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사정책결정과정 분석

        허출(Chool Hur)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

        조직이 운영되어 가는 과정에는 항상 정책이 집행(implementation)되며, 평가(evaluation)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책은 여러 가지의 요소를 통해 결정되어진다. 특히 군사정책(military policy)은 그 본질상 일반정책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군사정책은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와 집결되어 있고, 대부분 시한이 촉박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군사정책 결정과정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모형(model)을 제시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당시 미국의 군사정책결정과정을 앨리슨의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앨리슨(Graham T. Allison)은 합리적 행위자모형(모형Ⅰ), 조직의 행위모형(모형Ⅱ), 그리고 정치 모형(모형Ⅲ)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세 모형이 동일하게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 분석의 기본단위, 구성개념들, 지배적인 추론 경향, 일반적인 명제, 증거의 다섯가지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다섯가지 기준을 가지고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시 미국의 군사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였다.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은 그 사안 자체가 심각한 사태였고, 시간적으로 급박하게 진행되었으며, 확전의 가능성을 전제로한 위기감이 충만한 사안이었다. 이 정책결정과정을 앨리슨의 모형을 가지고 분석해 본 결과 분석기준의 대부분이 모형Ⅰ로 설명이 되었다. 물론 모형Ⅱ와 모형Ⅲ이 설명력을 가지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든 분석들이 모형Ⅰ로 설명이 되어진다는 것이다. 결국 앨리슨의 정책결정모형 중 국가적 위기시 국가의 안전보장을 위한 바람직한 모형은 모형Ⅰ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위기감이 고조되고, 시한이 촉박한 상태라면 모형Ⅰ인 합리적 행위자 모형이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이다. 또한 군사정책 결정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정책결정 중에도 시간이 촉박하며 중요한 의사결정시는 모형Ⅰ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함의를 가진다 하겠다. This paper analyzed the United States's military policy making process about the Panmunjom axe murder incident by using Allison model. Allison described three types of models such as the rational Actor(model I), Organizational Behavior(model Ⅱ) and Governmental Politics(Model Ⅲ). The five common factors used in the three models are Basic Unit of Analysis, Organizing Concepts, Dominant Inference Pattern, General Propositions and Evidence. These five common factors are used in the analysis for United States's military policy making process about the Panmunjom axe murder incident. However, the decision of a military policy includes very complex variables, the limit of human ability, unpredictable factor, very flexible international politics and crisis situation. Therefore, there is no a unique model to describe well the process of a military policy. Panmunjom axe murder incident was very serious, evoked within very short time and became a deep crisis enough to extend toward war. The decision of the policy was established in the difficult situation, and the whole strategies acted smoothly and ended successfully. The analysis result by using Allison's models about the military policy making process for Panmunjom axe murder incident illustrated that the model Ⅰ can explain the whole decision process. Even though model Ⅱ and model Ⅲ can explain in part, model Ⅰwas more suitable to explain the decision process than the other two models do. This suggested us that the model Ⅰ becomes the right model to make a decision of military policy for national security when the national crisis occurs. Therefore, it is ideal to induce rationally the decision of the diplomatic military policy by constituting an organically connected policy decision organization such as National Security Council.

      • KCI등재후보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학습 연구의 변천과 의사결정모형의 비교

        배진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ssence of decision-making in social studies through the decision-making significance, a change in decision-making research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he comparison by type in decision-making models. Given seeing that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is to promote citizenship, the decision-making ability as the quality of citizenship has been thought to be most importantly. Decision-making implies an option among alternative plans, which have diverse properties. And, the emphasis on fostering decision-making ability as the goal of social studies has a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can connect the social awareness and the citizenship most effectively. The decision-mak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has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even a focus of research as the period is changed. Regarding the decision-making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1970s, as a role of social studies is changed, the decision-making in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came to possess the important portion. And, entering the 1980s, as the decision-making is one part of solution or a thought, the research materials on the detailed process, function and model in decision-making came to appear much. Entering the 1990s, the decision-making came to stress the decision-making as part of educating citizenship. And, in the 2000s, it is being emphasized the process of deliberation, which passed through enough discussion and debate in the decision-making, and students' direct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Next, the researcher allowed the decision-making model in social studies to be types in problem-centered decision-making model, balanced decision-making model, and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nd then tried to compare these things. It tried to examine Harvard model by Oliver & Shaver(1966) who stands for the problem-centered decision-making model, the decision-making model by Banks(1973) who stands for the balanced decision-making model, and the decision-making model by Engle & Ochoa(1988) who stands for the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When the whole examination is performed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decision-making model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understanding may be helped about the essence of decision-making in social studies and about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learning to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의 의미와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연구의 변천 및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의 유형별 비교를 통하여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사회과교육의 목적을 시민성 함양이라고 볼 때 시민성의 자질로서 의사결정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오고 있다. 의사결정이란 다양한 속성을 지닌 대안들 사이에서 선택을 의미하며 사회과의 목표로서 의사결정능력 육성의 중시는 사회인식과 시민적 자질을 가장 유효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연구의 초점도 약간씩 변하여 왔다. 1970년대에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사회과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사회과의 목표에서 의사결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1980년대 들어오면서 의사결정은 문제해결이나 사고의 일부분으로 의사결정의 세부적인 과정, 기능, 모형에 관한 연구물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르러 의사결정은 시민성 교육의 일환으로 의사결정을 강조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는 의사결정에서 충분한 토의와 토론을 거친 숙고의 과정과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다음으로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을 연구자는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보았다.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Oliver & Shaver(1966)의 하버드 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Banks(1973)의 의사결정 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Engle & Ochoa(1988)의 의사결정 모형을 검토하여 보았다.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밑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과 의사결정학습의 현장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선형 자산가격결정모형 검정

        손삼호(Sam Ho Son),김태혁(Tae Hyuk Kim),윤보현(Bo Hyun Yoon) 한국증권학회 2009 한국증권학회지 Vol.38 No.4

        본 논문은 한국의 주가 수익률을 대상으로 CAPM 모형, Fama-French 3요인 모형, 유동성 모형, Campbell 모형 및 비모수적 모형 등 주요한 선형자산가격결정모형의 가격결정력을 비교하였다. 가격결정력 비교를 위해 본 논문은 Hansen and Jagannathan(1997)의 최소거리 검정과 Hansen(1982)의 J-검정을 사용하였다. 검정결과, 비조건부 모형의 경우에는 Campbell 모형과 비모수적 모형의 가격결정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변수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조건부 모형의 경우 비조건부 모형보다 전반적으로 가격결정력의 개선이 나타났다. 또한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주가수익률 분포의 과도한 변동성을 감안하여, 시장 초과수익률을 세제곱한 위험요인을 조건부 모형에 도입한 경우에도 전반적으로 가격결정력이 개선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한국 주가수익률을 설명하는 벤치마크 모형의 평가 및 구성에 일정한 시사점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the main linear asset pricing models such as CAPM, Fama-French 3 factor model, liquidity model, Campbell (1996) model, and non-parametric model with Korean stock returns. To facilitate comparisons, we apply the asset pricing models to a uniform data set and assess Hansen-Jagannathan distance measures for the models In this research, we mainly focus on two issues. One of the issues is whether conditional models are more powerful than unconditional models. In volatile markets such as Korean stock market, the expected returns are likely to vary over time. With time-varying parameters of conditional models, we can expect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conditional models will increase. The other issue is whether augmenting a cubic market factor improves the performances of the models. It is well known that the return distribution of an emerging market is characterized by excess kurtosis and thick tails. We can expect the power of the models will increase by accommodating the effect of the large volatility of the Korean stock return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unconditional non-parametric model augmented with a cubic market factor outperformed the other unconditional models. The conditional models outperformed unconditional models for all the instrumental variables that w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was large when we added a cubic market factor to the conditional models. These results have a meaning for constructing a benchmark asset pricing models in the Korean stock market.

      • 기술의 투자가치분석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연구

        안두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정책자료 Vol.- No.-

        서론한 국가의 산업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술혁신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며, 세계 경제에서 첨단 기술능력을 기반으로 한 벤처기업의 역할 또한 빠르게 증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국가 정책적으로 벤처기업의 육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주식시장에서는 한때 KOSDAQ 열풍이 불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최근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 기술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는 기술거래를 통한 기술의 확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또는 대출 의사결정, 벤처기업간 M&A 등의 거래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문제가 대상이 되는 기술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관심의 부응으로 지난 2000년 2월 기술가치에 대한 조사연구 수행을 위해 민·관·연구소 등이 함께 참여하는 기술이전협의회 가 창립되었으며, 4월에는 기술의 거래를 담당하는 한국기술거래소 가 출범되었고, 12월에는 기술 가치평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한 기술평가사협회 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한국과학기술평가원, 기술신용보증기금 등 다양한 기관들이 나름대로의 기술 가치평가모형을 정립하여 기술 담보나 투자 의사결정을 위한 기술 가치평가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다.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발된 기술의 가치평가 기법들과 실제 적용 현황을 정리하는 한편, 기술의 가치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시스템적인 접근방법으로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탐색하고자 함에 있다. 특히, 기술의 투자가치를 분석함에 있어 자주 부딪히는 어려움이 경제적 수익을 예측하기 위한 정형화되고 수식화된 모형의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가하고자 하는 기술의 위치와 그것이 상업화되어 수익을 창출함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변수들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에 있다는 전제 하에서 보다 진전된 기술 투자가치분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는 기술의 가치를 펑가함에 있어 전문가평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 왔는데, 이 방법에서는 충분한 전문가 풀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주관적 의견의 편향적인 반영으로 자칫 그릇된 투자대상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투자 대상의 잘못된 선택은 개인이나 소규모 벤처캐피탈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힐 수 있으며, 정부에 있어서도 단순한 연구개발 등 투자자원의 손실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다.연구의 내용은 총 Ⅵ절로 구성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제Ⅱ절에서는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기술 가치평가의 범위를 설정하여 기술의 투자가치분석 이라는 개념을 나름대로 정의하였으며, 제Ⅲ절에서는 기존에 논의되어 왔던 기술의 투자가치분석 방법들을 현금할인모형,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실물옵션모형, 계량분석모형, 전문가평가모형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제Ⅳ절에서는 기술 투자가치분석의 실제 적용 현황을 국외와 국내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제Ⅴ절에서는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인 보다 객관적이고 시스템적 접근방법을 지향하는 새로운 기술 투자가치분석모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여기에서 제안된 기술의 투자가치분석모형의 의미를 나름대로 제시하는 한편, 동 모형이 사전적인 연구과제의 선정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기술의 투자가치분석이란?1. 개념적 정의2. 기술의 투자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술의 투자가치분석을 위한 기존 방법들1. 현금흐름할인모형2. 자본자산가격결정 모형3. 실물옵션모형4. 계량분석모형5. 전문가평가모형 기술 투자가치분석의 실제1. 외국의 현황2. 국내의 현황 새로운 기술 투자가치분석 방법의 제안1. 기존 방법들의 한계2. 새로운 기술 투자가치분석 방법의 제안 결론이 연구에서는 기술의 투자가치를 분석함에 있어 자주 부딪히는 어려움이 경제적 수익을 예측하기 위한 정형화되고 수식화된 모형의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가하고자 하는 기술의 위치와 그것이 상업화되어 수익을 창출함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에 있다는 전제 하에서 보다 진전된 기술 투자가치분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의 투자가치분석 모형은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했을 때 두 가지 새로운 의미를 가질 수 있다.첫째는 기술의 투자가치를 분석함에 있어 기존에 블랙박스(black box)로 취급해 오던 기술성에 대한 평가를 특허라는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자는 것이다. 경제학의 주류를 형성해왔던 신고전파 경제학에서는 기술의 생산성 증대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기술을 외생변수(exogeneou s variable)로 취급하여 자본과 노동에 의한 생산성 증가를 제외한 나머지 생산성 증대 효과(residu als)를 연구개발투자의 수익성으로 간주하여 분석해왔으며, 최근 시도되고 있는 기술의 가치분석에 있어서도 기술의 경쟁력 여부는 전문가평가(p eer review)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정보는 신규성, 진보성, 산업적 이용가능성 세 가지 측면에 대해 객관적인 검증을 받은 표준화되고 체계적인 정보이다. 최근 각 국의 정부들은 특허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기술의 투자가치분석 모형은 이와 같이 기존에 존재하여 활용이 가능한 객관적인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하는 기술의 발전흐름과 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실물옵션 개념을 활용한 기술의 가치평가 모형에서도 시장의 파악 즉, 경제적 효과의 적절한 추정을 위해서는 기술적 위치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둘째는 기술의 투자가치를 분석함에 있어 시스템적 접근을 강조한 것이다. 관련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 기술 자체의 우수성만을 기준으로 기술의 가치를 분석할 경우 중요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적 접근방법으로 전략적원가관리(SCM:Strategic Cost Management)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한 기업이 어떠한 기술에 대한 투자를 결정함에 있어 단지 해당 기술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직접적인 영향이외에 기업의 전략적인 요인, 경쟁 환경의 변화 등을 추가로 고려해야 되는 경우 유용한 방법론 중의 하나이다. 또한 SCM 방법론은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공공적인 관점에서 기술에 대한 투자가치분석을 함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를 정부 차원으로 확장하는 것은 보다 많은 이해관계자에 관련된 원가, 이익, 경쟁환경의 개념을 적용해야 하는 차이만을 가져올 뿐이기 때문이다. SCM 방법론은 기존 기술의 개량 또는 공정의 개선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술에 있어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이러한 기술의 투자가치분석 모형은 사후적인 기술의 가치평가뿐만 아니라 사전적인 기술 기획과 평가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사실, 기술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첫걸음은 경제적, 사회적 타당성이 있는 기술과제를 선정하는 것에 있다. 제시된 모형을 기술 선정평가에 활용할 경우 특허지도(patent map)의 작성을 통해 기술과제의 목표를 보다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옵션시장에서 GARCH계열 모형들의 성과 비교에 관한 연구

        강장구(Jang Koo Kang),류두진(Doo Jin Ryu) 한국증권학회 2009 한국증권학회지 Vol.38 No.2

        본 논문에서는 ARCH 모형을 포함한 여러 표준 GARCH계열 모형들의 실증성과를 Duan (1995)의 GARCH 옵션가격결정모형의 틀 하에서 옵션에 대한 가격결정성과와 헤지성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논문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옵션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모형들을 추정하면 기초자산 수익률만을 사용한 경우 보다 가격결정력 및 헤지성과가 대체로 향상된다. 단, 옵션가격 사용시 가격결정력의 경우 향상의 정도가 큰 반면, 헤지성과의 경우 향상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다. 둘째, GARCH계열 모형들은 본 연구에서 벤치마크(benchmark)로 비교한, 기초자산의 등분산성을 가정하는 이산(discrete) 블랙-숄즈(Black-Scholes) 모형보다 가격결정력 및 헤지성과가 우수하다. 셋째, 기초자산 수익률만을 이용하여 추정했을 때, 내가격 및 등가격 옵션에 대해서는 GARCH 모형의 가격결정성과가 가장 우수한 반면, 외가격 옵션에 대해서는 비대칭 변동성반응을 구조화 할 수 있는 모형들의 가격결정성과가 우수하다. 넷째, 옵션가격을 사용하여 추정했을 때, 변동성의 비대칭 반응을 구조화하는 모형들이 상대적으로 실증성과가 우수하다. 또한 모형이 복잡해질수록 대체로 가격결정성과가 좋으나, GARCH-News 모형처럼 아주 복잡한 모형 보다는, 단순하면서도 적절히 유연한 형태로 비대칭 변동성반응을 모형화할 수 있는 NGARCH와 같은 모형의 가격결정성과가 가장 우수하다. 다섯째, 기초자산의 수익률만을 이용하여 추정한 경우는 GARCH 모형이, 옵션가격을 이용하여 추정한 경우는 ARCH 모형의 헤지성과가 대체로 우월하다. 이는 복잡한 모형이 언제나 헤지를 잘 하는 것은 아니며, 기초자산의 경로와 변동성의 상관관계 및 변동성 군집현상을 적절히 파악해 낼 수 있는 단순한 모형들의 헤지성과가 뛰어남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mpirical performance of the standard GARCH-type models in view of the pricing and hedging options under Duan (1995)`s GARCH option pricing framework. The empirical findings docum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cing and hedging performance of the GARCH-type models is generally enhanced when we estimate the models using option price data compared to using only underlying return data. The degree of improvement is more prominent in case of the option pricing result. Second, the empirical performance of the GARCH-type models is superior to the discrete-time Black-Scholes model that assumes a constant volatility process for its underlying process. Third, when we estimate the models using underlying return data, while the pricing performance of the GARCH (1, 1) model is quite good with respect to ITM and ATM options, other asymmetric GARCH-type models designed to reflect the asymmetric volatility response phenomenon show better pricing performance. Fourth, when we estimate the models using option price data, the asymmetric GARCH-type models relatively perform prominently. The more elaborate are models, the better models tend to price observed options. However, the moderately complicated model such as the NGARCH model prices options more accurately than the GARCH-News model, which is most complicated model in this study. Fifth, the empirical performance of the GARCH (1, 1) model is good if we estimate the model using only underlying return data. The ARCH (1) model shows generally good hedging performance if we estimate the model using option price data.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laborate model does not always hedge better relatively to the simple models that are enough to capture the correlation structure between the path of underlying and volatility and describe the volatility clustering in the KOSPI 200 options market.

      • KCI등재후보

        실천이성으로 읽은 의사결정수업모형에서 교육적 앎의 의미

        한광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2

        This research inquiry the meaning of reflection intrinsic in decision-making model on practical reason. The educational epistemology's orientation of practical reason is critic about education is buried technical rationality seen by symmetrical structure of technical rationality and practical rationality and by symmetrical structure of dualism and monism. Decision-making model can divide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and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t the point of practical rationality.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separate knowing and action. The knowing of this model limit positive inquiry apply social science concept and principle at the separation of action. But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rrive on the base of monismic thinking of knowing and action. This is noteworthy for which action way is at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good. This difference hav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for the meaning of reflection intrinsic in decision-making model. The reflection of 'Rational decision-making model' is technique for the sake of objective, certain knowing on the inquiry about fact and value. The reflection is limited at cognitive skill, instrumental means, technique construct 'the point of Archimedes'. But the reflection of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is fundamental thinking deconstruct partition on fact and value, cognition and emotion, and thinking and behavior. This is practical, because the reflection at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good on social life. 본 연구는 의사결정수업모형에 내재한 앎의 의미를 실천이성의 시선에서 탐구하려 한다. 실천이성의 교육인식론적 정향은 기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의 대칭적 구도에서 기술적 합리성에 매몰된 교육에 대해 비판하고, 앎과 실천의 이원적 사유와 일원적 사유의 대칭적 구도로 앎과 실천의 관계를 조망한다는 점에 있다. 실천이성에서 앎과 실천의 대칭적 구도는 합리성의 대칭적 구도로 전화된다. 이런 맥락에서 의사결정수업모형은 ‘합리적 의사결정수업모형’과 ‘반성적 의사결정수업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합리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은 앎과 실천을 분리한다. 이 모형에서 앎은 실천과 분리된 채 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한 실증적 탐구에 국한된다. 반면, ‘반성적 의사결정수업모형’은 앎과 실천의 일원적 사유를 기반으로 성립한다. 이것은 공공선의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실천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런 차이는 의사결정수업모형에 내재된 앎의 의미 이해에도 영향을 끼친다. ‘합리적 의사결정수업모형’에서 의사결정은 사실과 가치의 탐구과정에서 객관적, 자명한 앎을 위한 기법이다. 여기서 의사결정은 앎의 인지적 기능, 도구적 수단, 기술로 한정된다. 반면, ‘반성적 의사결정수업모형’에서 앎은 사회적 삶에서 공공선의 확대에 이바지하는 사회참여란 실천과 선순환적 관계를 맺는다.

      • KCI등재

        Investor Sentiment and the Consumption Capital Asset Pricing Model

        Ji Ho Kwon(권지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6

        단순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이 실증적 적용에 있어 한계를 보인 후 재무경제학자들은 거래전략에 따른 방법으로 많은 수의 위험요인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요인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은 우리들에게 위험요인이 경제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대응하고자 이론적으로 정합성과 설득력이 뛰어난 소비기반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이 대안으로 제시되지만 동 모형은 실증적으로 인상적인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 심리지수가 소비기반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의 조건변수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았다. Lettau and Ludvigson (2001)에 따르면, 소비와 자산의 비율인 cay는 조건변수로서 소비기반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이 금융자산들의 횡단면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cay의 기능이 약화되어 cay를 조건변수로 하는 조건부 소비기반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은 더 이상 금융자산들의 횡단면 행태를 설명하지 못한다. 본고는 투자자 심리지수를 조건변수로 하는 새로운 조건부 소비기반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을 제시한다. 동 모형은 Fama and French (1993)의 3요인 모형과 Fama and French (2015)의 5요인 모형보다 더 큰 설명력을 보인다. 투자자들은 위험기피도에 따라 금융자산이 얼마나 소비증가율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에 관심을 보인다. 위험한 금융자산은 시장 전체의 위험기피도가 높을 때 소비증가율과 상관관계가 높으며 이에 따라 리스크프리미엄은 다른 자산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empirical risk factors reported in literature, researchers still try to understand the economic risks behind these factors. In response, this paper tries to empirically verify the consumption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CAPM) as its reputation of the theoretical completeness remains well preserved. In order to overcome empirical shortcomings of CCAPM, I examine if investor sentiment can be the conditioning information of consumption-based asset pricing model. While Lettau and Ludvigson (2001)’s conditioning variable, “cay”, no longer works on the expanded sample period, I find that investor sentiment (IS) is the conditioning variable that enables consumption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CAPM) to explain the substantial variation of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In addition, the conditional version of CCAPM with investor sentiment as a conditioning variable (IS CCAPM) explains better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than Fama-French three-factor model and Fama-French five-factor model over the new set of test assets. Asset’s riskiness is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with consumption growth conditional on the investor sentiment.

      • KCI등재

        몬데카를로시뮬레이션방법을 이용한 옵션가격 수렴성에 관한 실증연구

        강태훈(Tae-Hoon Ka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옵션가치평가의 한 방법인 블랙-숄즈 옵션가격결정모형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옵션가치평가의 비교를 통하여 전통적인 모형인 블랙-숄즈 옵션가격결정모형과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보이고자 하는 논문이다. 블랙-숄즈 옵션가격결정모형은 1973년에 제시되어진 모형으로서, 현재까지 옵션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일반화 되어진 모형이며 최근 들어 만들어지고 있는 다양한 옵션의 가치를 평가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블랙-숄즈 옵션가격결정모형은 이론적으로는 가장 완벽한 모형으로 간주되지만 모형을 위한 가정이 비현실적이고 개별요소의 특성을 달리 나타낼 수 있는 여지가 많다. 그리고 각 변수들의 양이 많아져 복잡한 식으로 된다면 해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 Monte Carlo Simulation이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블랙-숄즈모형의 기초가 되는 여러 가정들이 완화되어 옵션가격을 결정하는 공식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옵션가격을 결정하는 변수의 앙이 많아서 일반식 형태로 풀기 난해한 경우 옵션가격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 t-검정 값들이 모두 귀무가설을 채택하여 결론적으로 블랙-숄즈 가격결정모혈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옵션가격결정모형의 관측 값은 유의적으로 같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uses a Monte Carlo simulation for option valuation problem, compares the solutions by a Monte Carlo simulation with those by a closed-form function based on the Black-Scholes option pricing model and prove that the method is efficient as well as simple and flexible in the sense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to accommodate different processes governing the underlying instruments movements. Designed by Black and Scholes in 1973, the option pricing model succeeded in drawing general formulas with relatively simple assumptions and thereby various option pricing models were developed. The option pricing model, Black-Scholes Model has developed by the repetitive relaxation and alternation of assumptions. meanwhile, the output of integration has become too complex to draw an analytic solution. To solve such problem, numerical approaches were introduced. One of the typical numerical approach is the Monte Carlo Simulation. The simulation can include various stochastic processes which determine the profit of underlying assets, and thus the simulation is commonly used to the option pricing. The paper shows that some conditions are needed in order to converge random prices into a stable status in the simulation. The drawback of the Monte Carlo method lies in the fact that the standard deviation error of estimat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root of the number of simulation trials. Techniqu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is the antithetical method that can reduce variances. The total standard error is significantly reduced using the antithetical method. The antithetical method calculates two values of option price, one being calculated in the normal way and the other calculated through changing the sign of the all the samples from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The average of the two values is considered as the value of the option price from the sample. The final estimate of the value of the option price is the average of all the average of the pairs of values.

      • KCI등재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가격결정모형

        김동회 ( Dong Hoe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4 금융공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시장요인에 규모요인, 가치요인, 이익요인, 투자요인 등을 추가하는 여러가지 요인모형에 기초를 둔 자산가격결정모형 중에서 어느 모형이 한국주식시장의 평균수익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1997년 7월부터 2013년 12월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보통주 종목 (금융업 종목 제외)을 표본으로 하였다. 우선 보통주의 시장가치와 B/M비율, 자기자본이익률, 총자산증가율 등의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구성한 요인과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는 규모효과와 투자효과와 같은 이례적 현상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치효과는 대규모 주식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익효과는 나타나지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증권시장에 적합한 자산가격결정모형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Gibbons, Ross, and Shanken(1989)의 검정통계량에 기초한 검증에 의하면, 시장요인에 규모요인을 추가하지 않은 어떠한 모형에서도 절편계수가 모두 0이라는 가설이기각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시장요인과 규모요인에 대한 민감도들을 포함하지 않는어떠한 가격결정모형도 평균수익률을 추정하는데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분석대상 포트폴리오들의 절편계수 각각에 대해 그 크기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시장요인에 규모요인, 가치요인, 이익요인, 투자요인 등을 모두 추가한 5요인 모형이라고 해서 평균수익률을 더욱 잘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투자요인을 시장요인과 규모요인에 추가한 모형이 그 요인을 추가하지 않은모형에 비해 평균수익률을 더욱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각 요인을 다른 요인들에 대해 회귀 분석한 결과로부터 가치요인은 다른 요인들이 평균수익률에 대해 설명하지 못하는 정보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검토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모형으로 기대 수익률이 시장요인, 규모요인, 가치요인, 그리고 투자요인 등의 민감도에 의해 주어진다는 4요인 가격결정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find an empirical asset pricing model which can explain the average returns in Korean stock market. To conduct some empirical analyses, this paper uses monthly data of common stocks of all non-financial company, listed in KOSPI market and KOSDAQ market, for the period from July 1997 through December 2013. During the sample period, there are evidences that size effect and investment effect are predominant, but value effect exists only for the big stocks. After examining the GRS-statistics and estimated alphas of regression models, added various factors to the market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paper shows that the four-factor asset pricing model, consisting the market factor, size factor, investment factor, and value factor, explains the average returns best in Korean stock market. Although the value factor is not a priced factor in Korean stock market,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common factor because it contain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verage returns beyond the other common factors.

      • KCI등재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 평가모형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재신(Jae Shin Par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결과정보위주의 편향에서 벗어나 의사결정 과정상의 역량이 체계적으로 분석되는 평가모형이 필요하다. 개발 방법론으로 근거이론이 사용되었다. 근거이론은 현장으로부터 체계적으로 수집된 실증자료에 기반하여 이론을 발전시키는 현상학적 방법이다. 개발된 평가모형은 개념적 틀, 평가요소, 실행절차 등으로 구성된다.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은 직무 관련 설정된 목표의 성취도, 의사결정 과정의 절차적 합리성, 집단 상호작용 효과성을 중심으로 평가된다. 4개의 사례연구를 통해 평가모형이 개발되었고, 1개의 실제 사례에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 상황에 대한 사용가능성과 유의미한 교훈 및 역량향상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이 평가모형은 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경영자들이 실무에서 보다 합리적이고 정당성 있는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하여 참고할 수 있는 길잡이로서의 역할도 있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evaluating the manager’s decision-mak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hat helps overcome the outcome bias and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mpetence of managers in making decis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grounded theory, which is an interpretative method to develop a theory that is grounded on empirical data systematically gathered from the practice. The model developed consists of a conceptual framework, evaluation criteria, and an operational procedure. In particular, decision-making competency is evaluated in terms of task-specific delegation specifications, procedural rationality, and group effectiveness. The model was tested by application in investment decisions of a venture capital company. The application proved that the model is usable and useful in deriving valuable lessons and identifying steps to be taken for competency improvement. This model can be used not only as a tool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managers specific to decision-making, but also as a self-diagnostic tool or a working guide for managers to make self-confident and justifiable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