향교, 진달래, 두견주, 영탑사, 골정지, 군자정, 은행나무이 추출되었다. 셋째, 당진 면천읍성의 경관색채중 건축물 외벽 주조색의 경우에는 R, YR, Y계열의 중ㆍ고명도/저ㆍ중채도로, 지붕색채는 YR, Y계열과 N계열의 중ㆍ고명도, 저채도의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로시설물의 경우에는 R∼PB계열의 저명도∼고명도/저채도∼고채도에 걸쳐 다양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당진 면천읍성의 역사문화도시로써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건축물, 가로시설물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색채사용범위, 배색사례, 색상-색조 영역을 색채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경관색채의 가이드라인은 추후 당진 면천읍성의 역사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신축건축물, 그리고 가로시설물 설치 시 색채선정의 기준 자료로 제공되어 거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색채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andscape color guideline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to secure the identity as historical-cultural city, also to build the directive image of the city.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current state of the target place,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is checked, and the result is analysed. Second, survey of citizen is carried out to extract the image and landsace resource of Myeoncheoneupseong, then image of the city, future directive image, and landscape resource what is effective for city image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 Thir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resource, which is extracted from second step, is analysed, Fourth, color status of buildings and street furnitures are analyzed, Fifthm landscape color guidelines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is established that can secure image and identity of the city with harmony with surrounding landscap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f Myeoncheoneupseong residents and citizens of Dangjin-city said historical-cultural city is the future image of the city. Second, the formative element of Myeoncheoneupseong’s landscape resource were extracted as follows : Myeoncheoneupseong, Myeoncheon-hyanggyo, Azalea, Dugyunju, Yeongtapsa Temple, Goljeong Lake, Gunjajeong Pavilion, and Ginko tree. Third, In a landscape color of Myeoncheoneupseong, dominant color of outer wall of architectural building has high value/low-mid chroma of R, YR, Y-series, roof has mid-high value/low chroma trends of YR, Y and N-series. And the street furniture shows various trend of low to high value/low to high chroma of R~PB series. Fourth, detail color usage scope, example of color scheme, and color-hue range are built as color guidelines of architecture building, and street furniture that will establish the identity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as a historical-cultural city. Proposed landscape color guideline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systematic and integrative color design guideline in renovation of existing architectural building, or new buildings, and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to conserve the historic-cultural identity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 KCI등재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을 중심으로 -

        주신하,백운해,신지훈,목정훈,Joo, Shin-Ha,Baek, Woon-Hae,Shin, Ji-Hoon,Mok, Jeong-Hun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개발대상지의 경관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관계획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개발대상지 경관계획 수립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단계별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성취도는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t-test,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평가결과 계획단계 기존계획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3.813, 계획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는 5.648로 나타나, 그 중요도에 비해 기존 경관계획이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관계획 단계별로는 경관기본계획과 경관기본구상 등은 비교적 잘 수립되고 있으나 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과 경관자원조사는 경관계획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 단계 중에서는 미시적 경관계획이 중요도에 비해서 잘 진행되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며,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단계에서는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장소 디자인가이드라인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기초로 진행하였으므로 설문응답자의 기존 경관계획에 대한 이해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과 경관계획 계부항목 선정에 대한 구분이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성 도시경관계획과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의 계획요소 간 중요도 비교와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계획요소 및 작성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ccording to planning phases in a landscape planning system based on landscape law. An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by planning phases was studied by statistically descriptive analysis, variation analysis, statistical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3.813 and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is 5.648. This means tha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not sufficient to cover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In addition, 'sit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 sections are not sufficient when they are compared to 'landscape concept plan' and 'landscape basic plan' to complete the landscape planning projects required by landscape law. It means also that th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s should be complementarily practic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s the research is practiced by survey methods on landscape planning projects which are only new development sites, the results cannot represent all type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Nevertheless,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new landscape planning at new development sites or old cities to increase effectiveness.

      • 야간경관 가이드라인의 적용 실태조사를 통한 야간 안전성에 관한 연구 : 서울 마곡지구 현황을 중심으로

        조승연(Jo, Seung-youn),장영호(Jang, Young-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3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마곡지구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수립한 가이드라인의 정합성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야간 안전성을 전제로 하였을 때 야간경관계획의 내용과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내용이 적절한가를 파악하고 실제적 현황조사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대상 지역인 서울특별시 마곡지구의 야간경관을 표본으로 건축물·가로경관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야간 안전성 관련 지침을 바탕으로 현장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연구복합용지의 경우 대부분 안전성이 확보되고 있었으나 일부 구간은 부분적으로 반영하였거나 미반영되어 부분적 편차가 나타났다. 업무시설은 조명시설이 부족 및 일관적인 조명 설치가 미비한 상태로 건축물의 용도와 형태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다. 이에 야간의 안전성을 위하여 건축물의 용도 분류에 따른 가이드라인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개선방안으로 대상지의 이용자와 관리측면의 차이를 고려한 건축의 용도별 조명 가이드라인 개성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고,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기준 조도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sistency of the guideline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in the target area was reviewed for the Magok district, which has been recently developed. Specifically, on the premise of night safety, the contents of the night landscape plan and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guidelines were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s were appropriate, and problems were deriv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actual situation survey. On-sit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nighttime safety guidelines presented in the guidelines for buildings and streetscapes using the night scenery of the target area, Magok District, Seoul.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research composite papers were secure, but some sections were partially reflected or not reflected, resulting in partial deviations. In the case of business facilities, there was a large variation depending on the use and shape of the building, with insufficient lighting facilities and insufficient installation of consistent lighting. Accordingly, for safety at night,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guidelin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use of buildings was raised, and as an improvement method, the individual direction and method of lighting guidelines for each use of the building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and management of the target site were suggested. A standard illuminance that can be secured is presented.

      • KCI등재

        지역 경관색채 분석을 통한 도시이미지 색채가이드라인 제안에 관 한 연구 - 부산광역시 기장군을 중심으로

        양명인,양쥔,조정형 한국디자인학회 2023 Design Works Vol.6 No.2

        In South Korea, various efforts are being proposed by each region to preserve its uniqu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ne of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is the establishment of color guideline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esthetic appeal and to create a beautiful urban image for Gijang-gun, a newly developed city in Busan, by proposing color guidelines specifically tailored to the area.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indirectly demonstr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well-planned color guidelines can significantly impact the urban image, addressing the current societal need for such measures. In this study, 20 colors specific to Gijang-gun's landscape were used to develop the color guidelines. By applying these guidelines across various domains, such as urban artificial scenery, architecture, and facilities, the urban image of Gijang-gun can become more cohesive and aesthetically pleasing. Ultimately, this research indirectly demonstrates the significant impact that well-planned and applied color guidelines can have on urban images, thus contributing to the overall improvement of the area's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한국의 각 지역은 독특한 정체성과 특성을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 가장 효과적인 접근 방식은 색채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장군, 부산의 새로 개발된 도시의 미적 매력을 높이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지역에 특화된 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계획적으로 수립된 색채 가이드라인의 시행이 도시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려고 한다. 연구 방법론에는 몇 가지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첫째, 도시이미지의 중요성과 색채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관련 이론을 철저히 검토하여 밝혀냈다. 둘째, 기장군의 대표적인 이미지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진행한 후 추출된 색상을 분석했다. 셋째, 색상의 적용뿐만 아니라 시행 중 배열도 고려한 기장군의 경관에 대한 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장군의 경관에 특화된 20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색채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 이 가이드라인을 도시 인공 경치, 건축, 시설 등다양한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기장군의 도시 이미지를 보다 조화롭고 미적으로 만들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계획적으로 적용된 색채 가이드라인이 도시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며,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 개선에기여할 수 있다.

      • 에너지전환 지역사회를 위한 ‘에너지경관’ 연구동향 분석

        이재혁,정우현,서은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20 No.-

        ■ 연구의 주요 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해외에서는 이미 에너지전환에 따른 지역사회의 환경변화와 주민에 대한 지리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에너지경관’ 연구를 수행 중이며, 이를 통해 환경공간계획 및 정책 수립 - 본 연구는 에너지전환 과정 중 지역사회의 환경성과 수용성 확보를 위해 국내외 ‘에너지경관’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 ○ 에너지경관에 대한 개념 - 에너지경관이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관변화를 지칭하는 단어로, 환경과 사람 사이의 다양한 토지이용 요소를 다룸 - 에너지 발전시설과 관련된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관계, 주체적 정체성을 재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함 - 에너지 발전시설의 설치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생산’으로 이해되며, 이 과정은 물리적(물질적) 측면과 추상적(비물질적)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음 - 에너지경관은 생산된 공간으로서 에너지 시설의 분포, 관련된 사회적 구조, 재생성된 장소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함 - 재귀적 지도화(recursive cartographies)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차원의 공간과 시간을 다룸 ○ 재생에너지경관 서지분석 - 국내 확대되고 있는 재생에너지의 경관에 대한 해외연구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재생에너지경관’이라는 저자키워드로 2019년까지 발간된 총 89개의 논문을 분석 - 2002년부터 관련 논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재생에너지경관에 대한 연구가 계속 확대되는 것으로 확인 가능 - 주요 연구기관을 살펴보면,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과 미국, 캐나다 등 북미에서 재생에너지경관 연구를 수행 - ‘재생에너지경관’은 생태이론과 담론(철학)과 과학기술 혁신(기술)의 중간자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로 다루어졌으며, ‘경관평가 및 계획’은 농업, 기후변화, 문화서비스, 개발과 보전에 영향을 주고받았고, ‘경관계획’은 영향에 대한 평가(물리적), 가치의 평가(비물리적)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짐 - 선행연구 분석 결과, 경관이라는 단어가 갖는 중의적 의미에 따라 에너지경관을 사회적, 지리적, 심미적 부분에서 다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정책적용을 위해 세부적 차원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심미적 경관에 주목하고, 지리적 경관도 고려하여 사례분석 수행 ○ 재생에너지경관 사례분석 - 에너지경관계획은 지역의 경관특성을 분석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로 인한 경관 영향을 최소화하는 과정으로 나뉨 - 에너지경관영향평가의 프로세스는 범위설정, 대상지분석(경관평가의 틀 마련), 시뮬레이션, 영향분석(지표설정), 축적된 영향, 저감방안 마련 순으로 진행 - 주민참여 에너지경관사업은 보통 4가지(공식회의, 설문, 소셜 미디어, 중재)로 구분되고, 3단계(시나리오 설정, 시뮬레이션, 워크숍)로 이루어지며, 경관영향평가와 동시에 이루어짐 - 미국은 조례를 통해, 호주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에너지경관에 대한 관리를 수행 ■ 정책 제안 ○ 재생에너지경관의 시대적 당위성을 가짐 - 재생에너지는 자연에 기반을 두었지만 다시 자연경관에 영향을 미침 - 에너지경관은 법적, 정치적, 토지이용구획 등의 정책적 지원 필요 ○ 재생에너지경관의 모범사례를 요청 - 물리적 변화는 새로운 경관을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한 이익과 고통에 대한 사회적 고려 필요 - 의사결정이 공정히 이루어졌는지 검토하는 프로세스가 필요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견이 변화하므로 전주기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함 ○ 정책적용을 위한 필요사항은 다음과 같음 - 공통된 경관영향평가 방법론 필요 - 업데이트된 경관영향평가 방법 필요 - 경관영향평가 사례 데이터베이스 필요 - 적절한 시민참여 방안 필요 - 통합적 경관 맥락을 확인하는 절차 필요 - 적절한 트레이닝과 기준 필요 ○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환경성과 주민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경관계획, 경관영향평가, 주민참여에 대한 조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요청 - 에너지경관계획과 관련해서는 에너지경관을 위한 재생에너지 시설입지, 색채, 재질, 송전선로의 지중화, 빛, 야간효과 등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사례 등이 필요 - 에너지경관영향평가와 관련해서는 범위, 조사, 시뮬레이션, 영향분석, 저감방안 등의 평가분야를 명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방식을 제시 - 주민참여 에너지경관사업과 관련해서는 입지 및 경관 선호에 대한 주민참여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어떻게 정책화되는지 연계과정을 보여주어야 함 - 에너지경관정책과 관련해서는 조례,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에너지경관, 영향평가, 주민참여 과정을 명시해야 함

      • KCI등재

        대전시 도시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이진숙(Lee, Jin Sook),김지혜(Kim Ji Hae),진은미(Jin, Eun Mi)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본 연구는 대전시의 특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대전시 고유의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도시환경색채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각 단계별 연구진행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현황의 색채조사를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으로 분류하여 조사·분석하고, 대전시의 이미지 및 대표색 등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분석하였다. 2단계는 도시구조를 분석하고,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를 토대로 도시환경색채에 의한 이미지형성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시 환경색채의 기본방향에 부합하는 도시 기조색과 5개 경관권역의 대표색채를 선정하였다. 3단계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작하는 단계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원칙을 수립하고, 대전시의 경관에 관한 기본 경관관리구역 기준(일반관리구역, 경관중점관리구역)에 색채관리구역을 추가하여 각각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일반관리구역, 경관중점관리구역, 색채관리구역의 세가지 유형의 경관관리 체계에 맞추어, 건축물, 공공시설물, 옥외광고물, 도시구조물, 보행자도로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guidelines for the urban environmental colors which are unique, systematic and consistent,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tudy is proceeded largely in three phases and the process for each phase is described as follows. Phase 1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existing color surveys divided by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The images and symbolic color of Daejeon city were examined and analyz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s. Phase 2 was to establish basic direction and strategy of the urban environmental color based on the status surveys and questionnaire surveys and urban analysis. Daejeon has 4 landscape zone based on basic plan for landscape in Daejeon. So, the main color of the Daejeon city was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color. The direction of the color plan for landscape zones of the city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viously prepared landscape plan. Phase 3 was the to frame the guideline of the urban environmental color, basic principle for application of color guideline was framed. And then, It was framed and consisted the color guideline respective landscape district(common landscape district, landscape district of special management, landscape district of special management for co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